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543B1 -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543B1
KR101618543B1 KR1020140127121A KR20140127121A KR101618543B1 KR 101618543 B1 KR101618543 B1 KR 101618543B1 KR 1020140127121 A KR1020140127121 A KR 1020140127121A KR 20140127121 A KR20140127121 A KR 20140127121A KR 101618543 B1 KR101618543 B1 KR 10161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cognition
key
rot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475A (ko
Inventor
이수영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주)메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즈텍 filed Critical (주)메이즈텍
Priority to KR102014012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5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는 케이스와, 손잡이와, 복귀용 탄성부재와, 구동 기어와, 일 방향 회전유도부, 및 운동전달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도어의 실외 쪽에 장착된다. 손잡이는 케이스의 외측에서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간에 회전 왕복한다. 복귀용 탄성부재는 케이스 내에서 손잡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손잡이에 탄성력을 가한다. 구동 기어는 케이스 내에서 손잡이의 회전 중심 축과 동일 축 상으로 배치되어 손잡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일 방향 회전유도부는 손잡이의 1회 회전 왕복시, 손잡이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만 손잡이의 회전력을 구동 기어로 전달하여 구동 기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운동전달부는 손잡이가 1회 회전 왕복할 때마다 구동 기어의 회전 운동을 입력받아 정 방향의 회전 운동과 역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교대로 출력한다.

Description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Door lock employing punch card key recognition mechanism, and handle device for the door lock}
본 발명은 통공 카드 키를 인식해서 잠금 또는 해정하는 방식의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 lock)은 도어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어를 도어프레임(doorframe)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보안 신뢰성 향상 및 사용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 방식, 지문 인식 방식, RF 방식 등의 디지털 도어록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회로적인 고장 또는 전원이 방전된 경우에는 도어록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카드 키 인식 방식의 일례가 한국 등록특허 제052850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수 개의 펀칭 공들이 형성된 형태의 카드가 마련되고, 펀칭 공들과 도어록 장치 내부의 가동 플레이트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펀치들이 각각 일치할 때 잠금 상태로부터 해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펀칭 공 형태의 카드는 복제가 쉬울 수 있는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는 케이스와, 손잡이와, 복귀용 탄성부재와, 구동 기어와, 일 방향 회전유도부, 및 운동전달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도어의 실외 쪽에 장착된다. 손잡이는 케이스의 외측에서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간에 회전 왕복한다. 복귀용 탄성부재는 케이스 내에서 손잡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손잡이에 탄성력을 가한다. 구동 기어는 케이스 내에서 손잡이의 회전 중심 축과 동일 축 상으로 배치되어 손잡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일 방향 회전유도부는 손잡이의 1회 회전 왕복시, 손잡이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만 손잡이의 회전력을 구동 기어로 전달하여 구동 기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운동전달부는 손잡이가 1회 회전 왕복할 때마다 구동 기어의 회전 운동을 입력받아 정 방향의 회전 운동과 역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교대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은 전술한 손잡이 장치와, 작동대와, 키 삽입부, 및 키 인식부를 포함한다. 작동대는 도어의 실내 쪽에 설치된 잠금쇠 뭉치를 잠금 또는 해정시키도록 정,역 회전한다. 키 삽입부는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을 갖는 통공 카드 키를 삽입한다. 키 인식부는 키 삽입부에 통공 카드 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운동전달부로부터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통공 카드 키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여, 인식 성공시 운동전달부의 회전 운동을 작동대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동일한 방식으로 1회 회전 동작시킬 때마다 정 방향의 회전 운동과 역 방향의 회전 운동을 키 인식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 없이 통공 카드 키의 통공 패턴과 비통공 패턴을 모두 인식 성공할 경우 잠금 또는 해정되도록 함으로써, 통공 카드 키 복제를 어렵게 해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록과의 조합시 디지털 도어록의 고장이 있더라도, 잠금 또는 해정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일 방향 회전유도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일 방향 회전유도부에 대한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있어서, 제1,2 스토퍼 홈과 스토퍼 블록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2에 있어서, 복귀용 탄성부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있어서, 랙 기어 안내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있어서, 키 인식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키 인식부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키 인식부에 의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있어서, 회전력 단속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도 13에 있어서, 회전력 단속부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3에 있어서, 키 반환 작동부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어록에 위치 센서와 전원 제어부가 더 구비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100)은 손잡이 장치(110), 및 키 인식 장치(120)를 포함한다.
