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269B1 -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269B1
KR102105269B1 KR1020190126020A KR20190126020A KR102105269B1 KR 102105269 B1 KR102105269 B1 KR 102105269B1 KR 1020190126020 A KR1020190126020 A KR 1020190126020A KR 20190126020 A KR20190126020 A KR 20190126020A KR 102105269 B1 KR102105269 B1 KR 10210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astening
protrusion
packaging contain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태
정연덕
Original Assignee
김지태
정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정연덕 filed Critical 김지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상하 적층의 용이함이 확보되고,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와 덮개로 구분되던 기존과 달리 해당 용기와 덮개를 동일한 구조로 제안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따른 취급이 극히 용이하며, 새로운 개념의 파지수단과 함께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하므로 포장 등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을 적극 유도할 뿐 아니라 결속구조의 내구성 강화 및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1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One-touch binding type strawberry packaging container with inter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상하 적층의 용이함이 확보되고,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와 덮개로 구분되던 기존과 달리 해당 용기와 덮개를 동일한 구조로 제안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따른 취급이 극히 용이하며, 새로운 개념의 파지수단과 함께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하므로 포장 등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을 적극 유도할 뿐 아니라 결속구조의 내구성 강화 및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재배된 딸기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되며, 외형이 무르고 약한 딸기의 특성상 복잡한 유통과정이나 취급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등의 딸기 재배농가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중에 딸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포장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즉 딸기의 포장은 사과나 귤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용량의 상자형태로 포장할 경우 딸기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부에 적재된 딸기가 손상되는 원인이 되므로 소량단위로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량단위의 포장이지만 보관이나 유통 과정 중에 상하 적재시켜도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등의 포장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량 단위로 포장이 가능한 합성수지 용기와 덮개를 한조로 하여 딸기를 포장하고, 용기와 덮개가 포개진 상태에서 이음부위 및 적층부위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포장하였다.
하지만, 접착테이프를 휴대하면서 수작업으로 붙이고 자르는 과정으로 인해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접착테이프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찢어지거나 높은 온도에 의하여 접착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745호 (발명의 명칭: 딸기 포장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제안된 문헌에 따르면, 포장용기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테이핑 작업 없이 견고한 고정 상태로 적층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와 덮개의 결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딸기를 수납하는 용기와, 용기를 밀폐하는 덮개가 서로 다른 결속구조로 인해 독립적으로 구분되어져 있음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가중시킬 뿐 아니라 용기와 덮개의 구분으로 인해 보관과 포장에 따른 취급이 어려운 문제를 초래한다.
더구나 용기와 덮개의 결속부위가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해 포장이 어렵고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취약하여 결속부위가 파손되거나 결속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4745호 (발명의 명칭: 딸기 포장용기)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회전식 맞물림 구조와 함께 원터치로 신속 간편한 포장, 그리고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취급과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으로 구매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전반적으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100)는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1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1밀봉수단(20)의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12) 상의 설정 지점으로 이격 형성하되, 각 2개 1조의 끼움돌기와 끼움클립은 서로 교차하여 마주하도록 손잡이 상에서 배열되고, 위 끼움돌기(21)는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위 끼움클립(25)은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25a)과, 위 굽힘홈(25a)의 외측에 끼움돌기(21)와 맞물리는 결속구멍(25b)과, 일단에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25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손잡이(12) 상에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 제1밀봉수단(20)에 대해 직교하는 설정 지점으로 제2밀봉수단(50)을 더 형성하되, 위 제2밀봉수단(50)은 손잡이(12) 상에서 설정 크기로 천공되는 거치홀(51); 거치홀로부터 이격되고 ㄱ형 단면으로 상향 절곡된 형상의 거치클립(52);을 2개 1조로 구분 형성하면서 각 2개 1조의 거치홀과 거치클립은 서로 교차하여 마주하도록 손잡이 상에서 배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파지수단(70)은 손잡이(12) 상에서 외측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로 분기되는 분기블록(70-1); 분기블록 끝단에서 분기블록에 비해 협소한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절곡유도구(70-2); 절곡유도구를 기점으로 원형 내지 다각의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가 허용되는 회전띠(7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회전띠(70-3)는 