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928Y1 -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928Y1
KR200472928Y1 KR2020120000782U KR20120000782U KR200472928Y1 KR 200472928 Y1 KR200472928 Y1 KR 200472928Y1 KR 2020120000782 U KR2020120000782 U KR 2020120000782U KR 20120000782 U KR20120000782 U KR 20120000782U KR 200472928 Y1 KR200472928 Y1 KR 200472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side plate
bottom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817U (ko
Inventor
장수남
최상길
서광원
Original Assignee
교촌 에프 앤 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촌 에프 앤 비(주) filed Critical 교촌 에프 앤 비(주)
Priority to KR2020120000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92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8Contents-dispensing means for drawer-and-shell-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주수납실과 이로부터 확장되는 부수납실이 함께 마련되는 식품 용기가 제공된다. 식품 용기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가진다. 제1 용기는 제1 바닥판과 제1 바닥판에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1 측판을 구비하며, 제1 바닥판 및 복수개의 제1 측판에 의해 주수납실이 형성된다. 제2 용기는 제1 용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1 용기의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된다. 제2 용기가 제1 용기로부터 인출되면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과 제2 용기의 사이에 부수납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FOOD CONTAINER FOR INSTANT FOOD}
본 고안은 즉석식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류, 볶음류, 말이류 등의 즉석식 식품이 널리 취식되고 있다. 취식자는 이러한 즉석식 식품을 이를 조리하는 업소에서 직접 구매하거나 혹은 배달을 통해 구매한다. 즉석식 식품은 일반적으로 종이로 만들어진 하나의 상자형 용기에 담아져 취식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상자형 용기의 일예로서, 하기 특허문헌1은 닭고기튀김용의 포장박스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4460호
즉석식 식품은 대체로 하나의 용기에 담아져서 취식자에게 제공된다. 즉석식 식품 중에는 취식 도중 취식이 어려운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발생시키는 식품이 있다. 예컨대, 닭고기튀김과 같은 즉석식 식품의 취식 시에는, 닭 뼈 등의 취식후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한다. 취식자는 취식 도중 발생하는 이러한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용기 내의 한 곳에 모으면서 취식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닭 뼈 등의 잔여물이 미취식의 식품과 한 공간에 놓이게 되어 위생적이지 않다. 한편, 취식자는 닭 뼈 등의 잔여물을 별도로 담아두기 위해 취식 시에 별도의 용기를 준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는 것은 취식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의 수납실이 한 개의 식품 용기에 마련되어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가 조리된 식품과 분리되어 별개의 수납실에 수납되게 하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수납하는 별개의 수납실의 용적이 가변하고 이러한 수납실을 형성하는 부분이 제거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하면, 주수납실과 이로부터 확장되는 부수납실이 함께 마련되는 식품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식품 용기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를 포함한다. 제1 용기는 제1 바닥판과 제1 바닥판에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1 측판을 구비한다. 제1 용기는 제1 바닥판 및 복수개의 제1 측판에 의해 형성되는 주수납실을 가진다. 제2 용기는 제1 용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1 용기의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된다. 제2 용기가 제1 용기로부터 인출되면 제1 측판 중 하나와 제2 용기의 사이에 부수납실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용기는 제1 바닥판 아래에 놓이는 제2 바닥판과 제2 바닥판에서 연장하고 제1 측판의 외측에 놓이는 제2 측판을 가진다.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과, 제2 바닥판과 제2 측판이 부수납실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기는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 인접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측판 중 다른 측판에 형성되고 제2 용기의 인입 및 인출 방향에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한다. 제2 용기는 제2 측판에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통해 주수납실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플랩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식품 용기는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서 연장되고 주수납실을 덮도록 형성된 뚜껑, 또는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1 용기 및 제2 용기의 상단에 착탈가능한 뚜껑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용기는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 또는 양변이 볼록한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실시예에 따르는 식품 용기는, 주수납실과 주수납실로부터 확장되고 주수납실과 구획되는 부수납실을 가진다. 따라서, 주수납실에 수납되는 식품에서 발생하는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가 주수납실의 식품과 구분되어 부수납실에 수납될 수 있다.
