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909B1 -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 Google Patents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909B1
KR101556909B1 KR1020140098297A KR20140098297A KR101556909B1 KR 101556909 B1 KR101556909 B1 KR 101556909B1 KR 1020140098297 A KR1020140098297 A KR 1020140098297A KR 20140098297 A KR20140098297 A KR 20140098297A KR 101556909 B1 KR101556909 B1 KR 10155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handle
latch
g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밀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밀다
Priority to KR102014009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909B1/ko
Priority to EP15158100.6A priority patent/EP2985397B1/en
Priority to US14/643,408 priority patent/US20160032622A1/en
Priority to SA115360375A priority patent/SA115360375B1/ar
Priority to JP2015053336A priority patent/JP6073950B2/ja
Priority to CN201510122872.XA priority patent/CN1052982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6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the handles on opposite side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13Followers; Bear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밀고 당김으로서 문을 개방할 수 있는 모티스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문의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장착되고, 손잡이가 회동가능하도록 손잡이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로즈; 로즈에 삽입된 손잡이의 일측이 연결되어,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기어가이드; 및 일측은 기어가이드와 연결되고, 타측은 래치와 연결되어, 기어가이드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래치구동부;를 포함하고, 래치구동부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치가 돌출 또는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락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사용자가 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1스텝 동작 만으로 문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MORTISE LOCK OPENING BY PUSH AND PULL OF HANDLE}
본 발명은 모티스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개폐부는 실외에서 레버를 이용해 문을 개폐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기존 모티스락의 개폐부와 잠금부를 포함하면서도 레버를 돌리거나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형식이 아닌 실내외측 양방향 어느 쪽에서나 밀거나 당기는 새로운 방식으로 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모티스락에 관한 것이다.
모티스락(mortise lock, 영국에서는 mortice lock)은 잠금부와 개폐부가 별도로 구성되고, 잠금부에 데드볼트가 구성되는 도어락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 이용되는 모티스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티스락은 데드 볼트(dead bolt, 1), 열쇠 구멍(2), 손잡이(3), 힌지(4), 면판(5), 래치(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문기둥(doorjamb)에는 래치(6)와 데드 볼트(1)가 삽입될 수 있는 도어킵(door keep)이 설치된다.
이러한 모티스락은 종래의 도어락과 달리 안정적인 잠금상태를 위하여 손잡이와 연결되는 래치(6)와 별도로 손잡이와 연결되지 않는 잠금부의 래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티스락에서 개폐부의 래치(6)는 일반 도어락과 같이 손잡이와 연결되나, 일반 도어락과 달리 잠금기능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티스락에서 손잡이와 연결된 래치(6)는 일명 'sash locks'라고 불린다. 손잡이와 연결되지 않는 잠금부의 래치는 일명 'dead bolt' 또는 'dead lock'이라 불린다. 데드볼트는 키장치와 연결되어 문의 잠금기능을 수행한다.
모티스락은 다른 도어락에 비해 설치가 어려운 것은 아니나, 일반 실린더형 락(bored cylindrical lock)보다 훨씬 강력한 잠금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모티스락에서는 대부분의 손잡이(3)가 레버형 또는 구형으로 구성되어 돌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모티스락의 내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락의 내부에는 스핀들 블록(9), 스핀들(8), 래치구동부(7), 래치(6)가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돌리면, 스핀들 블록(9)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핀들 블록(9)에 의해 스핀들(8)도 상기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특정 방향이 래치구동부(7)를 밀어내는 방향이면 래치구동부(7)가 뒤로 밀리면서 래치(6)가 문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어 문이 열리게 된다. 문 손잡이를 돌리는 방향이 반대방향이면, 스핀들(8)의 돌출부(S)가 회전저지부(B)에 접하여 특정 각도 이상 손잡이를 돌릴 수 없게 된다.
