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173A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173A
KR20120117173A KR1020110034766A KR20110034766A KR20120117173A KR 20120117173 A KR20120117173 A KR 20120117173A KR 1020110034766 A KR1020110034766 A KR 1020110034766A KR 20110034766 A KR20110034766 A KR 20110034766A KR 20120117173 A KR20120117173 A KR 20120117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ntainer
containers
upper container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교
Original Assignee
서정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교 filed Critical 서정교
Priority to KR102011003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173A/ko
Publication of KR2012011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3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75/324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the compartments being interconnected, e.g. by small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2577/041Details of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2577/042Comprising several inner containers
    • B65D2577/047Comprising several inner containers stacked and arranged side by side
    • B65D2577/048Comprising several inner containers stacked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intermediate trays, plates

Abstract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원단을 가열된 상태로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마련된 것으로, 개구 쪽을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용기, 상기 한 쌍의 용기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용기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각 용기의 내부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포장상자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이용하게 되면, 상호 구획되는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통해 내용물을 상하 2단으로 구획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에 포장되는 내용물과 제2수용공간에 포장된 내용물 간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무른 과일 등 신선도가 쉽게 저하되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되면서도 하나의 포장상자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량의 내용물을 경제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포장상자{A packaging box}
본 발명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시트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신선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보다 많은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근래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원단을 연화되도록 가열한 상태에서 용기 형태의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성형된 포장상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금형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내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포장된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한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통상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수용공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몸통에 결합되는 덮개를 구비한다.
한편, 과일의 경우에도 이러한 포장상자를 이용하여 포장되는 일이 많은데, 부피가 그리 크지 않은 과일의 경우 흔히 이러한 포장상자의 수용공간에 복수개가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포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포장상자 내부에 복수개의 과일이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포장되는 방식의 경우 과일의 종류에 따라서는 과일의 신선도를 급속도로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연시나 키위 등과 같이 껍질이 얇고 내용물이 물렁한 무른 과일은 다단으로 적재될 경우 하부 쪽 과일이 상부 쪽 과일의 무게에 눌려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이처럼 손상된 과일은 짧은 기간 내에 부패가 되는데, 이때는 상부와 하부 쪽 과일이 상호 밀착되어 있는 관계로 특정 과일에서 발생한 부패현상이 전체적으로 빠르게 전이되면서 포장상자 내부 전체 과일의 신선도가 급속도로 저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 무른 과일은 대부분 하나의 포장상자에 1단으로 포장된 상태에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경우 포장상자에 넣을 수 있는 과일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되면서 소비자가 한 번에 구매하고자 하는 량의 과일을 하나의 포장상자에 포장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최근 무른 과일의 판매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1단으로 수용된 2개의 포장상자(1)를 테이프(2)나 끈을 사용하여 한 묶음이 되도록 연결하는 방식의 포장구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포장방식에서는 포장시 이용되는 포장상자(1)의 숫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각 포장상자(1)의 용기(1a)와 덮개(1b)를 형성하는 합성수지 시트의 사용량이 과도하게 증가되고, 별도의 테이프(2)나 끈 등이 추가적으로 이용되어야 했기 때문에, 내용물의 포장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시트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것으로, 신선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보다 많은 량의 내용물을 경제적으로 포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원단을 가열된 상태로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마련된 것으로, 개구 쪽을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용기, 상기 한 쌍의 용기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용기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각 용기의 내부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용기는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용기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용기로 구분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상부용기의 개폐를 위해 상기 상부용기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용기의 개구 둘레에는 