손잡이(12)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 시 서로 마주하는 타 회전띠와 결속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80)가 더 형성되고, 위 커넥터(80)는 양측으로 회전띠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기 위한 요입홈(8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몸통(10)은 받침대(15)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설정 거리에 돌출 형상의 안내돌부(19)를 더 형성하되, 위 안내돌부(19)는 받침대와 동심원으로 배열하여 안내돌부와 받침대의 사이 공간으로 적층수단(30)을 개재시킴에 따라 체결돌기(31)가 안내돌부의 일면과 중첩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납그릇(11)은 외부에서 내부 식별이 허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수납그릇(11)에 선택적으로 내장되어 충격흡수로 딸기를 보호하면서 딸기 크기별 보관용량을 가변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조그릇(4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수납그릇(11)은 보관된 딸기를 외부로 노출되게 바닥과 벽을 이루는 부위를 설정 간격마다 이격 배열된 복수의 살대(11b)로 형성하되, 위 살대(11b)는 설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형 또는 설정 곡률로 굽혀진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적층수단(30)은 받침대(15)에 상하 천공된 통공 및 통공의 동일 수직선상에서 받침대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1)로 구분 구성하되, 각 체결돌기는 회전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이웃하는 타 통공 상으로 진입하면서 타 체결돌기와 중첩됨에 기인한 끼움 조합으로 다수의 몸통을 상하 적층 배열 유도하고, 위 체결돌기(31)는 받침대(15)와 받침대의 내측으로 이격 형성한 안내돌부(19)를 기점으로 하여 서로 결부되는 가이드면(31-a); 일면에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31-d); 요홈에 대응 형성하여 타 체결돌기 진입 시 해당 요홈 내부로 개재되는 돌부(31-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체결돌기(31)는 이웃하는 타 통공과 체결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개재 시 슬라이드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절삭면(31-c)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걸림 구속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돌기(31-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체결돌기(31)는 통공과 동일한 크기 내지 면적으로 형성하여 타 체결돌기와의 상호 적층 결합으로 인해 통공의 천공 부위가 전면 차단되게 함으로써 수용된 딸기의 처짐 내지 쏠림이 방지되게 하되, 가이드면(31-a)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대응 연장되게 하거나 또는 어느 단일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가이드면(31-a)은 하단에서 상단에 이르는 경로가 상협하광의 S형으로 굴곡진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돌기(31)의 위치 구속 및 회전에 의한 체결돌기의 진입 시 해당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설정 경로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1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 받침대의 내측 공간에서 설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선택적인 상하 선회 움직임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의 위치가 전환되는 제2파지수단(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2파지수단(80)은 서로 대응한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여 2개 1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2파지수단(80)은 사용자에게 파지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 선회되는 조작띠(80-2); 조작띠의 함몰 배치가 허용되도록 설정 구간에 대해 절개하여 상하 관통 형성되는 절개면(80-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2파지수단은 제2받침대(90)인 것을 포함하고, 위 제2받침대(90)는 받침대와 동일 수평선상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하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2받침대(90)는 서로 대응한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여 2개 1조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제2받침대(90)는 사용자에게 파지 가능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하 선회되는 조작프레임(90-1); 조작프레임 상에서 관통 형성되는 통공(90-2); 조작프레임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통공이 위치하는 설정 지점에서 돌출 형성되어 통공 내부로 개재되는 결합돌기(90-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특정한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단순 맞물림 구조에 의한 결합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용기와 덮개로 구분하던 기존 대비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과 함께 효율적인 취급을 기대할 수 있으며,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결속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므로 구매비용을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층수단의 내구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개선하는바, 외부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딸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하 자유 휨이 가능한 파지수단으로 하여금 용기의 취급이 더욱 용이할 뿐 아니라 안내요홈에 의해 적층수단의 상호 결속을 더욱 쉽고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고, 보조그릇에 의해 보관된 딸기를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 가능할 뿐 아니라 딸기 크기에 따른 품종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의 용기만으로 상시 가득 채워진 상태를 도모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가중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딸기용기 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딸기용기 사시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의 실시 양태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적층수단의 실시 양태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딸기용기를 다양하게 가변 실시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
