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148B1 - 식품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148B1
KR101152148B1 KR1020090053572A KR20090053572A KR101152148B1 KR 101152148 B1 KR101152148 B1 KR 101152148B1 KR 1020090053572 A KR1020090053572 A KR 1020090053572A KR 20090053572 A KR20090053572 A KR 20090053572A KR 101152148 B1 KR101152148 B1 KR 10115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rage space
folded
fix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106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
Priority to KR102009005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1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slot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3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 B65D5/364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the secured corners presenting diagonal, bissecting or similar folding lines, the central panel presenting no folding line
    • B65D5/367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the secured corners presenting diagonal, bissecting or similar folding lines, the central panel presenting no folding line the sides being connected to extensions of other sides by tongue-and-slot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평면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변으로부터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변에서 접혀 세워져 바닥판 상에 역 사각뿔대 형상으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 바닥판의 각 모서리부에서 인접하는 두 측면판의 측변을 연결하며, 측면판 사이에서 접히도록 형성되는 연결판; 측면판들 중 제1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 내부로 접혀 내부 공간 일부를 밀폐 공간으로 구획하고, 제1 측면판 일부와 함께 밀폐 공간 내부로 단을 이루도록 접혀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및 제1 측면판과 마주하는 제2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어 구획판에 의해 보조 수납 공간 일측에 구획된 주 수납 공간 상부를 여닫도록 접히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식품 포장 박스는 추가적인 간지의 사용 없이도 단일 시트 만으로도, 주 수납 공간 일측에서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주요 음식물과 함께 제공되는 보조 음식이 함께 포장되어 배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포장 박스, 음식물, 배달용, 수납 공간, 보조 수납 공간

Description

식품 포장 박스{PACKING BOX FOR DELIVERING FOOD}
본 발명은 식품 포장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요 음식물과 함께 배달되는 보조 음식물들을 담을 수 있도록 보조 수납 공간이 별도로 구획된 식품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식품 포장 박스는 피자나 통닭과 같은 음식물들은 주로 담아 판매 및 배달하도록 사용되는 포장용 박스를 모두 통칭한다.
한편, 피자나 통닭과 같이 배달되는 주용 음식물들은 무 물김치, 피클, 소스 및 음료수 등의 다양한 보조 음식물등과 판매 및 배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 식품 포장 박스는 피자나 통닭과 같은 주요 음식물 만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조 음식물들이나 보조 기구들은 판매자가 다른 수납 재료들을 이용해 담아 판매 및 배달하고 있다.
이처럼, 보조 음식물들이나 보조 기구들이 주요 음식물들과 분리되어 판매 및 배달되기 때문에, 판매자 및 배달자가 보조 음식물들이나 보조 기구들이 매번 챙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식품 포장 박스는 수납 공간 내부에 주요 음식물과 보조 음식물을 구분하여 담아 포장할 수 있도록 주 수납 공간과 보조 수납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식품 포장 박스의 경우 주 수납 공간과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별도의 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간지의 제작에 따른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식품 포장 박스의 경우 밀폐된 내부 수납 공간 내부에서 주 수납 공간과 함께 보조 수납 공간이 구획되기 때문에, 보조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는 보조 음식물들에 의해 주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주요 음식물을 오염 및 훼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간지의 사용 없이도 단일 시트지가 접혀 밀폐 가능한 주 수납 공간과, 그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 박스는, 사각 평면 형상을 갖는 바닥판;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변으로부터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변에서 접혀 세워져 바닥판 상에 역 사각뿔대 형상으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 바닥판의 각 모서리부에서 인접하는 두 측면판의 측변을 연결하며, 측면판 사이에서 접히도록 형성되는 연결판; 측면판들 중 제1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 내부로 접혀 내부 공간 일부를 밀폐 공간으로 구획하고, 제1 측면판 일부와 함께 밀폐 공간 내부로 단을 이루도록 접혀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및 제1 측면판과 마주하는 제2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어 구획판에 의해 보조 수납 공간 일측에 구획된 주 수납 공간 상부를 여닫도록 접히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획판은 