등록특허 10-0554703 공개특허 10-2009-0001266
종래의 모티스락의 개폐부는 손으로 잡고 일방향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만 문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1단계) 손잡이에 힘을 가한 후(2단계), 손잡이를 돌린 상태에서(3단계) 문을 여는(4단계) 4스텝의 동작으로 문을 열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람의 문의 개폐 및 손의 사용이 어려운 상황에서 문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 손잡이를 잡거나 움켜쥐어서 돌리지 않고, 단순히 밀거나 당기는 1스텝 동작만으로 문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면서도, 작동의 반복가능성이 향상된 모티스락 및 이를 이용한 문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의 내부에 설치되고, 래치의 돌출 또는 인입으로 문의 개폐를 결정하고, 데드볼트의 돌출로 문의 잠금을 결정하며, 데드볼트의 인입으로 문의 잠금해제를 결정하는 모티스락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상기 문의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로즈; 및 일측은 상기 로즈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래치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래치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상기 문의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로즈; 상기 로즈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기어가이드; 및 일측은 상기 기어가이드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래치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가이드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래치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상기 문의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로즈; 상기 로즈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기어가이드; 일측은 상기 기어가이드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어가이드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기어; 및 일측은 상기 기어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래치와 연결되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래치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가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손잡이; 상기 문의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로즈; 상기 로즈에 삽입된 상기 손잡이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기어가이드; 일측은 상기 기어가이드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어가이드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기어; 일단은 상기 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다각기둥형태의 스핀들 블락; 상기 스핀들 블락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원주 외측에 2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원판형태의 스핀들; 및 일측은 상기 스핀들의 돌출부와 접하고, 타측은 상기 래치와 연결되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래치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래치가 인입되며, 상기 스핀들은 내측 손잡이와 외측 손잡이에 각각 대응되고, 별개로 구동되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측 또는 실외측에서 사용자가 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1스텝 동작 만으로 문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화재로 인한 비상 시, 또는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 어린이, 환자 또는 장애자의 경우에도 손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신체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문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당기는 문, 미는 문, 좌측 손잡이 문, 우측 손잡이 문 등과 같은 기존의 모든 문에 적용이 가능하여, 건물에 어떤 문이 장착되더라도 적용이 곧바로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는 건물에 장착된 문의 종류에 따라 다른 도어락 제품이 적용되어야 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다수개의 체결기구가 없이 구성되어 그 구조가 단순하므로 파손 시 수리 및 교체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을 개폐할 때, 사용자의 손잡이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국민 위생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성이 단순하여 잠금장치가 안정되고, 반복가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 개폐장치의 반복된 작동에도 정확성이 유지되고, 구동 불량률이 현격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를 꼭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모티스락의 손잡이 모양이 기존과 같이 단순한 외관에 국한되지 않으며, 손잡이의 형상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쪽에서 문손잡이를 밀거나 당겨도, 반대쪽의 문손잡이는 움직이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양쪽의 손잡이가 별개로 구동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모티스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모티스락의 내부를 도시한 모식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의 스핀들과 래치구동부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모티스락
모티스락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의 일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은 손잡이(10), 로즈(20), 브라켓(21), 래치구동부(30), 스핀들(40), 스핀들 블락(50), 기어(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0)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당기거나 밀기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특정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로즈(20)의 일측에 삽입되는 돌출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1)의 일측에는 회전축을 구성하게 되는 샤프트가 삽입되는 샤프트홀(12)이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홀(12)을 중심으로 손잡이(10)가 회전되어 기어가이드(60)에 상하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기면, 돌출부(11)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잡이의 형태는 용도나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로즈(20)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문에 부착고정되는 구성이다. 로즈(20)의 전면 일측에는 손잡이(10)의 돌출부(11)가 삽입되는 삽입홀(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홀(25)의 일측에는 손잡이의 샤프트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샤프트홀(26)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홀(12, 26)에 샤프트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손잡이(10)와 로즈(20)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게 된다. 또한 로즈(20)의 전면 일측에는 키장치가 구성될 열쇠구멍(22)이 구성될 수 있다. 로즈(20)의 내측에는 기어가이드(60)가 상하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즈(20)의 후면에는 브라켓(21)이 장착되어 기어가이드(60)와 기어(70)가 로즈(20) 내측에서 자유롭게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로즈(20)는 문의 내측과 외측에 문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21)은 로즈(20)의 후면에 장착되어 기어가이드(60)와 기어(7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브라켓(21)에는 기어(70)가 관통되는 기어관통홀(24)이 구비되고, 열쇠뭉치가 관통되는 열쇠구멍(23)이 구비될 수 있다.