손잡이 장치(110)는 케이스(111)와, 손잡이(112)와, 복귀용 탄성부재(113)와, 구동 기어(114)와, 일 방향 회전유도부(115), 및 운동전달부(116)를 구비한다. 케이스(111)는 도어의 실외 쪽에 장착된다. 케이스(111)에는 통공 카드 키(10)가 삽입되는 키 삽입 홀(111a)이 형성된다. 케이스(111)는 손잡이(112)를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손잡이 지지부재(1111)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112)는 케이스(111)의 외측에서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간에 회전 왕복한다. 예컨대, 손잡이(112)는 바형 손잡이로 이루어져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손잡이(112)는 좌측의 초기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112)의 최대 회전 각도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간의 각도로서 3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복귀용 탄성부재(113)는 케이스(111) 내에서 손잡이(11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손잡이(112)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잡아서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손잡이(112)는 복귀용 탄성부재(113)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손잡이(112)는 래치볼트(latch bolt) 작동기구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12)는 사용자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면 래치볼트를 도어 프레임의 걸쇠에 인입시켜 도어를 고정하고, 복귀용 탄성부재(113)에 의해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 래치볼트를 도어 프레임의 걸쇠로부터 인출시켜 도어를 해제시킬 수 있다.
구동 기어(114)는 케이스(111) 내에서 손잡이(112)의 회전 중심 축과 동일 축 상으로 배치되어 손잡이(11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구동 기어(114)는 링 기어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방향 회전유도부(115)는 손잡이(112)의 1회 회전 왕복시, 손잡이(112)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만 손잡이(112)의 회전력을 구동 기어(114)로 전달하여 구동 기어(114)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일 방향 회전유도부(115)는 손잡이(112)가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 손잡이(112)의 회전력을 구동 기어(114)로 전달하지 않는다. 운동전달부(116)는 손잡이(112)가 1회 회전 왕복할 때마다 구동 기어(114)의 회전 운동을 입력받아 정 방향의 회전 운동과 역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교대로 출력한다. 일 방향 회전유도부(114)와 운동전달부(115)는 케이스(111)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손잡이 장치(11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손잡이(112)는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용 탄성부재(113)에 의해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 구동 기어(114)는 손잡이(112)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만 일 방향 회전유도부(115)에 의해 손잡이(1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 기어(114)의 회전 운동은 운동전달부(116)를 거쳐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출력된다. 만일, 손잡이(112)의 앞선 회전 동작시 구동 기어(114)의 회전 운동이 운동전달부(116)를 거쳐 정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출력된다면, 손잡이(112)의 뒤이은 회전 동작시 구동 기어(114)의 회전 운동은 운동전달부(116)를 거쳐 역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12)를 동일한 방식으로 1회 회전 동작시킬 때마다 운동전달부(116)로부터 정 방향의 회전 운동과 역 방향의 회전 운동을 교대로 출력시켜 키 인식 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일 방향 회전유도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록(1151)과, 회전 단속판(1152)과, 걸림핀(1153)과,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 및 제2 걸림핀용 탄성부재(11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블록(1151)은 손잡이(112)의 회전 중심 축과 동일 축 상에 고정된다. 회전 블록(1151)은 케이스(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단속판(1152)은 구동 기어(114)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동 기어(114)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 단속판(1152)은 둘레를 따라 걸림홈(1152a)들이 손잡이(112)의 최대 회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걸림핀(1153)은 걸림홈(1152a)들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1152a)에 대해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회전 블록(1151)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회전 블록(1151)에 설치된다. 예컨대, 회전 블록(1151)은 한쪽에 반경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두께 방향으로 단차진 걸림핀용 홀(1151a)이 형성된다. 걸림핀(1153)은 둘레 중앙에 걸림핀 몸체(1153a)를 갖는다. 걸림핀 몸체(1153a)는 걸림핀용 홀(1151a)에 안착되어 회전 블록(1151)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회전 블록(1151)에는 걸림핀(1153)이 걸림핀용 홀(1151a)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커버(1153b)가 장착된다. 커버(1153b)는 걸림핀(1153)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는 홀을 갖는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는 손잡이(112)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걸림핀(1153)이 걸림홈(1152a)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되도록 걸림핀(1153)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는 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11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는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후술하겠지만, 손잡이(112)가 위치 변경됨에 따라 걸림핀(1153)은 회전 블록(1151)의 중앙을 기준으로 반대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가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데, 동일한 형태의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핀용 탄성부재(1155)는 손잡이(112)가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걸림핀(1153)이 걸림홈(1152a)들 중 후속하는 걸림홈(1152a)에 끼워지도록 걸림핀(1153)에 탄성력을 가한다. 