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34B1 -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34B1
KR102104834B1 KR1020190111179A KR20190111179A KR102104834B1 KR 102104834 B1 KR102104834 B1 KR 102104834B1 KR 1020190111179 A KR1020190111179 A KR 1020190111179A KR 20190111179 A KR20190111179 A KR 20190111179A KR 102104834 B1 KR102104834 B1 KR 10210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rotrusion
guide
packaging contai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태
정연덕
Original Assignee
김지태
정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정연덕 filed Critical 김지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상하 적층의 용이함이 확보되고,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와 덮개로 구분되던 기존과 달리 해당 용기와 덮개를 동일한 구조로 제안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따른 취급이 극히 용이하며, 새로운 개념의 파지수단과 함께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하므로 포장 등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을 적극 유도할 뿐 아니라 결속구조의 내구성 강화 및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One-touch binding type strawberry packaging container with inter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딸기를 포장하는 용기에 관한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상하 적층의 용이함이 확보되고,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와 덮개로 구분되던 기존과 달리 해당 용기와 덮개를 동일한 구조로 제안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따른 취급이 극히 용이하며, 새로운 개념의 파지수단과 함께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하므로 포장 등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을 적극 유도할 뿐 아니라 결속구조의 내구성 강화 및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재배된 딸기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되며, 외형이 무르고 약한 딸기의 특성상 복잡한 유통과정이나 취급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등의 딸기 재배농가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중에 딸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포장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즉 딸기의 포장은 사과나 귤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용량의 상자형태로 포장할 경우 딸기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적재된 딸기가 손상되는 원인이 되므로 소량단위로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량단위의 포장이지만 보관이나 유통 과정 중에 상하 적재시켜도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등의 포장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량 단위로 포장이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와 덮개를 한조로 하여 딸기를 포장하고, 용기와 덮개가 포개진 상태에서 이음부위 및 적층부위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포장하였다.
하지만, 접착테이프를 휴대하면서 수작업으로 붙이고 자르는 과정으로 인해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접착테이프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찢어지거나 높은 온도에 의하여 접착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745호 (발명의 명칭: 딸기 포장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포장용기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테이핑 작업 없이 견고한 고정 상태로 적층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와 덮개의 결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딸기를 수납하는 용기와, 용기를 밀폐하는 덮개가 서로 다른 결속구조로 인해 독립적으로 구분되어져 있음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용기와 덮개의 구분으로 인해 보관과 포장에 따른 취급이 어려운 문제를 초래한다.
더구나 용기와 덮개의 결속부위가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해 포장이 어렵고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취약하여 결속부위가 파손되거나 결속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745호 (발명의 명칭: 딸기 포장용기)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회전식 맞물림 구조와 함께 원터치로 신속 간편한 포장, 그리고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취급과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는 딸기의 수납 내지 보관을 목적으로 한 함체 형상의 몸통(10) 저부와 상단으로 각각 다단 적층 배열 시 서로 이웃하는 타 몸통과 회전조작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속되게 하는 적층수단(30) 및 자체 보유한 휨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면서 사용자의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수단(7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는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파지수단(70)은 손잡이 상에서 외측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로 분기되는 분기블록(70-1); 분기블록 끝단에서 분기블록에 비해 협소한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절곡유도구(70-2); 절곡유도구를 기점으로 원형 내지 다각의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가 허용되는 회전띠(7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몸통(10)은 받침대(15)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설정 거리에 돌출 형상의 안내돌부(19)를 더 형성하되, 위 안내돌부(19)는 받침대와 동심원으로 배열하여 안내돌부와 받침대의 사이 공간으로 적층수단을 개재시킴에 따라 체결클립(35)이 안내돌부의 일면과 중첩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납그릇은 바닥을 향해 점진적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되고, 위 손잡이는 파손과 슬립이 방지되게 ㄱ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받침대는 수납그릇의 저면 테두리와 중앙 부위에 각각 환형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손잡이는 상면에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게 유도하는 환기홈과, 저면에 강도를 증진시키는 보강리브와, 외면에 타 몸통과 밀봉을 유도하는 회피홈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납그릇은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어 자체 강도증진과 적층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납그릇은 보관된 딸기를 외부로 노출되게 바닥과 벽을 이루는 부위를 설정 간격마다 이격 배열된 복수의 살대로 형성하되, 위 살대는 설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형 또는 설정 곡률로 굽혀진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밀봉수단의 끼움돌기와 끼움클립은 손잡이 상에 동일한 각도로 순차 배열되고, 끼움돌기는 일단 저면에 