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624B1 - 입출구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입출구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624B1
KR102151624B1 KR1020190032035A KR20190032035A KR102151624B1 KR 102151624 B1 KR102151624 B1 KR 102151624B1 KR 1020190032035 A KR1020190032035 A KR 1020190032035A KR 20190032035 A KR20190032035 A KR 20190032035A KR 102151624 B1 KR102151624 B1 KR 10215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atch
rotation
han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호
Original Assignee
윤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호 filed Critical 윤채호
Priority to KR102019003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13Followers; Bear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 E05B2009/046Cylinder locks operated by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통한 푸쉬풀 동작에 대한 직선 운동을 화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입출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거나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잠금 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입출구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입출구 개폐 장치{OPEN AND CLOSE APPARATUS OF ENTRY AND EXIT}
본 발명은 입출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통한 푸쉬풀 동작에 대한 직선 운동을 화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입출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일반 주택의 현관문 또는 아파트나 기업, 사무실 등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와 도어 내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 내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상하로 설치되고 이에 상응하는 위치인 도어 프레임에 결합홈이 상하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데드볼트는 돌출된 부분이 단면상 원형 또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어 열고 닫을 때에 인위적으로 작동되며, 래치볼트는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이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거나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어 반인위적으로 작동된다.
최근 푸쉬풀(push-pull) 타입의 도어락 장치가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 장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래치볼트의 인입을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푸쉬풀 도어락 장치들은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가 래치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하고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되어 덜컥거리게 되고, 과도한 힘을 사용하거나 래치헤드가 도어틀의 홈에 걸려서 문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손잡이를 통한 푸쉬풀 동작에 대한 직선 운동을 화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입출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탄성부재를 통해 회전 레버와 작동 레버를 빠르게 각각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입출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거나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잠금 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회동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직선 운동하며 상호 대칭하는 제1 및 제2 걸림부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 상기 제1 걸림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작동 레버, 상기 잠금 유닛,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입출구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타단에 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가 상기 래치볼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탄성부재에 복귀 탄성을 제공하는 복귀 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회동탄성부재가 감겨져 상기 복귀 돌출부로 연장되도록 하는 회전 링크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 유닛이 배치되고, 대략 갈지(之)자로 형성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거나 타측 끝단이 상기 제1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며, 타측 끝단에서 상기 래치볼트 방향으로 회전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잠금 하우징; 상기 잠금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으로 곡면의 회전 슬릿이 형성되는 잠금 블록;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잠금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 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에 형성되는 걸림홈의 일측 또는 타측을 밀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잠금 회전 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허브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직선 운동하며 상호 대칭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거나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잠금 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는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일단이 상기 래치헤드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에 의해 푸쉬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입출구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통한 푸쉬풀 동작에 대한 직선 운동을 화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만으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동탄성부재를 통해 회전 레버와 작동 레버를 빠르게 각각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회전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잠금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래치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래치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데드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회전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잠금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래치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래치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데드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는, 도어(1)의 일측에 고정되고, 래치볼트(300) 및 데드볼트(400)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일단에서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손잡이(10)와 연결되며,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본체(100)로부터 개폐시키거나 손잡이(10)와 연결되는 잠금 유닛(240)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00)를 본체(100)로부터 개폐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키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카드와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스마트 