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672B1 -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 Google Patents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672B1
KR101645672B1 KR1020160035458A KR20160035458A KR101645672B1 KR 101645672 B1 KR101645672 B1 KR 101645672B1 KR 1020160035458 A KR1020160035458 A KR 1020160035458A KR 20160035458 A KR20160035458 A KR 20160035458A KR 101645672 B1 KR101645672 B1 KR 10164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lock
housing
doo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일
Original Assignee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03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672B1/ko
Priority to CN201610609709.0A priority patent/CN10722788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61Knobs or handles with protective cover, buffer or shock absor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의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지 않고,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 하우징의 장착부에서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핸들의 몸통부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결합되는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rubber)를 구비한 캡부재를 도입하여, 핸들의 전후 회동 시 러버의 형상 변위가 이루어지면서 러버와 몸통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락의 핸들 결합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DOOR LOCK EQUIPPED WITH PULL-PUSH HANDLE}
본 발명은 도어락의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지 않고,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 하우징의 장착부에서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핸들의 몸통부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결합되는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rubber)를 구비한 캡부재를 도입하여, 핸들의 전후 회동 시 러버의 형상 변위가 이루어지면서 러버와 몸통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락의 핸들 결합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Door Lock)은 도 1,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본체(1)와, 도어(D)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본체(2) 및 도어 내부에 장착되며 잠금 기능을 위한 데드볼트와 도어의 개폐 기능을 하는 래치볼트를 구비한 모티스(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보안성과 방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내측 본체(2)에 열림 버튼(또는 개폐노브; B)을 구비하고, 실외측 본체(1)에 비밀번호 입력부(N), 지문 인식부(F), 보안키(또는 카드) 접촉부(K) 등을 구비하여, 출입이 허용된 사람만이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데드볼트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실내측 및 실외측 본체에 마련된 핸들(110)을 이용해 래치볼트를 모티스 내부로 인입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대부분 좌우 회전 방식의 핸들을 도입하여, 핸들을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켜야만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회전 방식의 핸들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나 기타 회전 조작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어를 개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회전식 핸들을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만, 도어를 당기거나 밀어서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의 경우와 같이 핸들의 회전 조작을 유지하기 어려운 사용자는 도어의 개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115258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와 같이, 핸들을 전후(상하)로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형 디지털 도어락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하 종래기술 설명을 위한 도 10 및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도 1 내지 도 9의 도면부호는 서로 무관함.), 실내측 및 실외측 본체(100, 200)에 결합되며, 상단을 지지점으로 여 푸시 또는 풀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핸들(110, 210)을 구비하여, 데드볼트의 잠금 해제 후 핸들을 당기거나 미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도 10과 같이, 도어락의 핸들 결합부(즉 핸들(110, 210) 힌지 결합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핸들 결합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끼는 경우, 핸들의 풀-푸시 동작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도어의 개방 후 핸들이 원상 복귀되지 않아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풀-푸시형 도어락의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해선, 핸들 결합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야 하나, 풀-푸시형 도어락의 경우 핸들(110, 210)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킬 때, 핸들의 몸통부 위치(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핸들 결합부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커버 등의 부품을 결합할 수 없으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별도의 커버 구조를 마련하더라도 커버의 작동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이를 구현하더라도 커버의 작동 구조 사이로 이물질이 끼게 되면 결국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핸들을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때, 핸들의 회동 방향에 상관없이 핸들의 몸통부 위치가 바뀌더라도 캡부재를 몸통부에 밀착시켜, 핸들의 샤프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핸들 결합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핸들의 작동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도어 개방 후 자동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들의 풀-푸시 동작 시 몸통부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도록, 핸들의 몸통부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결합되는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rubber)를 