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674B1 -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674B1
KR102584674B1 KR1020220015151A KR20220015151A KR102584674B1 KR 102584674 B1 KR102584674 B1 KR 102584674B1 KR 1020220015151 A KR1020220015151 A KR 1020220015151A KR 20220015151 A KR20220015151 A KR 20220015151A KR 102584674 B1 KR102584674 B1 KR 10258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ic
pin
rack gear
plate bracket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054A (ko
Inventor
최요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오나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오나크
Priority to KR102022001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674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2063/0082Lock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플레이트(110)가 형성된 본체(100); 모티스 샤프트를 구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퍼기어샤프트(200); 상기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랙기어가이드구(310)를 따라 승하강되고,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와 치결합되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를 회전시키는 랙기어(300); 상기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브라켓(400);및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에 형성된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관통하고 상기 랙기어(300)와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패닉핀(500);을 포함하되, 상기 랙기어(300)와 나사결합된 패닉핀(500)을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랙기어(30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방으로 이동한 랙기어(300)에 의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티스 샤프트가 구동되어 도어락의 수동 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Digital Door Lock Apparatus with hand-open and unlocking function loss}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장소의 출입문에는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건물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데드 볼트와 래칫 볼트가 출몰되는 케이스 플레이트만이 문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그 케이스가 문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데드 볼트와 래칫 볼트를 출몰시키는 회전 레버나 회전노브 등이 문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형태가 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에는 밖에서 문을 임의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데, 열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식 잠금장치와 비밀번호나 지문인식 또는 카드인식을 통하여 솔레노이드식 전자석과 클러치 레버를 작동시켜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잠금장치로 구분된다.
상기한 기계식 잠금장치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잠금장치에 대한 어느 정도의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잠금장치를 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버튼이나 키패드 또는 지문인식기나 카드리더기 등과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정보를 전기 및 전자식으로 판단할 수 있는 우수한 보안성을 가지는 전자식 잠금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초기(B2B현장 등.) 건전지 사용이 불가한 현장에서 문을 수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고, 이러한 기능이 없는 경우 작업상의 불편함과 외부로부터 불의의 침입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건전지 사용이 불가한 현장에서 이하 후술할 패닉핀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오픈하고, 패닉핀 제거시 외부의 침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새로운 방식과 구조의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10-2203195 (2021.01.14 등록)
본 발명은 핸들 구조가 없는 도어락(전자식 해정)인 경우 별도의 패닉핀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수동으로 열수 있는 구조 및 패닉핀 제거시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도어락의 수동 열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새로운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핸들 구조/푸시풀 구조 제품의 형태로 모티스의 샤프트를 기구적 동작으로 문을 오픈하는 방식이 아닌, 기구적 핸들이 없는 도어락군(전자식 모터라이즈드 모티스)의 임시 수동 해정 기능 및 해당 기능 필요 없을 시 수동 해정 기능 소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전원(건전지)이 없는 상태에서 임시 해정(도어 OPEN)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해당 기능(임시 해정)기능 완료(필요 없을 시) 후 기능 소실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플레이트(110)가 형성된 본체(100); 모티스 샤프트를 구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퍼기어샤프트(200); 상기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랙기어가이드구(310)를 따라 승하강되고,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와 치결합되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를 회전시키는 랙기어(300); 상기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브라켓(400);및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에 형성된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관통하고 상기 랙기어(300)와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패닉핀(500);을 포함하되, 상기 랙기어(300)와 나사결합된 패닉핀(500)을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랙기어(30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방으로 이동한 랙기어(300)에 의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티스 샤프트가 구동되어 도어락의 수동 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모티스의 샤프트를 기구적 동작으로 문을 오픈하는 방식이 아닌, 기구적 핸들이 없는 도어락군(전자식 모터라이즈드 모티스)의 임시 수동 해정 기능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다면 패닉핀을 이용하여 배터리가 없는 전자식 도어락에 대한 임시적인 수동 해정이 이루어진다.
