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830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830B1
KR102424830B1 KR1020210192136A KR20210192136A KR102424830B1 KR 102424830 B1 KR102424830 B1 KR 102424830B1 KR 1020210192136 A KR1020210192136 A KR 1020210192136A KR 20210192136 A KR20210192136 A KR 20210192136A KR 102424830 B1 KR102424830 B1 KR 10242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lever
tub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백
Original Assignee
한국피디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피디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피디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 도어프레임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해제가 승인되면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척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상승하여 체결핀이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관과 제1축관이 함께 회전되고 회전력이 연결축관에 전달되어 개폐모듈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이 승인되면 전자석에 전류가 미인가되어 슬라이더가 하강하여 체결핀이 체결홀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관만 헛돌도록 하여 개폐모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수단이 도어 외부의 커버에 형성되어 도어 두께 제약없이 설치 가능하고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모터의 설치없이 작동되어 소음이 적고, 잠금시 레버의 회전력을 차단하여 외력에 의한 부품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쌍의 후크에 의한 강한 폐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및 해제로 보안성이 우수하며, 열쇠로 수동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고,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를 구비한 안고지기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DOOR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 도어프레임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레버 등의 회전수단을 작동시켜 도어의 측면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래치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잠금 및 해제 수단은 아니다. 이러한 래치볼트만의 불안전함을 해결하고자 노브 또는 그립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볼트를 설치하여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모티스(mortise) 도어락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어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시킬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더라고 키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문이 닫히면 자동으로 잠겨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회전몸체와 체결되며 데드볼트 동작축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외주면에 클러치 잠금핀 삽입홈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클러치 조립체와, 데드볼트 동작축이 관통하는 관통홀과 데드볼트 설치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조립체 상에 장착되어 외부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에 고정되는 클러치 조립체 고정판과, 클러치 잠금핀의 머리부가 삽입 장착되는 슬릿형의 곡선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기어와 맞물려 이동하는 랙기어의 일측과 체결되어 랙기어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잠금핀이 클러치 잠금핀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이동하여 외부 핸들 조작에 따라 데드볼트 동작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클러치 잠금핀 이동판과, 클러치 조립체 고정판에 양측이 고정되어 외부 핸들 조작에 따라 이동한 클러치 잠금핀이 클러치 잠금핀 삽입홈과 정렬되도록 굴곡홈이 형성된 정렬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모터 작동 방식의 종래기술은, 데드볼트가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박스에 기계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노브 혹은 핸들을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경우 기어박스에 힘이 전달되어 반복 사용에 따른 파손 및 고장 발생될 수 있고, 모터 작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며, 모터와 기어박스가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 이상을 갖는 도어에만 설치가 가능하여 얇은 두께를 갖는 도어에는 설치가 곤란하고, 도어락의 외부 커버를 모두 분리한 후 도어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기어박스를 꺼내어 수리해야 하므로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1838호(2018. 8. 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잠금수단이 도어의 내부가 아닌 외부의 커버에 형성되어 도어 두께의 제약없이 설치 가능하고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모터의 설치없이 작동되어 소음이 적고, 잠금시 레버의 회전력을 차단하여 외력에 의한 부품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쌍의 후크에 의한 강한 폐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및 해제로 보안성이 우수하며, 열쇠로 수동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고,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를 구비한 안고지기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 도어프레임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 전면에 설치되되, 제1커버, 제1커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인증하는 인증수단, 제1커버 외부에 설치된 제1레버, 제1레버와 연결되어 제1레버의 상·하측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스프링이 개재된 체결핀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관, 회전관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체결핀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축관, 회전관 하측에 설치되는 전자석하우징, 전자석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성을 띄는 전자석과,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상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여 