하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위 끼움클립은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과, 위 굽힘홈의 외측에 끼움돌기와 맞물리는 결속구멍과, 일단에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밀봉수단은 손잡이의 상면으로 끼움돌기와 끼움클립의 결속방향과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홈과 안내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적층수단은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이 맞물리는 부위에 결속을 유지시키는 보조홈(36)과 보조돌기(3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적층수단(30)은 2개 1조로 구획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의 상호 교차 결합에 의하여 6점식 체결이 유지되고, 단일 회전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이웃하는 타 체결클립으로 개재됨과 동시에 체결클립 또한 타 체결돌기로 개재되면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이 보유한 상하 단차에 기인하여 동시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체결돌기(31)는 받침대(15) 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진 호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선단에서 설정 면적으로 절삭한 가이드면(31-a) 및 측단에서 라운드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돌기(31-b)를 더 포함하고, 위 체결클립(35)은 받침대(15) 일단에서 체결돌기를 감싸며 외측 방향에 대해 개구된 ㄱ형 단면으로 돌출 형성하되, 내측면에 가이드돌기의 인입 내지 슬라이드 이동을 위치 안내하는 가이드홈(35-a)이 더 포함되며, 위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은 서로 중첩 개재 시 슬라이드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각각의 절삭면(31-c,35-b)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포장용기는 수납그릇에 선택적으로 내장되어 충격흡수로 딸기를 보호하고, 딸기의 크기에 따라 보관용량을 가변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조그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보조그릇은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어 자체 강도증진과 적층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보조그릇은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요입되어 딸기의 크기별 품종에 따라 수납그릇에 가득 채워진 상태로 구현시키는 주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적층수단은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의 상호 적층 결합으로 인해 몸통의 천공 부위가 전면 차단되게 함으로써 수용된 딸기의 처짐 내지 쏠림이 방지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서로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용기와 덮개로 구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과 함께 효율적인 취급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결속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적층수단의 내구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개선하여 외부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딸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보조그릇에 의해 보관된 딸기를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이 가능하고, 딸기 크기에 따른 품종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의 용기만으로 상시 가득 채워진 상태를 도모해줌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가중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하 자유 휨이 가능한 파지수단으로 하여금 용기의 취급이 더욱 용이할 뿐 아니라 안내요홈에 의해 적층수단의 상호 결속을 더욱 쉽고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개별단위 포장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묶음단위 포장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주요 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주요 수단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변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밀봉수단과 파지수단을 상세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적층수단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딸기를 포장하는 용기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상하 적층의 용이함이 확보되고,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와 덮개로 구분되던 기존과 달리 해당 용기와 덮개를 동일한 구조로 제안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따른 취급이 극히 용이하며, 새로운 개념의 파지수단과 함께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하므로 포장 등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을 적극 유도할 뿐 아니라 결속구조의 내구성 강화 및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100)는 딸기의 수납 내지 보관을 목적으로 한 함체 형상의 몸통(10) 저부와 상단으로 각각 다단 적층 배열 시 서로 이웃하는 타 몸통과 회전조작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속되게 하는 적층수단(30) 및 자체 보유한 휨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면서 사용자의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으로 구분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10)과 밀봉수단(20) 및 적층수단(30), 그리고 파지수단(7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서로 맞물림 구조를 가진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딸기 포장용으로 한정하지만, 딸기와 포장조건이 유사한 여타의 과일도 포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결속이 가능한 구조와 함께 서로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용기와 덮개로 구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위 몸통(10)은 물건은 담는 용기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도 1처럼 수납그릇(11)과 손잡이(12) 및 받침대(15)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수납그릇(11)은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것으로, 바닥을 향해 점진적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12)는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것으로, 파손과 슬립이 방지되게 ㄱ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받침대(15)는 수납그릇(11)의 저면 테두리와 중앙 부위에 각각 환형으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고, 적층 과정에서 받침대(15)끼리 손쉽게 정조준 정렬을 유도하여 신속 간편한 포장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서 손잡이(12)의 상면에는 도 1a처럼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게 유도하는 환기홈(12a)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도 1b와 같이 격자형 보강리브(12b)가 형성된다. 즉, 환기홈(12a)은 공기의 순환으로 보관된 딸기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주고, 보강리브(12b)는 손잡이(12)의 강도를 증진시켜준다.
