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006B1 -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006B1
KR100945006B1 KR1020080046017A KR20080046017A KR100945006B1 KR 100945006 B1 KR100945006 B1 KR 100945006B1 KR 1020080046017 A KR1020080046017 A KR 1020080046017A KR 20080046017 A KR20080046017 A KR 20080046017A KR 100945006 B1 KR100945006 B1 KR 10094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handle
coupled
handle modul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130A (ko
Inventor
유장열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엠피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피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피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00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에는 손잡이 겸용 핸들 모듈(120)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핸들 모듈(120)의 핸들 본체(122)의 하단 일측에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부재(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부재(124)의 상,하부에 볼 플런저(ball plunger)(12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핸들 모듈(120)을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볼 플런저(129)가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수납된 볼 휠(140) 표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볼 휠(14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4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 모듈(12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도어록, 볼 휠, 볼 플런저, 핸들 래치

Description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A vertical type digital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과정에서 별도의 손잡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좌수용, 우수용 구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기업체나 학교 등에서 사용하는 출입통제장치는 키에 의하여 출입자를 선별적으로 통과시키는 도어록 또는 도어록 자체에 디지털 형식을 취하는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lock)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록에 신호를 주어서 개개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또한,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의 열림 방향에 따라 좌수용과 우수용이 있으며, 좌수용의 경우 손잡이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우수용의 경우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를 열게 되는 바, 종래의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은 좌수용과, 우수용을 각각 따로 제조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 이 있다.
또한 일자형 도어록에서 핸들이 회전된 후 정확히 정중앙으로 복귀하여 자리잡고 있어야 보기 좋은데 기존의 일자형 도어록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세하게나마 약간씩 돌아가 있어서 시각적으로 보기에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손잡이 없이 도어록 자체에 구비된 핸들 모듈을 통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좌수용, 우수용 구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정교하게 배치된 볼 플런저에 의하여 도어록 핸들의 최종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에는 손잡이 겸용 핸들 모듈(120)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핸들 모 듈(120)의 핸들 본체(122)의 하단 일측에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부재(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부재(124)의 상,하부에 볼 플런저(ball plunger)(12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핸들 모듈(120)을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볼 플런저(129)가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수납된 볼 휠(140) 표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볼 휠(14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4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 모듈(12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볼 플런저(10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핸들 모듈(120)이 원래의 위치로 회귀할 때, 상기 볼 플런저(104)가 상기 핸들 모듈(120)에 형성된 삽입공에 결합되면서 상기 핸들 모듈(120)이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정중앙 위치에서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을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에는 손잡이 겸용 핸들 모듈(120)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걸림편 삽입공(1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 모듈(120)의 핸들 본체(122)의 하단 일측에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부재(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부재(124)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부재(124)와 함께 회전하는 끼움부재(152)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재(152)의 전방에는 끼움부재(152)와 연결되 어 함께 회전하는 탄성 스프링(15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재(152)의 일측에 제 2 걸림돌기(15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걸림편 삽입공(116)에는 걸림편(118)이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에 의하여 상기 제 2 걸림돌기가 걸려 상기 끼움부재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핸들 모듈의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걸림편이 삽입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 모듈(12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우수용 또는 좌수용으로 선택 사용이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손잡이 없이 도어록 자체에 구비된 핸들 모듈을 통해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좌수용, 우수용 구분에 따라 별도로 디지털 도어록을 제조하지 않고도 도어록 설치시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원하는 데로 선택적으로 우수용으로 또는 좌수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정교하게 배치된 볼 플런저에 의하여 도어록 핸들의 최종 위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에 있어서, 좌수용 및 우수용 구분에 따른 걸림편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걸림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에 핸들 모듈(120)이 결합되어지되, 손잡이 기능을 겸하는 핸들 본체(122)의 일면 하단에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삽입되는 힌지축부재(12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부재(124)의 외주면 양측에 키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부재(124)가 형성된 위치 둘레에 나사공(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나사공(128)에는 볼 플런저(ball plunger)(129)의 나사형성부가 결합되며, 볼 플런저(129)의 볼이 상기 힌지축부재(124) 형성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볼 플런저(129)가 후술하는 볼 휠(140)의 삽입공(144)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된다.