카드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스마트 제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키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제어 장치에서 일정 반경 이내에 있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면 도어(1)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제어 장치는 IoT(사물인터넷) 및 AI(인공지능)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 빅데이터 기반으로 다수의 상황에 따른 신호 감지, 신호 생성, 신호 송수신 등의 기능을 학습하여 다수의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동작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일정 반경 이내에서 스마트 카드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정보는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어요', 'ㅇㅇ님 어서 오세요' 등과 같은 멘트를 특정 목소리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별로 설정된 선호 벨소리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특정 센서와 연동되어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특정 센서로부터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연락처로 해당 주소와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는 연기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연락처는 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특정 센서와 연동되어 화재 발생시 도어(1)를 강제로 개방하여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도어(1)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알람을 울리거나 기 설정된 연락처로 강제 개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제어 장치는 본체(100) 내에서 데드볼트(400) 인근으로 일정 외력 이상이 가해지면 도어(1)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려고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얼굴, 걸음걸이, 행동, 음성, 지문, 및 홍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모션감지장치, 음성인식장치, 지문인식기, 및 홍채인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 고유의 얼굴, 걸음걸이, 행동, 음성, 지문, 및 홍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한 후 기 등록된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1)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원격으로 도어(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원격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지 서버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거나, 데스크탑,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제어 장치는 호텔과 같이 복수의 도어(1)를 포함하는 건물에서 경비실, 관제실 등에서 특정 도어(1)를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는 다수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IoT 및 AI 기반의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있어 상황에 따른 음성 멘트 제공, 벨소리 제공, 응급 상황 전달 등의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 편의성, 안전성 및 사용자의 흥미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입출구 개폐 장치에 대한 기계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00)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래치볼트(300)와 데드볼트(4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손잡이 어셈블리(200)가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0)는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도어(1) 틀에 고정되는 제2 스트라이커(3)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스트라이커(3)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래치볼트(300)와 데드볼트(400)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스트라이커(3)는 문 틀에 고정되는 제1 스트라이커(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스트라이커(2)는 래치헤드(320)를 수용할 수 있는 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래의 스트라이커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성과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1)은 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각을 이루거나 비스듬한 각(예각, 둔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의 스트라이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1)와 관통홀 사이에 래치헤드(32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의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스트라이커(2)는 관통홀이 아닌 홈(2-1)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시 일체로 한번에 사출할 수 있고 부품 수 및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본체(100)는 전방 본체(110)와 후방 본체(12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 본체(110)와 후방 본체(120) 각각에 도어(1)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 및 손잡이 어셈블리(200)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본체(110)는 손잡이 어셈블리(200)의 스테이션 유닛(2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과 회전 레버(220)의 회전 블록(221)의 제1 및 제2 걸림부(221-12, 221-22)가 이동할 수 있는 슬릿(111)이 형성되고, 래치볼트(300)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본체(120)는 손잡이 어셈블리(200)의 스테이션 유닛(2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공과 회전 레버(220)의 회전 블록(221)의 제1 및 제2 걸림부(221-12, 221-22)가 이동할 수 있는 슬릿(121)이 형성되고, 래치볼트(300)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며, 가이드 홈(122) 사이에 래치볼트(300)의 스토퍼(340)와 연결되는 롤러(343)가 안착되기 위한 경사챔버(123)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챔버(123)는 스토퍼(340)의 롤러(343)가 안착되어 경사를 따라 굴러 내려가는 구름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토퍼(340) 자체가 회전하여 스토퍼(340)의 제2 결합편(342) 상단에 형성되는 제1 곡면(341)의 곡률이 변하면서 제1 곡면(341)과 맞닿는 래치바(330)가 점차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본체(1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100)에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래치볼트(300)가 삽입 및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10)의 푸쉬풀 동작에 따라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