래치구동부(30)는 일단의 래치 연결부(31)에서 래치와 연결되어 래치의 왕복운동을 구동하게 되는 구성이다. 래치구동부(30)는 스핀들(40)과 접하고, 래치의 운동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래치구동부(30)는 스핀들(40)의 돌출부(41)가 일부 맞춤형상으로 삽입되는 맞춤부(32)이 형성되게 된다. 스핀들(40)이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하게 되면, 래치구동부(30)는 래치가 문 내측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래치구동부(30)에는 래치의 인입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일측에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스핀들(40)이 내외측으로 분리구성되어도, 래치구동부(30)는 하나만 구성될 수 있고, 내외측 스핀들과 공통 접촉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40)은 중심에 스핀들 블락(50)이 관통하게 되고, 래치구동부(30)가 연결되게 된다. 스핀들(40)의 적어도 일측에는 돌출부(41)가 구성되고, 스핀들(40)의 돌출부(41)는 래치구동부(30)의 맞춤부(32)와 일부 형상맞춤되어, 스핀들(40)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41)가 래치구동부(30)의 맞춤부(32)를 밀어서 래치구동부(3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핀들(40)에는 돌출부(4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2개가 구성되고, 2개의 돌출부(41)가 모두 래치구동부(30)와 접하도록 구성되어, 스핀들(40)의 어떤 회전 방향에서도 돌출부(41)가 래치구동부(30)의 맞춤부(32)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핀들(40)에 돌출부(4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2개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핀들(40)은 종래의 모티스락에서 이용되던 스핀들과 달리 회전 방향에 제한이 없으며, 별도의 회전저지부가 요구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스핀들(40)은 스핀들 블락(50)에 의해 기어(7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스핀들(40)은 내측 손잡이와 연결된 내측 스핀들, 외측 손잡이와 연결된 외측 스핀들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내측 스핀들과 외측 스핀들은 각각 내측 스핀들 블락과 외측 스핀들 블락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내측 스핀들 블락과 외측 스핀들 블락은 서로 구동이 간섭되지 않는다. 이러한 내외측 스핀들은 하나의 래치구동부(30)를 공유하며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래치에는 하나의 래치구동부가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스핀들 블락(50)은 스핀들(40)에 기어(70)의 회전력을 전달시키기 위해 스핀들(40)과 기어(7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스핀들 블락(50)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내측 손잡이에 의한 구동과 외측 손잡이에 의한 구동의 영향을 별개로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해 내외측 손잡이가 별개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
기어(70)는 기어가이드(60)의 상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어는 문의 두께방향으로 구성되는 원기둥형태의 부재의 외곽 일측에 복수개의 볼록부(71)가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볼록부(71)는 기어가이드(60)의 내측에 구성되는 오목부(63)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기어(70)의 내측에는 스핀들 블락(50)이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 기어(70)는 브라켓(21)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기어가이드(60)는 사용자가 손잡이(10)에 가하는 외력에 의하여 로즈(20) 내측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기어가이드(60)의 내측에는 기어(70)가 관통되면서, 기어가이드(60)의 내측에 구성되는 오목부(63)에 기어(70)의 볼록부(71)가 맞물려 들어가게 된다. 기어가이드(60)의 왕복운동시에 기어(70)가 항상 맞물려있게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기어홀(62)이 구성된다. 기어가이드(60)의 일측에는 상하 구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손잡이(10)와 연결되는 손잡이 연결부(61)가 구성된다. 따라서 손잡이(10)에 작용되는 외력이 전환되어 기어가이드(60)의 손잡이 연결부(61)에 상하 구동력으로 전달되고, 기어가이드(60)의 상하 구동력은 기어가이드(60)의 내측에 맞물려 돌아가는 기어(70)에 회전력으로 전달되게 된다.