제1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며, 제1 측면판으로부터 접혀 보조 수납 공간 상부를 덮는 상판부; 상판부의 제1 측면판 맞은편에 연장 형성되며, 상판부로부터 접혀 내부 수납 공간을 보조 수납 공간과 주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부; 및 상판부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판부를 접는 측면 고정판부를 포함하고, 보조 수납 공간은 제1 측면판 일부와 상판부 일부의 양측이 절개되어 받침판부가 바닥판과 기설정된 높이로 이격되며 단을 이루며 개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측면판에서 받침판부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돌출되게 측면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판부에서 받침판부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돌출되게 상면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판부는 음료 용기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음료 용기 수납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고정판부를 관통하며 제1 고정공이 형성되고, 제1 고정공에 삽입되어 측면 고정판부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측면 고정판부와 접하는 측면판의 상측에 제1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구획판부 양측에 제2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제2 고정 돌기가 끼워져 내부 구획판부가 접힌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내부 구획판의 측면과 접하는 측면판에 제2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판의 단부에 제3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제3 고정 돌기가 끼워져 덮개판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판부의 내부 구획판부 접힘선 상에 제3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판의 제3 고정 돌기 접힘선 상에서 접히도록 상기 덮개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손잡이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통공 일측에서 여닫히는 통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측면판의 상판부 접힘선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 박스는, 추가적인 간지의 사용 없이도 단일 시트지만을 이용해 밀폐 가능한 주 수납 공간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여, 재료비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 박스는 주요 음식물이 수납되는 주 수납 공간과 별도로 상부가 개방되게 보조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보조 음식물에 의한 주요 음식물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포장 박스는 주요 음식물이 수납되는 주 수납 공간과 별도로 상부가 개방되게 보조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주요 음식물 수납 후 간편하게 보조 음식물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조 음식물들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품 포장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식품 포장 박스(1)는 바닥판(10), 측면판(20), 연결판(50), 구획판(40), 및 덮개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형상 대략 역 사각뿔대 형상을 가지고 주 수납 공간과, 그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주 수납 공간은 피자, 통닭등과 같은 포장 상태로 판매 및 배달 가능한 주요 음식물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이고, 보조 수납 공간은 상기한 주요 음식물들과 함께 공급되는 무 물김치, 피클, 음료수 등이 담긴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도 3은 도 1의 식품 포장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식품 포장 박스(1)는 바닥판(10), 측면판(20), 연결판(50), 구획판(40) 및 덮개판(30)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판(10)은 4개의 변을 가지는 사각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측면판(20)은 바닥판(10)의 각 가장자리 변으로부터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판(20)은 바닥판(10)의 각 가장자리 변에서 접혀 세워져 바닥판 (10) 상측에 역 사각뿔대 형상으로 측면이 밀폐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연결판(50)은 바닥판(10)의 각 모서리부에서 인접하는 두 측면판(21, 22, 23, 24)의 측변을 연결하며, 각 측면판(21, 22, 23, 24)이 세워져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할 때 두 측면판(21, 22, 23, 24)들 사이에서 내부로 접히도록 형성된다.
구획판(40)은 측면판들(20) 중 제1 측면판(22)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 수납공간 내부로 접혀 내부 수납 공간 일부가 밀폐된 보조 수납 공간 영역(B) 구획하고, 상기 제1 측면판(22) 일부와 함께 보조 수납 공간 영역(B) 내부로 접혀 단을 이루며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구획판(40)은 상판부(41), 내부 구획판부(42), 측면 고정판부(43, 44) 및 받침판부(4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부(41)는 제1 측면판(22)에 연장 형성되는 보조 수납 공간 영역(B)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고정판부(43, 44)는 상판부(41)의 폭 방향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판부(41)의 양측에서 접혀 상판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판부(41)의 지지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측면 고정판부(43, 44)에 중심부에 각각 제1 고정공(43a, 44a)이 형성되고, 제1 고정공(43a, 44a)에 삽입되 어 측면 고정판부(43, 44)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제3 측면판(23) 및 제4 측면판(24)의 상측변에 제1 고정 돌기(23a, 24a)가 형성된다.
