KR200479489Y1 -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 Google Patents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89Y1
KR200479489Y1 KR2020140002057U KR20140002057U KR200479489Y1 KR 200479489 Y1 KR200479489 Y1 KR 200479489Y1 KR 2020140002057 U KR2020140002057 U KR 2020140002057U KR 20140002057 U KR20140002057 U KR 20140002057U KR 200479489 Y1 KR200479489 Y1 KR 200479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s
bottom plate
main body
partition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506U (ko
Inventor
강호중
박무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쿡인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쿡인페이퍼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쿡인페이퍼
Priority to KR2020140002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8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02Partitions integ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sides permanently secured to adjacent sides, with sid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by adhesive strips, or with sides held in place solely by rigidity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시에는 얇은 용기 상태를 유지하다 음식을 용기에 담을 때에는 간단하게 용기를 복수개의 칸으로 나누어,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용기로 두 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Food container made of paper}
본 고안은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시에는 얇은 용기 상태를 유지하다 음식을 용기에 담을 때에는 간단하게 용기를 복수개의 칸으로 나누어,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용기로 두 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종이로 만든 도시락 등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조리가 가능한 종이로 만든 조리용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또는 조리용기는 종이로 만들어 한 칸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형태를 구현하지만 종이로 만든 용기의 내부를 복수개의 칸으로 구분할 수 없어,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하기 어려워 예를 들어 국물이 있는 반찬의 국물이 밥에 번지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용기를 사용하여 따로 따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또는 하나의 용기로 두 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하기 어려워 두 가지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두 개의 용기를 따로 따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48675호 "조립식 종이도시락 용기"(2001. 11. 16.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34322호 "일회용 스티로폼 대체 종이용기"(2006. 12. 20.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44164호 "종이냄비"(2009. 4. 17.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549025호 "종이를 원자재로 한 휴대용 조리 기구" (2012. 3. 23. 공고)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5628호 "종이로 만든 조립식 조리용기" (2013. 9. 25. 공개)
본 고안은 휴대 시에는 얇은 용기 상태를 유지하다 음식을 용기에 담을 때에는 간단하게 용기를 복수개의 칸으로 나누어,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용기로 두 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40-1)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1-1), 제2바닥판(20)의 하부로 제1 칸막이부(41-1)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42-1), 제1 칸막이부(41-1)의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43-1), 제2 칸막이부(42-1)의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4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3-1)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제2 연결부(44-1) 테두리는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 연결부(43-1)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43-1)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하단에는 손잡이부(15)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부(16)가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외측면이 접착되며, 제1 연결부(43-1)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 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긴 사각형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제3 바닥판(30), 상기 제3 바닥판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1, 3-2 측판(31, 32); 제1, 3 바닥판(1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0-2) 및 제2, 3 바닥판(2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5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칸막이부(40-2)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칸막이부(41-2), 제3 바닥판(30)의 하부로 제1-1 칸막이부(41-2)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칸막이부(42-2), 제1-1 칸막이부(41-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연결부(43-2), 제1-2 칸막이부(42-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연결부(44-2)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칸막이부(50-2)는 제3 바닥판(3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1 칸막이부(51-2), 제2 바닥판(20)의 하부로 제2-1 칸막이부(51-2)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2 칸막이부(52-2), 제2-1 칸막이부(51-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1 연결부(53-2), 제2-2 칸막이부(52-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2 연결부(5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연결부(43-2)의 테두리는 제1-1 연결부(43-2)와 제1-2 연결부(4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2 연결부(44-2)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1-2, 1-3 측판(12, 1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1-2 연결부(44-2)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며, 제1-2 연결부(44-2)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결부(53-2)의 테두리는 제2-2, 2-3 측판(22, 2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제2-2 연결부(54-2)의 테두리는 제2-1 연결부(53-2)와 제2-2 연결부(5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2-1 연결부(53-2)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2-1 연결부(53-2)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3-1, 3-2 측판(31, 32)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 쪽으로 이격되어 손잡이부(15)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부(16)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내측면이 접착되며, 제1-1 연결부(43-2)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1-2, 1-3 측판(12, 13)의 내측면, 제2-1 연결부(53-2)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2-1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바닥판(10)과 동일한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20)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3)로 구성되고, 상기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0