제1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용기의 개구 둘레에는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용기는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를 통해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지지된 제1 및 제2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 일측 사이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에는 상기 하부용기와 하부용기 상부에 적층된 상부용기의 착탈을 위한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와 상기 칸막이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상부용기에 대한 상기 칸막이의 착탈을 위한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칸막이를 회피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상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용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각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 끝단은 상기 상부용기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용기의 바닥에는 상기 칸막이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원단을 가열된 상태로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마련된 것으로, 개구 쪽을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용기, 상기 한 쌍의 용기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용기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각 용기의 내부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 칸막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이용하게 되면, 상호 구획되는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을 통해 내용물을 상하 2단으로 구획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에 포장되는 내용물과 제2수용공간에 포장된 내용물 간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무른 과일 등 신선도가 쉽게 저하되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되면서도 하나의 포장상자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량의 내용물을 경제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포장상자를 이용한 포장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상부용기가 하부용기 상부에 적층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상부용기가 하부용기의 제1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하부용기 상부에 적층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상부용기가 하부용기 상부에 적층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필름이나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원단을 연화되도록 가열한 상태에서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금형 표면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10)는 개구 쪽을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용기(20,30)와, 한 쌍의 용기(20,30)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쌍의 용기(20,30)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각 용기(20,30)의 내부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 칸막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용기(20,30)는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용기(20)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용기(30)로 구분된다. 하부용기(20) 내부공간은 제1수용공간(20a)을 이루고, 상부용기(30) 내부공간은 제2수용공간(30a)을 이루며, 이에 따라 하부용기(20)의 제1수용공간(20a)은 상부용기(30)를 통해 개폐된다. 그리고 칸막이(40)는 제2수용공간(30a)의 개폐를 위해 상부용기(30)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용기(20,30)가 각각 제1 및 제2수용공간(20a,30a)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40)를 통해 제1 및 제2수용공간(20a,30a) 사이를 구획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기 포장상자(10)를 이용하게 되면, 상호 구획되는 제1수용공간(20a)과 제2수용공간(30a)을 통해 내용물(k)을 상하 2단으로 구획하여 포장할 수 있게 되므로, 제1수용공간(20a)에 포장되는 내용물(k)과 제2수용공간(30a)에 포장된 내용물(k)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무른 과일 등 신선도가 쉽게 저하되는 내용물(k)을 효과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되면서도 보다 많은 량의 내용물(k)을 하나의 포장상자(10)를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서 내용물(k)로는 무른 과일 중 하나인 키위가 되도록 하였다.
하부용기(20)의 개구 둘레에는 제1플랜지부(21)가 마련되고, 상부용기(30)의 개구 둘레에는 제2플랜지부(31)가 마련되어 상부 및 하부용기(20,30)는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플랜지부(21,31)를 통해 상호 지지되며, 상부 및 하부용기(20,30)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플랜지부(21,31)의 일측 사이는 연결부(50)를 통해 연결된다.
칸막이(40)는 테두리가 상부 및 하부용기(20,30)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는 제1 및 제2플랜지부(21,3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지지되어 상부 및 하부용기(20,30) 사이에서 안정한 자세를 취하게 되며, 제1 및 제2플랜지부(21,31)에는 각각 제1 및 제2수용공간(20a,30a)과 외부와의 원활한 공기유통을 위한 연통홈(21a,31a)이 마련된다.
연통홈(21a,31a)은 각 플랜지부(21,31)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칸막이(40)의 테두리는 연통홈(21a,31a) 사이사이의 제1 및 제2플랜지부(21,31)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지지된다.
하부용기(20)의 저부 내면에는 제1수용공간(20a)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부용기(30) 상부 내면 둘레에는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지지를 위한 지지홈(32)이 형성된다.
안착홈(22)은 내용물(k)의 저부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고, 지지홈(32)은 내용물(k)의 상부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포장상자(10) 여러 개를 다단으로 적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지지홈(32) 사이의 상부용기(30) 상부에는 상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10)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평탄부(33)가 마련되고, 각각의 안착홈(22)의 저부가 되는 하부용기(20) 하부에는 하부에 적재되는 포장상자(10)의 제1평탄부(33)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제2평탄부(23)가 마련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2a과 24은 하부용기(2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하부용기(20)의 안착홈(22)과 측벽 쪽에 일체로 마련된 보강리브를 가리킨다.