또, 식품 용기에 마련된 부수납실은 제1 용기에 대한 제2 용기의 상대적인 슬라이드에 의해 그 용적이 가변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용기는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부수납실에 담긴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는 제2 용기와 함께 용이하게 취급 또는 처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품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2 용기가 제1 용기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제2 용기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뚜껑을 구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뚜껑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삽입플랩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12는 삽입플랩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식품 용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좌", "우"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제2 용기가 제1 용기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상기 좌 및 우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식품 용기는 달리 놓을 수도 있으며(예컨대, 90도로 회전되거나 또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즉석식 식품을 수납한다. 상기 즉석식 식품은 닭고기튀김과 같은 튀김류의 식품, 김밥과 같은 말이류의 식품, 또는 볶음류의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즉석식 식품의 예 이외에,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는 다양한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용기와 제1 용기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고 이로부터 분리가능한 제2 용기를 가진다.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용기의 측판 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제1 용기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는 주수납실을 가지며, 조리된 즉석식 식품은 주수납실에 수납된다.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인출되면, 이들 사이에 부수납실이 형성된다. 상기 즉석식 식품의 취식 후 발생하는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부수납실에 수납된다.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는, 상기 제2 용기는 제1 용기의 바닥판의 아래 및 측판의 외측에 끼워져 있다. 또,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에서는 상기 제2 용기의 인출범위를 규정하는 요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소는 또한 상기 제2 용기의 제1 용기의 이동에 대한 안내역할도 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상기 제1 용기에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제2 용기에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삽입플랩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용기의 측판에서 측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용기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용기의 측판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플랩은 상기 제1 용기의 슬롯이 형성되는 측판에 대응하는 제2 용기의 측판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플랩은 상기 슬롯의 수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에 대하여 인출 및 인입되므로, 상기 부수납실의 용적은 가변한다. 또,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되므로, 부수납실에 수납된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는 제2 용기에 담긴 채로 처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용기 및 제2 용기는 종이 재료, 플라스틱 재료, 목재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제1 용기 및 제2 용기는 상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재를 접어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판재는 수납되는 식품에 적합한 코팅층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 따른 식품 용기(100)를 설명한다. 식품 용기(100)는 제1 용기(110)와 제2 용기(120)를 가진다.
제1 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110)는 제1 바닥판(111)과 제1 바닥판(111)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1 측판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1 측판은 전측판(112)과, 후측판(113)과, 좌측판(114)과 우측판(115)을 포함한다. 제1 용기(110)는 제1 바닥판(111)과 복수개의 제1 측판(전측판(112), 후측판(113), 좌측판(114), 우측판(115))에 의해 형성되는 주수납실(110a)을 가진다.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110)의 측판 중 하나(이 실시예서는 우측판(115))에 대하여 인출 및 인입한다.