형상의 결합홈(45)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부(40-3)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1-3), 제2바닥판(20)의 하부로 제1 바닥판(10)과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42-3), 제1 칸막이부(41-3)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43-3), 제2 칸막이부(42-3)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44-3)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43-3)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1
형상의 절개홈(46)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44-3) 테두리는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 연결부(43-3)의 절개홈(46)을 가리지 않도록 제1 연결부(43-3)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만나는 제1 접이선(a) 중앙에는 ( ) 형상의 절개선(47)이 각각 형성되며,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히면 ( ) 형상의 절개선(47)은 반으로 겹쳐져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2
와 같은 형상의 결합편(48)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만나는 제1 접이선(a) 중앙에는 검지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크기의 원형 구멍(49)이 형성되며,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히면 원형 구멍(49)은 반으로 겹쳐져 ∪와 같은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외측면이 접착되고,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의 외측면이 서로 접착되며, 제1 연결부(43-3)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은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에서 소정 각도만큼 벌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는 휴대 시에는 얇은 용기 상태를 유지하다 음식을 용기에 담을 때에는 간단하게 용기를 복수개의 칸으로 나누어,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용기로 두 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하기 위해, 또는 두 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하기 위해 한 개의 용기만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용기 사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 후 폐기되는 용기의 발생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는 용기를 복수개의 칸으로 나누기 전에는 얇은 용기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기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본체의 조립·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서 칸막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덮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본체의 조립·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서 칸막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덮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본체의 조립·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서 칸막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덮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본 고안의 실시예 1은 음식이 수용되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의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9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2 바닥판(10, 20),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각 모서리부(14)는 제1, 2 접이선(a, b)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2 접이선(a, b)은 눌림 처리되어 그 선을 따라서 상기 본체(1)가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은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에서 소정 각도만큼 벌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이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과 벌어지는 각도는 10 내지 2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본체(1)의 조립 시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이 상부로 갈수록 벌어져 음식을 담기 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모서리부(14)는 제1 접이선(a)·제3접이선(c), 제2 접이선(b)·제3접이선(c)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제3접이선(c)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구획되는데, 각 모서리부(14)의 단부는 제3접이선(c)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히면 제1-1, 2-1 측판(11, 21)의 높이와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부(40-1)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1-1), 제2바닥판(20)의 하부로 제1 칸막이부(41-1)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42-1), 제1 칸막이부(41-1)의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43-1), 제2 칸막이부(42-1)의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44-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43-1)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제2 연결부(44-1) 테두리는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 연결부(43-1)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43-1)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1 바닥판(10)과 제1 칸막이부(41-1), 제2 바닥판(20)과 제2 칸막이부(42-1), 제1 칸막이부(41-1)와 제2 칸막이부(42-1)는 제1 접이선(a)에 의하여 구획되며, 제1 칸막이부(41-1)와 제1 연결부(43-1), 제2 칸막이부(42-1)와 제2 연결부(44-1)는 제2 접이선(b)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이 접혀져 세워지면서 제1 칸막이부(41-1)와 제2 칸막이부(42-1)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지고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도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에는 제4 접이선(d)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약간의 탄성을 줄 수 있도록 제1 칸막이부(41-1)와 제2 칸막이부(42-1)의 좌, 우측에는 제5 접이선(e)이 누름 처리되며,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의 좌, 우측에는 제6 접이선(f)이 누름 처리된다.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하단에는 손잡이부(15)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부(16)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5) 및 돌출부(16)는 후술하는 덮개(6)의 슬롯(60)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그 폭이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으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테두리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6)가 본체(1)의 테두리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상부로 이격된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하단에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본체(1)의 조립 시 가장 아래 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의 하단에 돌출부(16)를 형성하여 본체(1)에 음식을 담은 후 돌출부(16)를 잡고 본체(1)를 들어도 본체(1)에 담긴 음식의 무게로 인하여 제2-2, 2-3 측판(22, 23)이 본체(1)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본체의 조립·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모서리부(14)는 제3접이선(c)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 24)의 외측면이 접착되며, 제1 연결부(43-1)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서 칸막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본체가 조립·접착된 상태에서 제2 바닥판(20) 쪽으로 눕혀진 칸막이부(40-1)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로 세우기만 하면 본체(1)는 2칸으로 분리되며, 2칸 모두 국물이 새지 않아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에는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에, 조립된 본체(1)의 제1-1, 2-1 측판(11, 21)의 손잡이부(15), 제2-2, 2-3 측판(22, 23)의 돌출부(16)가 끼워지는 슬롯(60)이 각 1개씩 형성된다.
