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132A -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 Google Patents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132A
KR20120039132A KR1020100100659A KR20100100659A KR20120039132A KR 20120039132 A KR20120039132 A KR 20120039132A KR 1020100100659 A KR1020100100659 A KR 1020100100659A KR 20100100659 A KR20100100659 A KR 20100100659A KR 20120039132 A KR20120039132 A KR 2012003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pening
fruit
fruit packaging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교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서정교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교, 이지현 filed Critical 서정교
Priority to KR102010010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132A/ko
Publication of KR2012003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포장에 이용되는 것으로,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1용기부와,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용기부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과일을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사이와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과일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일포장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fruit packing case and method for packing fruit}
본 발명은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른 과일을 보다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 과일포장용기는 상부로 개방된 하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개방부 일측에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덮개부를 통해 구성된다.
그리고 부피가 그리 크지 않은 과일의 경우 대부분 이러한 과일포장용기 내부에 복수개가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수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과일포장용기 내부에 복수개의 과일이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포장되는 방식의 경우 과일의 종류에 따라서는 과일의 신선도를 급속도로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딸기와 같이 껍질이 얇고 내용물이 물렁한 무른 과일은 다단으로 적재될 경우 하부 쪽 과일이 상부 쪽 과일의 무게에 눌려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이처럼 손상된 과일은 짧은 기간 내에 부패가 되는데, 이때는 상부와 하부 쪽 과일이 상호 밀착되어 있는 관계로 특정 과일에서 발생한 부패현상이 전체적으로 빠르게 전이되면서 포장용기 내부 전체 과일의 신선도가 급속도로 저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과일의 경우 생산지에서 최초로 포장될 때는 물론 이후의 유통단계에서도 수시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 포장용기와 같이 수용공간에 과일이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공간 하부에 위치된 과일 상면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수용공간 하부 쪽 과일의 품질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포장용기를 개방하여 상부에 적층된 과일을 일일이 들어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무른 과일의 포장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적은 량의 무른 과일을 개별적으로 포장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몸체부와 덮개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포장용기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과일의 포장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도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을 신선한 상태로 보다 장기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과일의 품질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다른 과일포장용기는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포장을 위한 것으로,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1용기부와,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용기부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과일을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사이와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개구를 덮는 시트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와 덮개부 중 적어도 두개는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와 덮개부는 상기 제1 및 제2개구의 개폐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는 각각 상기 제1용기부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용기부는 상기 제2개구 쪽을 통해 상기 제1개구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개구 타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상기 제1용기부 안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용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의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용기부와 덮개부는 각각 상기 제2용기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용기부는 상기 제1개구 쪽을 통해 상기 제2개구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개구 타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상기 제1용기부 안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는 상기 제1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호 분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개구 둘레의 상기 제1용기부에는 제1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개구 둘레의 상기 제2용기부에는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1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용기부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용기부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용기부는 상기 제2용기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용기부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개구 둘레에는 각각 제1 및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덮개부 둘레에는 제3플랜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플랜지부는 상호 지지되도록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개구 둘레에는 각각 제1 및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의 측벽은 전체적으로 상호 밀착되며, 상기 제1용기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바닥 사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용기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바닥 사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사이에는 상기 과일의 수용을 위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에는 상기 과일의 수용을 위한 