전측판(112) 및 후측판(113)은 제1 바닥판(111)의 전방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서 제1 바닥판(1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좌측판(114) 및 우측판(115)은 제1 바닥판(111)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서 제1 바닥판(11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14)은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접착플랩(114a, 114b)을 구비하고, 우측판(115)은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및 제4 접착플랩(115a, 115b)을 구비한다. 제1 내지 제4 접착플랩(114a, 114b, 115a, 115b)은 접착제 등에 의해 전측판(112) 및 후측판(113)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접착된다. 제1 접착플랩(114a)은 좌측판(114)을 전측판(112)의 좌측과 연결하고, 제2 접착플랩(114b)은 좌측판(114)을 후측판(113)의 좌측과 연결한다. 제3 접착플랩(115a)은 우측판(115)을 전측판(112)의 우측과 연결하고, 제4 접착플랩(115b)은 우측판(115)을 후측판(113)의 우측과 연결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접착플랩은 전측판(112) 및 후측판(113)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식품 용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용기(120)의 인출범위를 규정하는 요소를 가진다. 상기 요소의 슬롯으로서, 제1 용기(110)는 우측판(115)에 인접하고 서로 마주하는 전측판(112)과 후측판(113)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슬롯은 전측판(112)의 상단 부근에서 제1 바닥판(111)에 대해 평행하고 전측판(112)의 좌우방향(제2 용기(12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에서 연장하는 제1 가이드슬롯(112a)과 전측판(112)의 하단 부근에서 제1 가이드슬롯(112a)에 대해 평행한 제2 가이드슬롯(112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2a, 112b)은 칼과 같은 커팅도구에 의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2a, 112b)의 길이는 동일하다. 또한, 가이드슬롯은 후측판(113)의 상하측에 형성된 제3 및 제4 가이드슬롯(113a, 113b)을 포함한다. 후측판(113)에 형성된 제3 및 제4 가이드슬롯(113a, 113b)은 전측판(1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2a, 112b)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슬롯의 우측단이 제2 용기(120)의 제1 용기(110)에 대한 인출범위를 규정한다.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110)에 수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확장공간(즉, 부수납실(120a))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110)에 제1 용기(110)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110)의 우측판(115)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된다. 제2 용기(120)가 제1 용기(110)로부터 인출되면, 제1 용기(110)의 우측판(115)과 제2 용기(120) 사이에 부수납실(120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부수납실(120a)은 제1 용기(110)의 우측판(115)과, 제2 용기(120)의 전측판(122)과, 후측판(123)과 우측판(124)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용기(120)는 상부 및 좌측(또는 우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또,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110)의 횡단면 형상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용기(120)는 제2 바닥판(121)과 제2 바닥판(121)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2 측판을 포함한다. 제2 바닥판(121)은 제1 바닥판(111)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제1 바닥판(111)과 그 일부 또는 전체가 포개어지고, 제2 측판은 제1 측판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측판과 그 일부 또는 전체가 포개어진다. 제2 측판은 전측판(122)과, 후측판(123)과 우측판(124)을 포함한다. 전측판(122) 및 후측판(123)은 제2 바닥판(121)의 전방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서 제2 바닥판(12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우측판(124)은 제2 바닥판(121)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제2 바닥판(12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판(122)은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접착플랩(122a)을 구비하고, 후측판(123)은 우측으로 연장하는 제2 접착플랩(123a)을 구비한다. 제1 접착플랩(122a)은 전측판(122)과 우측판(124)을 연결하고, 제2 접착플랩(123a)은 후측판(123)과 우측판(124)을 연결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플랩(122a, 123a)은 우측판(124)의 전방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기(120)는 전측판(122) 및 후측판(123)의 좌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부(125, 12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부(125, 126)는 제2 용기(120)의 제1 용기(11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 제1 및 제2 가이드부(125, 126)는 전술한 가이드슬롯(112a, 112b, 113a, 113b)과 협력하여 제2 용기(120)의 제1 용기(110)에 대한 인출범위를 규정할 뿐만 아니라, 제2 용기(120)가 제1 용기(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제2 용기(120)를 제1 용기(120)에 대하여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1 가이드부(125)는, 전술한 삽입플랩의 예로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삽입플랩(125a)과 제2 삽입플랩(125b)을 가진다. 제1 삽입플랩(125a)과 제2 삽입플랩(125b)은 전측판(12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하는 연장부(125c)에서 연장한다. 제1 삽입플랩(125a)은 제1 용기(110)의 제1 가이드슬롯(112a)을 통해 제1 용기(110)의 내측(주수납실(110a))으로 연장한다. 