상기 슬롯(60)은 직선으로 형성하되 그 직선의 외측의 중앙에는 손잡이부가 쉽게 들어가도록 길게 절개된 절개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공(61)이 형성되지 않고 직선으로 남겨진 부분은 손잡이부(15), 돌출부(16)를 덮개(6)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롯(60)의 직선의 내측에는 좌·우 대칭으로 세 개씩 짧게 절개선(62)이 형성되어 덮개(6)의 슬롯(60)에 손잡이부(15), 돌출부(16)를 집어넣을 때 덮개(6)가 평평하지 않게 되더라도 손잡이부(15), 돌출부(16)와 슬롯(6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의 슬롯(60)에 조립된 본체(1)의 손잡이부(15), 돌출부(16)가 끼워지도록 하여 본체(1)를 덮게 된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실시예 2는 음식이 수용되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의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 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긴 사각형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제3 바닥판(30), 상기 제3 바닥판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1, 3-2 측판(31, 32); 제1, 3 바닥판(1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0-2) 및 제2, 3 바닥판(2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50-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2, 3 바닥판(10, 20, 30),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 제3-1, 3-2 측판(31, 32) 및 각 모서리부(14)는 제1, 2 접이선(a, b)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2 접이선(a, b)은 눌림 처리되어 그 선을 따라서 상기 본체(1)가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은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에서 소정 각도만큼 벌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이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과 벌어지는 각도는 10 내지 2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본체(1)의 조립 시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이 상부로 갈수록 벌어져 음식을 담기 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모서리부(14)의 제2 접이선(b)에 해당되는 부분은 절개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부(14)가 제1 접이선(a)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히면 제1-1, 2-1 측판(11, 21)의 높이와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된다(그러나 실시예 1의 모서리부와 같이, 각 모서리부(14)는 제1 접이선(a)·제3접이선(c), 제2 접이선(b)·제3접이선(c)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누름 처리된 제3접이선(c)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각 모서리부(14)의 단부는 제3접이선(c)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히면 제1-1, 2-1 측판(11, 21)의 높이와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칸막이부(40-2)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칸막이부(41-2), 제3 바닥판(30)의 하부로 제1-1 칸막이부(41-2)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칸막이부(42-2), 제1-1 칸막이부(41-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연결부(43-2), 제1-2 칸막이부(42-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연결부(44-2)로 구성된다.
상기 제1-1 연결부(43-2)의 테두리는 제1-1 연결부(43-2)와 제1-2 연결부(4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2 연결부(44-2)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1-2, 1-3 측판(12, 1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1-2 연결부(44-2)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연결부(44-2)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칸막이부(50-2)는 제3 바닥판(3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1 칸막이부(51-2), 제2 바닥판(20)의 하부로 제2-1 칸막이부(51-2)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2 칸막이부(52-2), 제2-1 칸막이부(51-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1 연결부(53-2), 제2-2 칸막이부(52-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2 연결부(54-2)로 구성된다.
상기 제2-1 연결부(53-2)의 테두리는 제2-2, 2-3 측판(22, 2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제2-2 연결부(54-2)의 테두리는 제2-1 연결부(53-2)와 제2-2 연결부(5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2-1 연결부(53-2)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2-1 연결부(53-2)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3 바닥판(30)과 제1-1 칸막이부(41-2), 제1 바닥판(10)과 제1-2 칸막이부(42-2), 제1-1 칸막이부(41-2)와 제1-2 칸막이부(42-2)는 제1 접이선(a)에 의하여 구획되며, 제1-1 칸막이부(41-2)와 제1-1 연결부(43-2), 제1-2 칸막이부(42-2)와 제1-2 연결부(44-2)는 제2 접이선(b)에 의하여 구획된다.
제3 바닥판(30)과 제2-1 칸막이부(51-2), 제2 바닥판(20)과 제2-2 칸막이부(52-2), 제2-1 칸막이부(51-2)와 제2-2 칸막이부(52-2)는 제1 접이선(a)에 의하여 구획되며, 제2-1 칸막이부(51-2)와 제2-1 연결부(53-2), 제2-2 칸막이부(52-2)와 제2-2 연결부(54-2)는 제2 접이선(b)에 의하여 구획된다.