제2 걸림핀용 탄성부재(1155)는 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케이스(111)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걸림핀용 탄성부재(1155)도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1154)와 마찬가지로, 쌍을 이루어 대칭되게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블록(1151)은 둘레에 제1,2 스토퍼 홈(1151b)(1151c)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블록(1156)은 제1,2 스토퍼 홈(1151b)(1151c)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스토퍼 블록(1156)은 회전 블록(1151)의 회전에 따라 제1 스토퍼 홈(1151b) 또는 제2 스토퍼 홈(1151c)에 대응될 때 제1 스토퍼 홈(1151b) 또는 제2 스토퍼 홈(1151c)에 출입 가능하도록 케이스(111)에 설치된다. 스토퍼 블록(1156)은 회전 블록(1151)의 하측 중앙인 6시 방향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 홈(1151b)은 스토퍼 블록(1156)을 끼운 상태로 손잡이(112)가 도어의 실외 쪽에서 좌측의 초기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제한한다. 손잡이(112)는 좌측의 초기 위치에서 수평으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180도 회전시켜 반대쪽에 위치시키고자 하면, 스토퍼 블록(1156)을 제1 스토퍼 홈(1151b)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112)를 180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블록(1151)을 함께 회전시켜 스토퍼 블록(1156)을 제2 스토퍼 홈(1151c)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2 스토퍼 홈(1151c)은 스토퍼 블록(1156)을 끼운 상태로 손잡이(112)가 도어의 실외 쪽에서 우측의 초기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제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손잡이(112)를 좌,우 중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복귀용 탄성부재(113)의 작용 예를 도 2와 함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귀용 탄성부재(113)는 풀리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감기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손잡이 지지부재(111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토션 스프링은 양단에 손잡이(112)의 회전축 방향에 나란하게 굽어져 연장된 한 쌍의 걸림 로드들(113a)(113b)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 로드들(113a)(113b)은 손잡이 지지부재(1111)를 기준으로 6시 방향 쪽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1)는 걸림 로드들(113a)(113b)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 턱(1112)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블록(1151)은 지지 턱(1112)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걸림 로드들(113a)(113b) 사이에 삽입되는 푸싱 로드(1151d)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블록(1156)을 회전 블록(1151)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2)를 12시 방향에서 3시 방향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그러면, 우측 걸림 로드(113a)가 지지 턱(1112)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좌측 걸림 로드(113b)가 회전 블록(1151)의 푸싱 로드(1151d)에 의해 밀려서 9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토션 스프링은 탄성 변형되어 회전 블록(1151)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푸싱 로드(1151d)에 가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 블록(1156)을 회전 블록(1151)의 제1 스토퍼 홈(1151b)에 삽입하면, 회전 블록(1151)은 반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스토퍼 블록(1156)에 걸린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받는다.
그 결과, 손잡이(112)는 3시 방향의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받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잡아서 3시 방향으로부터 6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손잡이(112)는 3시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블록(1156)을 회전 블록(1151)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2)를 12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 그러면, 좌측 걸림 로드(113b)가 지지 턱(1112)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우측 걸림 로드(113a)가 회전 블록(1151)의 푸싱 로드(1151d)에 의해 밀려서 3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토션 스프링은 탄성 변형되어 회전 블록(115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푸싱 로드(1151d)에 가한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 블록(1156)을 회전 블록(1151)의 제2 스토퍼 홈(1151c)에 삽입하면, 회전 블록(1151)은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스토퍼 블록(1156)에 걸린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받는다.
그 결과, 손잡이(112)는 9시 방향의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을 받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12)를 잡아서 9시 방향으로부터 6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놓게 되면, 손잡이(112)는 9시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와 함께 도 12를 참조하면, 운동전달부(116)는 종동 기어(1161)와, 캠 부재(1162)와, 랙 기어(1163)와, 랙 기어 안내부(1164), 및 피니언 기어(1165)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 기어(1161)는 구동 기어(114)와 치합된다. 캠 부재(1162)는 종동 기어(1161)의 회전 축에 고정된다. 캠 부재(1162)는 판 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캠 부재(1162)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단축 부위와 장축 부위를 갖는다. 랙 기어(1163)는 캠 부재(1162)에 밀착되어 캠 부재(1162)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한다. 랙 기어(1163)는 캠 부재(1162)가 180도씩 회전할 때마다 캠 부재(1162)의 단축 부위와 장축 부위를 교대로 밀착됨에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랙 기어 안내부(1164)는 랙 기어(1163)를 캠 부재(1162)에 밀착시킨 상태로 랙 기어(1163)의 이동을 안내한다. 일 예로, 랙 기어 안내부(1164)는 가동핀(1164a) 및 가이드 블록(1164b)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핀(1164a)은 캠 부재(116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블록(1164b)은 랙 기어(1163)를 장착한 상태로 케이스(111)에 랙 기어(1163)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케이스(111)는 지지핀들을 구비하고 가이드 블록(1164b)은 지지 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홀들은 지지핀들을 각각 끼우고 랙 기어(1163)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가이드 블록(1164b)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1164b)은 가동핀(1164a)의 이동을 안내하여 랙 기어(1163)를 캠 부재(1162)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가동 홀(1164c)을 갖는다.
