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588U - 음식물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음식물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588U
KR20110005588U KR2020090015491U KR20090015491U KR20110005588U KR 20110005588 U KR20110005588 U KR 20110005588U KR 2020090015491 U KR2020090015491 U KR 2020090015491U KR 20090015491 U KR20090015491 U KR 20090015491U KR 20110005588 U KR20110005588 U KR 201100055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od
packaging
food packa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성
Original Assignee
강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성 filed Critical 강윤성
Priority to KR2020090015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588U/ko
Publication of KR20110005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5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치킨, 조리식품 등) 전문점에서 만드는 음식물을 포장할 수 있는 상자를 적재하였을 때 찢어짐이나 상자모양의 변형 없이 다수 개를 적재할 수 있고, 음식물의 안전한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음식물의 쏟아짐 없이 안전하고 양호한 포장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특히 음식물중 치킨과 같은 먹고 남는 뼈다귀는 상자의 덮개부에 넣어 안전한 분리수거를 이루게 하여 위생적이고 양호한 포장상태를 이루면서, 뼈다귀의 수거를 위생적인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음식물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음식물포장상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밑판(10)과 상기 밑판(10)을 덮는 상판(20), 상기 밑판(10)과 상판(20)을 연결하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접힘부(30), 상기 접힘부(30)를 따라 접혀져 조립된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를 포함하는 음식물포장상자(100)에 있어서, 상기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는 4방으로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가 세워져 상면상자(50)의 4방이 밑면상자(40)의 4방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밑면상자(40)의 외곽부가 상면상자(50)의 외곽부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를 일체로 연결하여 개폐 가능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장상자, 음식포장, 접힘부, 상판, 밑판, 밑면상자, 상면상자

Description

음식물 포장용 상자{BOX FOR WRAPPING A COOK}
본 고안은 음식물(치킨, 조리식품 등) 포장상자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포장을 위한 포장상자의 취급 및 보관을 편리하고 안정성 있도록 하고 넓은 공간에서 안전하고 양호한 음식물 포장을 이루면서 음식물 분류중 하나인 치킨과 같이 먹고 남은 잔여물의 뼈를 편리하게 수거하여 안전하게 버릴 수 있음과 동시에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수납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치킨) 포장용 상자는 바닥판을 중심으로 전후면판 및 측면판을 접어서 4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판으로 상기 4각의 공간을 덮는 사각상자이다.
이러한 상자는 4각의 공간을 형성하는 전후면 및 측면판의 접어진 상태가 연약하여 4각의 공간확보를 잘 이룰 수 없어 포장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점에서 보관시에 판상으로 넓게 펴서 필요시 접어 포장하기 때문에 포장시간이 길어져 이용에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포장할 때 미리 제작된 종이상자를 적재해 놓고 사용하지만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므로서 다수개의 종이상자를 적재할 경우 상자형상이 변형되거나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접어논 포장상자가 마련될 경우에는 불필용한 공간만 차지하여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아니라 어지럽게 놓여지게 되므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포장상자의 덮개에는 단순하게 덮는 수단이 적용되고 있어서 치킨을 먹을 때에 별도의 뼈수거용 용기 등이 필요로 하고 수거된 뼈을 별도로 분리하여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치킨, 조리식품 등)을 수용하는 밑판과 치킨을 덮는 상판에 소정의 접힘라인과 밑판과 상판이 일정모양의 측면부를 갖도록 접힙라인을 따라 접어서 장측면부와 단측면부를 구비하여 상면상자와 밑면상자를 조립하고 상기 밑면상자의 개방부가 상면상자의 개방부 안으로 삽입되어 내부가 차단된 상태로 걸림편으로 고정시켜 접이형손잡이를 잡고 이동시에 포장된 치킨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음식물 중 치킨과 같이 뼈를 포함하는 식품을 먹으면서 생성되는 뼈는 개방된 상면상자의 수용부에 넣을 수 있어 위생적인분리와 폐기가 가능한 음식물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밑판과, 상기 밑판을 덮는 상판, 상기 밑판과 상판을 연결하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접힘부, 상기 접힘부를 따라 접혀져 조립된 밑면상자와 상면상자를 포함하는 음식물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밑면상자와 상면상자는 4방으로 장측면부와 단측면부가 세워져 상면상자의 4방이 밑면상자의 4방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밑면상자의 외곽부가 상면상자의 외곽부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밑면상자와 상면상자를 일체로 연결하여 개폐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밑면상자의 개방부가 상면상자의 개방부 내로 삽입되어 치킨을 포장화는 밑면상자의 수용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위생포장을 이룰 수 있고 개방된 상면상자의 수용부에 치킨과 같은 음식물 중 뼈의 잔여물이 있을 경우 뼈를 수거하여 별도의 용기가 필요없이 치킨을 먹고 뼈를 분리 수거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간편한 치킨포장 및 치킨쓰레기를 분리수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밑면상자와 상면상자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세워져 있기 때문에 여러 개를 적재하여도 상자가 찢어지거나 상자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많은 량을 그대로 적재보관을 이루게 되어 경제적이고 편리한 음식물포장상자의 취급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음식물 포장 상자에 따른 실 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포장용 상자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치킨)을 수용할 수 있는 밑판(10)과 음식물(치킨)을 덮을 수 있는 상판(20)으로 이루어진 판지 표면에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로 구분되도록 중앙부에 접힘부(30)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20)과 밑판(10)의 내부가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을 접힘라인을 기초로 세워놓고 상기 단측면부(44)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편(46a)(46b)을 장측면부(42)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어느 한 면에 부착하여 일측 개방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상자(50)의 상면은 접이형 손잡이(60)가 형성되어 음식물포장상자(10)의 간편한 휴대를 이루게 되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포장상자의 조립형상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와 같이 조립되는데, 먼저 상판(20)과 밑판(10)이 일정모양의 측면부를 갖도록 접힙라인을 따라 접어서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측면부(44)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편(46a)(46b)을 접어 장측면부(42)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 상기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가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부착하면 상판(20)과 밑판(10)은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에 의해 테두리면을 갖추면서 상면상자(50)와 밑면상자(40)가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면상자(50)와 밑면상자(40)의 개구부는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가 직사각형상이 아니 사다리꼴형상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이는 상기 상면상자(50)나 밑면상자(40)가 사다리꼴형상으로 세워져 있기 때문에 여러개를 적재하여도 상자가 찢어지거나 상자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많은 량을 그대로 적재보관을 이루게 된다.
도 2와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포장용 상자의 동작과 완성된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되어 완성된 본체는 상면상자(50)와 밑면상자(40)가 일정 깊이를 갖고 있어서 음식물(치킨) 포장시에는 밑면상자(40)의 수용공간에 치킨을 수용하고 접힘부(30)를 통하여 상면상자(50)를 덮으면 밑면상자(40)의 개방부가 상면상자(50)의 개방부 내로 삽입되므로 외부와 차단상태를 이루게 되어 위생적인 포장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상기 상면상자(50)의 개방부가 밑면상자(40)의 개방부를 안으로 삽입시켜 음식물포장상자(100)를 형성하면 사용자들이 약간의 충격으로도 상자가 쉽게 열리지 않아 안정된 포장상태를 이루게 하고, 상기 접이형손잡이(60)만을 파지하고 이동하였을 땐 더욱더 음식물 포장상태를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여 음식물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보관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차단상태로 되는 밑면상자(40)의 전면부의 삽입홈(48)에 2단 접힘이 가능하도록 상면상자(50)의 전면에 일출 형성된 걸림편(52)을 결합하여 주면 안전 하고 양호한 조립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음식물포장용 상자 상면에 형성된 접이형손잡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포장상자(100)의 휴대가 간편하고 안전하도록 상면상자(50)의 상면에 접이형손잡이(60)를 마련하여 필요 시 인출하여 날개를 모아 접기만 하면 간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치킨포장상자(10)의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포장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포장상자의 조립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음식물 포장상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밑면상자와 상면상자가 조립되어 완성된 음식물 포장상자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이 설명--
10; 밑면판 20; 상면판
30; 절곡라인 40; 상면상자
50; 밑면상자