상승시 체결핀을 가압하여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하강시 체결핀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체결핀이 체결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이동유닛과, 이동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석유닛을 포함하는 제1모듈; 도어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에 상·하부후크가 인출입되는 상·하부출입홀이 형성되고, 연결축관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축관을 관통하여 제1축관과 체결된 회전샤프트가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력을 연결축관에 전달하고, 연결축관의 회전에 의해 회전고리가 회전하면서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켜 이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상·하부후크를 함께 회전시켜 각각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체결홈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개폐모듈; 및 제1모듈의 제1커버 내측에 설치되되,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해제가 승인되면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척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상승하여 체결핀이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관과 제1축관이 함께 회전되고 회전력이 연결축관에 전달되어 개폐모듈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이 승인되면 전자석에 전류가 미인가되어 슬라이더가 하강하여 체결핀이 체결홀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관만 헛돌도록 하여 개폐모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수단이 도어의 내부가 아닌 외부의 커버에 형성되어 도어 두께의 제약없이 설치 가능하고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모터의 설치없이 작동되어 소음이 적고, 잠금시 레버의 회전력을 차단하여 외력에 의한 부품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쌍의 후크에 의한 강한 폐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및 해제로 보안성이 우수하며, 열쇠로 수동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고,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를 구비한 안고지기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1축관을 제거한 상태의 회전관과 전자석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전자석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회전관에 제1링과 제2링이 형성된 것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d와 도 3e는 제1축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서 제1레버를 하측으로 회전시 회전관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서 제1레버를 상측으로 회전시 회전관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전자석유닛에서 이동유닛의 승강 작용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전자석유닛에서 이동유닛의 승강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수동록킹부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폐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고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개페모듈의 내부 구성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가 적용된 안고지기문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가 적용된 안고지기문의 개방 상태의 사시도로 타측프레임의 내측면에 상부체결홈과 하부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 "도어의 전면 또는 전방"이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입장하기 전에 도어를 바라볼 때 보이는 도어의 외부 또는 실외 방향을 의미하고, "도어의 후면 또는 후방"이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입장한 후 도어를 돌아볼 때의 도어의 내측 또는 실내 방향을 의미하며, "도어 개방"이란 상부후크(370)와 하부후크(380)가 개폐모듈(300)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의미하고, "도어 폐쇄"란 상부후크(370)와 하부후크(380)가 개폐모듈(300) 외부로 인출되어 상부체결홈(13a)과 하부체결홈(13b)에 체결된 상태를 의하며, "잠금"이란 제1레버(130)를 회전하더라도 개폐모듈(300)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해제" 또는 "잠금 해제"란 제1레버(130) 회전시 개폐모듈(300)이 작동되어 상부후크(370)와 하부후크(380)의 인입 또는 인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안고지기문이라 함은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여닫이도어를 회전하여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미닫이도어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안고지기문은, 미닫이도어가 겹쳐진 여닫이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미닫이 도어가 외측으로 인출될 수 없는 잠금 구조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미닫이도어가 출입자를 타격하거나 주변 구조물을 타격하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실내와 실외 공간을 구획하는 용도, 실내 공간 중 다수의 공간을 서로 구획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일반도어, 사무실 출입문, 현관 중문, 드레스룸 문, 부엌문, 발코니문, 화장실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고지기문은 메인도어틀(10), 여닫이도어틀(20), 미닫이도어틀(30), 여닫이도어(40) 및 미닫이도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도어틀(10)은 안고지기문의 외곽틀을 구성하고 대략 4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내부가 중공 형성된 프로파일로서 알루미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일측프레임(12)와 타측프레임(13)과, 일측프레임(12)과 타측프레임(13)의 상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1)을 포함한다.
이때, 일측프레임(12)은 여닫이도어(40)가 힌지(H)로 체결되는 프레임이고, 타측프레임(13)은 미닫이도어(5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어락 장치(60)에 의해 잠금이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며, 이를 위해 타측프레임(13)은 상부체결홈(13a)과 하부체결홈(13b)이 형성된다.
더불어, 메인도어틀(10)의 바닥쪽에는 별도의 도어틀이 마련되지 않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미닫이도어(50)나 여닫이도어(40)가 열린 상태에서 출입자의 자유로운 통행이 가능하고 바닥측 프레임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부딪힐 위험이 제거된다.