손잡이(10)는 사용자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외부 케이스(250)를 따라 반원을 그리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조립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스테이션 유닛(210), 회전 레버(220), 작동 레버(230), 잠금 유닛(240), 및 외부 케이스(250)로 이루어지고, 래치볼트(300)를 중심으로 양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 유닛(210)은 상부 스테이션 유닛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스테이션 유닛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 각각 원형의 베이스판에 복수의 레그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부 스테이션 유닛의 복수의 레그부와 하부 스테이션 유닛의 복수의 레그부가 본체(100)를 관통하면서 상호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션 유닛(210)은 중심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1 관통공에 잠금 유닛(240)이 결합되고, 중심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으로부터 양 측 각각으로 이격되어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2 관통공 공간 상에서 회전 레버(22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레버(220)는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직선 운동하여 작동 레버(230)를 회전 운동 시킬 수 있다. 회전 레버(220)는 회전 블록(221) 및 회전 링크 블록(2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레버(220)는 회전 링크 블록(222)의 축 결합부(222-1)에 감겨져 탄성 지지대(222-2)에 지지된 후 복귀 돌출부(221-14, 221-24)로 연장되는 제1 회동탄성부재(RS1)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제1 회동탄성부재(RS1)는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 블록(221)이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 지지대(222-2)와 복귀 돌출부(221-14, 221-24)에 의해 탄성 제공하여 회전 블록(221)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회전 블록(221)은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손잡이(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작동 레버(230)에 맞닿아 작동 레버(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은 각각의 일단에 걸림편(221-11, 221-21)이 형성되어 걸림편(221-11, 221-21)을 통해 손잡이(10)의 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걸림편(221-11, 221-21)은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고,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을 손잡이(10)와 결합 시 손잡이(10)의 홈에 수용된 후 외부 힘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더 젖혀지면서 손잡이(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1)를 기준으로 외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걸림편(221-11, 221-21)이 형성되어 외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블록(221)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도어(1)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내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블록(221)을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도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블록(221)을 결합한다면 회전 블록(221)으로부터 손잡이(10)를 쉽게 분리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걸림편(221-11, 221-21)을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블록(221)를 한번 결합하면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은 타단에 축 결합공(221-13, 221-23)이 각각 형성되고, 축 결합공(221-13, 221-23)에 회전 링크 블록(222)의 축 결합부(222-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은 손잡이(10)의 푸쉬풀 동작에 따라 축 결합부(222-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 블록(221-1)은 래치볼트(30)의 배치 방향으로 제1 걸림부(221-12)가 연장 형성되고, 제2 회전 블록(221-2)은 래치볼트(30)의 배치 방향으로 제2 걸림부(221-2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221-12)와 제2 걸림부(221-22)는 작동 레버(230)의 일측 끝단(232)을 푸쉬하거나 타측 끝단(233)을 푸쉬하여 작동 레버(230)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즉, 회전 블록(221)은 제1 걸림부(221-12)를 통해 작동 레버(230)의 타측 끝단(233)을 푸쉬하여 작동 레버(230)를 회전시키거나, 제2 걸림부(221-22)를 통해 작동 레버(230)의 일측 끝단(232)을 푸쉬하여 작동 레버(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회전 블록(221-1)과 제2 회전 블록(221-2)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복귀 돌출부(221-14, 221-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귀 돌출부(221-14, 221-24)는 돌출되는 양 측으로 회전 링크 블록(222)의 축 결합부(222-1)에 감겨지는 제1 회동탄성부재(RS1)가 연장되어 제1 회동탄성부재(RS1)에 복귀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링크 블록(222)은 회전 블록(221)의 축 결합공(221-13, 221-23)에 끼움 결합되고, 제1 회동탄성부재(RS1)가 감겨져 회전 블록(221)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링크 블록(222)은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축 결합공(221-13, 221-23) 방향으로 돌출되어 축 결합공(221-13, 221-23)에 끼움 결합되는 축 결합부(222-1)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서 회전 블록(221) 방향으로 절곡되는 탄성 지지대(222-2)가 형성되며, 양 측면 중앙에서 회전 블록(221) 방향으로 절곡되는 회동 지지대(222-3)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대(222-2)는 절곡되는 양 측으로 축 결합부(222-1)에 감겨지는 제1 회동탄성부재(RS1)가 연장되어 제1 회동탄성부재(RS1)에 복귀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작동 레버(230)는 회전 레버(220)에 의해 회전하여 래치볼트(300)를 본체(100)로 인입시키거나 본체(100)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작동 레버(230)는 중심에 관통공(231)이 형성되고, 관통공(231)을 관통하여 잠금 유닛(240)이 배치되며, 대략 갈지(之)자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레버(230)는 갈지(之)자 중 일측 끝단(232)이 제2 걸림부(221-22)에 의해 회전하거나 타측 끝단(233)이 제1 걸림부(221-12)에 의해 회전하며, 타측 끝단(233)에서 래치볼트(300) 방향으로 회전 돌출부(234)가 형성되어 일측 끝단(232)으로의 회전 또는 타측 끝단(233)으로의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동 레버(230)는 편심축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300)의 인입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작동 레버(230)는 제1 레버 블록, 제2 레버 블록, 래치 회전 블록, 래치 고정 블록, 링크 블록, 및 링크 고정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은 일단이 스테이션 유닛(210)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타단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편심축이 형성될 수 있다. 편심축은 링크 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되, 가이드홈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레버(2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가이드홈 내에서 회전 운동하여 제2 레버 블록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의 일단은 내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탄성 부재와 제2 레버 블록이 끼워져 탄성 부재를 통해 제2 레버 블록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레버 블록은 일단이 제1 레버 블록의 수용홈에서 탄성 지지되고, 타단에 래치 회전 블록 및 래치 고정 블록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버 블록은 제1 레버 블록의 회전에 따라 래치 회전 블록과 래치 고정 블록을 회전시켜 래치 회전 블록이 래치볼트(300)를 직선 이동 시키도록 할 수 있다.
래치 회전 블록은 제2 레버 블록의 타단에 수용된 후 래치 고정 블록에 의해 제2 레버 블록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 회전 블록은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회전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출부는 래치볼트(300)의 허브체(350)와 회전 가이드 블록(36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레버 블록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가이드 블록(360)을 밀어 래치볼트(3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절할 수 있다.
