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11B1 -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 Google Patents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11B1
KR102647211B1 KR1020230146846A KR20230146846A KR102647211B1 KR 102647211 B1 KR102647211 B1 KR 102647211B1 KR 1020230146846 A KR1020230146846 A KR 1020230146846A KR 20230146846 A KR20230146846 A KR 20230146846A KR 102647211 B1 KR102647211 B1 KR 102647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bracket
lock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진
임태일
Original Assignee
(주)애니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락 filed Critical (주)애니락
Priority to KR102023014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2063/0082Locking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상기 도어 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져서 도어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부 및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도어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거나 상기 도어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잠그거나 열리도록 하는 모티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티스는, 상기 잠금부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데드볼트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놔두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Push-pull door lock for fire door with anti-panic function}
본 발명은 방화문 푸시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 모티스의 도어 잠금장치가 잠금된 상태에서도 실내에서 도어록의 실내측 핸들을 작동시키면 잠금이 자동 해제되도록 한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용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 핸들의 노브를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 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도어락의 내측핸들의 노브를 회전시켜 데드볼트를 잠금상태에서 해제한 후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측핸들을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푸쉬풀(Push-Pull type) 도어락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도어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1548호에서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6619호에서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에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방화문에는 방화문용 도어락이나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피난객들은 방화문용 도어락의 핸들을 돌리거나,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을 밀게 된다. 여기서, 푸쉬풀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나갈 때는 핸들을 밀고,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들어올 때는 핸들을 당기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종래의 방화문용 도어락을 실내측에서 잠근 경우, 방화문을 열기 위해서는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핸들을 잡고 돌린 후 밀어서 방화문을 열어야 한다. 하지만, 화재에 의해 발생된 연기에 의해 시야가 가린 상태에서 패닉에 빠진 피난객들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방화문을 여는 것은 매우 어렵다.
다시 말해, 데드볼트가 잠긴 상태에서 출입문의 내부에서 문을 열려고 할 경우 데드볼트를 먼저 해정시키고 그 다음에 핸들을 돌리거나 밀어서 방화문을 열어야 하는 이중동작을 하여야 하므로 그 작동이 대단히 번거로웠다. 특히 화재와 같은 긴급피난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데드볼트가 잠긴 출입문을 해정시키지 못하고 시간이 지연되어 질식사와 같은 큰 피해가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실내측에서 핸들을 밀어서 방화문을 열 때, 잠금 상태가 함께 해제되는 안티-패닉 기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풋쉬풀 도어록은 핸들본체를 지지부에서 핸들을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록으로서,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의 지지부가 설치되어 구비되고, 각 지지부에는 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설치된 각각의 핸들 본체가 구비되어,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립성이 좋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실내측에서 핸들을 돌리거나 밀어서 방화문을 열 때, 잠금 상태에서도 실내 측의 핸들을 작동시키면 잠금이 함께 해제될 수 있는 안티패닉 기능의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은 도어, 상기 도어 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져서 도어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부 및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도어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거나 상기 도어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잠그거나 열리도록 하는 모티스를 포함하고, 상기 모티스는, 상기 잠금부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데드볼트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놔두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촉되고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1 구동돌기를 구비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래치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고 좌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하강되어 상기 회전부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에 접촉되고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강부를 하강시키고, 제2 구동돌기를 구비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돌기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구동돌기를 우측으로 밀고, 이를 통해 상기 데드볼트가 내부로 인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래치볼트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브라켓이 내부로 당겨지면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래치볼트가 이탈되게 