피니언 기어(1165)는 랙 기어(1163)와 치합된다. 피니언 기어(1165)는 랙 기어(1163)의 슬라이드 왕복 운동을 정,역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피니언 기어(1165)로부터 출력된 정,역 회전 운동은 후술할 키 인식 장치(120)의 제2 매개 기어(1166b)를 거쳐 인식용 구동 캠(1462a)으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165)와 인식용 구동 캠(1462a) 사이에는 매개 기어유닛(1166)이 구비될 수 있다. 매개 기어유닛(1166)은 연결 축(1166c)에 의해 피니언 기어(1165)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 매개 기어(1166a)와, 제1 매개 기어(1166a)와 치합되고 인식용 구동 캠(1462a)에 고정되는 제2 매개 기어(11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매개 기어(1166a)(1166b)의 각 잇수는 손잡이(112)의 1회 회전 동작에 따른 피니언 기어(1165)의 회전시 인식용 구동 캠(1462a)이 360도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키 인식 장치(120)는 작동대(121)와, 키 삽입부(130), 및 키 인식부(14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이 상부를 향해 위치된 기준으로 키 인식 장치(120)를 상하 반전시켜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키 인식 장치(12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에서 '상', '하'로 지칭한 것은 통공 카드 키(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칭한 것이므로,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작동대(121)는 도어의 실내 쪽에 설치된 잠금쇠 뭉치(미도시)의 잠금 상태를 해정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잠금쇠 뭉치의 해정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정,역 회전한다. 잠금쇠 뭉치는 작동대(121)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에 따라 데드볼트(deadbolt)를 도어 프레임의 걸쇠에 인입 또는 인출시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키 삽입부(130)는 통공 카드 키(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키 삽입부(130)는 키 인식부(140)의 하부 프레임(1431)의 하측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하부 프레임(1431)과의 사이로 통공 카드 키(10)를 삽입시키는 슬롯(132)을 형성하는 키 커버(13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132)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삽입 홀(111a)에 대응된다.
통공 카드 키(10)는 카드 본체(11)와 통공 패턴(12)과 비통공 패턴(13)을 포함한다. 통공 패턴(12)은 카드 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통공 패턴(12)은 적어도 하나의 통공부(11a)를 포함한다. 통공부(11a)는 원형 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통공 패턴(13)은 제1,2 비통공 패턴(14)(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통공 패턴(14)은 카드 본체(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1 비통공 패턴(14)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비통공부(14a)를 포함한다. 제1 비통공부(14a)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비통공 패턴(15)은 제1 비통공 패턴(14)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카드 본체(11)의 일면에 형성된다. 즉, 제2 비통공 패턴(15)은 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2 비통공부(15a)를 포함하며, 제2 비통공부(15a)의 두께가 제1 비통공부(14a)의 두께보다 얇게 설정된다. 제2 비통공부(15a)는 원형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비통공부(15a)의 깊이는 카드 본체(11)의 두께에 비해 절반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공 카드 키(10)는 고유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통공부(12a), 제1 비통공부(14a), 및 제2 비통공부(15a)가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되어 다양한 패턴으로 조합되고 배열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잠금쇠 뭉치를 디지털 인증으로 잠금 또는 해정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er) 인증기가 포함되는 경우, 카드 본체(11)는 출입용 식별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RFID 인증기는 RFID 태그에 내장된 출입용 식별정보를 읽어 들여 인증 성공시 잠금쇠 뭉치의 잠금 상태를 해정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록은 케이스(111) 내에 내장될 수 있다.
키 인식부(140)는 통공 카드 키(10)가 키 삽입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4)(15)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성공시, 키 인식부(140)는 손잡이 장치(110)에 의한 회전력을 작동대(121)로 전달한다. 작동대(121)는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전달받는 회전력의 방향에 따라 잠금 위치 또는 해정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실패시, 키 인식부(140)는 손잡이 장치(110)에 의한 회전력을 작동대(121)로 전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키 인식부(140)는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뿐 아니라 서로 두께가 다른 제1,2 비통공 패턴(14)(15)에 대해 모두 인식 성공한 경우에만 잠금쇠 뭉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통공 카드 키의 통공 패턴만 인식하는 것과 비교하면, 불법 사용자가 예측 또는 복제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과 함께 도 14를 참조하면, 키 인식부(140)는 복수의 인식 바(1410)들과, 적어도 하나의 패턴 플레이트(1470), 및 회전력 단속부(1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바(1410)들은 각 하단부가 통공 카드 키(10)의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4)(15)에 각각 대응되게 배열된다. 예컨대, 통공 패턴(12)과 제1,2 비통공 패턴(14)(15)이 조합되어 통공 카드 키(10)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된 경우, 인식 바(1410)들 또한 2열로 배열되고 각 하단부가 통공 패턴(12)과 제1,2 비통공 패턴(14)(15)에 대응되게 배열된다.