제1 칸막이부(40-2)와 제2 칸막이부(50-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제1-1 연결부(43-2), 제1-2 연결부(44-2)와 제2-1 연결부(53-2), 제2-2 연결부(54-2)도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제1-1 연결부(43-2), 제1-2 연결부(44-2)와 제2-1 연결부(53-2), 제2-1 연결부(54-2)에는 제4 접이선(d)이 형성된다.
제1-1 연결부(43-2), 제1-2 연결부(44-2)와 제2-1 연결부(53-2), 제2-1 연결부(5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약간의 탄성을 줄 수 있도록 제1-1 칸막이부(41-2), 제1-2 칸막이부(42-2) 및 제2-1 칸막이부(51-2), 제2-2 칸막이부(52-2) 좌, 우측에는 각각 제5 접이선(e)이 누름 처리되며, 제1-1 연결부(43-2), 제1-2 연결부(44-2) 및 제2-1 연결부(5-23), 제2-2 연결부(54-2) 좌, 우측에는 제6 접이선(f)이 각각 누름 처리된다.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3-1, 3-2 측판(31, 32)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 쪽으로 이격되어 손잡이부(15)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부(16)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5) 및 돌출부(16)는 후술하는 덮개(6)의 슬롯(60)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그 폭이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으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테두리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6)가 제3-1, 3-2 측판(31, 32)의 테두리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하부 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유는 제1 바닥판(10)이 제2 바닥판(20)보다 크기 때문에 제3-1, 3-2 측판(31, 32)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 쪽으로 이격되어 돌출부(16)가 형성되어야만 상기 돌출부(16)가 본체(1)의 테두리 중앙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본체의 조립·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모서리부(14)는 제1 접이선(a)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내측면이 접착되며, 제1-1 연결부(43-2)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제1-2, 1-3 측판(12, 13)의 내측면, 제2-1 연결부(53-2)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서 칸막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본체가 조립·접착된 상태에서 제1 바닥판(10) 쪽으로 눕혀진 제1 칸막이부(40-2), 제2 바닥판(20) 쪽으로 눕혀진 제2 칸막이부(50-2)를 손가락으로 위로 세우기만 하면 본체(1)는 3칸으로 분리되며, 국물이 있는 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분리 휴대할 수 있다. 이 경우 국물이 있는 음식은 제3 바닥판(30), 제1 칸막이부(40-2), 제2 칸막이부(50-2)로 이루어져 국물이 샐 수 없는 칸에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러나 모서리부를 실시예 1과 같이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시예 2에서 형성되는 3칸이 모두 국물이 샐 수 없는 공간이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에는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에, 조립된 본체(1)의 제1-1, 2-1 측판(11, 21)의 손잡이부(15), 제3-1, 3-2 측판(31, 32)의 돌출부(16)가 끼워지는 슬롯(60)이 각 1개씩 형성된다.
상기 슬롯(60)은 직선으로 형성하되 그 직선의 외측의 중앙에는 손잡이부가 쉽게 들어가도록 길게 절개된 절개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공(61)이 형성되지 않고 직선으로 남겨진 부분은 손잡이부(15), 돌출부(16)를 덮개(6)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롯(60)의 직선의 내측에는 좌·우 대칭으로 세 개씩 짧게 절개선(62)이 형성되어 덮개(6)의 슬롯(60)에 손잡이부(15), 돌출부(16)를 집어넣을 때 덮개(6)가 평평하지 않게 되더라도 손잡이부(15), 돌출부(16)와 슬롯(6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의 슬롯(60)에 조립된 본체(1)의 손잡이부(15), 돌출부(16)가 끼워지도록 하여 본체(1)를 덮게 된다.