한편, 제1플랜지부(21)와 제2플랜지부(31) 사이에는 하부용기(20)와 하부용기(20) 상부에 적층된 상부용기(30)의 착탈을 위한 제1결합부(61)가 마련되고, 제2플랜지부(31)와 칸막이(40)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부용기(30)에 대한 칸막이(40)의 착탈을 위한 제2결합부(62)가 마련된다.
제1결합부(61)는 연결부(50) 반대 쪽 제2플랜지부(31)의 양 모서리 쪽에 형성된 한 쌍의 제1돌기부(31b)와, 상기 제1돌기부(31b)가 가압된 상태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각 제1돌기부(31b)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플랜지부(21)의 양 모서리 쪽에 형성된 제1홈부(21b)를 통해 구성된다. 그리고 제2결합부(62)는 제2플랜지부(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제2홈부(31c)와, 가압된 상태에서 제2홈부(31c)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각 제2홈부(31c)의 위치에 대응하는 칸막이(40)의 일면 쪽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돌기부(41)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결합부(61)는 제1돌기부(31b)와 제1홈부21b 사이가 칸막이(40)의 테두리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칸막이(40)를 회피하여 마련된다.
상기 돌기부(31b,41)와 홈부(21b,31c)는 해당 플랜지부(21,31) 및 칸막이(40) 한쪽을 융기시키거나 함몰시켜 플랜지부(21,31) 및 칸막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1b,41)의 위치에 홈부(21b,31c)가 형성되도록 하고 홈부(21b,31c)의 위치에 돌기부(31b,41)가 형성되도록 하는 등 제1결합부(61)가 칸막이(40)를 회피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돌기부(31b,41)와 홈부(21b,31c)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칸막이(40)에 있어서 제2돌기부(41) 안쪽으로는 제2수용공간(30a)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42)가 일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42)는 칸막이(40)의 제2돌기부(41) 안쪽을 한 쪽으로 융기시켜 형성된 것으로, 칸막이(40)는 이러한 돌출부(42)를 통해 구조적으로 강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제2수용공간(30a)에 돌출부(42)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돌출부(42) 주변의 내용물(k) 사이가 돌출부(42)에 의해 차단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부(42)는 유통과정에서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된 내용물(k) 간의 충돌이나 접촉을 억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돌출부(42)는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되는 각 내용물(k)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게 제2수용공간(30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되어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된 내용물(k)이 돌출부(42)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부(42)는 상부용기(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방향 끝단이 상부용기(30)의 제1평탄부(33) 쪽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칸막이(40)는 테두리가 제1 및 제2플랜지부(21,31) 사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되는 내용물(k)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칸막이(40)의 테두리 안쪽은 제2수용공간(30a)의 내용물(k) 무게에 눌려 아래로 처질 수 있고, 이때는 제1수용공간(20a)의 내용물(k)이 칸막이(40)에 눌려 압박받을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착홈(22) 사이의 하부용기(20)의 바닥에는 상기 칸막이(40)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25)가 일체로 마련된다. 지지부(25) 역시 상기 돌출부(42)와 마찬가지로 하부용기(20) 바닥을 상부로 돌출되도록 융기시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위의 칸막이(40)의 경우 하부용기(20) 쪽에서는 함몰된 형태가 되어 지지부(25)를 통해 제대로 지지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지지부(25)의 위치는 상기 돌출부(42)를 회피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상자(10)를 이용한 내용물(k)의 포장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20)와 상부용기(30)가 상호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 및 제2수용공간(20a,30a)에 각각 내용물(k)을 수용시키게 된다. 이때 제1수용공간(20a)의 내용물(k)은 안착홈(22)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제2수용공간(30a)의 내용물(k)은 외곽 쪽이 지지홈(32)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결합부(62)를 이용하여 칸막이(40)를 상부용기(30)의 개구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칸막이(40)가 상부용기(30)에 결합됨과 동시에 칸막이(40)의 돌출부(42)가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된 내용물(k) 사이로 위치되면서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된 내용물(k)은 지지홈(32)과 돌출부(42)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칸막이(40)가 상부용기(30)의 개구에 결합되면,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0)를 기준으로 상부용기(30)를 하부용기(20) 상부로 회동시킨 후 제1결합부(61)를 통해 상부용기(30)가 하부용기(20) 상부에 적층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제2수용공간(30a)에 수용된 내용물(k)은 하단이 칸막이(40)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어 상부용기(30)를 하부용기(20) 상부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도 제2수용공간(30a) 외부로 쏟아질 우려가 없게 되며, 포장상자(10)를 이용한 내용물(k)의 포장작업은 제1결합부(61)를 통해 상부용기(30)가 하부용기(20) 상부에 적층 결합된 상태에서 완료된다.