위 손잡이(12)의 외면에는 타 몸통(10)과 밀봉을 유도하는 회피홈(12c)이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된다. 회피홈(12c)은 후술하는 밀봉수단(20)이 마련되는 자리로써, 밀봉수단(20)이 손잡이(12)내에 위치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해준다.
이때 수납그릇(11)은 도 7a처럼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보스(11a)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보스(11a)는 몸통(10)의 자체 강도증진과 함께 도 7b와 같이 다단으로 적층 시 상호 밀착되어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해준다.
또한, 수납그릇(11)은 도 8과 같이 보관된 딸기를 외부로 노출되게 바닥과 벽을 이루는 부위를 설정 간격마다 이격 배열된 복수의 살대(11b)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살대(11b)는 설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형 또는 설정 곡률로 굽혀진 아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직선형 살대(11b)는 아치형이 비해 편리한 제작으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아치형 살대(11b)는 직선형 비해 탁월한 내구성을 발휘함에 따라 딸기의 노출부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위 파지수단(70)은 손잡이 상에서 외측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로 분기되는 분기블록(70-1)과, 분기블록 끝단에서 분기블록에 비해 협소한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절곡유도구(70-2)와, 절곡유도구를 기점으로 원형 내지 다각의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가 허용되는 회전띠(70-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수단(70)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딸기용기를 들어 옮기는 경우 상향으로 선회시켜 몸통(10) 상방에서 통상의 행거 기능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황에 따라 하향 선회시켜 몸통(10) 저부에서 또 다른 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위 분기블록(70-1) 및 절곡유도구(70-2)는 도면에 상세 도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분기블록이 지향하는 방향에 의해 절곡유도구는 물론 회전띠(70-3)의 설정 경로가 결정되므로 손잡이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회전띠의 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분기블록(70-1)의 방향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손잡이로부터 이격된 공간이 구축되고, 이로 인해 손잡이(12)와 근접한 위치 배열을 갖는 회전띠(70-3)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몸통(10)은 받침대(15)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설정 거리에 돌출 형상의 안내돌부(19)를 더 형성한다.
이때 위 안내돌부(19)는 받침대와 동심원으로 배열하여 안내돌부와 받침대의 사이 공간으로 적층수단(30)을 개재시킴에 따라 체결클립(35)이 안내돌부의 일면과 중첩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안내돌부(19)는 적층수단의 상호 결합 시 보다 원활하고 편의하게 관련 조작을 유도하기 위함으로,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의 위치 조절 내지 확인 없이도 안내돌부가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 회전 동작만으로 자연스럽게 서로의 설정 위치에서 결합 유도되게 한다.