도 15 내지 1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파지수단의 다른 실시 양태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19 내지 2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파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양태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딸기를 포장하는 용기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상하 적층의 용이함이 확보되고,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와 덮개로 구분되던 기존과 달리 해당 용기와 덮개를 동일한 구조로 제안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따른 취급이 극히 용이하며, 새로운 개념의 파지수단과 함께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 결속이 가능하므로 포장 등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을 적극 유도할 뿐 아니라 결속구조의 내구성 강화 및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100)는 딸기의 수납 내지 보관을 목적으로 한 함체 형상의 몸통(10) 저부와 상단으로 각각 다단 적층 배열 시 서로 이웃하는 타 몸통과 회전조작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속되게 하는 적층수단(30) 및 자체 보유한 휨성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면서 사용자의 파지를 유도하는 파지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1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으로 구분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10)과 제1·2밀봉수단(20,50) 및 적층수단(30), 그리고 파지수단(7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서로 맞물림 구조를 가진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딸기 포장용으로 한정하지만, 딸기와 포장조건이 유사한 여타의 과일도 포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포장용기는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결속이 가능한 구조와 함께 서로 맞물림 구조를 적용하여 용기와 덮개로 구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위 몸통(10)은 물건을 담는 용기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도 1처럼 수납그릇(11)과 손잡이(12) 및 받침대(15)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수납그릇(11)은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것으로, 바닥을 향해 점진적으로 너비가 좁아지는 상광하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12)는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것으로, 파손과 슬립이 방지되게 ㄱ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받침대(15)는 수납그릇(11)의 저면 테두리와 중앙 부위에 각각 환형으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고, 적층 과정에서 받침대(15)끼리 손쉽게 정조준 정렬을 유도하여 신속 간편한 포장 효과를 발휘한다.
위 손잡이(12)의 외면에는 타 몸통(10)과 밀봉을 유도하는 회피홈(12c)이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된다. 회피홈(12c)은 후술하는 제1밀봉수단(20)이 마련되는 자리로, 제1밀봉수단(20)을 손잡이(12) 내에 위치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수납그릇(11)은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는 보강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보스는 몸통(10)의 자체 강도증진과 함께 다단으로 적층 시 상호 밀착되어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해준다.
또한, 수납그릇(11)은 보관된 딸기를 외부로 노출되게 바닥과 벽을 이루는 부위를 설정 간격마다 이격 배열된 복수의 살대(11b)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살대(11b)는 설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형 또는 설정 곡률로 굽혀진 아치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위 직선형 살대(11b)는 아치형에 비해 편리한 제작으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아치형 살대(11b)는 직선형에 비해 탁월한 내구성을 발휘함에 따라 딸기의 노출부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위 파지수단(70)은 손잡이 상에서 외측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로 분기되는 분기블록(70-1)과, 분기블록 끝단에서 분기블록에 비해 협소한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절곡유도구(70-2)와, 절곡유도구를 기점으로 원형 내지 다각의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가 허용되는 회전띠(70-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수단(70)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딸기용기를 들어 옮기는 경우 상향으로 선회시켜 몸통(10) 상방에서 통상의 행거 기능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황에 따라 하향 선회시켜 몸통(10) 저부에서 또 다른 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위 분기블록(70-1) 및 절곡유도구(70-2)는 도면에 상세 도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분기블록이 지향하는 방향에 의해 절곡유도구는 물론 회전띠(70-3)의 설정 경로가 결정되므로 손잡이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회전띠의 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분기블록(70-1)의 방향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손잡이로부터 이격된 공간이 구축되고, 이로 인해 손잡이(12)와 근접한 위치 배열을 갖는 회전띠(70-3)가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위 회전띠(70-3)는 손잡이(12)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 시 서로 마주하는 타 회전띠와 결속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80)는 양측에 분리 구비된 회전띠(70-3)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기 위한 요입홈(81)으로 구성되는바, 양측 회전띠를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편의한 취급을 보장하게 된다.
위 요입홈(81)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이며, 회전띠(70-3)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대응 크기로 제공하여 별도의 수단 없이도 회전띠 간의 상호 결합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커넥터(80)를 손잡이(12)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몸통(10) 간 상호 적층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요입홈으로 인해 상하 이웃하는 회전띠를 서로 구속하게 되므로 상하 결속력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몸통(10)은 받침대(15)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설정 거리에 돌출 형상의 안내돌부(19)를 더 형성한다.