10: 포장상자 20: 하부용기
20a: 제1수용공간 21:제1플랜지부
25: 지지부 30: 상부용기
30a: 제2수용공간 31: 제2플랜지부
40: 칸막이 42: 돌출부
50: 연결부 61: 제1결합부
62: 제2결합부

Claims (9)

  1.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원단을 가열된 상태로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마련된 포장상자에 있어서,
    개구 쪽을 통해 상호 지지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용기,
    상기 한 쌍의 용기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용기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각 용기의 내부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용기는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용기와,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용기로 구분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상부용기의 개폐를 위해 상기 상부용기의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의 개구 둘레에는 제1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용기의 개구 둘레에는 제2플랜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용기는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를 통해 상호 지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는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지지된 제1 및 제2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 일측 사이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에는 상기 하부용기와 하부용기 상부에 적층된 상부용기의 착탈을 위한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와 상기 칸막이의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상부용기에 대한 상기 칸막이의 착탈을 위한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칸막이를 회피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에는 상기 상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용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각 내용물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끝단은 상기 상부용기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의 바닥에는 상기 칸막이를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KR1020110034766A 2011-04-14 2011-04-14 포장상자 KR20120117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766A KR20120117173A (ko) 2011-04-14 2011-04-14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766A KR20120117173A (ko) 2011-04-14 2011-04-14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173A true KR20120117173A (ko) 2012-10-24

Family

ID=4728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766A KR20120117173A (ko) 2011-04-14 2011-04-14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1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58B1 (ko) 2020-10-06 2021-01-26 이재혁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KR102215632B1 (ko) 2020-12-11 2021-02-10 이재혁 보조용기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KR102486297B1 (ko) * 2022-04-01 2023-01-06 정창영 용기 제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58B1 (ko) 2020-10-06 2021-01-26 이재혁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KR102215632B1 (ko) 2020-12-11 2021-02-10 이재혁 보조용기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KR102486297B1 (ko) * 2022-04-01 2023-01-06 정창영 용기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4516A1 (en) Container apparatus
MX2008006279A (es) Recipiente plegable.
US8991604B2 (en) Egg package
US20110180446A1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KR200453946Y1 (ko)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KR20120117173A (ko) 포장상자
RU2681096C2 (ru) Разъем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клубники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CA2932279C (en) Food cup packaging assembly
KR20120039132A (ko) 과일포장용기 및 과일포장방법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JP2018104063A (ja) 果菜類輸送容器
KR101013254B1 (ko) 터널형 과일포장박스
KR101049637B1 (ko) 멀티 보관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20200014665A (ko) 식품용기용 포장재
KR200495498Y1 (ko) 상하 8각형 과일포장 종이용기
KR20039214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08227Y1 (ko) 국수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JP6695740B2 (ja) 包装用外枠体
RU151414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и вставка для нее
JP2012030887A (ja) 蓋体およびその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100586933B1 (ko) 란 포장용기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RU2773990C1 (ru) Контейнер упаковочный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