위 밀봉수단(20)은 도 1 및 도 2처럼 손잡이(12)상에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손잡이(12)상에 동일한 각도로 순차 배열되는 복수의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은 도 4처럼 손잡이(12)의 회피홈(12c)마다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된다. 여기서 끼움돌기(21)는 일단 저면에 도 5와 같이 하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걸림돌기(21a)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클립(25)은 도 4의 우측 확대도처럼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25a)이 형성되고, 굽힘홈(25a)의 외측에는 끼움돌기(21)와 맞물리는 결속구멍(25b)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25c)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밀봉수단(20)은 손잡이(12)의 상면으로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의 결속방향과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홈(26)과 안내돌기(27)가 더 형성된다. 즉, 끼움돌기(21)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안내홈(25)이 형성되고, 끼움클립(25)과 인접하는 위치에는 안내돌기(27)가 형성된다. 물론, 안내홈(26)과 안내돌기(27)의 위치는 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도 2와 같이 딸기를 보관하는 제1 몸통(10)과 딸기를 밀폐하는 제2 몸통(10)이 상하로 배치되고, 제1 몸통(10)의 끼움돌기(21)와 제2 몸통(10)의 끼움클립(25)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손잡이(12)의 상면끼리 밀착되게 포갠다. 이 상태에서 제1 몸통(10) 또는 제2 몸통(10)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안내홈(26)과 안내돌기(27)가 교합되면서 자동으로 결속 위치가 정렬된다.
그리고 제1 몸통(10)의 조작돌기(25c)는 상향으로 올리고, 제2 몸통(10)의 조작돌기(25c)는 하향으로 내려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각각 수직하게 절곡시킨다. 끼움클립(25)의 절곡으로 인해 끼움돌기(21)는 도 6처럼 결속구멍(25b)에 삽입됨과 함께 걸림돌기(21a)가 끼움클립(25)의 이탈을 차단하는 구속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한 쌍의 몸통(10)으로 개별단위의 딸기포장을 원터치 조작으로 신속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수단(30)은 2개 1조로 구획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의 상호 교차 결합에 의하여 6점식 체결이 유지되고, 단일 회전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이웃하는 타 체결클립으로 개재됨과 동시에 체결클립 또한 타 체결돌기로 개재되면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이 보유한 상하 단차에 기인하여 동시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핵심으로 한다.
이러한 6점식 체결은 기존 대비 보다 나은 결합력 증대에 기여하는 기술사상이며, 특히 단일 회전 행위만으로도 2개 1조의 적층수단 복수 개가 서로 견고히 맞물림 결합됨에 따라 비교적 적은 개소의 적층수단으로도 종래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된 체결력이 발휘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적층수단은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의 상호 적층 결합으로 인해 몸통의 천공 부위가 전면 차단되게 함으로써 수용된 딸기의 처짐 내지 쏠림, 함몰 등이 미연에 방지되게 하는 기능 또한 부여한다.
이를 위해 위 체결돌기(31)는 받침대(15) 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진 호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선단에서 설정 면적으로 절삭한 가이드면(31-a) 및 측단에서 라운드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돌기(31-b)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위 체결클립(35)은 받침대(15) 일단에서 체결돌기를 감싸며 외측 방향에 대해 개구된 ㄱ형 단면으로 돌출 형성하되, 내측면에 가이드돌기의 인입 내지 슬라이드 이동을 위치 안내하는 가이드홈(35-a)이 더 구성된다.
아울러 위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은 서로 중첩 개재 시 슬라이드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각각의 절삭면(31-c,35-b)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위 적층수단(30)은 도 1 및 도 3처럼 받침대(15)상에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5)상에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으로 이루어진다.
위 체결돌기(31)는 도 5와 같이 받침대(15)의 하단에 내측을 향해 수평 진 호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체결클립(35)은 받침대(15)의 일단에 체결돌기(31)를 감싸며 외측을 향해 개구된 ㄱ형 단면의 호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도 2처럼 개별 포장된 한 쌍의 제1몸통군과 제2몸통군을 도 3과 같이 상하로 배치하고, 제1몸통군의 받침대(15)와 제2몸통군의 받침대(15)를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호 밀착되게 적층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몸통군 또는 제2몸통군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일 방향 회전시키면, 도 6처럼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되고, 이러한 과정으로 설정 개수로 연속 적층시킴에 따라 묶음단위의 딸기포장을 원터치 조작으로 신속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단위의 딸기포장 처리 이후 묶음단위의 딸기포장을 실시하는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별단위 딸기포장과 묶음단위 딸기포장을 동시에 실시할 수 도 있다.