이때 위 안내돌부(19)는 받침대와 동심원으로 배열하여 안내돌부와 받침대의 사이 공간으로 적층수단(30)을 개재시킴에 따라 체결돌기(31)가 안내돌부의 일면과 중첩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안내돌부(19)는 적층수단(30)의 상호 결합 시 보다 원활하고 편의하게 관련 조작을 유도하기 위함으로,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체결돌기 위치 조절 내지 확인 없이도 안내돌부가 제공하는 경로 상에서 회전 동작만으로 자연스럽게 서로의 설정 위치에서 결합 유도되게 한다.
위 제1밀봉수단(20)의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12) 상의 설정 지점으로 이격 형성하되, 각 2개 1조의 끼움돌기와 끼움클립은 서로 교차하여 마주하도록 손잡이 상에서 배열되고, 위 끼움돌기(21)는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위 끼움클립(25)은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25a)과, 위 굽힘홈(25a)의 외측에 끼움돌기(21)와 맞물리는 결속구멍(25b)과, 일단에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25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제1밀봉수단(20)은 도 1 및 도 2처럼 손잡이(12) 상에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손잡이(12) 상에 동일한 각도로 순차 배열되는 복수의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은 손잡이(12)의 회피홈(12c)마다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고, 여기서 끼움돌기(21)는 양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21a)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그리고 위 끼움클립(25)은 전술한 것처럼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25a)이 형성되고, 굽힘홈(25a)의 외측에는 끼움돌기(21)와 맞물리는 결속구멍(25b)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25c)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위 손잡이(12) 상에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 제1밀봉수단(20)에 대해 직교하는 설정 지점으로 제2밀봉수단(50)을 더 형성하여 상하 적층되는 딸기용기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게 한다.
이를 위해 위 제2밀봉수단(50)은 손잡이(12) 상에서 설정 크기로 천공되는 거치홀(51)과, 거치홀로부터 이격되고 ㄱ형 단면으로 상향 절곡된 형상의 거치클립(52)을 2개 1조로 구분 형성한다.
이러한 각 2개 1조의 거치홀(51)과 거치클립(52)은 서로 교차하여 마주하도록 손잡이(12) 상에서 배열되는바, 상하 결합 시 체결의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딸기를 보관하는 몸통과 딸기를 밀폐하는 또 다른 몸통이 상하로 배치되고, 몸통의 끼움돌기(21)와 또 다른 몸통의 끼움클립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손잡이(12)의 상면끼리 밀착되게 포갠다. 이 상태에서 몸통 또는 또 다른 몸통을 일 방향 회전시키면 자동으로 결속 위치가 정렬된다.
그리고 몸통의 조작돌기(25c)는 상향으로 올리고, 또 다른 몸통의 조작돌기는 하향으로 내려 각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절곡시킨다. 이렇듯 끼움클립(25)의 절곡으로 인해 결속구멍(25b)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돌기(21a)가 끼움클립(25)의 이탈을 차단하는 구속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한 쌍의 몸통으로 개별단위의 딸기포장을 원터치 조작에 의해 신속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수단(30)은 기존 대비 보다 나은 결합력 증대에 기여하는 기술사상으로, 특히 단일 회전 행위만으로도 적층수단 복수 개가 서로 견고히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비교적 적은 개소의 적층수단으로도 종래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된 체결력이 발휘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적층수단은 체결돌기의 상호 적층 결합으로 인해 몸통의 통공 부위가 전면 차단되게 함으로써 수용된 딸기의 처짐 내지 쏠림, 함몰 등이 미연에 방지되게 하는 기능 또한 부여한다.
이러한 적층수단(30)은 받침대(15) 상에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5) 상에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체결돌기(31)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위 적층수단(30)은 받침대(15)에 상하 천공된 통공 및 통공의 동일 수직선상에서 받침대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1)로 구분 구성하되, 각 체결돌기는 회전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이웃하는 타 통공 상으로 진입하면서 타 체결돌기와 중첩됨에 기인한 끼움 조합으로 다수의 몸통을 상하 적층 배열 유도하고, 위 체결돌기(31)는 받침대(15)와 받침대의 내측으로 이격 형성한 안내돌부(19)를 기점으로 하여 서로 결부되는 가이드면(31-a)과, 일면에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31-d)과, 요홈에 대응 형성하여 타 체결돌기 진입 시 해당 요홈 내부로 개재되는 돌부(31-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체결돌기(31)는 이웃하는 타 통공과 체결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개재 시 슬라이드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절삭면(31-c)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걸림 구속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돌기(31-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위 체결돌기(31)는 통공과 동일한 크기 내지 면적으로 형성하여 타 체결돌기와의 상호 적층 결합으로 인해 통공의 천공 부위가 전면 차단되게 함으로써 수용된 딸기의 처짐 내지 쏠림이 방지되게 하되, 가이드면(31-a)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대응 연장되게 하거나 또는 어느 단일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관련 도면에 상세 도시하였다.