구비한 캡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를 하우징에 보다 쉽게 결합하고, 러버의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이중 사출 방식으로 러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핸들을 하우징의 장착부에 쉽게 장착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장착부에서 핸들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나사공을 갖는 샤프트를 도입하고, 하우징의 장착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샤프트가 장착부에 고정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핸들 결합부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각 부품들의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핸들의 풀-푸시 회동 구조를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래치볼트 개방수단과 몸통부의 연동 구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의 양측에서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샤프트가 수용되는 회동홈과 볼트가 통과되는 통과공을 구비한 회동지지부로 이루어진 장착부를 포함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은,
핸들을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장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장착부에서 전후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도어락의 래치볼트를 인입 작동시키는 개방수단과 연동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연결된 파지부, 상기 몸통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몸통부가 회동할 때 축으로 기능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핸들; 및
상기 핸들의 몸통부를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 둘레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rubber)를 구비한 캡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핸들이 회동할 때, 상기 러버와 상기 몸통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락의 핸들 결합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러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서,
상기 샤프트는 측방향으로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방수단과 상기 몸통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 양측에서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가 수용되는 회동홈과 상기 볼트가 통과되는 통과공을 구비한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가 하우징의 장착부에서 전후 회동하도 결합된 핸들의 몸통부에 밀착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을 위해 핸들의 풀-푸시 동작 시 몸통부 및 파지부의 위치(높이)가 변위되더라도 러버가 몸통부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으며, 이를 통해 러버와 몸통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면서 핸들의 샤프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핸들 결합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은, 상기와 같은 러버를 통해 핸들 결합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장착부, 샤프트, 핸들의 몸통부 등에 이물질이 끼어 핸들의 사용이 매끄럽지 못한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물질의 끼임에 의해 도어 개방 후 핸들이 자동 복귀하지 못해 자동 잠금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락의 본래 목적인 보안성 및 방범성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은, 가요성 소재인 러버의 제작 및 결합이 쉽고, 핸들 결합의 구조 설계를 간소화함으로써 각 부품들의 조립이 쉬우면서도, 조립 후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도어락의 제조 용이성 확보에 유리하며, 가장 일반적인 좌우 회전식 핸들이 아닌 전후 회동식 핸들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의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요부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요부 분해 사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에 적용될 수 있는 래치볼트 개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 내부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실내측 본체 및 실외측 본체의 외관 사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실내측 본체 음량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풀-푸시형 도어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도어(D)의 일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정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 4 및 도 5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설명에 따라 각 본체(1, 2)의 전후 방향과 실내측, 실외측 방향을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는 도 1과 같이 도어(D)가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실외측 본체(1)의 핸들(110)을 밀거나(푸시, push), 실내측 본체(2)의 핸들(110)을 당겨서(풀, pull), 도어(D)를 개방하는 것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도어(D)의 개방 방향에 따라 반대의 구성(즉 실외측 본체(1)의 핸들(110)을 당기거나, 실내측 본체(2)의 핸들(110)을 밀어서 도어(D)를 실외측으로 개방함.)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가 각각 도어(D)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인 도 1, 핸들(110)의 풀-푸시 방향에 따른 동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인 도 2 및 도 3, 본 발명의 1차 분해 사시도인 도 4 및 도 5, 도 2와 도 3에 따른 래치볼트 개방수단(O)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100)의 내부 정면도인 도 6, 본 발명의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의 외관 사시도인 도 7, 도 8, 그리고 실내측 본체(2)의 음량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은, 크게 실외측 본체(1)와 실내측 본체(2)의 베이스로 사용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서 풀-푸시 동작에 의해 전후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핸들(110) 및 도어락의 핸들 결합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캡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1) 및 실내측 본체(2)의 베이스로 모두 활용 가능한 것으로 그 기본 구조는 유사하나,
다만 도 7과 같이 하우징(100)이 도어락의 실외측 본체(1)로 사용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정면 일부에 도어(D)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부(N), 지문 입력부(F), 보안키(또는 카드) 접촉부(K)가 구비되며,