상기 여닫이도어틀(20)은, 메인도어틀(10)의 상부프레임(11)과 이격된 채 여닫이도어(40) 상부에 결합되고, 내측에 이동트랙(미도시)이 형성되어 미닫이도어(50) 상부로 돌출되게 연결된 행거가 행거와 결합된 가이드롤러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트랙을 따라 활주하면서 여닫이도어(40)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미닫이도어틀(30)은 메인도어틀(10)의 상부프레임(11) 하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트랙(미도시)이 형성되어 미닫이도어(50) 상부로 돌출되게 연결된 행거가 가이드롤러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트랙을 활주하면서 미닫이도어(5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여닫이도어(40)는 메인도어틀(10)의 일측프레임(12)에 힌지(H)를 통해 여닫이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형성된 도어로 상부에 여닫이도어틀(20)이 고정 결합되어 함께 회전 이동한다.
상기 미닫이도어(50)는 상부에 행거가 돌출되게 연결 형성되어 미닫이도어틀(30)의 내측 이동트랙 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미닫이도어(50)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여닫이도어틀(20)의 내측 이동트랙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여닫이도어(40)와 겹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어의 개폐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 도어프레임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60)는 제1모듈(100), 개폐모듈(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모듈(2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은 서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되,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은 각각 도어의 전면 및 후면과 같은 외부에 설치되고, 개폐모듈(300)은 도어 내부에 설치되며, 제어부(400)는 제1모듈(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모듈(100)은 도어의 전면의 외부에 설치되어 보안이 요구된다. 상기 제1모듈(100)은 내부에 제1모듈(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내장된 제1커버(110)를 구비한다.
도 2와 같이 제1커버(110)에는 인증수단(120)이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이 이루어진다. 인증수단(120)은 번호인증, 카드인증, 지문인증, 음성인증, 안면인증 및 홍체인증에서 선택된 단수 또는 복수 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설치되어 스마트폰이나 리모콘과 블루투스, wifi 등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이나 리모콘으로부터 인증신호를 입력받아 인증을 받은 후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어플을 통해 인증수단(120)으로 인증신호를 무선 전송하여 인증을 받은 후 도어락 장치(60)에 대한 잠금 및 해제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커버(110)의 외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하측으로 회전 가능한 제1레버(130)가 설치되고, 제1레버(130)를 하측으로 회전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1레버(130)를 상측으로 회전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지 않은 폐쇄 상태가 된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제1모듈은, 제1커버(110)의 상부에 제어부(400)가 내장 설치되고, 제어부(400)의 하측에는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고정홀더(140)가 고정 설치되며, 고정홀더(140)는 상부에 상부스토퍼(141)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양측에 측부스토퍼(14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하부지지편(143)이 형성된다.