위 가이드면(31-a)은 하단에서 상단에 이르는 경로가 상협하광의 S형으로 굴곡진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돌기(31)의 위치 구속 및 회전에 의한 체결돌기의 진입 시 해당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설정 경로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수납그릇(11)에 선택적으로 내장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조그릇(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그릇(40)은 충격흡수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딸기를 보호하고, 딸기의 크기에 따라 수납그릇(11)의 보관용량을 높낮이로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보조그릇(40)은 수납그릇(11)의 내부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중앙에 상향을 향해 돌출되어 자체 강도증진과 적층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보스는 수납그릇(11)의 보강보스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보조그릇(40)은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요입되는 하나 이상의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름부는 수납그릇(11)의 공간을 가변시켜 일종의 몸통(10)만으로도 딸기의 크기별 품종에 구애받지 않고 수납그릇(11)에 가득 채워진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5 내지 22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파지수단(7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도면과 같이 제2파지수단(80)을 더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주장하는 제2파지수단(80)은 받침대(15)의 내측 공간에서 설정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선택적인 상하 선회 움직임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의 위치가 전환된다.
이러한 제2파지수단(80)은 서로 대응한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여 2개 1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 제2파지수단(80)은 사용자에게 파지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 선회되는 조작띠(80-2)와, 조작띠의 함몰 배치가 허용되도록 설정 구간에 대해 절개하여 상하 관통 형성되는 절개면(80-1)으로 구분 구성된다.
아울러 위 제2파지수단은 제2받침대(90)인 것을 포함하고, 위 제2받침대(90)는 받침대와 동일 수평선상으로 돌출되면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하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2받침대(90) 또한 서로 대응한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여 2개 1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 제2받침대(90)는 사용자에게 파지 가능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하 선회되는 조작프레임(90-1)과, 조작프레임 상에서 관통 형성되는 통공(90-2)과, 조작프레임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통공이 위치하는 설정 지점에서 돌출 형성되어 통공 내부로 개재되는 결합돌기(90-3)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은 어느 특정한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단순 맞물림 구조에 의한 결합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용기와 덮개로 구분하던 기존 대비 제작은 물론 운반이나 보관 및 포장에 소요되는 공수의 절감과 함께 효율적인 취급을 기대할 수 있으며,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속 간편하게 원터치로 결속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므로 구매비용을 낮출 수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층수단의 내구성을 강화함과 더불어 결속의 완성도를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개선하는바, 외부요인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된 포장을 유지할 수 있어 딸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하 자유 휨이 가능한 파지수단으로 하여금 용기의 취급이 더욱 용이할 뿐 아니라 안내요홈에 의해 적층수단의 상호 결속을 더욱 쉽고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고, 보조그릇에 의해 보관된 딸기를 밀폐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 가능할 뿐 아니라 딸기 크기에 따른 품종에 구애받지 않고 단일의 용기만으로 상시 가득 채워진 상태를 도모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가중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10: 몸통 11: 수납그릇
11a, 41: 보강보스 11b: 살대
12: 손잡이 12a: 환기홈
12b: 보강리브 12c: 회피홈
15: 받침대 19. 안내돌부
20: 밀봉수단 21: 끼움돌기
21a: 걸림돌기 25: 끼움클립
25a: 굽힘홈 25b: 결속구멍
25c: 조작돌기 26: 안내홈
27: 안내돌기 30: 적층수단
31: 체결돌기 31-a: 가이드면
31-b: 가이드돌기 31-c: 절삭면
35: 체결클립 35-a: 가이드홈
35-b: 절삭면 36: 보조홈
37: 보조돌기 40:보조용기