<실시예 3>
본 고안의 실시예 3은 음식이 수용되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의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2-1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바닥판(10)과 동일한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20)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2 바닥판(10, 20),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각 모서리부(14)는 제1, 2, 3접이선(a, b)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제1, 2 접이선(a, b)은 눌림 처리되어 그 선을 따라서 상기 본체(1)가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은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에서 소정 각도만큼 벌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모서리부(14)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이 제1, 2 바닥판(10, 20)에 형성되는 제1접이선(a), 제2접이선(b)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과 벌어지는 각도는 10 내지 2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본체(1)의 조립 시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2-1, 2-2, 2-3 측판(21, 22, 23)이 상부로 갈수록 벌어져 음식을 담기 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모서리부(14)는 제1 접이선(a)·제3 접이선(c), 제2 접이선(b)·제3 접이선(c)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제3 접이선(c)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구획되는데, 각 모서리부(14)의 단부는 제3 접이선(c)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히면 제1-1, 2-1 측판(11, 21)의 높이와 각각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중앙에서 약간 하부로 이격되어
Figure 112014024739756-utm00005
형상의 결합홈(45)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부(40-3)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1-3), 제2바닥판(20)의 하부로 제1 바닥판(10)과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42-3), 제1 칸막이부(41-3)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43-3), 제2 칸막이부(42-3)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4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43-3)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테두리 중앙에서 약간 하부로 이격되어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3
형상의 절개홈(46)이 형성된다. 제2 연결부(44-3) 테두리는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 연결부(43-3)의 절개홈(46)을 가리지 않도록 제1 연결부(43-3)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만나는 제1 접이선(a) 중앙에는 ( ) 형상의 절개선(47)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히면 ( ) 형상의 절개선(47)은 반으로 겹쳐져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4
와 같은 형상의 결합편(48)이 된다.
제1 바닥판(10)과 제1 칸막이부(41-3), 제2 바닥판(20)과 제2 칸막이부(42-3),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는 제1 접이선(a)에 의하여 구획되며, 제1 칸막이부(41-3)와 제1 연결부(43-3), 제2 칸막이부(42-3)와 제2 연결부(44-3)는 제2 접이선(b)에 의하여 구획된다.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만나는 제1 접이선(a) 중앙에는 검지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크기의 원형 구멍(49)이 형성되며,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히면 원형 구멍(49)은 반으로 겹쳐져 ∪와 같은 형상이 된다.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도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에는 제4 접이선(d)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약간의 탄성을 줄 수 있도록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 좌, 우측에는 제5 접이선(e)이 누름 처리된다.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5)는 후술하는 덮개(6)의 슬롯(60)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그 폭이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으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테두리는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본체의 조립·접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모서리부(14)는 제3접이선(c)에 따라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외측면이 접착되고,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의 외측면이 서로 접착되며, 제1 연결부(43-3)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면 2칸의 공간이 마련되며, 이들 공간은 모두 국물이 샐 수 없게 형성되어 음식을 조리하는데 적합하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서 칸막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본체가 조립·접착된 상태에서 제2 바닥판(20) 쪽으로 눕혀진 칸막이부(40-3)에는 원형 구멍(49)이 반으로 겹쳐진
Figure 112014024739756-utm00009
와 같이 절개된 형상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것은 칸막이부(40-3)가 높아서 제2 바닥판(20) 쪽으로 눕혀지면 제2-1 측판(21)과 맞닿게 되어 손가락으로 칸막이부(40-3)를 들어올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반으로 겹쳐진
Figure 112014024739756-utm00010
와 같이 절개된 형상을 손가락으로 잡고 위로 세우기만 하면 본체(1)는 2칸으로 분리되며, 본체(1)를 가열하여 2가지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다. 칸막이부(40-3)를 본체(1)의 테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결합편(48)을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45)에 집어넣고 아래쪽으로 접어 눌러주면 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에는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에, 조립된 본체(1)의 제1-1, 2-1 측판(11, 21)의 손잡이부(15)가 끼워지는 슬롯(60)이 각 1개씩 형성된다.
상기 슬롯(60)은 직선으로 형성하되 그 직선의 외측의 중앙에는 손잡이부가 쉽게 들어가도록 길게 절개된 절개공(61)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공(61)이 형성되지 않고 직선으로 남겨진 부분은 손잡이부(15)를 덮개(6)에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롯(60)의 직선의 내측에는 좌·우 대칭으로 세 개씩 짧게 절개선(62)이 형성되어 덮개(6)의 슬롯(60)에 손잡이부(15)를 집어넣을 때 덮개(6)가 평평하지 않게 되더라도 손잡이부(15)와 슬롯(6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을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의 슬롯(60)에 조립된 본체(1)의 손잡이부(15)가 끼워지도록 하여 본체(1)를 덮게 된다.