이와 대비하여 도 8과 같이 하우징(100)이 도어락의 실내측 본체(2)로 사용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정면 일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장착부(104)가 커버(104c)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도어(D)의 잠금 해제를 위한 열림버튼(B)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실외측 본체(1)의 지문 입력부(F)는, 하우징(100)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방식도 가능하나, 불필요한 접촉에 의한 오작동 내지 사용상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문 입력부(F)가 하우징(100)에 내장된 상태에서 가압이나 버튼 조작 등을 통해 지문 입력부(F)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동 개폐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실외측 본체(1) 및 실내측 본체(2) 모두에 스피커홀(S)이 구비되어, 실내측 본체(2)의 등록버튼(B1)을 조작하여 메뉴 안내 등이 양측 본체(1, 2)의 스피커홀(S)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실외측 본체(1)의 비밀번호 입력부(N)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본체(2)의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음량 조절 버튼(105)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음량을 단계별로 조절하여 비밀번호, 카드키, 지문 등을 등록 내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도어락 사용을 위해 비밀번호, 지문, 카드 등의 등록 내지 변경할 때, 별도의 사용설명서를 읽고 숙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음량 조절을 상대적으로 많은 단계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른 맞춤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밀번호, 카드키, 지문 등의 등록 내지 변경은, 마스터로 등록된 지문으로 인증된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락의 보안성 및 방범성을 강화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도어락은, 집안에서 일하는 가정부나 운전기사, 또는 호텔, 기숙사, 회사와 같이 출입하는 사용자가 많은 경우, 실내측 본체의 설정버튼을 통해 제 3 자가 임의로 잠금 해제수단을 쉽게 등록 내지 변경할 수 있었기 때문에, 도어락의 보안성 및 방범성이 상실될 위험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마스터 지문 등록을 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 지문의 등록은 가족(또는 회사의 방범 책임자 등) 구성원에 맞게 1~5명 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하우징(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잠금 해제 시 동작하는 전동모터(M) 및 전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모티스의 데드볼트(미도시)를 잠금 해제시키는 각종 축 및/또는 기어(G) 등으로 이루어진 데드볼트 개폐수단 및 핸들(110)의 풀-푸시 동작에 의해 모티스의 래치볼트(미도시)가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개방수단(O)이 내장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핸들(110)을 전후로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킬 수 있는 장착부(101)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01)는 핸들(110)의 몸통부(111)가 하우징(100) 내부의 개방수단(O)과 연동 가능하면서, 핸들(110)의 풀-푸시 회동 동작 시 축으로 기능하는 샤프트(115)가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개방수단(O)과 몸통부(11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101a)와,
상기 개구부(101a)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115)가 수용되는 회동홈(102a)과, 고정볼트(103)가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샤프트(115)의 나사공(115a)에 결합되어 샤프트(115)가 고정되도록 하는 통과공(102a)을 구비한 회동지지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101a)는, 몸통부(111)와 개방수단(O)의 연동 구조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와 같이 핸들(110)의 몸통부(111)에 마련된 승강돌기(112)가 샤프트(115)를 축으로 상하로 스윙 동작하여 승강렉(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개구부(101a)를 통해 승강돌기(112)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렉(20)에 걸림 결합된다.
도 6의 미설명 도면 부호 30은, 승강렉(20)의 상승 또는 하강 후 핸들(110)의 파지부(113)를 놓게 되면, 탄성력을 이용해 승강렉의 자동으로 자동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모티스 외부로 인출되어 도어(D)가 1차 잠금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이다.
물론 본 발명의 개구부(101a)는, 상기와 같은 연동 구조에 국한되지 않으며, 개방수단(O)의 다양한 구조(예를 들어 몸통부(111)와 개방수단(O)의 승강렉(20)이 기어 구조로 치합되어 핸들(110)을 당기거나 밀어서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승강렉(20)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래치볼트와 연결된 피니언(10)을 회전시켜 래치볼트가 모티스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방식)에 따라 핸들(110) 또는 개방수단(O)의 부품이 하우징(100)을 통과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부(102)는, 샤프트(115)를 고정시켜 핸들(110)의 전후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동홈(102a)의 전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샤프트(115)가 회동지지부(102)에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부의 고정볼트(103)가 통과공(102a)을 통과하여, 샤프트(115)에 형성된 나사공(115a)에 결합되어 핸들(110)이 하우징(100)의 장착부(10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전후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부(101)에서 전후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핸들(110)은, 상기 개방수단(O)과 연동된 몸통부(111), 상기 몸통부(111)와 연결된 파지부(113), 상기 몸통부(111)에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113)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몸통부(111)가 회동할 때 축으로 기능하는 샤프트(115)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핸들(110)의 파지부(113)가 상측을 향하도록 장착부(101)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핸들(110)이 반대로 결합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몸통부(111)는 배면이 개구되어 있는 수용부(111S)가 마련되어, 상기 장착부(101)의 회동지지부(102)가 수용부(111S)로 삽입되며, 수용부(111S)의 중앙에는 승강돌기(112)가 돌출 형성되어 승강돌기(112)가 상기 장착부(101)의 개구부(101a)로 삽입되어 개방수단(O)과 연동된다.