45: 주름부 70: 파지수단
70-1: 분기블록 70-2: 절곡유도구
70-3: 회전띠 80: 제2파지수단
90: 제2받침대 100: 딸기용기

Claims (13)

  1. 적어도 정량 단위의 딸기를 보관하는 수납그릇(11)과, 수납그릇(11)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2)와, 수납그릇(11) 저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통(10);
    손잡이(12)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손잡이(12)와 절곡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수납그릇(11)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제1밀봉수단(20);
    받침대(15)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타 몸통(10)의 받침대(15)와 회전조작에 의해 원터치 결속되어 몸통(10)을 다단으로 적층시키는 체결돌기(31)가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적층수단(30);
    손잡이 상에서의 대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각각 분기하여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파지수단(70);
    으로 구성되는 딸기 포장용기에 있어서,
    위 손잡이(12) 상에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한 제1밀봉수단(20)에 대해 직교하는 설정 지점으로 제2밀봉수단(50)을 더 형성하되,
    위 제2밀봉수단(50)은,
    손잡이(12) 상에서 설정 크기로 천공되는 거치홀(51);
    거치홀로부터 이격되고 ㄱ형 단면으로 상향 절곡된 형상의 거치클립(52);
    을 2개 1조로 구분 형성하면서 각 2개 1조의 거치홀과 거치클립은 서로 교차하여 마주하도록 손잡이 상에서 배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위 제1밀봉수단(20)의 끼움돌기(21)와 끼움클립(25)은 2개 1조로 이루어져 서로 대향하는 손잡이(12) 상의 설정 지점으로 이격 형성하되, 각 2개 1조의 끼움돌기와 끼움클립은 서로 교차하여 마주하도록 손잡이 상에서 배열되고,
    위 끼움돌기(21)는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걸림돌기(2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위 끼움클립(25)은 상면 중앙에 절곡을 유도하는 V형 단면의 굽힘홈(25a)과, 위 굽힘홈(25a)의 외측에 끼움돌기(21)와 맞물리는 결속구멍(25b)과, 일단에 상향으로 경사져 굽힘홈(25a)을 기준으로 상·하향 절곡시켜 결속을 단속하는 조작돌기(25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위 파지수단(70)은,
    손잡이(12) 상에서 외측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로 분기되는 분기블록(70-1);
    분기블록 끝단에서 분기블록에 비해 협소한 설정 두께로 형성되는 절곡유도구(70-2);
    절곡유도구를 기점으로 원형 내지 다각의 단면 형상으로 연장되고, 손잡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가 허용되는 회전띠(70-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위 회전띠(70-3)는 손잡이(12)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필요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선회 시 서로 마주하는 타 회전띠와 결속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80)가 더 형성되고,
    위 커넥터(80)는 양측으로 회전띠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기 위한 요입홈(8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위 몸통(10)은 받침대(15)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설정 거리에 돌출 형상의 안내돌부(19)를 더 형성하되,
    위 안내돌부(19)는 받침대와 동심원으로 배열하여 안내돌부와 받침대의 사이 공간으로 적층수단(30)을 개재시킴에 따라 체결돌기(31)가 안내돌부의 일면과 중첩되면서 슬라이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위 수납그릇(11)은 외부에서 내부 식별이 허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수납그릇(11)에 선택적으로 내장되어 충격흡수로 딸기를 보호하면서 딸기 크기별 보관용량을 가변시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조그릇(4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위 수납그릇(11)은 보관된 딸기를 외부로 노출되게 바닥과 벽을 이루는 부위를 설정 간격마다 이격 배열된 복수의 살대(11b)로 형성하되, 위 살대(11b)는 설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형 또는 설정 곡률로 굽혀진 아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위 적층수단(30)은 받침대(15)에 상하 천공된 통공 및 통공의 동일 수직선상에서 받침대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1)로 구분 구성하되, 각 체결돌기는 회전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이웃하는 타 통공 상으로 진입하면서 타 체결돌기와 중첩됨에 기인한 끼움 조합으로 다수의 몸통을 상하 적층 배열 유도하고,
    위 체결돌기(31)는,
    받침대(15)와 받침대의 내측으로 이격 형성한 안내돌부(19)를 기점으로 하여 서로 결부되는 가이드면(31-a);
    일면에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요홈(31-d);