<제1, 2, 3 실시예 공통>
1 : 본체 10 : 제1 바닥판
11 : 제1-1 측판 12 : 제1-2 측판
13 : 제1-3 측판 14 : 모서리부
15 : 손잡이부 20 : 제2 바닥판
21 : 제2-1 측판 22 : 제2-2 측판
23 : 제2-3 측판 6 : 덮개
60 : 슬롯 61 : 절개공
62 : 절개선 a : 제1접이선
b : 제2접이선
<제1 실시예>
16 : 돌출부 40-1 : 칸막이부
41-1 : 제1 칸막이부 42-1 : 제2 칸막이부
43-1 : 제1 연결부 44-1 : 제2 연결부
c : 제3접이선 d : 제4접이선
e : 제5접이선 f : 제6접이선
<제 2 실시예>
16 : 돌출부 30 : 제3 바닥판
31 : 제3-1 측판 32 : 제3-2 측판
40-2 : 제1 칸막이부 41-2 : 제1-1 칸막이부
42-2 : 제1-2 칸막이부 43-2 : 제1-1 연결부
44-2 : 제1-2 연결부 50-2 : 제2 칸막이부
51-2 : 제2-1 칸막이부 52-2 : 제2-2 칸막이부
53-2 : 제2-1 연결부 54-2 : 제2-2 연결부
d : 제4접이선 e : 제5접이선
f : 제6접이선
<제 3 실시예>
40-3 : 칸막이부 41-3 : 제1 칸막이부
42-3 : 제2 칸막이부 43-3 : 제1 연결부
44-3 : 제2 연결부 45 : 결합홈
46 : 절개홈 47 : 절개선
48 : 결합편 49 : 원형 구멍
c : 제3접이선 d : 제4접이선
e : 제5접이선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1)로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부(40-1)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1-1), 제2바닥판(20)의 하부로 제1 칸막이부(41-1)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42-1), 제1 칸막이부(41-1)의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43-1), 제2 칸막이부(42-1)의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44-1)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43-1)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제2 연결부(44-1) 테두리는 제1 연결부(43-1)와 제2 연결부(44-1)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 연결부(43-1)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43-1)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4.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1)로 구성되며,
    상기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하단에는 손잡이부(15)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부(16)가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외측면이 접착되며, 제1 연결부(43-1)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6. 삭제
  7. 삭제
  8.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 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긴 사각형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제3 바닥판(30), 상기 제3 바닥판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1, 3-2 측판(31, 32); 제1, 3 바닥판(1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0-2) 및 제2, 3 바닥판(2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50-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칸막이부(40-2)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칸막이부(41-2), 제3 바닥판(30)의 하부로 제1-1 칸막이부(41-2)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칸막이부(42-2), 제1-1 칸막이부(41-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연결부(43-2), 제1-2 칸막이부(42-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연결부(44-2)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칸막이부(50-2)는 제3 바닥판(3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1 칸막이부(51-2), 제2 바닥판(20)의 하부로 제2-1 칸막이부(51-2)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2 칸막이부(52-2), 제2-1 칸막이부(51-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1 연결부(53-2), 제2-2 칸막이부(52-2)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2 연결부(54-2)로 구성되며,
    상기 제1-1 연결부(43-2)의 테두리는 제1-1 연결부(43-2)와 제1-2 연결부(4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2 연결부(44-2)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1-2, 1-3 측판(12, 1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1-2 연결부(44-2)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연결부(44-2)의 테두리는 제1-2, 1-3 측판(12, 1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결부(53-2)의 테두리는 제2-2, 2-3 측판(22, 23)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며, 제2-2 연결부(54-2)의 테두리는 제2-1 연결부(53-2)와 제2-2 연결부(54-2)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2-1 연결부(53-2)의 외측면 상부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제2-1 연결부(53-2)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9.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 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제1-1, 1-2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짧은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가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과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제1 바닥판(10)보다 긴 사각형으로 중앙에 형성되는 제3 바닥판(30), 상기 제3 바닥판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3-1, 3-2 측판(31, 32); 제1, 3 바닥판(1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0-2) 및 제2, 3 바닥판(20, 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50-2)로 구성되며,