제2 삽입플랩(125b)은 제1 용기(110)의 제2 가이드슬롯(112b)을 관통하여 제1 용기(110)의 주수납실(110a)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은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과 연장부(125c)와의 사이에는 접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힘선은 점선 또는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을 상기 접힘선을 따라 내측으로 약간 회동시켜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2a, 112b)에 삽입한 후,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을 다시 복귀시키면,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이 각기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2a, 112b)을 통해 주수납실(110a) 내에 위치한다. 반대로,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을 상기 접힘선을 따라 내측으로 회동시켜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112a, 112b)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제2 용기(120)가 제1 용기(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후측판(123)에 형성된 제2 가이드부(126)(제1 가이드슬롯(126a)과, 제2 가이드슬롯(126b)과 연장부(126c)를 포함)는 전측판(122)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125)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용기는 우측판(124) 대신에 좌측판을 가지고 제1 용기(110)의 좌측에서 제1 용기(110)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용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 용기(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 용기(120)와는 좌우로 상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용기(120)의 높이는 제1 용기(110)의 높이 보다 약간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제2 용기(120)의 우측판(124) 상단에 취식자가 잡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용기(120)의 상단 가장자리 또는 돌출부를 잡은 상태에서 제1 용기(110)를 제2 용기(120)에 대해 슬라이드시키거나 제2 용기(120)를 제1 용기(110)에 대해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품 용기(100)의 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용기(100)가 확장된 상태에서, 제1 용기(110)의 우측판(115)은 제1 용기(110)의 주수납실(110a)과 제2 용기(120)의 인출에 의해 형성되는 부수납실(120a)을 분리시키는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제1 용기(110)에 수납된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가 제2 용기(120)의 부수납실(120a)에 보관 또는 수용되면, 그러한 잔여물 또는 음식물쓰레기는 제1 용기(110)에 수납되는 미취식의 식품과 접촉되지 않는다.
식품 용기(100)는 보관 또는 수납되는 식품을 덮기 위한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이러한 뚜껑을 갖춘 식품 용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뚜껑(131, 132)은 제2 용기(120)가 확장되지 않은 상태(즉, 도 1의 상태)에서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의 상측 개구부(즉, 주수납실)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1)은 제1 용기(110)의 상측을 덮도록 제1 용기(110)의 좌측판(11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2)은 제1 용기(110) 및 제2 용기(120)에 착탈가능하도록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131, 132)은 돔형, 피라미드형, 반원통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기(110)는 직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제2 용기(120)는 제1 용기의 바닥의 하측과 측판의 외측에 포개지도록 형성되고 직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설명되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용기(210, 220)는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용기(310, 320)는 양변이 볼록한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a, 125b, 126a, 126b)은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삽입플랩의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5c, 226c)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삽입플랩(225a, 225b, 226a, 226b)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플랩의 또 다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5c, 326c)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삽입플랩(325a, 325b, 326a, 326b)은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삽입플랩(225a, 225b, 226a, 226b, 325a, 325b, 326a, 326b)이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 삽입플랩(125)이 가이드슬롯(112a, 112b, 113a, 113b)의 우측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2 용기(120)를 제1 용기(110)로부터 더욱 인출시키면, 제1 및 제2 삽입플랩(225a, 225b, 226a, 226b, 325a, 325b, 326a, 326b)은 그 사면 또는 원호형 사면에 의해 주수납실(110a)로 원만하게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기(120)가 제1 용기(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플랩(125a, 125b, 126a, 126b)은 연장부(125c, 126c)로부터 상하로 연장되어 제2 용기(120)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맞추어 가이드슬롯(112a, 112b, 113a, 113b)로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기(110)의 전측판(112) 및 후측판(113)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은 한 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가이드슬롯을 통해 주수납실(110a)로 연장하는 삽입플랩은 제2 용기(120a)의 전측판(122) 및 후측판(123)에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식품 용기