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브라켓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밀고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 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바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승강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판; 상기 도어 측에 결합되고 내측에 회전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 상기 도어와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연결되고 돌출턱을 통해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도어 측에서 일측부가 상기 회전브라켓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며 타측부가 모티스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브라켓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연동브라켓;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되는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회전브라켓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은 제1 힌지결합부, 승강판, 가이드브라켓, 회전브라켓, 연동브라켓, 복원스프링이 연결된 몸체를 도어에 설치한 후 손잡이부를 몸체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치작업이 종료될 수 있어, 조립성이 좋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은 손잡이부가 작동되는 경우 연동브라켓을 통해 래치볼트 뿐만 아니라 데드볼트도 동시에 해정시킬 수 있어, 실내측에서 손잡이부를 밀어서 방화문을 열 때 잠금 상태가 함께 해제될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피난객들이 쉽게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방화문을 열고 대피할 수 있어,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은 화재 시 잠금부를 돌려 잠금 해제하지 않아도 손잡이부를 당기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은 모티스의 구성이 종래에 비해 단순하게 마련되므로 제조단가를 줄이고, 동작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실내측 구성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실내측 구성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의 실외측 구성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가 도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가 도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가 도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제1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제2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제2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도어락 모티스의 제2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10)은 몸체(1000), 제1 힌지결합부(2000), 기준축(3000), 손잡이부(4000), 승강판(SP), 가이드브라켓(GB), 회전브라켓(HB), 연동브라켓(5000), 복원스프링(6000), 모티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0)는 도어(DO)의 외측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0)에는 몸체(1000)의 외면을 덮는 몸체커버(1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몸체커버(1100)는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0)에는 제1 힌지결합부(20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힌지결합부(2000)는 도어(DO)로부터 이격되어 몸체(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힌지결합부(2000)에는 기준축(30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힌지결합부(200)에는 손잡이부(4000)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4000)는 레버(4100) 및 제2 힌지결합부(430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000)는 제1 힌지결합부(2000)에 기준축(3000)을 통해 힌지결합되고 제1 힌지결합부(200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도어(DO) 측으로 밀어지거나 도어(DO)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레버(4100)는 사용자에 의해 밀거나 당겨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4100)는 측부에 각각 측부홈(4100h)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부홈(4100h)은 몸체(1000)를 도어(DO)에 나사체결할 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힌지결합부(4300)는 레버(4100)에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결합부(4300)는 제1 힌지결합부(2000)에 기준축(3000)을 통해 힌지결합되어 레버(4100)가 도어(DO) 측으로 밀어지거나 도어(DO)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힌지결합부(4300)는 유격방지바(4310) 및 승강바(4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방지바(4310)는 몸체(1000)로 삽입되어 승강판(SP)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바(4320)는 몸체(1000)로 삽입되어 승강판(SP)에 연결되어 승강판(SP)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판(SP)은 손잡이부(4000)의 유격방지바(4310)에 연결되어 유격방지바(431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판(SP)은 도어(DO) 측에 회전브라켓(HB)과 연결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유격방지바(4310)의 단부에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완만하게 돌출되는 삽입턱(431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턱(4311)은 유격방지바(4310)의 단부가 승강판(SP)에 삽입될 때, 유격을 줄여 레버(4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레버(4100)에 의해 승강바(4320)가 회전될 때, 유격방지바(4310)가 삽입턱(4311)의 완만한 면으로 승강판(SP)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밀게 되므로, 레버(4100)가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바(4320) 또한 단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완만하게 형성된 곡선형 턱이 형성되어, 레버(4100)에 의해 승강바(4320)가 회전될 때, 승강바(4320)가 곡선형 턱의 완만한 면으로 승강판(SP)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밀게 되므로, 레버(4100)가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GB)은 도어(DO) 측에서 몸체(1000)에 결합되고 내측에 회전가이드레일(GB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브라켓(HB)은 몸체(1000)와 가이드브라켓(GB)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브라켓(G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브라켓(HB)은 