상기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과일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선도유지제를 상기 과일과 접촉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하도록 마련된 설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제2용기부의 바닥과, 상기 제1용기부의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덮개부 외면에 상기 제2수용공간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의 개구는 밀폐부재를 통해 밀폐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제2용기부 바닥에 상기 제1수용공간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의 개구는 폐쇄부재를 통해 폐쇄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제1수용공간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폐쇄부재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기는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용기부와 하나의 덮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용기부는 상하로 인접한 용기부 사이에 각각 개폐 가능한 별도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적층되고, 상기 덮개부는 최상부 쪽 용기부를 덮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방법은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포장을 위한 것으로,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1용기부와,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용기부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와, 상기 제1용기부와 상기 제2용기부 사이를 통해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를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 상부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과일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과일이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에 각각 단층을 이루도록 수용되게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과일은 상기 제1용기부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용기부 바닥과 이격되도록 포장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과일은 상기 제2용기부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와 이격되도록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용기부와 하나의 덮개부 만을 구비하는 과일포장용기를 이용하여 딸기와 같이 무른 과일을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을 상하로 이격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층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되므로, 과일포장용기의 하부 쪽 과일이 상부 쪽 과일에 눌려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딸기와 같이 무른 과일을 신선한 상태로 보다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경우 복수개의 용기부와 하나의 덮개부 만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용기부에 대응하도록 상호 구획된 복수개의 수용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과일포장용기를 이용하게 되면 과일을 상호 이격된 수용공간을 통해 적층되도록 포장할 수 있게 되면서도 덮개부를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과일포장용기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기는 과일을 상하부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적층되도록 포장할 수 있고, 과일이 수용되는 각 수용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상부 쪽 용기부를 개방시켜 하부 쪽 과일의 상태를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품질을 유통과정에서 수시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용기부가 제2용기부에 의해 개방되어 제1수용공간에 과일이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제2용기부를 통해 제1용기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수용공간에 과일이 포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c은 도 1b에서 제2개구를 덮개부로 덮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서 제1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서 제2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수용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 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 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에서 제1용기부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제1 및 제2수용공간이 모두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일포장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는 딸기와 같이 무른 과일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제1개구(11)를 구비하는 제1용기부(10)와, 제2개구(21)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구(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용기부(20)와, 상기 제2개구(21)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 사이에는 제2용기(20)를 통해 개폐되는 제1수용공간(10a)이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10a) 상부가 되는 제2용기부(20)와 덮개부(30) 사이에는 덮개부(30)에 의해 개폐되는 제2수용공간(20a)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2용기부(10,20)는 각각 일단이 개방된 사각 통 모양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용기부(10,20)는 다양한 재질을 통해 구성될 수 있으나, 가격과 제작의 용이성 및 투명성 등을 고려하여 페트(PET)병과 같이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금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용기부(10)는 제2용기부(20)를 상부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제2용기부(20) 보다 큰 높이와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제2용기부(20)는 제1용기부(10)의 상부 쪽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제1 및 제2개구(11,21) 둘레에는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가 각각 형성되며, 제1 및 제2용기부(10,20)는 제2용기부(20)를 통해 제1개구(11)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1)를 통해 상호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연결부(41)의 경우 회동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용기부(10)의 측벽에는 제2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수용공간(10a)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10b)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1 및 제플랜지부(12) 각 모서리 쪽 상면에는 플랜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되는 지지부(13,22a)가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부(12,22a)는 제1개구(11)가 제2용기부(20)에 의해 폐쇄되는 과정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포개어진다.