인식 바(1410)들의 각 하단부는 통공 패턴(12)의 통공부(12a)와 제2 비통공 패턴(15)의 제2 비통공부(15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식 바(1410)들은 각 측면에 돌출 핀(1411)이 형성된다. 인식 바(1410)들의 돌출 핀(1411)들은 패턴 플레이트(1470)의 제1,2,3 패턴 홀(1471)(1472)(1473)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다.
인식 바 이동부는 인식 바(1410)들을 독립되게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인식 바 이동부는 인식 바 가이드부와,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들과, 가동 프레임(1450), 및 가동 프레임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바 가이드부는 인식 바(1410)들의 승강을 안내한다. 인식 바 가이드부는 하부 프레임(1431)과, 수직 프레임(1432), 및 상부 프레임(14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431)은 인식 바(1410)들의 각 하단을 관통시켜 승강 안내한다. 수직 프레임(1432)은 패턴 플레이트(1470)와 인식 바(1410)들 사이에서 하부 프레임(1431)으로부터 수직 돌출된다. 수직 프레임(1432)에는 인식 바(1410)들의 돌출 핀(1411)들을 각각 끼워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홀(1433)들이 형성된다. 상부 프레임(1434)은 하부 프레임(1431)의 상측에서 수직 프레임(1432)과 결합되며, 인식 바(1410)들의 각 상단을 관통시켜 승강 안내한다.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들은 돌출 핀(1411)들의 각 상측에 설치되어 인식 바(1410)들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예컨대,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들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는 인식 바(1410)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상부 프레임(1434)의 하면에 지지되고 하단이 돌출 핀(1411)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 턱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인식 바(141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가동 프레임(1450)은 돌출 핀(1411)들의 각 하측에 공히 대응되게 배치되어 승강 동작함에 따라 인식 바(1410)들을 승강시킨다. 즉, 가동 프레임(1450)이 최대로 상승 동작하는 과정에서, 돌출 핀(1411)들은 가동 프레임(1450)에 의해 모두 받쳐져 상승함에 따라 인식 바(1410)들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들에 압축력이 각각 가해지며, 이로 인해 인식 바(1410)들은 하강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프레임(1450)이 최대로 하강 동작하게 되면,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들의 각 복원력에 의해 인식 바(1410)들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인식 바(1410)들 중 통공 패턴(12)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통공부(12a)들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한다. 인식 바(1410)들 중 제1 비통공 패턴(14)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제1 비통공부(14a)들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인식 바(1410)들 중 제2 비통공 패턴(15)에 대응되는 인식 바들은 제2 비통공부(15a)들에 삽입되어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다.
가동 프레임 이동부는 손잡이(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가동 프레임(1450)을 승강시킨다. 가동 프레임 이동부는 회전 샤프트(1461)와,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461)는 제2 매개 기어(1166b)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어 손잡이(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 샤프트(1461)는 작동대(121) 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은 회전 샤프트(1461)와 함께 회전하면서 가동 프레임(1450)을 승강시키도록 회전 샤프트(1461)에 구비된다.
예컨대,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은 회전 샤프트(1461)의 양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 프레임(1450)은 돌출 핀(1411)들의 각 하측에 공히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가동부(1451)와,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의 각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2 가동부(1452)들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동부(1452)들은 인식 바용 탄성부재(1440)들에 의해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은 손잡이(112)의 1회 회전 동작에 따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360도 회전한다.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은 각각의 장축 부위가 상사점으로 이동하여 가동 프레임(1450)을 최대로 상승시킨 상태로 있다가, 회전에 의해 각각의 단축 부위가 하사점으로 이동할 때 가동 프레임(1450)을 최대로 하강시킨다.