핸들 본체(122)의 전면에는 마감 기능 및 외부 미관 향상을 위한 상부 커버부재(130)와, 하부 커버부재(132)가 각각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핸들 본체(122)의 내측 상단에는 후술하는 볼 플런저(104)와 대향되는 위치에 볼 플런저(104)의 볼이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록 본체(100)는 전면 상단(102)에 지문인식, 카드키인식, 전자키인식 등을 담당하는 개폐모듈이 결합되어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06)가 형성되며, 상기 키패드(106) 하부에 키(key)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08)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어록 본체 상단 일측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 상단에는 볼 플런저(104)가 결합되어 있고, 키입력부(108)의 하측에는 볼 휠(140)이 결착되는 볼 휠 수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볼 휠 수납부(110)는 단차진 형상으로서, 중앙부에 상기 힌지축부재(124)가 관통하는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등간격(90°)의 삽입공(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일단이 내측 본체(도 3의 162)와 연결되는 핸들 래치(latch)(156)의 타단이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관통공(112)을 경유하여 상기 힌지축부재(124) 내 측에 끼움결합된다. 힌지축부재(124)의 외주면에는 너트(154)가 결합된다. 한편, 끼움부재(152)가 힌지축부재(124)의 외주면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끼움부재(152)는 내면에 한 쌍의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힌지축부재(124)의 키홈(126)에 결합되어, 끼움부재(152)가 상기 힌지축부재(124)와 함께 회전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152)의 전방에 탄성 스프링(15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탄성 스프링(150)의 일측에는 'U'자 걸림부(150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152)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52a)가 상기 걸림부(150a)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152)가 힌지축부재(124)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탄성 스프링(150) 또한 끼움부재(152)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끼움부재(152)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걸림편(118)이 걸려 지지되는 제 2 걸림돌기(152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볼 휠(ball wheel)(140)은 링 형태로서 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삽입공(114)에 결합되는 돌기부(142)가 형성되고, 타면 둘레를 따라 상기 볼 플런저(129)의 볼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삽입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배면 하단에는 좌우 한 쌍의 걸림편 삽입공(116)이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 삽입공(116)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 형상의 걸림편(118)이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9는 백 플레이트, 162는 콘트롤러(controller) 및 구동모터가 내장된 내측 본체, 164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해정되는 데드볼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160)의 외실측 출입벽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밀번호 입력, 카드키 접촉, 지문 인식 등 여하한 방법에 의하여 도어 잠금이 해제되게 하면, 내측 본체(162)의 콘트롤러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내측 본체(162)의 구동모터를 통해 데드볼트(164)를 해정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도어(16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들 모듈(12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도어(160)의 열림 방향에 따라 상기 핸들 모듈(120)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때,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설치된 볼 플런저(104)가 핸들 본체(122)로부터 분리되면서 핸들 모듈(120)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핸들 모듈(120)의 회동 과정에서 힌지축부재(124)와, 이 힌지축부재에 결합된 끼움부재(152), 그리고 핸들래치(156) 또한 함께 회전하며, 이때 상기 탄성 스프링(150)의 걸림부(150a) 내에 상기 끼움부재(152)의 제 1 걸림돌기(152a)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끼움부재(152)의 회전에 따라 탄성 스프링(150)이 권취 해제되며, 이때 탄성 스프링(150)은 원래의 권취 상태를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본체(122)에 설치된 볼 플런저(129)의 볼이 상기 볼 휠(140)의 일측 삽입공(144)에서 이탈되어 볼 휠(140)의 내면을 타고 이동하다가 다른 삽입공(144)에 삽입되며, 이때 핸들 모듈(120)은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90°회동된 상태이고, 이때, 상기 볼 플런저(129)는 당초 도어록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수직 방향)에서 도어록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놓인 상태(수평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 모듈(120)을 당기면 상기 힌지축부재(124)와 연결된 핸들 래치(156)가 회동하면서 도어(160)가 열린다.
한편, 도어(160)를 연 상태에서 상기 핸들 모듈(120)을 원래의 위치(수직 방향)로 이동시키기 위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힌지축부재(124)와, 끼움부재(152), 핸들 래치(156) 또한 함께 회전하며, 이때 상기 끼움부재(152)의 역회전에 따라 탄성 스프링(150)이 복원력에 의해 권취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볼 플런저(129)의 볼이 상기 볼 휠(140)의 일측 삽입공(144)에서 이탈되어 볼 휠(140)의 내면을 타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다른 삽입공(144)에 삽입되며, 상기 볼 플런저(129)는 도어록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수평 방향)에서 도어록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놓인 상태(수직 상태)이다.
또한, 상기 핸들 모듈(120)이 원위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설치된 볼 플런저(104)의 볼이 핸들 본체(122)에 결합되면서 핸들 모듈(120)이 도어록 본체(100)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원래의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의 좌수용 또는 우수용 구분에 따라 걸림편(118)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편(118)을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편 삽입공(116)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우측 걸림편 삽입공에 걸림편(118)이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핸들 모듈(120)은 상기 끼움부재(152)의 제 2걸림돌기(152b)가 상기 걸림편(118)에 걸려서 반시계방향(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게 되며, 이 경우 우수용으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걸림편 삽입공에 걸림편(118)이 삽입될 경우 핸들 모듈(120)은 상기 끼움부재(152)의 제 2걸림돌기(152b)가 상기 걸림편(118)에 걸려서 시계방향(정면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게 되며, 이 경우 좌수용으로 사용된다.
즉,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이 도어(160)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편(118)을 걸림편 삽입공(116)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우수용 또는 좌수용으로 선택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에 있어서, 좌수용 및 우수용 구분에 따른 걸림편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걸림편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록 본체
104, 119 : 볼 플런저 106 : 키패드
108 : 키입력부 110 : 볼 휠수납부
120 : 핸들 모듈 122 : 핸들 본체
130 : 상부 커버부재 132 : 하부 커버부재
140 : 볼 휠 150 : 탄성 스프링
152 : 끼움부재 156 : 핸들 래치