그리고 지지부(22a)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22a)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어 제2개구(2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수용공간(20a)과 외부 사이가 원활하게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리브(22b)가 마련된다. 연통리브(22b)와 제2개구(21) 사이에는 틈새(22c)가 형성되며, 연통리브(22b)의 외곽 쪽 끝단은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의 다른 부위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손잡이부(22d)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2d)는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과일포장용기(1)를 운반할 때 용이하게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 손잡이부(22d)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연통리브의 폭은 지지부(22a)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1) 반대쪽이 되는 제1플랜지부(12) 양측의 지지부(13) 상면에는 하부 쪽으로 함몰되도록 융기되어 제1플랜지부(12)와 일체로 형성된 홈부(14)가 각각 마련되며, 제2용기부(20)가 제1용기부(10) 쪽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홈부(14)에 대응되는 제2플랜지부(22) 양측에는 상기 홈부(14)에 끼움방식으로 착탈 되도록 마련된 돌기부(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2용기부(10,20)는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며, 상기 연결부(41) 및 지지부(13,22a), 상기 연통리브(22b)와 상기 홈부(13) 및 돌기부(23)는 상기 금형에 마련되는 대응되는 형상을 통해 제1 및 제2용기부(10,20)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0)는 합성수지를 통해 제작된 얇은 시트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덮개부(30)는 상부 쪽에서도 제2용기부(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접착제를 통해 용기부(10,20)에 부착됨으로써 제2개구를 가리게 된다. 이때 덮개부(30)는 양 끝단이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 끝단을 감싼 상태로 제1플랜지부(12) 하면에 접착되는 방식이나 외곽 쪽 하면이 제2플랜지부의 지지부(22a) 및 연통리브(22b) 상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방식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덮개부(30) 중앙에는 덮개부(30)를 통해 제2개구(2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 내부와 외부 사이가 보다 원활하게 통기될 수 있도록 통기공(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수용공간(20a)의 개방시 이러한 덮개부(30)는 제2개구(21)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된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를 이용한 과일포장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a와 같이 제1용기부(10)의 제1개구(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수용공간(10a)에 딸기 등의 무른 과일을 담게 된다. 이때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되는 과일은 유통과정에서 하부 쪽 과일이 상부 쪽 과일에 의해 눌려지거나 상부와 하부 쪽 과일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단층을 이룬 상태로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 안쪽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가 상호 지지되고 제1 및 제2개구(11,21)가 상호 포개어지면서 제2용기부(20)는 제1용기부(10) 상부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개구(11)를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 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각 돌기부(23)가 대응하는 홈부(14)에 결합되면서 제2용기부(10)는 제1개구(11)를 폐쇄한 상태로 제1용기부(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개방된 상부 쪽 제2수용공간(20a)에 다시 또 한 층의 무른 과일을 담게 되며, 제2수용공간(20a)에 과일을 담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2개구(21)가 폐쇄되도록 제2플랜지부(22)에 상기 덮개부(30)를 접착제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과일포장상자(1)를 이용한 과일포장작업은 이로써 완료된다. 이때 폐쇄된 제2수용공간(20a)은 덮개부(30)에 형성되는 통기공(31) 및 상기 틈새(22c)를 통해 외부와 원활히 소통되며, 제1수용공간(10a)은 상기 연통공(10b)을 통해 외부와 원활히 소통된다. 참고로 도 1c의 경우 수용공간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내부에 수용되는 딸기의 구조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이 상태로 유통되는 무른 과일은 제1수용공간(10a)과 제2수용공간(20a)을 통해 2단으로 적재된 상태에서도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과 제2수용공간(20a)에 수용된 과일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일포장방법에 따르면,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이 제2수용공간(20a)에 수용된 과일에 눌려 손상되거나 상부와 하부 쪽 과일들이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호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부패된 과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과일의 부패전이현상이 같은 층의 과일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단속할 수 있게 되므로, 딸기 등의 무른 과일을 신선한 상태로 보다 장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일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이 제2용기부(20) 바닥에 눌려지거나 제2수용공간(20a)에 수용된 과일이 덮개부(30)에 눌려지는 일이 없도록 과일포장과정에서는 포장될 무른 과일의 사이즈나 과일포장용기(1)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되는 과일은 제1용기부(10)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 바닥과 이격되고, 제2수용공간(20a)에 수용되는 과일은 제2용기부(20)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덮개부(30)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의 경우 2개의 용기부(10,20)와 하나의 덮개부(30) 만을 이용하여 용기부(10,20)의 수에 대응하도록 상호 구획된 2개의 수용공간(10a,20a)을 확보하게 되므로, 이러한 과일포장용기(1)를 이용하게 되면 과일을 상호 이격된 수용공간(10a,20a)을 통해 적층되도록 포장할 수 있게 되면서도 덮개부(30)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과일포장용기(1)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과일의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가 제1용기부(10) 상부 내측에 위치되는 만큼 과일포장용기(1)의 전체 부피가 과도하게 커질 우려도 없게 되어 과일포장용기(1)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대되면서 유통비용이 상승하게 될 우려도 없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포장이 완료된 과일포장용기(1)는 상기 홈부(14)로부터 상기 돌기부(23)가 이탈되도록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 외측으로 회동 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제1수용공간(10a)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유통과정에서 상부 쪽 과일을 일일이 드러낼 필요 없이 제2용기부(20)를 개방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제1수용공간(10a)의 과일 상태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과일포장용기(1) 및 과일포장방법에 따르면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품질 상태를 유통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제2용기부(20)를 회동시켜 제1개구(11)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부(41)를 통해 제1 및 제2용기부(10,20) 사이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 내측으로 회동시켜 제1개구(11)를 다시 폐쇄하는 