패턴 플레이트(1470)에는 제1,2,3 패턴 홀(1471)(1472)(1473)이 형성된다. 통공 패턴(12)과 제1,2 비통공 패턴(14)(15)이 조합되어 통공 카드 키(10)의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된 경우, 패턴 플레이트(1470)는 2개로 구비되어 각 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패턴 플레이트(1470)들은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1476)에 의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제1,2,3 패턴 홀(1471)(1472)(1473)은 인식 바(1410)들의 하강시 돌출 핀(1411)들의 높낮이가 통공 패턴(12) 및 제1,2 비통공 패턴(14)(15)에 맞게 위치되어 인식 성공될 때에만, 패턴 플레이트(1470)들이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1476)에 의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해지도록 돌출 핀(1411)들을 안내한다. 패턴 플레이트(1470)들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후술하겠지만, 회전력 단속부(1480)에서 종동 블록(1481)이 구동 블록(1483)이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블록(1483)이 회전하면 종동 블록(1481)의 회전에 의해 작동대(121)가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 홀(1471)은 제1 수직 장홀(1471a)과 제1 수직 장홀(1471a)의 하단에 연결되어 인식용 구동 캠(146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평 장홀(147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평 장홀(1471b)은 인식 바(1410)들 중 통공 패턴(12)에 대응되는 인식 바가 통공부(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 핀(1411)을 수용하도록 위치됨으로써, 패턴 플레이트(1470)가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2 패턴 홀(1472)은 제2 수직 장홀(1472a)과 제2 수직 장홀(1472a)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식용 구동 캠(146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평 장홀(147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평 장홀(1472b)은 인식 바(1410)들 중 제1 비통공 패턴(14)에 대응되는 인식 바가 제1 비통공부(14a)에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 핀(1411)을 수용하도록 위치됨으로써, 패턴 플레이트(1470)가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3 패턴 홀(1473)은 제3 수직 장홀(1473a)과 제3 수직 장홀(1473a)의 상단에 연결되어 인식용 구동 캠(146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수평 장홀(1473b)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수평 장홀(1473b)은 인식 바(1410)들 중 제2 비통공 패턴(15)에 대응되는 인식 바가 제2 비통공부(15a)에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 핀(1411)을 수용하도록 위치됨으로써, 패턴 플레이트(1470)가 제2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 바(1410)들이 상승해 있다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면, 인식 바(1410)들 중 통공부(12a) 및 제2 비통공부(15a)에 대응되는 것들의 돌출 핀(1411)들만 제1,3 수직 장홀(1471a)(1473a)을 따라 하강하여 제1,3 수평 장홀(1471b)(1473b)에 수용되게 위치하며, 제1 비통공부(15a)에 대응되는 것의 돌출 핀(1411)은 제2 수직 장홀(1472a)을 따라 하강하지 않고 제2 수평 장홀(1472b)에 수용되게 위치된다. 그러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플레이트(1470)는 패턴 플레이트용 탄성부재(1476)에 의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패턴 플레이트(1470)가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각각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회전력 단속부(1480)에서 종동 블록(1481)이 구동 블록(1483)이 연결되고, 이 상태에서 구동 블록(1483)이 회전하면 종동 블록(1481)의 회전에 의해 작동대(121)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력 단속부(1480)는 패턴 플레이트(1470)들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 장치(110)의 회전력을 작동대(121)로 전달한다. 회전력 단속부(1480)는 종동 블록(1481)과, 지지 블록(1482), 및 구동 블록(1483)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 블록(1481)은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을 향한 면에 한 쌍의 걸림 돌기(1481a)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반대 면에 작동대(121)가 결합된다. 종동 블록(1481)이 회전하게 되면, 작동대(12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지지 블록(1482)은 패턴 플레이트(1470)들에 결합되어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며, 종동 블록(148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 블록(1483)은 회전 샤프트(1461)의 단부에 구비되어 회전 샤프트(1461)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 블록(1483)은 패턴 플레이트(1470)들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 돌기(1481a)들과 맞물리게 한 쌍의 걸림 홈(1483a)들을 구비한다.
전술한 회전력 단속부(1480)의 작용을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삽입부(130)에 통공 카드 키(10)가 삽입되기 전이나,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실패시에는 손잡이(112)를 회전시키더라도 구동 블록(1483)과 종동 블록(1481)이 서로 이격된 상태이므로, 구동 블록(1483)의 회전력이 종동 블록(1481)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이 어느 한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는 과정에서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 성공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플레이트(1470)들이 인식용 구동 캠(1462a)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지지 블록(1482)이 패턴 플레이트(1470)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종동 블록(1481)의 걸림 돌기(1481a)들이 구동 블록(1483)의 걸림 홈(1483a)들에 각각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이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블록(1481)이 회전하면서 작동대(121)를 회전시키게 된다. 작동대(121)는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의 방향에 따라 잠금쇠 뭉치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키 반환 작동부(150)는 잠금쇠 뭉치가 해정 처리되거나 잠금 처리된 후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이 360도까지 회전하는 과정에서 통공 카드 키(10)를 키 삽입부(130)로부터 반환 가능한 상태로 놓이게 한다. 따라서, 도어가 해정 처리 또는 잠금 처리된 후, 사용자는 통공 카드 키(10)를 회수할 수 있다.