내부 구획판부(42)는 상판부(41)의 제1 측면판(22) 맞은편에서 제1 측면판(22)과 대칭되게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 구획판부(42)는 상판부(41)로부터 제3 측면판(23)과 제4 측면판(24) 사이에 접혀 세워져, 내부 수납 공간을 주 수납 공간 영역(A)과 보조 수납 공간 영역(B)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내부 구획판부(42) 양측에 제2 고정 돌기(42a)가 형성되고, 제2 고정 돌기(42a)가 끼워져 상기 내부 구획판부(42)가 접힌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내부 구획판의 측면과 접하는 제3 측면판(23) 및 제4 측면판(24)에 제2 고정공(23b. 24b)이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판부(41a)는 제1 측면판(22) 일부와 상판부(41) 일부가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양측이 절개되어, 바닥판(10)과 기설정된 높이로 이격되며 제3 측면판(23)과 제4 측면판(24) 사이에서 제1 측면판(22) 및 구획판(40)의 상판부(41) 및 내부 구획판부(42)에 의해 보조 수납 공간 영역에서 만들어진 밀폐 공간 내부로 단을 이루며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보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보조 음식물은 사각 박스 형상의 무 물김치 용기와 원통형의 캔 음료인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보조 수납 공간 일측에는 사각 박스 형상의 무 물김치 용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측면판(22)에서 받침판부(41a)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측면 고정 돌기(41b)가 형성되고, 상판부(41)에서 받침판부(41a)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상면 고정 돌기(41c)가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판부(41a)에는 캔 음료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음료 용기 수납 홈(41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식품 포장 박스(1)는 주요 음식물이 수납되는 주 수납 공간과 별도로 상부가 개방되게 보조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보조 음식물에 의한 주요 음식물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주요 음식물 수납후 간편하게 보조 음식물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조 음식물들의 수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판(30)은 제1 측면판(22)과 바닥판(1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2 측면판(21)에 연장 형성되며, 제2 측면판(21)으로부터 접혀 구획판(40)의 내부 구획판부(42)에 의해 보조 수납 공간 일측에 구획된 주 수납 공간의 상부를 여닫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덮개판(30)의 단부에 제3 고정 돌기(31)가 형성되고, 제3 고정 돌기(31)가 끼워져 덮개판(3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판부(41)로부터 상기 내부 구획판부(42)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제3 고정공(41f)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판(30)의 제3 고정 돌기(31) 접힘선 상에서 덮개판 일부가 절개되며 접힘 가능하게 손잡이 돌기(32)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 돌기(32)를 잡고 제3 고정공(41f)에 끼워져 닫혀 덮개판(30)의 제3 고정 돌기(31)를 빼내어 주 수납 공간을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 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판(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통공 일측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통문(33)이 형성된다.
여기서, 통공은 뜨거운 상태로 주요 음식물이 포장되는 경우 열기 및 수증기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요 음식물이 눅눅해지는 것을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측면판(21)의 상기 덮개판(30) 접힘선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 돌기(34)가 구비된다.
이 꺽임 돌기(34)는 덮개판(30)이 제2 측면판(21)으로부터 쉽게 접힐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덮개판(30)이 제2 측면판(21)으로부터 접혀 주 수납 공간의 상측을 개방시 일정 개방각 이상에서 열림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과 같이 단일 시트 형태로 재단된 식품 포장 박스를 접어 박스형상을 완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박스의 접힘 과정을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식품 포장 박스(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시트에서 접힘 가능하게 재단된 바닥판(10), 측면판(20), 연결판(50), 구획판(40), 및 덮개판(30)이 접히며 상기한 주 수납 공간 및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각 측면판들(21, 22, 23, 24)이 바닥판(10)으로부터 접혀 세워지며, 각 측면판들(21, 22, 23, 24) 사이의 측변들 연결하는 연결판들(50)은 이들 사이에 서 내부로 접히면서 측면판들(21, 22, 23, 24)과 함께 내부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외부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구획판(40)의 상판부(41), 측면 고정판부(43, 44), 내부 구획판부(42), 받침판부(41a)를 접어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한다.