또한, 도 3b를 참고하면 고정홀더(140)의 설치공간에는 제1레버(130)의 축과 연결된 회전관(150)이 설치된다. 회전관(150)은 제1레버(130)의 상·하측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되, 회전관(150)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단턱(151)이 형성되고, 단턱(151)의 하부에는 단턱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고 내측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의 내부원호편(152)이 형성된다. 또한, 도 3c를 참고하면 회전관(150)의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돌기(153)와 하부돌기(154)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관의 외주면을 따라 2개의 링이 밀착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는데, 즉 제1링(155)과 제2링(156)이 밀착 형성되고, 제1링(155)과 제2링(156)은 각각 상부에 돌출편(155a, 156a)이 형성되고, 제1링(155)의 돌출편(155a)과 제2링(156)의 돌출편(156a)은 상부스토퍼(14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제1레버(130)의 상·하측 회전에 의해 회전관(150)이 상·하측으로 회전시 상부돌기(153)와 하부돌기(154)가 양측의 측부스토퍼(142)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회전관(150)이 상·하측으로 회전한 후 원위치로 복귀시 제1링(155)의 돌출편(155a)과 제2링(156)의 돌출편(156a)이 상부스토퍼(14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제1레버(130)가 원위치에 정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링(155)은 돌출편(155a)이 상부돌기(153)의 일측에 접촉 배치되도록 회전관(15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2링(156)은 돌출편(156a)이 상부돌기(153)의 타측에 접촉 배치되도록 회전관(15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도 4b를 참고하면 제1레버(130)의 상측 회전시 회전관(150)이 일측으로 회전할 때 제1링(155)도 일측으로 회전하지만 제2링(156)은 돌출편(156a)이 상부스토퍼(141)에 가로막혀 회전하지 못하며, 제1레버(130)의 원위치 복귀시 제1링(155)의 돌출편(155a)이 상부스토퍼(141)에 가로막혀 제1레버(130)가 원위치에 정지하여 도 3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4a를 참고하면 제1레버(130)의 하측 회전시 회전관(150)이 타측으로 회전할 때 제2링(156)도 타측으로 회전하지만 제1링(155)은 돌출편(155a)이 상부스토퍼(141)에 가로막혀 회전하지 못하며, 제1레버(130)의 원위치 복귀시 제2링(156)의 돌출편(156a)이 상부스토퍼(141)에 가로막혀 제1레버(130)가 원위치에 정지하여 도 3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더불어, 회전관(150)의 하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된 체결핀(157)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체결핀(157)은 내부원호편(152)과 하부돌기(154)의 내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며, 이와 같이 체결핀(157)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체결핀(157)은 회전관(15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노출되거나 회전관(15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노출되게 된다.
회전관(150)의 내측에 제1축관(160)이 삽입되되, 회전관(150)과 제1축관(160)은 서로 유격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도 3d 및 도 3e를 참고하면 제1축관(160)은 회전관(150)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61)와,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회전샤프트(330)와 결합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구멍을 갖는 결합부(162)와, 제1축관(160)의 외주면 중간에 형성되어 제1축관(16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안착부(163)를 포함한다.
삽입부(161)는 외주면에 체결홀(161a)과 접촉돌기(161b)가 형성되되, 체결홀(161a)에 체결핀(157)이 체결되는 경우 제1레버(130)의 상·하측 회전시 회전관(150)과 제1축관(160)이 함께 회전되어 회전샤프트(330)가 회전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개폐모듈(300)에 의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체결홀(161a)에 체결핀(157)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 제1레버(130)의 상·하측 회전시 회전관(150)만 헛돌게 되어 회전샤프트(330)가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되어 개폐모듈(300)에 의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지 않게 되며, 이때 접촉돌기(161b)는 회전관(150)이 헛도는 회전을 가이드한다.
결합부(162)는 마주보는 양쪽 외주면에 고정홀(162a)이 형성되고, 회전샤프트(330)의 단부가 결합부(162)의 내측게 삽입 결합되면, 회전샤프트(330)의 단부에 관통 형성된 샤프트홀(331)과 고정홀(162a)에 고정핀(미도시)이 체결되어 회전샤프트(33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안착부(163)는 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제1축관(160)의 회전관(150) 삽입시 안착부(163)가 단턱(151)과 내부원호편(152) 상에 안착되며, 이때 제1축관(160)은 단턱(151)보다 큰 두께를 갖는 내부원호편(152)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회전관(150)의 하측에는 전자석하우징(170)이 설치되고, 전자석하우징(170)은 하부에 경사면(171)이 형성된다.