승강판(SP) 측에 돌출턱(HB1)이 형성되고, 돌출턱(HB1)이 승강판(SP)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승강판(SP)에 연결되어, 회전가이드레일(GBa)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브라켓(HB)은 중심부에 연동브라켓(5000)이 삽입되는 삽입홀(HB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브라켓(HB)은 승강판(SP)의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4100)가 사용자 측으로 이동되어 승강판(SP)이 상승되는 경우, 회전브라켓(HB)은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고, 레버(4100)가 도어(DO) 측으로 이동되어 승강판(SP)이 하강되는 경우, 회전브라켓(HB)은 좌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연동브라켓(5000)은 도어(DO) 측에서 일측부가 몸체(1000) 및 회전브라켓(HB)에 삽입되고 회전브라켓(H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동브라켓(5000)은 타측부가 모티스(20)에 연결되고 회전브라켓(HB)과 함께 회전되어 모티스(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복원스프링(6000)은 가이드브라켓(GB)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회전브라켓(HB)에 타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원스프링(6000)은 회전브라켓(HB)이 회전되는 경우, 탄성력을 통해 회전브라켓(HB)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20)는 본체(100), 데드볼트(DB), 제1 연결부(200), 제1 구동부(300), 제1 구동부돌기(300'), 제2 연결부(400), 회전부(500), 하강부(600), 제2 구동부(700), 제2 구동부돌기(700'), 키블럭(KB), 복귀스프링(RR) 및 가압스프링(T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체(100)는 도어(DO)에 설치되고 실내(IN)측에 실내 손잡이부(4000) 및 잠금부(JG)가 설치되고 실외(OUT)측에 실외 손잡이부(4000')가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도어(DO)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외(OUT)측의 손잡이부(4000')에는 보조키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해제부(KH)가 마련될 수 있다. 해제부(KH)는 잠금키(JK)에 연결되고, 실외측에서 홈(미도시)에 삽입된 보조키에 의해 회전되어 잠금키(JK)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티스(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데드볼트(DB)는 본체(100)의 내부 상측에서 본체(100)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데드볼트(DB)는 도어(DO)를 잠그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드볼트(DB)는 키블럭(KB)의 회전에 의해 본체(100)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1 연결부(200)는 데드볼트(DB)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2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00)는 제1 구동부(300)에 의해 밀릴 수 있도록 하부에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도 21, 도 22 및 도23을 참고하면, 제1 구동부(300)는 제1 연결부(200)에 접촉되고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연결부(200)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구동부(300)는 잠금부(JG)에 의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부(4000)를 밀면 승강판(SP)이 위로 움직이면 승강판(SP)과 체결된 회전브라켓(HB)을 작동시킬 수 있다. 회전브라켓(HB)이 상하움직임을 회전움직임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연동브라켓(5000)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작동할 수 있다.
연동브라켓(5000)은 제2 구동부(700)와 체결할 수 있으며, 연동브라켓(5000)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제2 구동부(70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며 작동할 수 있다.
제2 구동부(70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제2 구동부(700)와 접촉된 하강부(600)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회전부(500)를 누를 수 있다.
회전부(500)는 제2 연결부(400)와 체결할 수 있고 회전부(5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연결부(400)도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부(400)는 래치볼트(RB)와 체결할 수 있고 래치볼트(RB)는 회전축(440)을 통해 슬라이더(4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연결부(400)와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래치볼트(RB)는 회전축(44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볼트(RB)가 본체(1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기 이전에 도어(DO)가 열릴 수 있다.
제1 구동부(300)의 제1 구동부돌기(310)는 제2 구동부돌기(710)에 접촉할 수 있고 제1 구동부돌기(31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구동부돌기(710)도 우측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돌기(310)와 제2 구동부돌기(71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키블럭(KB)의 제1구동부(300)가 제1 연결부(200)의 홈에 체결될 수 있다. 홈에 체결된 제1 연결부(200)가 우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데드볼트(DB)는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제2 구동부돌기(710)가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제1 구동부돌기(310)를 우측으로 밀고, 이를 통해 키블록(KB)를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도 16을 참고하면, 잠금부(JG)는 잠금키(JK)에 연동되고, 잠금키(JK)는 키블럭(KB)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키블럭(KB)은 제1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구동부(300)는 잠금부(JG)에 의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래치볼트(RB)는 본체(100)의 내부 하측에서 본체(100)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볼트(RB)는 좌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고 좌단부에 고정홈(RB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RB)는 실내(IN)측에 회전방지턱(RBq)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00)는 래치볼트(RB)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4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잠금부(JG)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키블록(KB)이 좌측으로 회전되고, 데드볼트(DB)는 외부로 돌출되어 잠기게 될 수 있고, 잠금부(JG)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키블록(KB)이 우측으로 회전되고, 데드볼트(DB)는 내부로 인입되어 잠긴 상태를 해정(해제)시킬 수 있다.