즉, 제1 측면판(22)으로부터 상판부(41)와 함께 받침판부(41a)를 접고 넣고, 상판부(41)로부터 양측 측면 고정판부(43, 44)와 내부 구획판부(42)를 접혀 세워운다.
그리고, 측면 고정판부(43, 44)가 접어 세워진 상태로 제1 고정공(43a, 44a)에 제3 측면판(43) 및 제4 측면판(44)에 형성된 제1 고정 돌기(43a, 44a)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내부 구획판부(42)는 상판부(41)로부터 접혀 세워진 후, 내부 구획판부 양측 변부에 돌출 형성된 제2 고정 돌기(42a)가 제3 측면판(23) 및 제4 측면판(24)에 형성된 제2 고정공(23a, 24a)에 끼워져 고정한다.
그리고, 덮개판(30)은 제2 측면판(21)으로부터 접혀 구획판(40)의 내부 구획판부(42)에 의해 구획된 주 수납 공간 상측을 덮도록 하고, 덮개판(30)에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3 고정 돌기(31)를 구획판(40)의 상판부(41)의 내부 구획판부 접힘선 상에 형성된 제3 고정공(41f)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식품 포장 박스(1)는 추가적인 간지의 사용 없이도 단일 시트만으로 접어 밀폐 가능한 주 수납 공간 일측에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 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여, 재료비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 포장 박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 포장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포장 박스의 접힘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식품 포장 박스 10: 바닥판
20: 측면판 21: 제2 측면판
22: 제1 측면판 23: 제3 측면판
삭제
23a, 24a; 제1 고정 돌기 23b, 24b; 제2 고정공
24: 제4 측면판 30: 덮개판
31: 제3 고정 돌기 32: 손잡이 돌기
33: 통문 34: 꺽임 돌기
40: 구획판 41: 상판부
41a: 받침판부 41b: 측면 고정 돌기
41c: 상면 고정 돌기 41d: 음료 용기 수납 홈
41f: 제3 고정공 42: 내부 구획판부
42a: 제2 고정 돌기 43, 44: 측면 고정판부
43a, 44a: 제1 고정 돌기 50: 연결판

Claims (10)

  1. 사각 평면 형상을 갖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변으로부터 점차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각 가장자리 변에서 접혀 세워져 상기 바닥판 상에 역 사각뿔대 형상으로 내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의 각 모서리부에서 인접하는 상기 두 측면판의 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측면판 사이에서 접히도록 형성되는 연결판;
    상기 측면판들 중 제1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 내부로 접혀 상기 내부 공간 일부를 밀폐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측면판 일부와 함께 상기 밀폐 공간 내부로 단을 이루도록 접혀 상부가 개방된 보조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 및
    상기 제1 측면판과 마주하는 제2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에 의해 상기 보조 수납 공간 일측에 구획된 주 수납 공간 상부를 여닫도록 접히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식품 포장 박스.