Claims (3)

  1. 음식물을 수용하는 밑판(10)과 상기 밑판(10)을 덮는 상판(20), 상기 밑판(10)과 상판(20)을 연결하고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접힘부(30), 상기 접힘부(30)를 따라 접혀져 조립된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를 포함하는 음식물포장상자(100)에 있어서,
    상기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는 4방으로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가 세워져 상면상자(50)의 4방이 밑면상자(40)의 4방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밑면상자(40)의 외곽부가 상면상자(50)의 외곽부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를 일체로 연결하여 개폐 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상자(40)와 상면상자(50)에 형성된 장측면부(42)와 단측면부(44)는 경사지게 세워져 일측 개방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포장용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상자(50)의 상면은 접이형 손잡이(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포장용 상자.
KR2020090015491U 2009-11-30 2009-11-30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201100055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491U KR20110005588U (ko) 2009-11-30 2009-11-30 음식물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491U KR20110005588U (ko) 2009-11-30 2009-11-30 음식물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588U true KR20110005588U (ko) 2011-06-08

Family

ID=4929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491U KR20110005588U (ko) 2009-11-30 2009-11-30 음식물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5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87B1 (ko) * 2019-05-14 2019-10-21 김선일 상자접기 판재부를 구비한 치킨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987B1 (ko) * 2019-05-14 2019-10-21 김선일 상자접기 판재부를 구비한 치킨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93078B2 (ja) 不織布製の衛生ふきんのシート収納容器
US20090321503A1 (en) Foldable Container for Picnics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AU2009100873B4 (en) Serving and storage container
KR102096996B1 (ko) 소형 상자로 재가공이 가능한 피자상자
KR20110005588U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JPS5916254Y2 (ja) 手提げ用組立包装箱
KR101625171B1 (ko) 닭뼈 수거가 용이한 치킨 포장상자용 다용도 뚜껑
KR100895643B1 (ko) 락수단을 갖는 치킨박스
WO2015023207A1 (ru) Упаковка
KR101005941B1 (ko) 식품용 포장박스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KR200240157Y1 (ko) 찬합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KR101133720B1 (ko) 이중 고정 구조의 포장용 박스
JP3229021U (ja) 弁当箱
US20230143316A1 (en) Waste container
CN216364013U (zh) 一种模块化可自由组合的智能餐盒
KR20230001211U (ko) 식품용기
KR200438062Y1 (ko) 잠금날개가 벌어지지 않게 용기에 고정되는 다단 적층 용기
WO2009020411A1 (en) Container for carrying a take-away meal
KR20200079222A (ko) 접시모듈이 구비된 치킨 박스
JPS607296Y2 (ja) 食事用外装箱
JP2533043Y2 (ja) 提手付紙箱
TWM509204U (zh) 包裝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