링크 블록은 제1 레버 블록의 편심축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로, 일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편심축이 끼워지고, 타단에서 회전 레버(220)의 제1 및 제2 걸림부(221-12, 221-22)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링크 블록은 회전 레버(220)와 제1 레버 블록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회전 레버(220)에 의해 직선 운동하여 제1 레버 블록을 회전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링크 고정 블록은 대략 ㄷ자로 형성되고, 링크 블록의 직선 운동 방향으로 가이드 관통공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링크 블록의 측면이 가이드 관통공에 끼워질 수 있다.
잠금 유닛(240)은 도어(1)를 기준으로 내측 손잡이(10)부터 외측 손잡이(10)까지 연장 형성되어 열쇠 또는 사용자에 의한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4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절하여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
잠금 유닛(240)은 손잡이(10)에 결합되는 잠금 하우징(241, 242), 잠금 하우징(241, 241)과 연결되는 잠금 블록(244, 248), 데드볼트(400)를 직선 이동시키는 잠금 회전 키(2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하우징(241, 242)은 도어(1)를 기준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0)에 연결되는 제1 잠금 하우징(242)과 외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0)에 연결되는 제2 잠금 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 하우징(242)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잠금 회전 키(24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잠금 하우징(242)은 제1 연장 부재(243)를 통해 제1 잠금 블록(244)과 연결되어 손잡이(10)의 회전시 제1 연장 부재(243)에 의해 제1 잠금 블록(244)의 회전 슬릿(244-1)을 따라 곡면을 이루면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잠금 하우징(241)은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열쇠가 꽂아질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열쇠의 일치 여부에 따라 회전하여 잠금 회전 키(24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잠금 하우징(241)은 제2 잠금 블록(248) 과 연결되어 손잡이(10)의 회전시 제2 잠금 블록(248)의 회전 슬릿(248-1)을 따라 곡면을 이루면서 회전할 수 있다.
잠금 블록(244, 248)은 제1 연장 부재(243)를 통해 제1 잠금 하우징(242)과 연결되는 제1 잠금 블록(244) 및 제2 잠금 하우징(241)과 연결되는 제2 잠금 블록(24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 블록(244)은 잠금 유닛(24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홈(244-2)이 형성되고, 일단에서 제1 연장 부재(243)를 통해 제1 잠금 하우징(242)과 연결되며, 타단에서 관통홈(244-2)에 수용되는 제2 연장 부재(245)를 통해 잠금 회전 키(246)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잠금 블록(244)은 일단에서 곡면의 회전 슬릿(244-1)이 형성되어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 슬릿(244-1)을 타고 제1 연장 부재(243)와 제1 잠금 하우징(242)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잠금 블록(248)은 잠금 유닛(24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 돌기(248-2)가 형성되고, 일단에서 제2 잠금 하우징(241)과 연결되며, 타단에서 연장 돌기(248-2)에 맞물려 잠금 연장 블록(247)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잠금 블록(248)은 일단에서 곡면의 회전 슬릿(248-1)이 형성되어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 슬릿(248-1)을 타고 제2 잠금 하우징(241)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잠금 연장 블록(247)은 제2 연장 부재(245)를 통해 잠금 회전 키(246)와 연결될 수 있다.