모티스락의 작동관계
모티스락의 작동관계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의 스핀들과 래치구동부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티스락은 사용자가 손잡이(1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샤프트홀(12)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손잡이(10)가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10)를 당기게 되면 손잡이(10)의 돌출부(11)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손잡이(10)의 돌출부(11)에 전달된 외력은 기어가이드(60)에 전달되어 기어가이드(6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돌출부(11)에 전달되는 상하 구동력은 기어가이드(60)의 손잡이 연결홀(61)에 전달되고, 곧바로 기어가이드(60)의 상하 구동력으로 전달되어, 손잡이(10)와 기어가이드(60)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기어가이드(60)의 상하 이동은 기어가이드(60)의 내측에 맞물려있는 기어(70)를 회전시키게 된다. 기어(70)의 회전은 스핀들 블락(50)을 회전시키고, 스핀들 블락(50)의 회전은 스핀들(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스핀들(40)의 회전은 래치구동부(30)를 래치의 인입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래치구동부(30)의 이동은 래치가 문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기어(70), 스핀들 블락(50), 스핀들(40)은 일체로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래치구동부(30)의 직선운동을 구동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티스락에 밀고 당기는 도어락을 구현하면서도, 구성이 상당히 심플하여 불량 가능성이 적고, 반복가능성이 향상되며, 다수개의 체결기구가 없이 구성되어 그 구조가 단순하므로 파손 시 수리 및 교체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힌지구조의 방향이 도어의 두께방향으로 구성되어 돌리는 도어락만이 구현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의 방향이 도어의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구성되어 밀고 당기는 도어락이 구현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양쪽에서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의 구현이 불가능했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핀들이 내외측 2개로 분리구성되고, 스핀들 블락도 각각 분리구성되어 문 양쪽에서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의 구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핀들이 한쪽 회전 방향에서만 래치구동부를 밀도록 구성되어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의 구현이 불가능했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핀들이 어떤 회전 방향에서도 래치구동부를 밀도록 구성되어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의 구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데드 볼트
2: 열쇠구멍
3: 손잡이
4: 힌지
5: 면판
6: 래치
7: 래치구동부
8: 스핀들
9: 스핀들 블락
10: 손잡이
11: 돌출부
12: 샤프트홀
20: 로즈
21: 브라켓
22: 열쇠구멍
23: 열쇠구멍
24: 기어홀
25: 삽입홀
26: 샤프트홀
30: 래치구동부
31: 래치 연결부
32: 맞춤부
40: 스핀들
41: 돌출부
50: 스핀들 블락
60: 기어가이드
61: 손잡이 연결부
62: 기어이동홀
63: 오목부
70: 기어
71: 볼록부
S: 돌출부
B: 회전저지부

Claims (4)

  1. 래치의 돌출 또는 인입으로 문의 개폐가 결정되는 모티스락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고, 일측으로 제1돌출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에 구성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문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제1손잡이;
    사용자에 의해 밀고 당겨지도록 구성되고, 일측으로 제2돌출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에 구성되는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의 타측면에 구성되는 제2손잡이;
    상기 문의 상기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손잡이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1축이 고정되는 제1로즈;
    상기 문의 상기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손잡이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축이 고정되는 제2로즈;
    상기 제1로즈에 삽입된 상기 제1돌출부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1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제1기어가이드;
    상기 제2로즈에 삽입된 상기 제2돌출부의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제2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제2기어가이드;
    일측은 상기 제1기어가이드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기어가이드의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기어;
    일측은 상기 제2기어가이드의 내측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기어가이드의 슬라이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기어;
    일단은 상기 제1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다각기둥형태의 제1스핀들 블락;
    일단은 상기 제2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다각기둥형태의 제2스핀들 블락;