이러한 몸통부(111) 및 승강돌기(112)에는 좌우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공(111a)(112a)이 마련되어, 회동지지부(102)의 회동홈(102a)에 끼워지는 샤프트(115)가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115)는 외측면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향해 형성된 나사공(115a)을 갖는 봉 형상의 부재로써, 샤프트(115)가 축공(111a)(112a)에 관통 결합한 상태에서 핸들(110)을 장착부(101)에 장착한 후, 하우징(100)의 통과공(102a)을 이용해 하우징(100) 내측에서 고정볼트(103)를 샤프트(115)의 나사공(115a)에 결합시키면, 샤프트(115)가 장착부(101)에 고정된 상태에서 핸들(1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도어락을 도어(D)에 설치한 후, 사용자가 파지부(113)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서 핸들(110)을 회동시키면, 승강돌기(112)의 상하 스윙 동작에 의해 승강렉(2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렉(20)과 피니언(10)의 치합 구조로 인해 승강렉(20)의 상하 직선운동이 피니언(1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피니언(10)의 회전은 사각 회전축에 의해 래치볼트로 전달되어, 래치볼트가 모티스로 인입되거나 또는 래치볼트가 모티스에서 인출됨으로써 도어(D)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서, 도 10과 같이 핸들 결합부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핸들 결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착부(101), 몸통부(111), 샤프트(115) 등 각 부품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핸들(110)이 매끄럽게 동작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어(D) 개방 후 손잡이가 자동 복귀되지 않아 래치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핸들 결합부에 커버 등을 씌우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풀-푸시 겸용 핸들의 경우, 회동 동작 시 몸통부(111) 및 파지부(113)의 위치(높이)가 변위되어, 핸들 결합부가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거나 커버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핸들 결합부를 밀폐시키는 러버(121)를 포함하는 캡부재(120)를 도입하여, 핸들(110)의 전후 회동 시에도 캡부재(120)의 수밀성이 상실되지 않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동시에 몸통부(111)의 회동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캡부재(120)는,
상기 핸들(110)의 몸통부(111)를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101) 둘레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rubber; 121)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러버(121)와 연결되어 있는 사출물(122)을 포함한다.
상기 러버(121)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부재로써, 핸들(110)의 회동에 의해 그 형상이 변위되더라고 탄성력으로 인하여 몸통부(111)의 외부면에 밀착 상태가 유지되며, 도어(D) 개방 후 핸들(110)이 원위치로 복귀될 때 본래의 형상으로 원상 복귀되어 핸들 결합부의 수밀성을 유지시켜 이물질이 핸들 결합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출물(122)은, 상기 러버(121)를 하우징(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미리 제작된 러버(121)를 이용해 사출물(122)을 이중 사출 방식으로 연결하여 러버(121)와 사출물(122)이 일체가 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러버(121)와 사출물(122)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즉, 가요성 소재는, 특유의 탄성력으로 인해 그 형상이 쉽게 변위되므로, 하우징(100)과 같은 경질의 부재에 러버(121)를 고정시키기 어렵고, 본딩 접착 등을 통해 하우징(100) 전면에 러버(121)를 고정하는 경우 반복된 핸들(110)의 사용으로 인해 러버(121)가 하우징(100)에서 분리될 위험성이 큰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이중 사출 방식으로 러버(121)와 사출물(122)을 일체로 제작하게 되면, 후크 결합 방식 또는 볼트 결합 방식을 통해 경질의 사출물(122)을 하우징(1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러버(121)의 장착이 쉬우며, 특히 러버(121)와 사출물(122)이 이중 사출 방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러버(121)가 사출물(122)에서 분리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없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러버(121)의 링 구조에 상응하는 관통부를 갖는 판 형상의 사출물(122)이 이중 사출로 연결되어, 사출물(122)이 하우징(100)의 전면 일부를 덮으면서 결합됨으로써, 캡부재(120)가 하우징(10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보다 깔끔한 외관 디자인을 제공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사출물(122)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예를 들어 러버(121)의 형상에 상응하는 링 구조 등도 가능함.).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도어 1 : 실외측 본체
2 : 실내측 본체
O : 개방수단 10 : 피니언
20 : 승강렉 30 : 탄성부재
100 : 하우징 N : 비밀번호 입력부
F : 지문 인식부 K : 키 접촉부
S : 스피커홀 B : 열림버튼
101 : 장착부 101a : 개구부
102 : 회동지지부 102a : 회동홈
102b : 통과공 103 : 고정볼트
104 : 배터리 장착부 104c : 커버
105 : 음량 조절 버튼
110 : 핸들 111 : 몸통부
111S : 승강돌기 112 : 승강돌기
111a, 112a : 축공 113 : 파지부
115 : 샤프트 115a : 나사공
120 : 캡부재 121 : 러버
122 : 사출물

Claims (4)

  1. 핸들를 당기거나 밀어서 전후 회동시켜, 도어락의 래치볼트가 인입되면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에 있어서,
    장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장착부에서 전후 회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도어락의 래치볼트를 인입 작동시키는 개방수단과 연동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와 연결된 파지부, 상기 몸통부에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몸통부가 회동할 때 축으로 기능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핸들; 및