키 반환 작동부(150)는 푸싱 핀(151) 및 푸싱 돌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 핀(151)은 구동 블록(1483)으로부터 지지 블록(1481)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잠금쇠 뭉치가 해정 처리되거나 잠금 처리된 후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이 360도까지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과정에서, 푸싱 돌출부(152)는 푸싱 핀(151)에 의해 밀려 패턴 플레이트(1470)들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지지 블록(1482)에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키 반환 작동부(15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쇠 뭉치가 해정 처리되거나 잠금 처리된 상태에서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이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핀(151)은 푸싱 돌출부(152)의 돌출 면 위로 이동하면서 푸싱 돌출부(152)와 함께 지지 블록(1482)을 인식용 구동 캠(146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패턴 플레이트(1470)들은 원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구동 블록(1483)과 종동 블록(1481)이 서로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이 동일 방향으로 360도까지 더 회전하는 과정에서, 푸싱 핀(151)은 푸싱 돌출부(152)의 돌출 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동 블록(1483)과 종동 블록(1481)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며, 가동 프레임(1450)은 인식용 구동 캠(1462a) 및 인식용 종동 캠(1462b)에 의해 최대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식 바(1410)들이 가동 프레임(1450)에 의해 통공 카드 키(10)로부터 모두 분리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삽입부(130)로부터 통공 카드 키(10)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100)은 위치 센서(160) 및 전원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160)는 작동대(121)가 잠금쇠 뭉치를 잠금 처리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작동대(121)에는 센서 도그(161)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 도그(161)는 작동대(121)에 고정되어 작동대(121)와 함께 회전한다. 센서 도그(1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센서(160)는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센서 도그(161)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위치 센서(160)는 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도그(161)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홀 센서는 센서 도그(161)의 영구자석의 감지 여부에 따라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 센서(16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한 광학식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와 수광부는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센서 도그(161)를 진입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와 수광부는 센서 도그(161)의 진입 여부를 감지함에 따라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위치 센서(160)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70)는 위치 센서(16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도어록의 인증에 필요한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 제어부(170)는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에서 해정 위치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도어록의 인증에 필요한 전원을 다시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공 카드 키(10)를 사용하여 작동대(121)를 해정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전환함에 따라 잠금쇠 뭉치를 잠금 처리하면,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쇠 뭉치를 해정 처리하기 위해서는 통공 카드 키(10)을 다시 사용해야만 작동대(121)를 해정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도어록(100)에 있어서, 손잡이 장치(110)에 의해 키 인식 장치(120)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작동대(121)가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정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회전하고,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역 방향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해정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회전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작동대(121)가 잠금 위치에 있은 경우, 사용자는 키 인식 장치(120)의 키 삽입부(130)에 통공 카드 키(10)를 삽입한 후, 손잡이 장치(110)의 손잡이(112)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 동작시킨 후 놓는다. 그러면, 키 인식 장치(120)는 손잡이 장치(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통공 카드 키(10)에 대한 인식을 수행한 후, 인식 성공시 손잡이 장치(110)의 회전력을 작동대(121)로 전달한다. 이때,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정 방향의 회전 운동이 키 인식 장치(120)로 전달된다면, 작동대(121)는 정 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잠금쇠 뭉치는 작동대(121)에 의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일,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역 방향의 회전 운동이 키 인식 장치(120)로 전달된다면, 작동대(121)는 역 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의 반대쪽으로 회전한다. 이때, 잠금쇠 뭉치는 작동대(121)를 공회전시키고 작동대(121)의 공회전 상태를 감지해서 디지털 도어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자에게 잠금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한 손잡이(112)를 다시 작동 위치까지 회전 동작시키면, 손잡이 장치(110)로부터 정 방향의 회전 운동이 키 인식 장치(120)로 전달된다. 그러면, 작동대(121)는 정 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해정 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잠금쇠 뭉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공 카드 키(10)가 유효한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12)를 동일한 방식으로 1회 또는 2회 회전 동작시킨다면, 잠금쇠 뭉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정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대(121)가 해정 위치에 있은 경우에도, 통공 카드 키(10)가 유효한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112)를 동일한 방식으로 1회 또는 2회 회전 동작시킨다면, 잠금쇠 뭉치를 해정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 편리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통공 카드 키 110..손잡이 장치
111..케이스 112..손잡이
113..복귀용 탄성부재 114..구동 기어
115..일 방향 회전유도부 116..운동전달부
120..키 인식 장치 121..작동대
130..키 삽입부 140..키 인식부
150..키 반환 작동부 160..위치 센서
170..전원 제어부

Claims (7)

  1. 도어의 실외 쪽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 간에 회전 왕복하는 손잡이;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손잡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에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용 탄성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 중심 축과 동일 축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 구동 기어;
    상기 손잡이의 1회 회전 왕복시, 상기 손잡이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만 상기 손잡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기어로 전달하여 상기 구동 기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 방향 회전유도부; 및
    상기 손잡이가 1회 회전 왕복할 때마다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 운동을 입력받아 정 방향의 회전 운동과 역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교대로 출력하는 운동전달부;