잠금 회전 키(246)는 제2 연장 부재(245)를 통해 제1 잠금 블록(244) 및 잠금 연장 블록(247)과 연결되고, 잠금 하우징(241, 2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데드볼트(40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 회전 키(246)는 회전 돌기(246-1)가 탄성부재(DTS)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데드볼트(400)에 형성되는 걸림홈(410)의 일측 또는 타측을 밀어 데드볼트(400)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
외부 케이스(250)는 본체(100)의 관통공을 덮어 씌우는 역할로, 본체(100) 인근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덮개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원부는 그 중심부가 관통되어 회전 레버(220)가 통과하는 회전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50)는 도어(1)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가 도어(1)의 외측에 박히게 됨에 따라 도어(1)로부터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래치볼트(300)는 본체(100) 내에서 손잡이 어셈블리(200)의 스테이션 유닛(210)의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다리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작동 레버(230)의 회전 돌출부(2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1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래치볼트(300)는 가이드몸체(310), 래치헤드(320), 래치바(330), 스토퍼(340), 허브체(350), 및 회전 가이드 볼록(3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몸체(310)는 본체(10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중앙에 래치바(330)가 관통하여 연결되기 위한 래치바 관통창(313)과 본체(100)의 가이드 홈(112)에 끼워져 가이드 이동되기 위한 돌출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310)는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311)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310)는 제1 결합부(311)를 통해 래치헤드(320)의 제1 결합편(321)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1 결합부(311) 및 제1 결합편(321)에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래치헤드(310)가 항상 선단방향으로 돌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310)는 제2 결합부(312)를 통해 스토퍼(34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2 결합부(312) 및 제2 결합편(342)에도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스토퍼(340)가 항상 직립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래치헤드(3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장방체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에 래치바(330)의 선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래치헤드(320)는 가이드몸체(310)의 제1 결합부(311)와 힌지 결합되어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래치헤드(320)는 허브체(350)와 회전 가이드 블록(360) 사이에 위치하는 작동 레버(230)의 회전 돌출부(234)에 의해 래치바(33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래치바(330)는 래치헤드(320)의 중공 내부에 일단(331)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가이드몸체(310)의 래치바 관통창(313)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래치바(330)는 타단에서 허브체(350)가 끼움 결합된 후 돌출 끼움공(332)에 회전 가이드 블록(36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래치바(330)는 중심의 하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스토퍼(340)의 곡면(341)에 지지되고, 스토퍼(340)의 곡면(341)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가이드몸체(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340)는 가이드몸체(310)의 제2 결합부(312)와 결합되어 래치헤드(3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3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래치바(3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토퍼(340)는 도어(1)가 닫혀있을 때 래치바(330)가 후단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손잡이(10)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킬 때는 지지력을 해제함으로써 래치바(330)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헤드(3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340)는 2개의 제2 결합편(342)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며, 2개의 제2 결합편(342)이 연결된 상단 부분에서 가이드몸체(310)의 제2 결합부(312)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토퍼(340)는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에 의해 제2 결합부(312)와 제2 결합편(342)이 연결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340)의 제2 결합편(342) 상단에서 래치바(330)의 하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일정 곡면(341)이 형성될 수 있다. 곡면(341)은 래치바(330)의 경사면과 맞닿게 되어 래치바(33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40)의 제2 결합편(342)의 하단에는 리벳(L)에 의해 롤러(343)가 회전 연결되고, 후방 본체(110)에 형성되는 경사챔버(123)에 롤러(343)가 안착되어 구름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허브체(350)는 전방에서 두 개의 결합 돌기(351)가 결합되어 결합 돌기(351)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부재(TS)를 통해 가이드몸체(310)의 후방과 연결되고, 래치바 관통창(352)이 형성되어 래치바 관통창(352)에 래치바(330)가 관통하여 끼움 고정될 수 있다.
허브체(350)는 상부면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전방 본체(110)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볼록(360)은 래치바(330)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332)에 끼움 결합되어 허브체(350)와의 사이에서 회전 돌출부(234)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볼록(360)은 메인 바(361)와 탄성부재(362-1, 36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래치바(330)의 돌출 끼움공(332) 양 측에 각각 탄성부재(362-1, 362-2)가 연결되도록 메인 바(361)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부재(362-1, 362-2) 중 하나는 도어(1)의 외측에 구비되는 작동 레버(230)의 회전 돌출부(234)에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는 도어(1)의 내측에 구비되는 작동 레버(230)의 회전 돌출부(234)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데드볼트(400)는 본체(100) 내에 구비되고, 잠금 회전 키(246)의 회전 돌기(246-1)가 걸림홈(410) 상에서 탄성부재(DTS)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회전 이동함에 따라 본체(1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입출구 개폐 장치에 대한 래치볼트(300)와 데드볼트(400)의 작동 과정을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입출구 개폐 장치는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 레버(220)의 회전 블록(221)이 회전하게 되어 작동 레버(230)를 회전시킨다.
이 때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도 7b와 같이 회전 블록(221)의 제1 걸림부(221-12)가 작동 레버(230)의 타측 끝단(233)을 푸쉬하여 회전 돌출부(234)에서 래치볼트(300)의 회전 가이드 블록(360)을 본체(100) 내로 당김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이동시키거나, 회전 블록(221)의 제2 걸림부(221-22)가 작동 레버(230)의 일측 끝단(232)을 푸쉬하여 회전 돌출부(234)에서 래치볼트(300)의 회전 가이드 블록(360)을 본체(100) 내로 당김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입출구 개폐 장치는 잠금 유닛(240)의 회전에 따라 잠금 회전 키(246)를 회전시키고, 잠금 회전 키(246)가 회전되면 잠금 회전 키(246)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돌기(246-1)가 데드볼트(400)의 걸림홈(410) 상에서 탄성부재(DTS)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데드볼트(400)를 본체(100) 내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다.