또한, 전자석하우징(170)의 상부에 끼움돌기(172)가 형성되고, 탄성스프링(173)이 끼움돌기(172)에 끼움된 채 하측의 끼움돌기(172)와 상측의 하부지지편(143)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자석하우징(170)의 상하 이동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전자석하우징(170)의 내측에 전자석유닛(180)이 설치된다. 도 5a 내지 도 6b를 참고하면, 전자석유닛(180)은 외부에 전자석커버체(181)가 구비되고, 전자석커버체(181)는 하부에 전자석(182)이 수용되는 전자석수용커버(181a)와, 전자석수용커버(181a)의 상측에 형성된 내부커버(181b) 및 외부커버(181c)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전자석유닛(180)은 제어부(400)에서 전류 인가시 자성을 띄는 전자석(182)과, 전자석(182)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83)와, 슬라이더(183)의 상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더(183)와 함께 이동하고 상승시 체결핀(157)을 가압하여 체결핀(157)이 체결홀(161a)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하강시 체결핀(157)에 대한 가압을 해제시켜 체결핀(157)이 체결홀(161a)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이동유닛(184) 및 이동유닛(18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자석(182)은 도 6a와 같이 제어부(400)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자성을 띄지 않는 반면에, 도 6b와 같이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전류가 인가되면 극성이 N극 또는 S극으로 작동되는 자성체로 변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전자석(182)의 극성은 편의상 회전관(150)을 향하는 쪽이 N극, 그 반대쪽이 S극으로 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슬라이더(183)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전자석(182)과 마주하는 면쪽이 전자석(182)이 자력을 가질 때 같은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실시예로 슬라이더(183)는 전자석(182)과 인접하는 쪽이 N극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슬라이더(183)는 전자석커버체(181)의 내부커버(181b)에 수용되어 전자석(182)이 자력을 가질 때 척력에 의해 밀려 올려가 내부커버(181b)을 따라 상승 이동한다.
또한, 이동유닛(184)은, 상부에 원호 형상으로 상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판으로 이루어져 회전관(150)이 회전하는 동안에 체결핀(157)을 계속하여 가압하는 가압판(184a)이 구비되고, 가압판(184a)은 이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잠금 상태에서는 회전관(150)이 가압판(184a)의 간섭없이 원활히 헛돌도록 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회전관(150)이 제1축관(160)과 일체로 회전하는 동안에도 체결핀(157)이 체결홀(161a)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해 주는 기능을 한다.
더불어, 이동유닛(184)은 가압판(184a)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한쌍의 연결대(184b)와, 각 연결대(174b)의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편(184c)으로 이루어진다. 플랜지편(184c)은 내부커버(181b)와 외부커버(181c) 사이에 내장되고, 내부커버(181b)와 외부커버(181c) 사이의 플랜지편(184c)의 상측에 탄성부재(185)가 내장되어 플랜지편(184c)의 승강 이동에 따라 이동유닛(184)의 승강 이동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제어부(400)부터 전류가 인가되어 전자석(182)이 자력을 가질 때 척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83)가 상승하고, 슬라이더(183)가 상측의 이동유닛(184)을 푸시하여 위로 이동시키며, 이때 이동유닛(184)은 탄성부재(185)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유닛(184)이 상승하면서 가압판(184a)이 체결핀(157)을 가압하여 체결홀(161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고, 제1레버(130)의 상·하측 회전시 회전관(150)과 제1축관(160)이 함께 회전하며, 제1축관(160)과 결합된 회전샤프트(330)가 회전함에 따라 개폐모듈(300)이 작동되어 도어에 대한 개폐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제1모듈(100)은 전자석하우징(170) 하측에 수동록킹부(190)가 형성되고, 수동록킹부(190)는 열쇠(미도시)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 개폐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동록킹부(190)에 의한 잠금 제어는 평상시에도 인증수단(120)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증수단이 고장나거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동록킹부(190)는, 상부에 장홀 형상의 가이드홈(191a)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 록킹하우징(191)과, 록킹하우징(191)에 내장되고 편심된 위치에 키홈(192a)이 형성되며 상부에 회전봉(192b)이 형성되어 가이드홈(191a)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록킹유닛(192)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키홈(192a)을 덮어 가리는 덮개(193)와, 록킹유닛(192) 주변에 설치된 자석(194) 및 충전단자(1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홈(192a)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열쇠를 키홈(192a)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회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열쇠 복제가 곤란하게 된다.