  2. 제1항에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 측면판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판으로부터 접혀 상기 보조수납 공간 상부를 덮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상기 제1 측면판 맞은편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로부터 접혀 상기 내부 수납 공간을 상기 보조 수납 공간과 상기 주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 구획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폭 방향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를 접는 측면 고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수납 공간은,
    상기 제1 측면판 일부와 상기 상판부 일부의 양측이 절개되어 받침판부가 상기 바닥판과 기설정된 높이로 이격되며 단을 이루며 개방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측면판에서 상기 받침판부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돌출되게 측면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에서 상기 받침판부가 접히는 접힘선 상에 돌출되게 상면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4. 제2항에서,
    상기 받침판부는,
    음료 용기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음료 용기 수납 홈이 더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5. 제2항에서,
    상기 측면 고정판부를 관통하며 제1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 고정판부의 접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측면 고정판부와 접하는 상기 측면판의 상측에 제1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6. 제2항에서,
    상기 내부 구획판부 양측에 제2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가 끼워져 상기 내부 구획판부가 접힌 세워진 상태를 고정하도록 상기 내부 구획판의 측면과 접하는 상기 측면판에 제2 고정공이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7. 제2항에서,
    상기 덮개판의 단부에 제3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고정 돌기가 끼워져 상기 덮개판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판부의 상기 내부 구획판부 접힘선 상에 제3 고정공이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8. 제7항에서,
    상기 덮개판의 상기 제3 고정 돌기 접힘선 상에서 접히도록 상기 덮개판 일부가 절개되어 손잡이 돌기가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9. 제2항에서,
    상기 상판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통공 일측에서 여닫히는 통문이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10. 제2항에서,
    상기 제2 측면판의 상기 상판부 접힘선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꺽임 돌기가 형성되는 식품 포장 박스.
KR1020090053572A 2009-06-16 2009-06-16 식품 포장 박스 KR10115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72A KR101152148B1 (ko) 2009-06-16 2009-06-16 식품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72A KR101152148B1 (ko) 2009-06-16 2009-06-16 식품 포장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06A KR20100135106A (ko) 2010-12-24
KR101152148B1 true KR101152148B1 (ko) 2012-06-15

Family

ID=4350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72A KR101152148B1 (ko) 2009-06-16 2009-06-16 식품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28Y1 (ko) * 2012-02-01 2014-05-30 교촌 에프 앤 비(주)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CN111792147A (zh) * 2019-04-08 2020-10-20 北方工业大学 一种基于可持续的牛奶包装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826A (ja) * 1994-03-09 1995-10-03 Sigma Shigyo Kk センター仕切り付き容器
JPH10297622A (ja) 1997-04-25 1998-11-10 Honma Shiki Seisakusho:Kk 食品用保温ケース
KR19990026161A (ko) * 1997-09-23 1999-04-15 류 유안-신 일체형의 칸막이와 덮개를 구비한 종이 컨테이너
KR20070022377A (ko) * 2007-02-06 2007-02-26 (주)은성페이퍼 보조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1826A (ja) * 1994-03-09 1995-10-03 Sigma Shigyo Kk センター仕切り付き容器
JPH10297622A (ja) 1997-04-25 1998-11-10 Honma Shiki Seisakusho:Kk 食品用保温ケース
KR19990026161A (ko) * 1997-09-23 1999-04-15 류 유안-신 일체형의 칸막이와 덮개를 구비한 종이 컨테이너
KR20070022377A (ko) * 2007-02-06 2007-02-26 (주)은성페이퍼 보조 수납공간을 갖는 포장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106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97637U (zh) 包裝盒
ES2815801T3 (es) Caja de embalaje para armar y caja de embalaje
AU2006294068B2 (en) Container
KR101152148B1 (ko) 식품 포장 박스
KR101029739B1 (ko) 음식물 배달용 포장 박스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200453733Y1 (ko)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JP2010215286A (ja) 包装箱
JP7176452B2 (ja) 包装箱
KR20080005089U (ko) 칸막이판이 구비된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KR101394633B1 (ko) 삼단 포장 상자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EP3611105B1 (en) Packaging box
CN105600063A (zh) 用于可灌注食物产品的容器的包装
JP3201728U (ja) 保冷剤収容部付包装箱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JP3115135U (ja) 梱包用収納箱
JP3167921U (ja) 折り畳み式密閉容器
JP7437155B2 (ja) 食品包装容器
KR200404761Y1 (ko) 선물용 병 포장상자
KR200364734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KR20080006509U (ko) 간지 일체형 포장상자
KR200470594Y1 (ko) 레토르트 파우치의 포장용 박스
KR200278816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JPH0789527A (ja) 紙製断熱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