도 17를 참고하면, 제2 연결부(400)는 이동브라켓(410), 걸림판(420), 고정판(430), 회전축(440), 슬라이더(450), 탄성스프링(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브라켓(410)은 고정홈(RBp)에 삽입되는 고정턱(411)이 형성되고 회전부(500)에 연결되어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브라켓(410)에는 회전부(500)에 연결되도록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판(420)은 이동브라켓(4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래치볼트(RB)의 좌측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판(420)에 형성된 홀에는 슬라이더(450)가 삽입될 수 있고, 걸림판(420)에는 슬라이더(450)에 마련된 걸림턱(451)이 걸릴 수 있다.
고정판(430)은 이동브라켓(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판(430)에는 탄성스프링(460)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판(430)은 탄성스프링(4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430)은 이동브라켓(410)의 좌우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440)은 래치볼트(RB)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볼트(RB)는 고정홈(RBp)으로부터 고정턱(411)이 이탈된 경우, 회전축(44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450)는 걸림판(420)의 좌측으로부터 걸림판(420)에 형성된 홀에 우측부가 삽입되어 회전축(44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50)는 좌측부에 걸림판(420)에 걸리는 걸림턱(451)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460)은 고정판(4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슬라이더(450)의 좌측부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탄성력을 통해 슬라이더(450)를 우측방향으로 밀 수 있다.
도 18은 하강부(600)에 의해 회전부(500)가 좌측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이동브라켓(41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턱(411)이 고정홈(RBp)으로부터 이탈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하강부(600)에 의해 회전부(500)가 좌측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이동브라켓(41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고정턱(411)이 고정홈(RBp)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래치볼트(RB)가 회전축(440)을 기준으로 회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손잡이부(4000)를 밀면 제2 구동부(700)가 우측으로 회전되고, 하강부(600)를 하강시키면서 키블록(KB)을 우측으로 돌려주면서 데드볼트(DB)를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도 18, 도 19, 도 23 및 도 24를 참고하여 래치볼트(RB)와 제2 연결부(4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고정홈(RBp)에 고정턱(411)이 삽입된 경우, 슬라이더(450)의 걸림턱(451)은 걸림판(4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회전부(500)에 의해 이동브라켓(41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브라켓(410)에 형성된 고정턱(411)은 고정홈(RBp)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슬라이더(450)의 걸림턱(451)은 걸림판(420)에 걸리게 된다.
도 19를 참고하면, 래치볼트(RB)는 회전축(5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회전방지턱(RBq)이 이동브라켓(410)에 접촉됨으로써 정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방지턱(RBq)은 래치볼트(RB)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RB)는 회전축(440)을 통해 슬라이더(4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연결부(400)와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손잡이부(4000) 또는 손잡이부(4000')가 작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연결부(400)에 고정되어 본체(100)의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4000) 또는 손잡이부(4000')가 작동되는 경우, 이동브라켓(410)에 형성된 고정턱(411)은 고정홈(RBp)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래치볼트(RB)는 회전축(44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볼트(RB)가 본체(10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기 이전에 도어(DO)가 열릴 수 있으므로, 도어(DO)가 매끄럽게 열릴 수 있다.
회전부(500)는 제2 연결부(400)에 연결되고 좌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연결부(400)를 본체(1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강부(600)는 회전부(500)에 연결되고 하강되어 회전부(500)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부(500)는 하강부(600)에 의해 왼쪽 단부가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오른쪽 단부가 왼쪽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400)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구동부(700)는 하강부(600)에 접촉되고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하강부(6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부(700)는 손잡이부(4000)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구동부(700)는 손잡이부(4000')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기본상태에서 하강부(600)의 상측 양단부는 제2 구동부(700)의 양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부(70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면, 하강부(600)는 제2 구동부(700)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키블럭(KB)은 제1 구동부(300)와 제2 구동부(700)의 축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키블럭(KB)은 제1 구동부(300)에 연결되고 잠금키(JK)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키블럭(KB)은 연동브라켓(5000)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동브라켓(5000)은 손잡이부(4000) 및 잠금부(JG)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부(300)는 손잡이부(4000)가 작동되는 경우 연동브라켓(5000)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RR)은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부(4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복귀스프링(RR)은 탄성력을 통해 제2 연결부(40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래치볼트(RB)를 본체(100)의 우측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강부(600)는 복귀스프링(RR)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연결부(4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때, 복귀스프링(RR)은 압축될 수 있다.