작업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2)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2)는 제1 및 제2포장용기(10,20)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1플랜지부(12)의 각 모서리 쪽 지지부(13)에는 각각 홈부(14)가 형성되고, 제2플랜지부(22)의 지지부(22a) 쪽에는 상기 각 홈부(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23)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2) 및 포장방법에 따르면, 제1수용공간(10a)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덮개부(30)를 통해 내부가 폐쇄된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와 따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제2수용공간(20a)에 포장된 과일을 제1수용공간(10a)에 포장된 과일과 시간차를 두고 나중에 따로 이용하기에 편리해 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제2용기부(20)나 덮개부(30)가 제1용기부(10)와 일체로 마련되지 않은 경우 제1용기부(10)는 발포성 재질의 EPS(Expandable polystyrene, 발포폴리스티렌)나 EPE(Expandable polyethylene, 발포폴리에틸렌) 와 같은 연/경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금형을 통해 박스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포장용기가 견고한 박스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는 유통과정에서 과일포장용기를 별도의 단단한 박스에 넣을 필요가 없어 편리해 진다. 이때 제2용기부는 제1용기부와 같은 재질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제2용기부가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하여 PET PE PP 등을 통해 전술된 얇고 투명한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때는 덮개부(30)를 개방하고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로 외부로 꺼내는 과정에서도 이용자가 상기 연통리브(22b) 외측 끝단의 손잡이부(22d)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용기부(20)를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제2용기부(20)를 보다 손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용기부(10)의 운반편리성을 고려했을 때이러한 운반손잡이부(22d)는 제1용기부(10)의 제1플랜지부(12) 쪽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3)가 도시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3)는 제1 및 제용기부(10,20)와 덮개부(30)가 제1 및 제2개구(11,21)의 개폐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체로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서 제2용기부(20)와 덮개부(30)는 각각 제1용기부(10)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2용기부(20)는 제2개구(21) 둘레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22)를 통해 제1개구(11) 둘레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2) 일측과 연결부(4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덮개부(30)는 둘레에 형성되는 제3플랜지부(32)를 구비하여 이러한 제3플랜지부(32)를 통해 제1플랜지부(12) 타측과 연결부(42)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2용기부(20)와 덮개부(30)는 제 1 및 제2개구(11,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용기부(10)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과일의 포장작업시 과일포장용기가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는 과일포장용기(3)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30)도 제 1 및 제2용기부(10,20)와 함께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또 이때는 덮개부(30)도 단순한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제2개구(21)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에서 부호 14와 23은 각각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 사이의 고정을 위해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홈부와 돌기부이고, 부호 24와 33은 덮개부(30)와 제2용기부(20) 사이의 고정을 위해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돌기부와 홈부를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플랜지부(12) 각 모서리 상면에 상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된 지지부(13)가 마련되고, 제3플랜지부(32) 각 모서리 하면에는 제2개구(21)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된 지지부(34)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개구(11,2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플랜지부(12) 상부에 제2플랜지부(22)가 밀착되도록 지지되고 제2플랜지부(22) 상부에 제3플랜지부(32)가 지지되는데, 이에 따라 제1개구(11)가 제2용기부(2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제1용기부(10) 내부는 상기 연통공(10b)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제2개구(21)가 덮개부(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 내부는 상기 연통리브(22b)와 연통리브(22b) 주변으로 형성되는 틈새(52)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되므로, 이때는 덮개부(30)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제2수용공간(20a)의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게 된다.
제2수용공간(20a)이 덮개부(30)의 회동동작에 의해 개폐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3)의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을 통해 내부에 과일이 포장하고 제1수용공간(10a)의 포장된 과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과일포장용기(3)의 경우 재질적 특성상 유연하고 플랙시블 한데, 제3실시예의 경우 제1개구(11)가 제2용기부(2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의 한 쪽은 연결부(41)를 통해 제1용기부(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데 반해, 그 반대쪽에는 연결부와 같은 구성이 없어 제1용기부와 연결 상태가 강력하지 못하므로, 이때는 제2용기부(20)에 수용되는 과일의 무게가 과다할 경우 제2용기부(20)가 하부로 처지면서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을 누를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4)를 도시한 도 4와 같이, 연결부(41) 반대쪽이 되는 제1용기부(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개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의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5)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지지턱(15)에는 제1수용공간과 외부 사이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15a)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5)의 구조가 도시된 도 5와 같이, 이러한 지지턱(15)은 제1용기부(10)의 양 쪽 내측면에 모두 형성되도록 할 수 도 있으며, 이때는 상기 연결부(41)와 양쪽의 지지턱(15)을 통해 제1용기부(10) 상부 내측에 위치된 제2용기부(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4 및 제5실시예의 경우 지지턱(15)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3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6)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6)는 제1용기부(10)와 덮개부(30)가 제2용기부(20)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제1 및 제용기부(10,20)와 덮개부(30)가 제1 및 제2개구(11,21)의 