    를 포함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 회전유도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 중심 축과 동일 축 상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블록과,
    상기 구동 기어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며 둘레를 따라 걸림홈들이 상기 손잡이의 최대 회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어 형성된 회전 단속판과,
    상기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대해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회전 블록의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회전 블록에 설치된 걸림핀과,
    상기 손잡이가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걸림핀이 상기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걸림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 걸림핀용 탄성부재, 및
    상기 손잡이가 작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걸림핀이 상기 걸림홈들 중 후속하는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걸림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 걸림핀용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록의 둘레에 형성된 제1,2 스토퍼 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스토퍼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 홈은 상기 스토퍼 블록을 끼운 상태로 상기 손잡이가 도어의 실외 쪽에서 좌측의 초기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제한하며,
    상기 제2 스토퍼 홈은 상기 스토퍼 블록을 끼운 상태로 상기 손잡이가 도어의 실외 쪽에서 우측의 초기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는,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종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의 회전 축에 고정된 캠 부재와,
    상기 캠 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캠 부재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는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를 상기 캠 부재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랙 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랙 기어 안내부, 및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 안내부는,
    상기 캠 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돌출 형성된 가동핀, 및
    상기 랙 기어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상기 랙 기어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가동핀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랙 기어를 상기 캠 부재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가동 홀이 형성된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손잡이 장치;
    도어의 실내 쪽에 설치된 잠금쇠 뭉치를 잠금 또는 해정시키도록 정,역 회전하는 작동대;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을 갖는 통공 카드 키를 삽입하는 키 삽입부; 및
    상기 키 삽입부에 통공 카드 키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운동전달부로부터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통공 카드 키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여, 인식 성공시 상기 운동전달부의 회전 운동을 상기 작동대로 전달하는 키 인식부;
    를 포함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가 상기 잠금쇠 뭉치를 잠금 처리하는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및
    상기 위치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작동대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잠금쇠 뭉치를 디지털 인증으로 잠금 또는 해정하는 디지털 도어록의 인증에 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KR1020140127121A 2014-09-23 2014-09-23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KR10161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121A KR101618543B1 (ko) 2014-09-23 2014-09-23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121A KR101618543B1 (ko) 2014-09-23 2014-09-23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75A KR20160035475A (ko) 2016-03-31
KR101618543B1 true KR101618543B1 (ko) 2016-05-10

Family

ID=5565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121A KR101618543B1 (ko) 2014-09-23 2014-09-23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430U1 (ru) * 2017-06-14 2021-02-17 Гацо, Споль. С Р.О. Крышка технического отверсти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394A (en) * 2016-09-23 2018-04-04 Laporta Giovanni Improvements to windows / doors
KR101870194B1 (ko) * 2017-08-11 2018-06-26 (주)메이즈텍 키의 푸쉬 방식만으로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잠금 해제장치
CN109281540A (zh) * 2017-11-08 2019-01-29 南京东屋电气有限公司 双电机驱动离合机构及双电机电子锁
GR1009904B (el) * 2020-03-23 2021-01-12 Λαμπρος Διαμαντη Σαρμπανης Συστημα κλειδαριας και πομολου πορτας με αφανη αφαλο
CN113415363A (zh) * 2021-08-02 2021-09-21 广东洛梵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锁组件
CN115162851B (zh) * 2022-07-01 2024-05-24 珠海美德利智能科技有限公司 门锁离合装置和电子锁
CN117722090B (zh) * 2024-02-05 2024-04-26 珠海唯码科技有限公司 一种无源智能锁芯的双胆锁芯传动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16B1 (ko) 2005-12-21 2007-09-20 심선희 도어잠금장치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8-01-31 박지순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16B1 (ko) 2005-12-21 2007-09-20 심선희 도어잠금장치
KR100799932B1 (ko) 2007-01-08 2008-01-31 박지순 도어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2430U1 (ru) * 2017-06-14 2021-02-17 Гацо, Споль. С Р.О. Крышка технического отверст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475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543B1 (ko)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CN106175007B (zh) 一种具有电子密码锁定装置的手提箱
JP2008138501A (ja) ドアロック装置
CN113309419B (zh) 锁体装置
JP5359077B2 (ja) 押釦錠の暗証番号設定機構
KR101262790B1 (ko)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KR101961277B1 (ko)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EP0626031B1 (en) Mechanical card lock
US20130091908A1 (en) Device for unlocking lock recognizing punched card
JP2008179997A (ja) 反転ラッチ式電気錠
KR101018022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좌우수 공용장치
WO2007009319A1 (fr) Ensemble de verrouillage de puzzle mécanique anti-effraction
KR101870194B1 (ko) 키의 푸쉬 방식만으로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잠금 해제장치
KR101494360B1 (ko) 수동식 작동이 가능한 전동식 도어락 모티스
JP6923906B2 (ja)
CN103912165A (zh) 机电一体锁
KR102676566B1 (ko) 도어용 손잡이
CN101067357B (zh) 一种按键式机械密码锁的锁芯装置
CN210039466U (zh) 拼接装置及显示屏
KR200482418Y1 (ko) 다이얼 키이형 창문 잠금장치
CN104196367B (zh) 电子密码机械锁
CN214006792U (zh) 一种室内把手锁定机构及门锁
KR101105562B1 (ko)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414380B1 (ko) 자동차시동용 키 뭉치
KR100550309B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