가압스프링(TR)은 제1 구동부(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통해 제1 구동부(300)를 하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부(300)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1 구동부(300)가 가압스프링(TR)에 의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데드볼트(DB)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스프링(TR)은 탄성력을 통해 제1 구동부(300)가 빠르게 동작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10)은 제1 힌지결합부(2000), 승강판(SP), 가이드브라켓(GB), 회전브라켓(HB), 연동브라켓(5000), 복원스프링(6000)이 연결된 몸체(1000)를 도어(DO)에 설치한 후 손잡이부(4000)를 몸체(100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설치작업이 종료될 수 있어, 조립성이 좋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티스(20)는 손잡이부(4000)가 작동되는 경우 연동브라켓(5000)을 통해 래치볼트(RB) 뿐만 아니라 데드볼트(DB)도 동시에 해정시킬 수 있어, 실내측에서 손잡이부(4000)를 밀어서 방화문을 열 때 잠금 상태가 함께 해제될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피난객들이 쉽게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방화문을 열고 대피할 수 있어, 질식사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10)은 모티스(20)의 구성이 종래에 비해 단순하게 마련되므로 제조단가를 줄이고, 동작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20, 도 24 및 도 25를 참고하면, 탄성스프링(460)이 슬라이더(450)를 밀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어, 래치볼트(RB)와 이동브라켓(410) 사이가 접해 있는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때 이동브라켓(410)이 당겨지면 슬라이더(450)를 통해서 래치볼트(RB)와 이동브라켓(410) 사이에 견격(틈)이 생기면서 래치볼트(RB)가 이동브라켓(410)에 이탈되어 밑(옆)으로 이동하면서 도어(DO)가 열리게 된다. 즉, 이동브라켓(410)과 래치볼트(RB) 사이 거리가 슬라이더(450)를 통해서 멀어짐에 따라서 결합력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래치볼트(RB)가 도어(DO)에 부딪히면 회전이 되면서 도어(DO)가 열린다. 이때 도어(DO)가 지나간 후에는 즉, 도어가 열린 후에는 다시 탄성스프링(460)이 슬라이더(450)를 밀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어, 래치볼트(RB)와 이동브라켓(410) 사이가 접해 있는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결합되게 된다.
데드볼트(DB)는 본체(100) 내부 상측에서 본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본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데드볼트(DB)는 도어(DO)를 잠그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데드볼트(DB)는 키블록(KB)의 회전에 의해 본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본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00)는 데드볼트(DB)와 연결되고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래치볼트(RB)는 평상시에는 탄성스프링(460)에 의해 래치볼트(R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고, 래치볼트(RB)와 이동브라켓(410)이 이탈되면서 래치볼트(RB)가 회전하게 된다.
잠금부()는 데드볼트(DB)만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부(4000)를 밀었을 때에만 구동이 되고, 손잡이부(4000)를 당겼을 때는 구동이 안된다. 즉, 데드볼트(DB)는 잠금부(JG)와 손잡이부(4000)가 별개로 구동한다. 데드볼트(DB)는 잠금부(JG)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데드볼트(DB)가 돌출되어 도어(DO)가 잠기게 된다. 손잡이부(4000)를 밀면 데드볼트(DB)는 내부로 인입되고, 래치볼트(RB)는 회전하면서 내부로 인입된다.