개폐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서 제2용기부(20)는 제2개구(21) 둘레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22)를 통해 제1개구(11) 둘레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2) 일측과 연결부(4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덮개부(30)는 둘레에 형성되는 제3플랜지부(32)를 구비하여 이러한 제3플랜지부(32)를 통해 제2플랜지부(22) 일측과 연결부(42)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및 제2개구(11,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용기부(10)와 덮개부(30)는 제2용기부(20) 양측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6)의 경우 제2수용공간(20a)이 덮개부(30)를 통해 폐쇄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를 통해 제1개구(11)를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과일포장용기(6)는 제 3 내지 제5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의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제2수용공간(20a)의 과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7)가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7)는 제2용기부(20)와 덮개부(30)가 상호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용기부(10)는 제2용기부(20) 하부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는 제2용기부(20)와 덮개부(30)가 제2플랜지부(22)와 제3플랜지부(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1)를 통해 상호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및 제3플랜지부(22,32)의 각 모서리 쪽 대향면에는 덮개부(30)를 통해 제2개구(2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용기부(2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지지부(23,33)가 마련되며, 덮개부(30)는 상기 연결부(42) 반대 쪽 제2플랜지부(22)에 일체로 형성된 홈부(24)와 이에 대응하도록 제3플랜지부(32)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34) 간의 착탈 동작을 통해 제2개구(21)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2용기부(20)의 바닥 하면 각 모서리에는 상부 쪽으로 함몰되도록 융기된 홈부(25)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25)와 대응하는 제1플랜지부(12)의 상면에는 상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되어 상기 홈부(25)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13)가 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7)의 경우 덮개부(30)를 통한 제2개구(21)의 개폐 편리성을 확보됨과 동시에 제2실시에와 같이 제1수용공간(10a)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덮개부(30)를 통해 제2개구(21)가 폐쇄된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와 따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제2수용공간(20a)에 포장된 과일을 제1수용공간(10a)의 과일과 시간차를 두고 나중에 따로 이용하기에 편리해 진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8)가 도시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8)는 덮개부(30)가 제1용기부(10)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고, 제2용기부(20)는 제1용기부(10) 및 덮개부(30)와 별도로 마련된 상태에서 제1개구(11)의 폐쇄시 제2개구(21)가 상기 제1개구(11)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10)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제1용기부(10)와 덮개부(30)는 제1 및 제3플랜지부(12,32)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41)를 통해 상호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41) 반대쪽 제1플랜지부(12)의 지지부(13) 상면에는 하부 쪽으로 함몰되도록 융기된 홈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4)에 대응하는 제2플랜지부(22)의 지지부(13) 하면에는 하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된 돌기부(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24) 쪽 제2플랜지부(22) 상면은 하부 쪽으로 함몰되도록 융기된 홈부(25)를 함께 형성하게 되며, 제3플랜지부(32)의 지지부(33) 하면에는 상기 홈부(25)에 대응하도록 하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융기된 돌기부(34)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8)는 제2개구(21)가 개방되도록 덮개부(30)를 개방하여 제2용기부(20)를 제1용기부(10)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34)가 상기 홈부(14)에 끼워지도록 덮개부(30)를 다시 회동시켜 제1개구(11)를 덮개부(30)를 통해 폐쇄할 수 있게 되므로, 상부 쪽 제2수용공간(20a)에 수용된 과일을 먼저 이용한 후 하부 쪽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과일을 상부 쪽 수용공간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이용하기에 편리하다.
한편, 도 8b와 도 8c를 참고하면, 제1개구(11)가 제2용기부(20)에 의해 폐쇄될 경우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는 그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호 전체적으로 밀착되고, 이때는 제2용기부(20)의 측벽도 전체적으로 제1용기부(10) 측벽에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제1수용공간(10a)과 외부 사이가 제대로 연통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용기부(10)에는 제1 및 제2용기부 바닥 사이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유로(18)가 마련되며, 이러한 연통유로(18)는 제1용기부(10) 측벽 일측을 바깥쪽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슬리브 형태의 절곡부(19)를 통해 제1용기부(10) 측벽과 일체로 형성 된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9)가 도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9)는 덮개부(30)가 제2용기부(20)와 연결부(41)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제1개구(11)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20)는 제2개구(21)가 상기 제1개구(11)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10)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때는 제2수용공간(20a)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수용공간(10a)을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부피가 큰 하부쪽 제1용기부(10)에 수용된 과일을 먼저 이용하고, 부피가 작은 상부쪽 제2용기부(20)에 수용된 과일을 다른 곳에 가져다 두었다가 나중에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10a)과 제2수용공간(20a) 순서로 내부에 포장된 과일을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과정에서 과일포장용기(9)의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9에서 부호 12a는 상기 제1플랜지부(12)의 양쪽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손잡이부(12a)를 가리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개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플랜지부(12,22)는 그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상호 밀착되고, 제2용기부(10,20)의 측벽은 전체적으로 제1용기부 측면에 밀착되므로, 제1용기부(10)의 일 측벽에는 제8실시예와 같이 제1개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포장용기(10,20)의 바닥 사이와 과일포장용기(9)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유로(18)가 절곡부(19)를 통해 일체로 마련된다.