다시 말해 제1 몸통군과 제2몸통군의 밀봉수단(20)으로 포장한 다음 제2몸통군과 제3몸통군의 적층수단(30)으로 적층한 후 제4몸통군을 밀봉수단(20)으로 포장하는 과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위 적층수단(30)은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맞물리는 부위에 도 6처럼 결속을 유지시키는 보조홈(36)과 보조돌기(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홈(36)과 보조돌기(37)는 체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저지시켜 안정된 적층상태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도 9와 같이 수납그릇(11)에 선택적으로 내장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조그릇(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그릇(40)은 충격흡수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딸기를 보호하고, 딸기의 크기에 따라 수납그릇(11)의 보관용량을 높낮이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보조그릇(40)은 수납그릇(11)의 내부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데, 도 10a처럼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어 자체 강도증진과 적층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보스(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보스(41)는 수납그릇(11)의 보강보스(11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보조그릇(40)은 도 10b와 같이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요입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부(4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름부(45)는 수납그릇(11)의 공간을 가변시켜 일종의 몸통(10)만으로도 딸기의 크기별 품종에 구애받지 않고, 수납그릇(11)에 가득 채워진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은 서로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용기와 덮개로 구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과 함께 효율적인 취급을 기대할 수 있고,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결속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결속구조의 내구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개선하여 외부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딸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보조그릇에 의해 보관된 딸기를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이 가능하고, 딸기의 크기에 따른 품종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의 용기만으로 상시 가득 채워진 상태를 도모해 줌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가중시킬 수 있다.
10: 몸통 11: 수납그릇
11a, 41: 보강보스 11b: 살대
12: 손잡이 12a: 환기홈
12b: 보강리브 12c: 회피홈
15: 받침대 19. 안내돌부
20: 밀봉수단 21: 끼움돌기
21a: 걸림돌기 25: 끼움클립
25a: 굽힘홈 25b: 결속구멍
25c: 조작돌기 26: 안내홈
27: 안내돌기 30: 적층수단
31: 체결돌기 31-a: 가이드면
31-b: 가이드돌기 31-c: 절삭면
35: 체결클립 35-a: 가이드홈
35-b: 절삭면 36: 보조홈
37: 보조돌기 40:보조용기
45: 주름부 70. 파지수단
70-1: 분기블록 70-2: 절곡유도구
70-3: 회전띠 100. 딸기용기

Claims (11)

  1. 딸기의 수납 내지 보관을 목적으로 한 함체 형상의 몸통(10) 저부와 상단으로 각각 다단 적층 배열 시 서로 이웃하는 타 몸통과 회전조작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속되게 하는 적층수단(30) 및 자체 보유한 휨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면서 사용자의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수단(70)이 더 구성되는 딸기 포장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
    으로 구성되고,
    위 몸통(10)은 받침대(15)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설정 거리에 돌출 형상의 안내돌부(19)를 더 형성하되, 위 안내돌부(19)는 받침대와 동심원으로 배열하여 안내돌부와 받침대의 사이 공간으로 적층수단을 개재시킴에 따라 체결클립(35)이 안내돌부의 일면과 중첩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위 파지수단(70)은,
    손잡이 상에서 외측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로 분기되는 분기블록(70-1);
    분기블록 끝단에서 분기블록에 비해 협소한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절곡유도구(70-2);
    절곡유도구를 기점으로 원형 내지 다각의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가 허용되는 회전띠(70-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위 수납그릇(11)은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어 자체 강도증진과 적층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보스(1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위 수납그릇(11)은 보관된 딸기를 외부로 노출되게 바닥과 벽을 이루는 부위를 설정 간격마다 이격 배열된 복수의 살대(11b)로 형성하되, 위 살대(11b)는 설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형 또는 설정 곡률로 굽혀진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위 밀봉수단(20)의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은 손잡이(12) 상에서 동일한 각도로 순차 배열되고, 끼움돌기(21)는 일단 저면에 하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걸림돌기(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위 끼움클립(25)은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25a)과, 위 굽힘홈(25a)의 외측에 끼움돌기(21)와 맞물리는 결속구멍(25b)과, 