Claims (4)

  1.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에는 손잡이 겸용 핸들 모듈(120)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핸들 모듈(120)의 핸들 본체(122)의 하단 일측에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부재(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부재(124)의 상,하부에 볼 플런저(ball plunger)(12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핸들 모듈(120)을 좌우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볼 플런저(129)가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수납된 볼 휠(140) 표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볼 휠(14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4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 모듈(12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볼 플런저(10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핸들 모듈(120)이 원래의 위치로 회귀할 때, 상기 볼 플런저(104)가 상기 핸들 모듈(120)에 형성된 삽입공에 결합되면서 상기 핸들 모듈(120)이 좌우로 치우치 지 않고 정중앙 위치에서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을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3.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도어록 본체(100)의 전면에는 손잡이 겸용 핸들 모듈(120)이 좌우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핸들 모듈(120)의 핸들 본체(122)의 일측에 상기 도어록 본체(100)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부재(1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부재(124)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부재(124)와 함께 회전하는 끼움부재(152)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재(152)의 일측에 제 2 걸림돌기(15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록 본체(10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걸림편 삽입공(1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걸림편 삽입공(116)에는 걸림편(118)이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에 의하여 상기 제 2 걸림돌기가 걸려 상기 끼움부재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핸들 모듈의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걸림편이 삽입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 모듈(12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우수용 또는 좌수용으로 선택 사용이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152)의 전방에는 상기 끼움부재(152)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탄성 스프링(150)이 연결되어 상기 끼움부재의 회전시 복원력을 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20080046017A 2008-05-19 2008-05-19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094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17A KR100945006B1 (ko) 2008-05-19 2008-05-19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17A KR100945006B1 (ko) 2008-05-19 2008-05-19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30A KR20090120130A (ko) 2009-11-24
KR100945006B1 true KR100945006B1 (ko) 2010-03-05

Family

ID=4160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017A KR100945006B1 (ko) 2008-05-19 2008-05-19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2921A1 (zh) * 2019-11-15 2021-05-20 厦门美科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电子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563B1 (ko) 2004-05-27 2006-08-10 주식회사 잠그미 도어록 장치
KR200428162Y1 (ko) * 2006-07-13 2006-10-09 (주)에버넷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8-01-31 박지순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563B1 (ko) 2004-05-27 2006-08-10 주식회사 잠그미 도어록 장치
KR200428162Y1 (ko) * 2006-07-13 2006-10-09 (주)에버넷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8-01-31 박지순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130A (ko) 200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672B1 (ko)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TW202020281A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100945006B1 (ko)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101524775B1 (ko) 다중 래치 통합 배치형 멀티 록 장치 및 설치 방향 선택장치
JP5034065B2 (ja) 施錠装置、及び収納家具
US20080209815A1 (en) Locking latch handle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CN210563793U (zh) 一种内嵌式门把手及其应用的门锁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1955317B1 (ko) 주키 기능 핸들리스 디지털 도어록의 래치볼트 홀딩 장치
KR100728659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2697515B1 (ko) 래치 볼트용 잠금 해제 구조체
KR101021639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0799932B1 (ko) 도어록 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0940336B1 (ko) 디지털 도어록 클러치
JP7242897B2 (ja) ラッチハンドル装置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