둘째, 임시 수동 해정이 이루어지면 외부에서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패닉핀을 제거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외력에 의한 임시 수동 해정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의 전면과 후면에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후면에 대한 도면이고, 도 3은 이하 설명할 패닉핀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패닉핀에 의해 스퍼기어샤프트가 회전하면 모티스 내의 레버 핸들이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해정되어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핸들 동작을 하지 않는 핸드 바 타입의 도어락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플레이트브라켓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스퍼기어샤프트를 도 11은 랙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랙기어가이드구와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의 구체적인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구체적으로 개시된 패닉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수동해정 패닉핀 동작)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패닉핀 제거 후 기능상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기(B2B현장 등.) 건전지 사용이 불가한 현장에서 문을 수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로 기존 HANDLE 로 문을 여는 방식 제품 외에 핸들 구조가 없는 도어락(전자식 해정)인 경우 이하 설명할 본 발명에 의해 도어락을 수동으로 열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임시적인 수동 해정이 필요 없는 상황이 종료되면, 해당 기능을 소실 또는 해당 기능이 구현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수동으로 해정 및 제품 강제 해정을 막는 기술 역시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의 전면과 후면에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번호, 키, 블루투스, 지문 등 전원이 인가가 되어야 문이 열리는 제품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 SHAFT를 구동하는 기구적 핸들 구조가 없음에 그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후면에 대한 도면이고, 도 3은 이하 설명할 패닉핀(500)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플레이트(110)가 형성된 본체(100), 모티스 샤프트를 구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플레이트(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퍼기어샤프트(200)를 포함한다.
스퍼기어샤프트(200)가 회전하게 되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모티스샤프트를 구동하여 디지털도어락이 오픈된다.(도 5와 도 6 참조)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설명할 패닉핀(500)에 의해 스퍼기어샤프트(200)가 회전하면 모티스 내의 레버 핸들이 회전하여 래치볼트가 해정되어 도어가 열린다.
패닉핀(500)을 놓게 되면 내부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래치볼트가 잠기게 된다.
도 6은 참고로 핸들 동작을 하지 않는 핸드 바 타입의 도어락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랙기어가이드구(310)를 따라 승하강되고, 스퍼기어샤프트(200)와 치결합되어 스퍼기어샤프트(200)를 회전시키는 랙기어(300)가 개시된다.
도 1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가이드구(310)는 제1수직가이드(10)와 제2수직가이드(20) 및 제1수평가이드(50)로 이루어졌으며, 제2수직가이드(20)는 제1수직가이드(10) 보다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짧은데 그 이유는 랙기어(300)의 형상으로 인해 랙기어(300)가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되게끔 하기 위함이다.
랙기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 나사산(510)이 형성될 수 있는 비대칭형으로 되어 있고, 플레이트(110)에 체결된 나사구에 의해 플레이트(110)에 대해 그 구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하 설명할 패닉핀(500)과 나사결합되어 패닉핀(500)의 상승시 함께 상승하여 기 설명한 스퍼기어샤프트(200)를 회전시켜 도어를 수동으로 오픈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브라켓(400)이 개시된다.
도 1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는 전체적으로 제3수직가이드(30), 제4수직가이드(40), 제1수평가이드(50) 및 제2수평가이드(60)로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해당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에 도 9에 그 구체적인 형상된 도시된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안착된 채 패닉핀(500)이 상승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3스프링(340)을 압축하게 되고, 패닉핀(500)의 제거시 해당 제3스프링(340)의 압축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도 13과 도 14에 구체적인 도면이 개시된 패닉핀(500)이 소개된다.
패닉핀(500)은 플레이트브라켓(400)에 형성된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관통하고 랙기어(300)와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로 제1패닉핀홀(411)은 제1수평가이드(50)에 형성되어 있고, 제2패닉핀홀(412)은 제2수평가이드(60)에 형성되어 있다.