    상기 제1스핀들 블락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원주 외측에 2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원판형태의 제1스핀들;
    상기 제2스핀들 블락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원주 외측에 2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원판형태의 제2스핀들; 및
    일측은 상기 제1스핀들 및 제2스핀들의 돌출부와 접하고, 타측은 상기 래치와 연결되며, 특정 방향으로 이동 및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래치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래치가 인입되며,
    상기 제1손잡이의 밀림 또는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1스핀들이 회전되면, 상기 제1스핀들의 2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손잡이의 밀림 또는 당겨짐에 의해 상기 제2스핀들이 회전되면, 상기 제2스핀들의 2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래치구동부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98297A 2014-07-31 2014-07-31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KR10155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297A KR101556909B1 (ko) 2014-07-31 2014-07-31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EP15158100.6A EP2985397B1 (en) 2014-07-31 2015-03-06 Mortise lock
US14/643,408 US20160032622A1 (en) 2014-07-31 2015-03-10 Mortise lock
SA115360375A SA115360375B1 (ar) 2014-07-31 2015-03-12 قفل مبيت
JP2015053336A JP6073950B2 (ja) 2014-07-31 2015-03-17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CN201510122872.XA CN105298225B (zh) 2014-07-31 2015-03-19 插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297A KR101556909B1 (ko) 2014-07-31 2014-07-31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909B1 true KR101556909B1 (ko) 2015-10-02

Family

ID=5262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297A KR101556909B1 (ko) 2014-07-31 2014-07-31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32622A1 (ko)
EP (1) EP2985397B1 (ko)
JP (1) JP6073950B2 (ko)
KR (1) KR101556909B1 (ko)
CN (1) CN105298225B (ko)
SA (1) SA115360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723B1 (ko) * 2016-02-22 2017-1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KR101865412B1 (ko) * 2016-06-30 2018-06-07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호환성 패닉 엑시트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4129B (zh) * 2014-08-26 2016-08-01 台灣福興工業股份有限公司 鎖具結構
KR101656027B1 (ko) * 2016-03-24 2016-09-08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핸들의 풀-푸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도어락
KR101671408B1 (ko) * 2016-03-24 2016-11-01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핸들을 이용한 도어락
KR101645672B1 (ko) * 2016-03-24 2016-08-04 이노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포레이션 풀-푸시 겸용 핸들을 구비한 도어락
CN106837005B (zh) * 2017-03-29 2022-08-09 苏州琨山智能科技有限公司 推拉式电子门锁换向机构
US11952812B2 (en) * 2019-06-20 2024-04-09 Nikolaos Zafeirakis Contact-minimizing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CN110344653A (zh) * 2019-08-16 2019-10-18 廖伟新 一种采用推拉锁传动机构的智能锁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3143A (en) * 1929-02-28 1932-02-02 Ry Lock Company Ltd Doorlock
US4052092A (en) * 1976-11-19 1977-10-04 Emhart Industries, Inc. Latch operating device including operating and latch connection improvements
US4687239A (en) * 1986-01-03 1987-08-18 Lin Jui C Tubular door lock with an adjustable device for setting the dead bolt
US4725085A (en) * 1986-07-31 1988-02-16 Kwikset Corporation Single and double latch operating devices with improved rack-pinion operation and motion transfer
US4890871A (en) * 1988-11-17 1990-01-02 Lin Jui C Tubular door lock with an adjustable device for setting the dead bolt
US5123683A (en) * 1990-12-21 1992-06-23 Emhart Inc. Handleset with adjustable latch retracting mechanism
US5088778A (en) * 1991-04-09 1992-02-18 Lin Jui C Handle lock with improved engagement and linking-up