또 제10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90)의 구조가 도시된 도 10과 같이, 연통유로(18)는 계단형태의 절곡부(19a)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미설명부호 19b 절곡부(19)에 형성된 연통공을 가리킨다. 또 제11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기(91)에서 제1용기부(10)의 상부 구조가 도시된 도 11과 같이, 연통유로(18)는 상단이 제1개구(11)와 통하도록 상기 제1용기부(10) 내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계단형 절곡부(19c)를 통해 구성될 수도 있겠다. 이때는 절곡부(19c)가 상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절곡부(19c)에 별도의 연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수용공간과 외부 사이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과일은 성숙과정에서 성숙을 촉진시키는 식물 호르몬 중의 하나인 에틸렌가스를 배출하고, 이러한 에틸렌가스는 과일의 성숙 과정에서는 맛을 향상시키고 색을 먹음직스럽게 만드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과일은 수확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살아있는 유기체로써 물질대사와 생리작용을 지속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일은 유통과정에서도 에틸렌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에틸렌가스는 과일의 과도한 성숙과 노화를 유발하여 과일조직을 연화시키고 과일이 부패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특히 딸기와 같이 조직이 물러 부패가 쉬우며 포장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유통되는 무른 과일의 경우 포장용기 내부에 이러한 에틸렌가스가 축적될 경우 다른 과일에 비해 더욱 신속하게 부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과일의 유통과정이 길어질 경우 포장용기 내부 과일에는 곰팡이가 생장하여 과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에서는 딸기와 같은 무른 과일의 신선도를 보다 장기간 동안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과일포장용기에 에틸렌가스를 흡수하여 제거하거나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선도유지제가 설치된다.
선도유지제는 다공성 필름, 부직포와 같이 통기가 좋은 필름 형태의 포장재와,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는 선도유지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도유지성분은 에틸렌가스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에틸렌가스 흡수제와, 곰팡이 생장을 억제하는 곰팡이 방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도유지성분은 담체에 함유된 상태로 포장재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도유지성분은 에틸렌가스 흡수제만 이용되며, 에틸렌가스 흡수제로는 에틸렌 분해능력이 높은 과망간산칼륨(KMno4)을 포함하는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이러한 선도유지제(300)가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12 내지 제1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00,110,120)의 요부 구조가 도시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내지 제1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00,110,120) 역시 딸기와 같이 무른 과일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이에 제1수용공간(10a)을 형성하는 제1용기부(10) 및 제2용기부(20)와, 제2용기부(20)와의 사이에 제2수용공간(20a)을 형성하는 덮개부(30)를 구비한다. 제2수용공간(20a)은 제1수용공간(10a) 상부로 위치되고, 제2용기부(20)는 제1수용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덮개부(30)는 제2수용공간(2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 12 내지 제1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00,110,120)를 이용한 과일포장방법의 경우에도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을 각각 제1수용공간(10a)과 제2수용공간(20a)에 각각 단층을 이루도록 포장할 수 있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10a)에 수용된 과일이 제2수용공간(20a)에 수용된 과일에 눌려 손상되거나 상부와 하부 쪽 과일들이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호 마찰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상기 제1 및 제11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방법의 전반적인 작용효과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00)에 있어서, 덮개부(300) 중앙부(210)에는 설치공간(212)이 마련되며, 이러한 설치공간(212)에는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10a,20a)의 무른 과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가스를 흡수하기 위한 선도유지제(3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공간(212)은 덮개부(30) 중앙부(210) 외면에 상기 제2수용공간(20a)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함몰부(211) 내부공간을 통해 마련되고, 선도유지제(300)가 수용된 상태에서 함몰부(211)의 개구는 밀폐부재(400)를 통해 밀폐되며, 함몰부(211)에는 설치공간(212)과 제2수용공간(20a)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211a)이 마련되고, 제2용기부(20)의 바닥(220)에는 제1 및 제2수용공간(10a,20a)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220a)이 마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선도유지제(300)의 설치구조에서는 설치공간(212)과 과일포장용기(100) 외부 사이는 차단되면서 제1 및 제2수용공간(10a,20a)이 모두 설치공간(212)과 연통되어 설치공간(212)에 설치된 선도유지제(300)를 통해 제1 및 제2수용공간(10a,20a)의 과일로부터 발생되는 에틸렌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선도유지제(300)의 설치 위치가 설치공간(212) 내부로 한정됨에 따라 유통과정에서 과일포장용기(10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선도유지제(300)가 설치공간(212)에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도유지제(300)를 통해 각 수용공간(10a,20a)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가스를 보다 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설치공간(212)은 제1 및 제2수용공간(10a,20a)의 중심에 대응하는 덮개부(30)의 중앙부(210)에 마련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212)을 통해 선도유지제(300)와 수용공간(10a,20a)에 수용되는 과일 간의 접촉이 방지된 상태에서는 선도유지제(300)의 성분을 통해 과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수용공간(10a,20a)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선도유지제(300)가 이용자 쪽으로 잘 노출되지 않게 되어 어린아이들이 선도유지제(300)를 만지거나 없앨 우려도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400)는 홍보물이 표시된 스티커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는 밀폐부재(400)가 설치공간(212)에 수용된 선도유지제(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설치공간(212)과 