패닉핀(5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300)에 형성된 나사홀을 따라 삽입된 뒤 회전시키면 패닉핀(500)에 형성된 나사산(510)과 나사홀에 형성된 나사산(510)이 서로 치결합되어 패닉핀(500)과 랙기어(300)가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된 패닉핀(500)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랙 기어 자체도 상방으로 이동한 뒤 기 설명한 스퍼기어샤프트(2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통해 작동 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랙기어(300)와 나사결합된 패닉핀(500)을 상방으로 이동시 랙기어(30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방으로 이동한 랙기어(300)에 의해 스퍼기어샤프트(200)의 회전으로 인해 모티스 샤프트가 구동되어 도어락의 수동 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가이드구(310)와 랙기어(30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스프링(320)과 제2스프링(330)이 위치하여 제1,2스프링에 의해 스퍼기어샤프트(200)가 회전이 되지 않은 중립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제1수평가이드(50)와 스퍼기어샤프트(200) 사이에 한 쌍의 제1,2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제1,2스프링에 의해 스퍼기어샤프트(200)가 어떤 한 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중립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다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브라켓(400)에는 제3스프링(340)이 감겨질 수 있는 스프링돌기(420)가 형성되되, 패닉핀(500)의 제거시 제3스프링(340)에 의해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이동하여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레이트(110)브라켓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스프링돌기(420)가 형성되어 해당 스프링돌기(420)에 제3스프링(340)이 감겨져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패닉핀(500)이 상승하게 되면 패닉핀(500)이 플레이트브라켓(400)을 도면상 좌측으로 밀고, 이로 인해 제3스프링(340)이 제3수직가이드(30) 측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때 다시 패닉핀(500)을 제거하게 되면 제3스프링(340)의 압축력에 의해 플레이트브라켓(40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플레이트브라켓(400)에 의해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막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해정 패닉핀(500) 동작이 수행됨과 동시에 패닉핀(500) 제거 후 기능 상실이 될 수 있도록 강제 해정 방지 기능이 수행된다.
본체(100) 외관의 랙기어(300)와 연동된 패닉핀(500)을 승하강 시키면 스퍼기어가 회전하여 모티스 샤프트를 구동 시켜 수동 해정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동 해정을 한 후에 더이상 수동 해정 할 필요가 없어지면,해당 수동 해정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외부의 강제 해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1차 강제 해정 방지로 기 설명한 패닉핀(500)을 스크류 타입처럼 회전시켜 분해 하여 소거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상실시킨다.
그 다음으로 2차 강제 해정 방지가 이루어지는데 플레이트브라켓(400)에 의해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막아 외부에서 별도의 핀 혹은 철사 등으로 랙기어(300)를 동작을 할 수 없게 한다.
한편, 도 7,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패닉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별도의 제3홀(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3홀(600), 제1패닉핀홀(411), 제2패닉핀홀(412)을 관통한 패닉핀(500)에 의해 제3스프링(340)이 압축된 상태로 플레이트브라켓(400)이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패닉핀(500)의 제거시 상기 제3스프링(340)의 압축력에 의해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이동하여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가이드구(310)가 위치한 플레이트(110)에는 패닉핀(500)이 승하강될 수 있는 패닉핀이동슬롯(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핀(500)의 끝단에는 복수개의 나사산(5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를 외부에서 덮을 수 있는 별도의 커버(700)가 결합되되, 커버(700)에는 한 쌍의 이동슬릿(710)이 형성되고, 이동슬릿(710)을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브라켓(400)에 형성된 이동돌기(430)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동슬릿(710)을 따라 이동돌기(430)가 이동하면서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좌우로 이동하는데 일종의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5와 도 16은 각각 패닉핀을 이용하여 수동 해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패닉핀 제거 후 해당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0 : 본체 200 : 스퍼기어샤프트
300 : 랙기어 400 : 플레이트브라켓
500 : 패닉핀 600 : 제3홀
700 : 커버

Claims (5)

  1.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형성된 본체(100);