즉, 입출구 개폐 장치는 잠금 유닛(2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잠금 회전 키(246)를 회전시켜 데드볼트(400)의 걸림홈(41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데드볼트(400)를 본체(100) 내로 인입시키고, 데드볼트(400)의 걸림홈(41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데드볼트(400)를 본체(10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손잡이 어셈블리
210: 스테이션 유닛
220: 회전 레버
230: 작동 레버
240: 잠금 유닛
250: 외부 케이스
300: 래치볼트
400: 데드볼트
1: 도어
2: 제1 스트라이커
3: 제2 스트라이커
10: 손잡이

Claims (6)

  1.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거나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잠금 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회동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호 대칭하는 제1 및 제2 걸림부로 구성되는 회전 레버, 상기 제1 걸림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작동 레버, 상기 잠금 유닛, 및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 레버는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잠금 유닛이 배치되고, 갈지(之)자로 형성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거나 타측 끝단이 상기 제1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며, 타측 끝단에서 상기 래치볼트 방향으로 회전 돌출부가 형성되는
    입출구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타단에 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가 상기 래치볼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탄성부재에 복귀 탄성을 제공하는 복귀 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회동탄성부재가 감겨져 상기 복귀 돌출부로 연장되도록 하는 회전 링크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입출구 개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잠금 하우징;
    상기 잠금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으로 곡면의 회전 슬릿이 형성되는 잠금 블록;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잠금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 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에 형성되는 걸림홈의 일측 또는 타측을 밀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잠금 회전 키로 이루어지는
    입출구 개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허브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작동 레버의 회전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입출구 개폐 장치.
  6.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본체; 및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에서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상호 대칭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거나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는 잠금 유닛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는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일단이 상기 래치헤드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에 의해 푸쉬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잠금 하우징;
    상기 잠금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으로 곡면의 회전 슬릿이 형성되는 잠금 블록;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잠금 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잠금 블록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에 형성되는 걸림홈의 일측 또는 타측을 밀면서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잠금 회전 키로 이루어지는
    입출구 개폐 장치.
KR1020190032035A 2019-03-20 2019-03-20 입출구 개폐 장치 KR10215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35A KR102151624B1 (ko) 2019-03-20 2019-03-20 입출구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35A KR102151624B1 (ko) 2019-03-20 2019-03-20 입출구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624B1 true KR102151624B1 (ko) 2020-09-03

Family

ID=7246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35A KR102151624B1 (ko) 2019-03-20 2019-03-20 입출구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211B1 (ko) * 2023-10-30 2024-03-13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642A (ko) * 2006-05-22 2007-11-27 최배호 도어 록
KR101312239B1 (ko) * 2012-04-05 2013-09-26 윤병만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00788A (ko) * 2014-06-25 2016-01-05 남경훈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70119107A (ko) * 2016-04-18 2017-10-26 윤채희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22760B1 (ko) * 2016-12-02 2018-03-08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풀 도어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642A (ko) * 2006-05-22 2007-11-27 최배호 도어 록
KR101312239B1 (ko) * 2012-04-05 2013-09-26 윤병만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00788A (ko) * 2014-06-25 2016-01-05 남경훈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20170119107A (ko) * 2016-04-18 2017-10-26 윤채희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22760B1 (ko) * 2016-12-02 2018-03-08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풀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211B1 (ko) * 2023-10-30 2024-03-13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424B2 (en) Electronic key and electronic locking device based on dual authentication
EP1813744A2 (en) Security door apparatus
KR101634734B1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US4330146A (en) Portable door lock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SE1550929A1 (en) An electronic lock device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26825Y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102151623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JP7496196B2 (ja) 自動ドアユニット及び建具
KR102237496B1 (ko) 보조개방 장치를 구비한 도어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0706174B1 (ko) 여닫이식 자동문의 개폐 장치
KR102151622B1 (ko) 문 개폐 장치
KR102424830B1 (ko) 도어락 장치
KR100718196B1 (ko) 다단계 보안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43233B1 (ko) 도어락
KR100473617B1 (ko) 자동문 로킹장치
KR102073494B1 (ko) 사용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용 스마트 도어락을 가지는 방범 룸도어
KR102346960B1 (ko) 창문 잠금장치
KR102473747B1 (ko) 보관함 시건장치 및 보관함 시건장치 제어시스템
KR200283422Y1 (ko) 자동문 로킹장치
KR102237742B1 (ko)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