과일포장용기(100) 외부 사이를 차단하는 기능 외에 과일재배업자 및 유통업자의 홍보를 위한 홍보물로써도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또 스티커로 마련되는 밀폐부재(400)는 과일의 포장시에도 설치공간(212)에 수용된 선도유지제(300)의 고정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1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10)에 있어서 설치공간(222)은 제2용기부(20) 바닥(220)에 제1수용공간(10a)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221)를 통해 마련되고, 함몰부(221)의 개구는 폐쇄부재(500)를 통해 폐쇄되며, 함몰부(221)에는 상기 설치공간(222)과 제1수용공간(10a)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221a)이 마련되며, 폐쇄부재(500)에는 설치공간(222)과 제2수용공간(20a)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501)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수용공간(10a)과 제2수용공간(20a)의 경계 지점에 선도유지제(300)가 위치하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10a)과 제2수용공간(20a)의 과일로부터 배출되는 에틸렌가스를 선도유지제(300)를 이용하여 더욱 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폐쇄부재(500) 역시 설치공간(222)에 수용된 선도유지제(300)의 고정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홍보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홍보물이 표시된 스티커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2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20)는 선도유지제(300)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322)이 제1용기부(10)와 상기 제2용기부(20)의 상호 대응하는 측벽 사이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설치공간(322)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용기부(20)의 측벽(310)에 대응하는 제1용기부(10)의 일 측벽(320) 내측에는 상부로 개방된 설치부(3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설치공간(322)은 이러한 설치부(321) 내부공간을 통해 마련되어 선도유지제(300)가 설치부(321)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20)의 경우 설치부(321)를 통해 과일과 선도유지제(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설치부(321)에 대응하는 제2수용공간(20a)의 측벽(310)에는 제 1 및 제2수용공간(10a,20a)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3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과일포장용기(120) 및 과일포장방법에 따르면, 설치공간(322)을 별도로 밀폐하거나 폐쇄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선도유지제(300) 설치에 따른 과일포장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12 내지 제14실시예의 경우 설치공간(212,222,322)이 과일포장용기(100,110,120)에 하나만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있어서 설치공간의 설치구조는 선도유지제를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과일과의 접촉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수용공간에 대하여 각각 하나 씩 개별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제1 내지 제14 실시예에서는 과일포장용기가 한 쌍의 용기부와 한 쌍의 수용공간만을 포함하도록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로 인접한 용기부 사이에 각각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용기부가 상호 적층되고 최상부 쪽 용기부 내부의 수용공간이 덮개부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2개의 이상의 복수개의 수용용기 및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 이상에서는 무른 과일 중에서도 가장 무른 편에 속하는 딸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술한 내용에서 과일은 딸기를 포함하여 연시 체리 살구 자두 키위 단감 대저토마토 천도복숭하와 같이 사과나 배 같은 과일에 비해 과피가 얇고 내용물이 무른 여러 과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10: 제1용기부 10a: 제1수용공간
20: 제2용기부 20a: 제2수용공간
30덮개부

Claims (24)

  1.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포장을 위한 과일포장용기에 있어서,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1용기부와,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용기부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과일을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사이와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개구를 덮는 시트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와 덮개부 중 적어도 두개는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와 덮개부는 상기 제1 및 제2개구의 개폐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는 각각 상기 제1용기부에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용기부는 상기 제2개구 쪽을 통해 상기 제1개구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개구 타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상기 제1용기부 안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의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8. 제 4항에 있어서,
    제1용기부와 덮개부는 각각 상기 제2용기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용기부는 상기 제1개구 쪽을 통해 상기 제2개구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개구 타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상기 제1용기부 안쪽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는 상기 제1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호 분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 둘레의 상기 제1용기부에는 제1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개구 둘레의 상기 제2용기부에는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1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용기부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용기부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용기부는 상기 제2용기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용기부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개구의 폐쇄시 상기 제2용기부는 제2개구가 상기 제1개구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용기부 상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구 둘레에는 각각 제1 및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덮개부 둘레에는 제3플랜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플랜지부는 상호 지지되도록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구 둘레에는 각각 제1 및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1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의 측벽은 전체적으로 상호 밀착되며,