일단에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25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위 밀봉수단(20)은 손잡이(12)의 상면으로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의 결속방향과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홈(26)과 안내돌기(2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위 적층수단(30)은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이 맞물리는 부위에 결속을 유지시키는 보조홈(36)과 보조돌기(3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위 적층수단(30)은 2개 1조로 구획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의 상호 교차 결합에 의하여 6점식 체결이 유지되고, 단일 회전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이웃하는 타 체결클립으로 개재됨과 동시에 체결클립 또한 타 체결돌기로 개재되면서 체결돌기와 체결클립이 보유한 상하 단차에 기인하여 동시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위 체결돌기(31)는 받침대(15) 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 진 호형으로 돌출 형성하되, 선단에서 설정 면적으로 절삭한 가이드면(31-a) 및 측단에서 라운드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돌기(31-b)를 더 포함하고,
    위 체결클립(35)은 받침대(15) 일단에서 체결돌기를 감싸며 외측 방향에 대해 개구된 ㄱ형 단면으로 돌출 형성하되, 내측면에 가이드돌기의 인입 내지 슬라이드 이동을 위치 안내하는 가이드홈(35-a)이 더 포함되며,
    위 체결돌기(31)와 체결클립(35)은 서로 중첩 개재 시 슬라이드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각각의 절삭면(31-c,35-b)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KR1020190111179A 2019-06-19 2019-09-09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KR102104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2766 2019-06-19
KR1020190072766 2019-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834B1 true KR102104834B1 (ko) 2020-04-28

Family

ID=7045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179A KR102104834B1 (ko) 2019-06-19 2019-09-09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953B1 (ko) * 2021-01-19 2022-04-11 김지태 수용공간의 효율적인 분배와 유동 억제 기능이 보장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US20220313553A1 (en) * 2019-05-14 2022-10-06 Airnov, Inc. Receptacle for holding an active substance and corresponding cap and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355Y1 (ko) * 2001-11-07 2002-03-18 배상열 딸기용기
JP3132223U (ja) * 2006-11-28 2007-06-07 南部化成股▲ふん▼有限公司 携帯に便利な食品容器の構造
KR20180085257A (ko) * 2017-01-18 2018-07-26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355Y1 (ko) * 2001-11-07 2002-03-18 배상열 딸기용기
JP3132223U (ja) * 2006-11-28 2007-06-07 南部化成股▲ふん▼有限公司 携帯に便利な食品容器の構造
KR20180085257A (ko) * 2017-01-18 2018-07-26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KR101934745B1 (ko) 2017-01-18 2019-03-18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3553A1 (en) * 2019-05-14 2022-10-06 Airnov, Inc. Receptacle for holding an active substance and corresponding cap and container
KR102385953B1 (ko) * 2021-01-19 2022-04-11 김지태 수용공간의 효율적인 분배와 유동 억제 기능이 보장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34B1 (ko)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US7699171B2 (en) Stackabl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tacking, and shipping the same
KR102105269B1 (ko)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KR100430956B1 (ko) 줄기가 긴 화훼용 포장구
US5285892A (en) Sanitary can carriers and multiple beverage can packages including the same
KR200468667Y1 (ko) 김치 포장용기
EP1193192A1 (en) Flexible container
CN207029948U (zh) 容器
KR102087231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120039132A (ko)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KR200462889Y1 (ko)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24471Y1 (ko) 화분용 포장상자
KR102087236B1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US1924053A (en) Method of packing fruit
KR200437918Y1 (ko) 과일 포장용 커버
AU2010200183A1 (en) Portable Gas Bottle Carrier
KR101693458B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200483857Y1 (ko)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JP4042134B2 (ja) 鶏卵包装用容器
KR20210022270A (ko)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KR20210080059A (ko) 수평 지지력과 외부 식별성이 확보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KR100839830B1 (ko) 과일보호용 포장구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KR200461236Y1 (ko) 화훼용 포장상자
KR200487791Y1 (ko) 딸기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