도어(DO)가 열린 상태에서 손잡이부(4000)를 놔두면 래치볼트(RB)만 원상태로 돌아온다. 즉, 래치볼트(RB)는 돌출된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데드볼트(DB)는 인입된 상태로 있다. 이때 도어(DO)를 닫으면 데드볼트(DB)는 인입된 상태에서 도어(DO)가 닫히면서 래치볼트(RB)를 쳐서 회선시켜서 래치볼트(RB)가 돌출되어 도어(DO)가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
1000 : 몸체 1100 : 몸체커버
2000 : 제1 힌지결합부 3000 : 기준축
4000 : 손잡이부 4100 : 레버
4100h : 측부홈 4300 : 제2 힌지결합부
4310 : 유격방지바 4320 : 승강바
SP : 승강판 GB : 가이드브라켓
GBa : 회전가이드레일 HB : 회전브라켓
HBa : 삽입홀 HB1 : 돌출턱
5000 : 연동브라켓 6000 : 복원스프링
20 : 모티스 100 : 본체
DB : 데드볼트
200 : 제1 연결부 300 : 제1 구동부
310: 제1 구동부돌기 RB : 래치볼트
RBp : 고정홈 RBq : 회전방지턱
400 : 제2 연결부 410 : 이동브라켓
411 : 고정턱 420 : 걸림판
430 : 고정판 440 : 회전축
450 : 슬라이더 451 : 걸림턱
460 : 탄성스프링 500 : 회전부
600 : 하강부 700 : 제2 구동부
710: 제2 구동부돌기 RR : 복귀스프링
KB : 키블럭 JK : 잠금키
JG : 잠금부 DO : 도어
IN : 실내 OUT : 실외

Claims (5)

  1. 도어;
    상기 도어 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져서 도어가 잠기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도어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거나 상기 도어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열리도록 하는 모티스 - 상기 모티스는, 상기 잠금부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데드볼트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놔두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동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면 상기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함 -;
    상기 데드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촉되고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1 구동돌기를 구비하는 제1 구동부;
    상기 래치볼트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고 좌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부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하강되어 상기 회전부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강부; 및
    상기 하강부에 접촉되고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강부를 하강시키고, 제2 구동돌기를 구비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돌기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구동돌기를 우측으로 밀고, 이를 통해 상기 데드볼트가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래치볼트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브라켓이 내부로 당겨지면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래치볼트가 이탈되게 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이동브라켓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밀고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로부터 이격되도록 몸체에 설치되는 제1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힌지결합부에 기준축을 통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도어 측으로 밀어지거나 상기 도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바가 마련되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승강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판; 상기 도어 측에 결합되고 내측에 회전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
    상기 도어와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연결되고 돌출턱을 통해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도어 측에서 일측부가 상기 회전브라켓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며 타측부가 모티스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브라켓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연동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에 타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되는 경우, 탄성력을 통해 상기 회전브라켓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락.
KR1020230146846A 2023-10-30 2023-10-30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KR10264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6846A KR102647211B1 (ko) 2023-10-30 2023-10-30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6846A KR102647211B1 (ko) 2023-10-30 2023-10-30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211B1 true KR102647211B1 (ko) 2024-03-13

Family

ID=9029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6846A KR102647211B1 (ko) 2023-10-30 2023-10-30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99A (ko) * 2015-01-14 2016-07-22 (주)혜강씨큐리티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2151624B1 (ko) * 2019-03-20 2020-09-03 윤채호 입출구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99A (ko) * 2015-01-14 2016-07-22 (주)혜강씨큐리티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2151624B1 (ko) * 2019-03-20 2020-09-03 윤채호 입출구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239B2 (ja) 止めラッチを有するラッチ構成
US7523968B2 (en) Reach out lock
JP4538001B2 (ja) ドアー錠におけるラッチ・ボルトの錠掛けのガイド構造
US6813915B2 (en) Door lock
US20060208496A1 (en) Reversible double deadbolt mortise latch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JPH0463950B2 (ko)
AU2017228059A1 (en) Latch arrangement having a handle
KR102647211B1 (ko)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방화문용 푸쉬풀 도어록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03563B1 (ko) 자동수동 겸용 창문용 잠금장치
US3645572A (en) Panic bar stiffener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EP1443163B1 (en) Lock assembly
KR2021010639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AU2010226865A1 (en) Escape Lock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JP2004353378A (ja) 戸先錠解除機構付き開口部装置
JP4102929B2 (ja) シャッターの防犯構造
KR100785284B1 (ko) 모티스형 레버록의 잠금해지장치
JP3799386B2 (ja) 錠受け連動子扉ボルト
JP3532135B2 (ja) 建 具
KR102634596B1 (ko)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KR102539975B1 (ko) 안전해정용 창호 핸들장치
KR102627362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푸시버튼 타입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