CA2100106C (en) * 1993-07-08 1997-11-11 Jui-Chang Lin Dead bolt assembly for tubular door locks
US5513510A (en) * 1994-12-15 1996-05-07 Emhart Inc.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US5611227A (en) * 1996-06-27 1997-03-18 Emhart Inc.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CN2292863Y (zh) * 1997-02-12 1998-09-30 洪生夫 推拉式开门锁具构造
US6257030B1 (en) * 1999-06-09 2001-07-10 Therma-Tru Corporation Thumb-operated multilatch door lock
US6178795B1 (en) * 2000-03-08 2001-01-30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Lockable structure for a big-handle lock
US6688660B2 (en) * 2002-06-14 2004-02-10 Taiwan Fu Hsing Industrial Co., Ltd. Door lock
US7290808B2 (en) * 2004-01-16 2007-11-06 Schlage Lock Company Adjustable door handle
KR100554703B1 (ko) 2004-03-11 2006-02-22 주식회사 젤컴 디지털 도어락의 모티스락 구동장치용 모터고정구
US7950703B2 (en) * 2007-04-30 2011-05-31 Marko Neil L Door latch mechanism
KR20090001266A (ko) 2007-06-29 2009-01-08 박용춘 기계적 자동잠금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5284629B2 (ja) * 2007-11-30 2013-09-11 株式会社ゴール 扉錠
US20090314042A1 (en) * 2008-06-24 2009-12-24 Fangchang Fan Door Lock With Large Handle
US8201858B1 (en) * 2008-11-05 2012-06-19 Townsteel Inc. Locking system for mortise lock base
CN201372605Y (zh) * 2009-03-27 2009-12-30 尚新坤 拉把手
US20100323102A1 (en) * 2009-06-23 2010-12-2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Conductive Structures Using Radiation Curable Phase Change Gel Inks
CN201695800U (zh) * 2010-05-06 2011-01-05 永安精密工业(天津)有限公司 锁装置
US8302437B2 (en) * 2010-06-29 2012-11-06 Eversafety Precision Industry (Tainjin) Co., Ltd. Locking assembly for a door
US8424928B2 (en) * 2010-09-24 2013-04-23 Thase Enterprise Co., Ltd. Door handle having a handgrip changeable indoor and outdoor
KR200473021Y1 (ko) * 2013-03-13 2014-06-1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 작동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푸시풀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723B1 (ko) * 2016-02-22 2017-12-2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잠금장치
KR101865412B1 (ko) * 2016-06-30 2018-06-07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호환성 패닉 엑시트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32622A1 (en) 2016-02-04
EP2985397B1 (en) 2017-06-28
SA115360375B1 (ar) 2016-12-25
JP6073950B2 (ja) 2017-02-01
EP2985397A1 (en) 2016-02-17
JP2016035186A (ja) 2016-03-17
CN105298225B (zh) 2018-01-09
CN105298225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909B1 (ko)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CA2839223C (en) Sliding door handle and latch
JP5425198B2 (ja) 窓の施錠装置
EP3212867A1 (en) Interconnected lock with direct drive for adjustable deadbolt to latchbolt spacing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JP4599448B2 (ja) 引戸用鎌錠
US8556304B2 (en) Multi point door lock assembly
US10704297B2 (en) Impact resistant lock and tilt latch combination for a sliding sash window
US11319735B1 (en) Sliding-door latch
KR20170007038A (ko)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0848878B1 (ko) 도어락 장치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20170029895A (ko) 밀고 당기는 모티스락
CN210013600U (zh) 锁定机构及门窗结构
KR20150094192A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
KR200457119Y1 (ko)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64283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거나 돌리는 문 개폐장치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AU2012100117A4 (en) Improvements in locks
TWI671459B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KR101765329B1 (ko) 개폐방향에 따른 간편 전환구조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락
JP5081183B2 (ja) 引戸用鎌錠
KR20150098498A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110106536A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