    상기 제1용기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바닥 사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부의 측벽에는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바닥 사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유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용기부 사이에는 상기 과일의 수용을 위한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에는 상기 과일의 수용을 위한 상기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과일의 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선도유지제를 상기 과일과 접촉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하도록 마련된 설치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제2용기부의 바닥과, 상기 제1용기부의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덮개부 외면에 상기 제2수용공간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의 개구는 밀폐부재를 통해 밀폐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제2용기부 바닥에 상기 제1수용공간 쪽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함몰부의 개구는 폐쇄부재를 통해 폐쇄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제1수용공간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마련되며,
    상기 폐쇄부재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연통을 위한 연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22.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을 포장하기 위해 복수개의 용기부와 하나의 덮개부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개의 용기부는 상하로 인접한 용기부 사이에 각각 개폐 가능한 별도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적층되고, 상기 덮개부는 최상부 쪽 용기부를 덮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기.
  23. 딸기를 포함하는 무른 과일의 포장을 위한 과일포장방법에 있어서,
    제1개구를 구비하는 제1용기부와,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제2용기부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부와, 상기 제1용기부와 상기 제2용기부 사이를 통해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과, 상기 제2용기부와 덮개부 사이를 통해 상기 제1수용공간 상부에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과일포장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과일이 상기 제1 및 제2수용공간에 각각 단층을 이루도록 수용되게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과일은 상기 제1용기부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용기부 바닥과 이격되도록 포장되고,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과일은 상기 제2용기부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와 이격되도록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방법.
KR1020100100659A 2010-10-15 2010-10-15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KR20120039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59A KR20120039132A (ko) 2010-10-15 2010-10-15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59A KR20120039132A (ko) 2010-10-15 2010-10-15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32A true KR20120039132A (ko) 2012-04-25

Family

ID=4613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659A KR20120039132A (ko) 2010-10-15 2010-10-15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1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770A (ko) 2015-04-17 2016-10-26 김희준 과일 보호 기능과 포장 효율을 향상시킨 과일 포장 박스
EP3223615A1 (en) * 2014-11-27 2017-10-04 Tessara (Pty) Ltd Antimicrobial cover
CN108285000A (zh) * 2017-12-31 2018-07-17 长乐巧通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葡萄的运输储存装置
KR102054282B1 (ko) * 2018-12-28 2019-12-10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포장용 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3615A1 (en) * 2014-11-27 2017-10-04 Tessara (Pty) Ltd Antimicrobial cover
KR20160123770A (ko) 2015-04-17 2016-10-26 김희준 과일 보호 기능과 포장 효율을 향상시킨 과일 포장 박스
CN108285000A (zh) * 2017-12-31 2018-07-17 长乐巧通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葡萄的运输储存装置
KR102054282B1 (ko) * 2018-12-28 2019-12-10 주식회사 플랜에이크리에이티브그룹 포장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7060B1 (en) Container with vented intermediate separator
US10364066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CA2578918C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NO324584B1 (no) Snuff-box lid
JP5597201B2 (ja) 2つの対向する蓋を有する容器
KR101023191B1 (ko) 과일용 포장 상자
KR100430956B1 (ko) 줄기가 긴 화훼용 포장구
KR20120039132A (ko)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KR20170143349A (ko) 과일포장용기
KR101453736B1 (ko) 과일 포장상자
US20120141637A1 (en) Multiple Compartment Coffee Packaging System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200468667Y1 (ko) 김치 포장용기
KR200453692Y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20120117173A (ko) 포장상자
KR102087231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120039131A (ko) 과일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EP3746368B1 (en) Optimized system box and bag for packing, shipping, storing and displaying produce
JP5487151B2 (ja) 青果物梱包容器
KR200483857Y1 (ko) 식자재 운반 및 보관용 용기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JP3126472U (ja) 蓋付き容器
KR200408227Y1 (ko) 국수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