    상기 제1-1, 2-1 측판(11, 21)의 테두리 중앙에는 손잡이부(15)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3-1, 3-2 측판(31, 32)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 쪽으로 이격되어 손잡이부(15)보다 작은 크기의 돌출부(16)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내측면이 접착되며, 제1-1 연결부(43-2)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1-2, 1-3 측판(12, 13)의 내측면, 제2-1 연결부(53-2)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11. 본체(1)와 본체(1)의 상부를 덮는 덮개(6)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제1 바닥판(10), 상기 제1 바닥판(10)의 하,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1, 1-2, 1-3 측판(11, 12, 13) 및 제1-1, 2-1 측판(11, 12), 제1-1, 1-3 측판(11, 1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바닥판(10)과 동일한 사각형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바닥판(20), 상기 제2 바닥판(20)의 상, 좌,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2-1, 2-2, 2-3 측판(21, 22, 23) 및 제2-1, 2-2 측판(21, 22), 제2-1, 2-3 측판(21, 23)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모서리부(14); 제1, 2 바닥판(10, 20) 사이에 형성되는 칸막이부(40-3)로 구성되고,
    상기 제2-2, 2-3 측판(22, 23)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5
    형상의 결합홈(45)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부(40-3)는 제1 바닥판(10)의 상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칸막이부(41-3), 제2바닥판(20)의 하부로 제1 바닥판(10)과 동일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칸막이부(42-3), 제1 칸막이부(41)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연결부(43-3), 제2 칸막이부(42-3) 좌,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44-3)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43-3)의 테두리 중앙에서 하부로 이격되어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6
    형상의 절개홈(46)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44-3) 테두리는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혀질 때 제1 연결부(43-3)의 절개홈(46)을 가리지 않도록 제1 연결부(43-3)의 테두리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만나는 제1 접이선(a) 중앙에는 ( ) 형상의 절개선(47)이 각각 형성되며, 제1 연결부(43-3)와 제2 연결부(44-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히면 ( ) 형상의 절개선(47)은 반으로 겹쳐져
    Figure 112015041378643-utm00037
    와 같은 형상의 결합편(48)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만나는 제1 접이선(a) 중앙에는 검지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크기의 원형 구멍(49)이 형성되며,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가 본체(1) 내측으로 접히면 원형 구멍(49)은 반으로 겹쳐져 ∪와 같은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서리부(14)가 접혀져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으로 접힌 후 제1-1, 2-1 측판(11, 21)의 외측면과 이에 맞닿는 각 모서리부(14)의 외측면이 접착되고, 제1 칸막이부(41-3)와 제2 칸막이부(42-3)의 외측면이 서로 접착되며, 제1 연결부(43-3)의 외측면 상부와 이에 맞닿는 제2-2, 2-3 측판(22, 23)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15. 삭제
KR2020140002057U 2014-03-14 2014-03-14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KR200479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57U KR200479489Y1 (ko) 2014-03-14 2014-03-14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57U KR200479489Y1 (ko) 2014-03-14 2014-03-14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06U KR20150003506U (ko) 2015-09-23
KR200479489Y1 true KR200479489Y1 (ko) 2016-02-02

Family

ID=5434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57U KR200479489Y1 (ko) 2014-03-14 2014-03-14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99B1 (ko) * 2020-12-10 2021-06-24 주식회사 나우스 내부구획이 분리되는 햄버거 딜리버리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899B1 (ko) * 2020-12-10 2021-06-24 주식회사 나우스 내부구획이 분리되는 햄버거 딜리버리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06U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2014002502A1 (es) Contenedor de una sola pieza formado a partir de una plancha o lamina preformada unitaria de cartón corrugado comprende una pared inferior, paredes laterales, y paredes de extremo inclinadas hacia adentro, lengüetas de apilamiento sobre el borde superior, pilar de refuerzo de esquina, un tercer panel plegable y panel de tapa.
US20010004088A1 (en) Portable and stackable leak-proof container formed from a blank of material
RU2016147978A (ru) Контейнер и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US20150239612A1 (en) Multilayer Container Structure
US20130161319A1 (en) Food Storage Container
USD834952S1 (en) Diagonal lid panel for an egg carton
RU2013102047A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KR20140028474A (ko) 종이 냄비
KR200479489Y1 (ko)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KR101621919B1 (ko) 밑면공간형 조립식상자
MX2009006132A (es) Recipientes plegables.
US20140217161A1 (en) Foldable sealing container apparatus
CN203889200U (zh) 一种折叠卡盒
US20170043907A1 (en) Compartmentalized Food Container Device
US1397269A (en) Knockdown refrigerating-box
KR200476323Y1 (ko) 피자 박스
KR101152148B1 (ko) 식품 포장 박스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CN204133113U (zh) 炖锅
CN203528988U (zh) 一种包装盒
US20170101228A1 (en) Food Storage Unit
RU137920U1 (ru) Тара разборная
KR101477620B1 (ko) 과일포장용 용기
RU194697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орта &#34;полено&#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