전자석하우징(170)은 하부에 경사면(171)이 형성되고, 후술할 수동록킹부(190)에서 열쇠를 키홈(192a)에 삽입한 채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b와 같이 회전봉(192b)이 가이드홈(191a)을 따라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봉(192b)의 단부가 경사면(171)을 따라 접촉 이동하여 전자석하우징(170)을 위로 푸쉬하고 전자석하우징(170)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유닛(180)도 함께 상승하면서 이동유닛(184)의 가압판(184a)이 체결핀(157)을 가압하여 체결홀(161a)에 삽입되도록 하고 회전관(150)이 회전하는 동안 가압판(184a)이 체결핀을 계속 가압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도어 개폐에 대한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반면에, 후술할 수동록킹부(190)에서 열쇠를 키홈(192a)에 삽입 한 채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a와 같이 회전봉(192b)이 가이드홈(191a)을 따라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봉(192b)의 단부가 경사면(171)을 따라 접촉 이동하여 전자석하우징(170)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전자석하우징(170)에 고정 설치된 전자석유닛(180)도 함께 하강하면서 이동유닛(184)의 가압판(184a)이 체결핀(157)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체결핀(157)이 체결홀(161a)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에 대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석하우징(170)의 일측에 L자 형상의 스토퍼편(174)이 형성되어 전자석하우징(17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를 참고하면 키홈(192a)의 외부는 금속 재질의 덮개(193)로 가려지고, 록킹유닛(192) 주변에 자석(194)이 설치되어 덮개(193)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거나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록킹유닛(192) 주변에 충전단자(195)가 설치되어 배터리 방전 등 비상시에 보조배터리 등의 외부전원을 연결시켜 전원을 일시적으로 공급한 후 인증수단(120)을 통해 인증후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2모듈(200)은, 도어 외부의 후면에 설치되어 보안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1모듈(100)과 같은 인증수단, 전자석유닛, 수동록킹부 등이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제2모듈(200)은 제2커버(210), 제2커버(210) 외부에 설치되어 상·하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레버(220), 제2레버(220)와 연결되어 제2레버(220)의 상·하측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사각 단면 형상의 구멍을 갖는 제2축관(230) 및 제2커버(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증수단(120), 전자석유닛(170), 제어부(40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모듈(200)은 제2레버(220)를 하측으로 회전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레버(220)를 상측으로 회전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지 않은 폐쇄 상태가 된다.
상기 개폐모듈(300)은 도어 내측에 설치되고,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1레버(130) 또는 제2레버(220)의 회전 작동시 도어를 개방 가능하게 하거나 도어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모듈(300)은 내부에 모터가 포함되지 않고 슬림형으로 구비되어 두께가 얇은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개폐모듈(300)은 함체 형상의 케이스(310)가 구비되고, 케이스(310)의 일측면에 상부후크(370)와 하부후크(380)가 각각 인출입되는 상부출입홀(311)과 하부출입홀(312)이 형성되며, 케이스(310)의 중간 양측에 토션스프링(360)의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지지축(313)이 형성되고, 케이스(3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축(314)과 하부축(315)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10a를 참고하면, 케이스(310)에 중간에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연결축관(320)이 결합되고, 연결축관(320)은 제1모듈(100)의 제1축관(160)과 제2모듈(200)의 제2축관(2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연결축관(320)에는 회전샤프트(330)가 관통하여 제1축관(160)과 제2축관(230)과 체결됨으로써, 제1레버(130) 또는 제2레버(220)의 회전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연결축관(320)에 전달하여 상부후크(370)와 하부후크(380)가 각각 상부체결홈(13a)과 하부체결홈(13b)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회전샤프트(330)의 단부에는 샤프트홀(331)이 관통 형성되어 고정핀(미도시)에 의해 제1축관(160) 또는 제2축관(230)과 고정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축관(320)의 외주면에 도 9에 도시된 회전고리(340)가 고정 체결되고, 회전고리(340)는 제1레버(130) 또는 제2레버(220)의 회전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결축관(320)과 함께 상·하측으로 회전하며, 회전고리(340)의 단부에 걸림편(341)이 절곡 형성되어 걸림편(341)이 이동홈(355)에 삽입된 채 상하로 회전하면서 이동플레이트(35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케이스(310)의 내측면에 이동플레이트(350)가 설치되어 회전고리(34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이동플레이트(350)는, 상부에 상부수직홀(351)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수직홀(351)에는 상부축(314)이 삽입되며, 하부에 하부수직홀(352)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수직홀(352)에는 하부축(315)이 삽입되며, 상부수직홀(351)과 하부수직홀(352)의 사이에 중간수직홀(353)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간수직홀(353)에는 양측의 스프링지지축(313) 중 하나가 삽입되고, 양측의 스프링지지축(131) 사이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동플레이트(350) 상에 스프링중심축(354)이 형성되며, 상부수직홀(351)과 중간수직홀(353)의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의 이동홈(355)이 형성된다.