    모티스 샤프트를 구동시켜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스퍼기어샤프트(2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랙기어가이드구(310)를 따라 승하강되고,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와 치결합되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를 회전시키는 랙기어(3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플레이트브라켓(400);및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에 형성된 제1패닉핀홀(411)과 제2패닉핀홀(412)을 관통하고 상기 랙기어(300)와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패닉핀(500);을 포함하되,
    상기 랙기어(300)와 나사결합된 패닉핀(500)을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랙기어(30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방으로 이동한 랙기어(300)에 의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티스 샤프트가 구동되어 도어락의 수동 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가이드구(310)와 상기 랙기어(30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스프링(320)과 제2스프링(330)이 위치하여 상기 제1,2스프링에 의해 상기 스퍼기어샤프트(200)가 회전이 되지 않은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에는 제3스프링(340)이 감겨질 수 있는 스프링돌기(420)가 형성되되,
    상기 패닉핀(500)의 제거시 상기 제3스프링(34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이동하여 상기 제1패닉핀홀(411)과 상기 제2패닉핀홀(412)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패닉핀(500)이 관통할 수 있는 별도의 제3홀(6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홀(600), 제1패닉핀홀(411), 제2패닉핀홀(412)을 관통한 상기 패닉핀(500)에 의해 상기 제3스프링(340)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상기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패닉핀(500)의 제거시 상기 제3스프링(34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이 이동하여 상기 제1패닉핀홀(411)과 상기 제2패닉핀홀(412)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패닉핀(500)이 승하강될 수 있는 패닉핀이동슬롯(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패닉핀(500)의 끝단에는 복수개의 나사산(5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브라켓가이드구(410)를 외부에서 덮을 수 있는 별도의 커버(700)가 결합되되,
    상기 커버(700)에는 한 쌍의 이동슬릿(71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릿(710)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브라켓(400)에 형성된 이동돌기(430)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KR1020220015151A 2022-02-06 2022-02-06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KR10258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151A KR102584674B1 (ko) 2022-02-06 2022-02-06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151A KR102584674B1 (ko) 2022-02-06 2022-02-06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054A KR20230119054A (ko) 2023-08-16
KR102584674B1 true KR102584674B1 (ko) 2023-10-04

Family

ID=8784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151A KR102584674B1 (ko) 2022-02-06 2022-02-06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6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231A (ja) 2001-09-07 2003-03-12 Ai Denki Tsushin Kk ドア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195B1 (ko) 2020-08-28 2021-01-14 김동욱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231A (ja) 2001-09-07 2003-03-12 Ai Denki Tsushin Kk ドア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054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9755B2 (en) Deadbolt lock with electronic touch-key
US9765550B2 (en) Passive door lock mechanisms
US8161781B2 (en) Electronic locker lock
US20130086956A1 (en) Multiple mode locking arrangements
KR20080095832A (ko) 출입문용 보안 장치
US9328534B2 (en) Safe and lock mechanism
DE3145665A1 (de) Schliessvorrichtung
KR101891785B1 (ko)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101962783B1 (ko) 디지털 도어록의 다기능 내측 핸들
US6151935A (en) Deadbolt combination lock system with automatic locking spring bolt
US5010754A (en) Lock actuator with removable operator
EP2476825A2 (en) Enhanced security outdoor use lock mechanism
US5651568A (en) Privacy snib mechanism
KR102584674B1 (ko) 디지털 도어락 수동 열림 및 해정 기능 상실 장치
KR20170032115A (ko)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CA2121583C (en) Mechanical card lock
EP1160399B1 (de) Elektrisch betätigbares Schloss
US20080216531A1 (en) Locking apparatus
US5305623A (en) Key operated, combination changing, lock
US5280976A (en) Door security device
EP1580361A1 (en) Door lock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JPH0660544B2 (ja) 符号錠装置
KR102405186B1 (ko) 모티스 안티패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