    상기 핸들의 몸통부를 감싸면서 몸통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부 둘레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진 러버(rubber)를 구비한 캡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핸들이 회동할 때, 상기 러버와 상기 몸통부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락의 핸들 결합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샤프트는 외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형성된 나사공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는 고정볼트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러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방수단과 상기 몸통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 양측에서 하우징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가 수용되는 회동홈과 상기 고정볼트가 통과되는 통과공을 구비한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1020160035458A 2016-03-24 2016-03-24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10164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58A KR101645672B1 (ko) 2016-03-24 2016-03-24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CN201610609709.0A CN107227889A (zh) 2016-03-24 2016-07-29 利用推拉把手的门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458A KR101645672B1 (ko) 2016-03-24 2016-03-24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672B1 true KR101645672B1 (ko) 2016-08-04

Family

ID=5670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458A KR101645672B1 (ko) 2016-03-24 2016-03-24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5672B1 (ko)
CN (1) CN10722788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8938A (zh) * 2017-04-21 2017-07-25 陈世剑 一种推拉式可调节门锁装置
CN108518128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CN108915418A (zh) * 2018-08-27 2018-11-30 惠州诺盾高科电子有限公司 推拉式门锁传动机构及门锁
KR101936332B1 (ko) * 2017-11-14 2019-01-08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주식회사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CN109898924A (zh) * 2019-03-11 2019-06-18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门锁半隐藏式指纹头结构
KR102064296B1 (ko) * 2018-09-27 2020-01-09 빌드원 주식회사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KR20220022611A (ko) 2020-08-19 202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핸들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672A (ja) * 1998-11-19 2000-06-06 Takigen Mfg Co Ltd スライド扉用ハンドル装置
KR200473527Y1 (ko) * 2013-03-13 2014-07-08 (주)혜강씨큐리티 핸들에 핸들커버가 구비된 도어락
KR20150056299A (ko) * 2013-11-15 2015-05-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9642B2 (ja) * 2006-02-02 2011-10-12 株式会社ニフコ ドアハンドル装置
CN201372605Y (zh) * 2009-03-27 2009-12-30 尚新坤 拉把手
CN202055623U (zh) * 2011-04-15 2011-11-30 浙江维尔生物识别技术股份有限公司 保险柜把手防撬保护装置
KR101556909B1 (ko) * 2014-07-31 2015-10-02 주식회사 밀다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672A (ja) * 1998-11-19 2000-06-06 Takigen Mfg Co Ltd スライド扉用ハンドル装置
KR200473527Y1 (ko) * 2013-03-13 2014-07-08 (주)혜강씨큐리티 핸들에 핸들커버가 구비된 도어락
KR20150056299A (ko) * 2013-11-15 2015-05-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쉬풀형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8938A (zh) * 2017-04-21 2017-07-25 陈世剑 一种推拉式可调节门锁装置
KR101936332B1 (ko) * 2017-11-14 2019-01-08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주식회사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CN108518128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CN108518128B (zh) * 2018-05-30 2024-02-02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推拉锁内部转动结构
CN108915418A (zh) * 2018-08-27 2018-11-30 惠州诺盾高科电子有限公司 推拉式门锁传动机构及门锁
KR102064296B1 (ko) * 2018-09-27 2020-01-09 빌드원 주식회사 방향전환이 용이한 푸시풀형 도어락
CN109898924A (zh) * 2019-03-11 2019-06-18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门锁半隐藏式指纹头结构
CN109898924B (zh) * 2019-03-11 2023-11-17 苏州琨山通用锁具有限公司 智能门锁半隐藏式指纹头结构
KR20220022611A (ko) 2020-08-19 202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27889A (zh)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672B1 (ko)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KR101671408B1 (ko)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656027B1 (ko)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US6848728B2 (en) Window fastener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WO2005021899A3 (en) Rotary pawl latch with lock down paddle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101436602B1 (ko) 트리거에 의한 록킹볼트의 즉시 잠금 기능을 갖는 모티스 잠금 장치
KR200489832Y1 (ko) 방향전환 푸시풀 도어락
KR101929708B1 (ko) 창호용 그립핸들
KR102031721B1 (ko) 전,후 회동손잡이를 구비한 도어락의 회전제어장치
KR101410865B1 (ko)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 각각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모티스 잠금 장치
JP2003148015A (ja) 扉係止装置の係止解除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操作部材
US20080209815A1 (en) Locking latch handle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798154B1 (ko) 강화유리 도어용 내장형 잠금장치
KR102123861B1 (ko) 도어 락용 세이프티 핸들 어셈블리
KR100945006B1 (ko) 일자형 디지털 도어록
CN218234670U (zh) 一种波珠球止动锁止推拉门用锁芯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KR102581905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CN216476758U (zh) 一种能自动锁定的锁体
CN219894913U (zh) 一种箱包和前盖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