    요홈에 대응 형성하여 타 체결돌기 진입 시 해당 요홈 내부로 개재되는 돌부(31-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위 체결돌기(31)는 이웃하는 타 통공과 체결돌기의 사이 공간으로 개재 시 슬라이드 끼움을 허용하기 위한 절삭면(31-c)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걸림 구속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돌기(31-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위 체결돌기(31)는 통공과 동일한 크기 내지 면적으로 형성하여 타 체결돌기와의 상호 적층 결합으로 인해 통공의 천공 부위가 전면 차단되게 함으로써 수용된 딸기의 처짐 내지 쏠림이 방지되게 하되, 가이드면(31-a)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대응 연장되게 하거나 또는 어느 단일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12. 제9항에 있어서,
    위 가이드면(31-a)은 하단에서 상단에 이르는 경로가 상협하광의 S형으로 굴곡진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체결돌기(31)의 위치 구속 및 회전에 의한 체결돌기의 진입 시 해당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설정 경로로 안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13. 삭제
KR1020190126020A 2019-09-09 2019-10-11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KR102105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1181 2019-09-09
KR1020190111181 2019-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269B1 true KR102105269B1 (ko) 2020-04-28

Family

ID=7045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20A KR102105269B1 (ko) 2019-09-09 2019-10-11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2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582B1 (ko) * 2022-11-08 2023-02-17 주식회사 호생산업 통기 조절이 가능한 과일 포장용기
KR102573903B1 (ko) * 2022-09-27 2023-09-04 김학례 과일 보관 함체용 투명 커버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355Y1 (ko) * 2001-11-07 2002-03-18 배상열 딸기용기
KR200379599Y1 (ko) * 2004-12-16 2005-03-24 양경화 포장용기
JP3132223U (ja) * 2006-11-28 2007-06-07 南部化成股▲ふん▼有限公司 携帯に便利な食品容器の構造
KR20090113983A (ko) * 2008-04-29 2009-11-03 이상우 딸기의 포장수단
JP5225792B2 (ja) * 2008-09-09 2013-07-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果実包装用容器
KR20180085257A (ko) * 2017-01-18 2018-07-26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355Y1 (ko) * 2001-11-07 2002-03-18 배상열 딸기용기
KR200379599Y1 (ko) * 2004-12-16 2005-03-24 양경화 포장용기
JP3132223U (ja) * 2006-11-28 2007-06-07 南部化成股▲ふん▼有限公司 携帯に便利な食品容器の構造
KR20090113983A (ko) * 2008-04-29 2009-11-03 이상우 딸기의 포장수단
JP5225792B2 (ja) * 2008-09-09 2013-07-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果実包装用容器
KR20180085257A (ko) * 2017-01-18 2018-07-26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KR101934745B1 (ko) 2017-01-18 2019-03-18 김영덕 딸기 포장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903B1 (ko) * 2022-09-27 2023-09-04 김학례 과일 보관 함체용 투명 커버체
KR102500582B1 (ko) * 2022-11-08 2023-02-17 주식회사 호생산업 통기 조절이 가능한 과일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269B1 (ko) 체결성 강화와 취급의 편의함이 확보되는 회전 결합형 딸기 포장용기
AU2007256032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20070284276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KR20070024588A (ko) 탬퍼-에비던트 덮개
KR102104834B1 (ko) 회전식 맞물림 구조를 보유한 원터치 결속타입 딸기 포장용기
US5285892A (en) Sanitary can carriers and multiple beverage can packages including the same
US8794481B2 (en) Package
EP3601073A1 (en) Covered storage bin
EP3565763B1 (en) Container
KR20190135127A (ko) 지지체가 형성된 딸기 포장용기
US20060065555A1 (en) Bottle carrier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JP6778966B2 (ja) 包装用容器
JP2020093843A (ja) 包装用容器
KR101693458B1 (ko) 농산물 포장용기
JP6774692B2 (ja) 包装用容器
JP7479085B2 (ja) 包装用容器
KR20210080059A (ko) 수평 지지력과 외부 식별성이 확보되는 상하 적재형 딸기 포장용기
JP5875828B2 (ja) 包装用容器
JP6856838B2 (ja) 包装用容器
CN215972966U (zh) 盖子的叠放结构
JP6650648B1 (ja) 包装用容器
JP6905270B2 (ja) 包装用容器
KR200487791Y1 (ko) 딸기 용기
JP2021091448A (ja) 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