110: 제1 용기
112a, 112b: 제1 및 제2 가이드슬롯
113a, 113b: 제3 및 제4 가이드슬롯
120: 제2 용기
125, 126: 제1 및 제2 가이드부
125a, 125b, 126a, 126b: 제1 및 제2 삽입플랩
131, 132: 뚜껑

Claims (7)

  1. 제1 바닥판과 상기 제1 바닥판에서 연장하는 복수개의 제1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닥판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측판에 의해 형성되는 주수납실을 가지는 제1 용기와,
    상기 제1 용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 용기의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과 상기 제2 용기의 사이에 부수납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바닥판 아래에 놓이는 제2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에서 연장하고 상기 제1 측판의 외측에 놓이는 제2 측판을 가지고,
    상기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과, 상기 제2 바닥판과 상기 제2 측판이 상기 부수납실을 형성하는,
    식품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 인접하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측판 중 다른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용기의 인입 및 인출 방향에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슬롯을 통해 상기 주수납실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삽입플랩을 구비하는
    식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측판 중 하나의 측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주수납실을 덮도록 형성된 뚜껑을 더 포함하는 식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가 상기 제1 용기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의 상단에 착탈가능한 뚜껑을 더 포함하는 식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식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용기는 양변이 볼록한 사다리꼴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식품 용기.
KR2020120000782U 2012-02-01 2012-02-01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KR200472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82U KR200472928Y1 (ko) 2012-02-01 2012-02-01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782U KR200472928Y1 (ko) 2012-02-01 2012-02-01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7U KR20130004817U (ko) 2013-08-09
KR200472928Y1 true KR200472928Y1 (ko) 2014-05-30

Family

ID=5149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782U KR200472928Y1 (ko) 2012-02-01 2012-02-01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2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52Y1 (ko) * 2006-12-15 2008-05-2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소형상품 포장 박스
WO2010037529A1 (en) 2008-09-30 2010-04-08 Philip Morris Products S.A. Dual compartment slide and shell container
KR20100006325U (ko) * 2008-12-12 2010-06-22 (주)창조프린팩 포장용 용기
KR20100135106A (ko) * 2009-06-16 2010-12-24 주식회사 대흥 식품 포장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52Y1 (ko) * 2006-12-15 2008-05-2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소형상품 포장 박스
WO2010037529A1 (en) 2008-09-30 2010-04-08 Philip Morris Products S.A. Dual compartment slide and shell container
KR20100006325U (ko) * 2008-12-12 2010-06-22 (주)창조프린팩 포장용 용기
KR20100135106A (ko) * 2009-06-16 2010-12-24 주식회사 대흥 식품 포장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7U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0739A1 (en) Package containing a first compartment for storing unused disposable cleaning products and a second compartment for storing used disposable cleaning products
JP2009529465A (ja) 大容量ディスペンサー容器
US2788827A (en) Flatware case
US10533752B2 (en) Fluid supply for a household appliance and household appliance
US8939320B2 (en) Wipes dispenser and disposal
KR20100044894A (ko) 끽연 물품용 팩 및 상자
CN101822455A (zh) 智能饭盒
US20140242230A1 (en) Incremental eating tool
AU2009100873A4 (en) Serving and storage container
KR200472928Y1 (ko) 즉석식 식품용 식품 용기
KR20150121282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1625171B1 (ko) 닭뼈 수거가 용이한 치킨 포장상자용 다용도 뚜껑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CN210018849U (zh) 一种床底折叠收纳盒
KR102347521B1 (ko) 이중수납구조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KR20140005944U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반
KR101841779B1 (ko) 포장용기
JP3241274U (ja) 包装箱
KR20110005588U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RU205484U1 (ru) Чехол для пачки сигарет
KR100833324B1 (ko) 음식물용기뚜껑
JP3131137U (ja) 省スペース型ティッシュペーパーケース
JP2005226967A (ja) 冷蔵庫
KR200385281Y1 (ko) 애완동물용 패드 인출장치
JP2004189306A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