이때, 이동홈(355)은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수평부와(355a), 상부수평부(355a)로부터 하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사선부(355b),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수평부(355c), 하부수평부(355c)로부터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사선부(355d) 및 상부사선부(355b)와 하부사선부(355d)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선부(35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 제1레버(13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0b와 같이 연결축관(320)과 회전고리편(340)이 상측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걸림편(341)이 이동홈(350)의 상부수평부(355a)를 가압하면 이동플레이트(350)의 상측 이동이 시작되고, 곧 걸림편(341)은 상부사선부(355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동플레이트(35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후 걸림편(341)은 수직선부(355e)의 상단에 이르러 회전이 제한되고 이동플레이트(350)는 상측 이동을 멈추게 되며, 하측으로 회전된 제1레버(13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도 10c와 같이 이동고리(340)의 걸림편(341)이 이동홈(355)을 따라 하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하부수평부(355c)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이동플레이트(350)가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플레이트(350) 상에 형성된 상부보조축(356)과 하부보조축(357)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들과 각각 연결된 상부후크(370) 및 하부후크(380)가 회전하여 상부출입홀(311) 및 하부출입홀(312)을 통해 케이스(310) 내부로 인입된 개방 상태가 된다.
반면에,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제1레버(13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10d와 같이 연결축관(320)과 회전고리편(340)이 하측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걸림편(341)이 이동홈(350)의 하부수평부(355c)를 가압하면 이동플레이트(350)의 하측 이동이 시작되고, 곧 걸림편(341)은 하부사선부(355d)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동플레이트(350)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후 걸림편(341)은 수직선부(355e)의 하단에 이르러 회전이 제한되고 이동플레이트(350)는 하측 이동을 멈추게 되며, 상측으로 회전된 제1레버(13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도 10a와 같이 이동고리(340)의 걸림편(341)은 이동홈(355)을 따라 상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부수평부(355a)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이동플레이트(35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플레이트(350) 상에 형성된 상부보조축(356)과 하부보조축(357)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들과 각각 연결된 상부후크(370) 및 하부후크(380)가 회전하여 상부출입홀(311) 및 하부출입홀(312)을 통해 케이스(310) 외부로 인출된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프링중심축(354)과 양측의 스프링지지축(313) 사이에 각각 토션스프링(360)이 연결 설치되고,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플레이트(350) 상에 형성된 스프링중심축(354)도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스프링중심축(354)의 양측의 케이스(310) 상에 고정된 스프링지지축(313)과의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된 토션스프링(360)이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상부축(314)에는 상부후크(37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축(315)에는 하부후크(38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시 상부후크(370)와 하부후크(380)가 동시에 케이스(310)로부터 인출되어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체결홈(13a,13b)에 체결되거나 동시에 케이스(310)로 인입된다.
또한, 이동플레이트(350)는, 상부축(314)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상부보조축(356)이 형성되고, 하부축(315)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하부보조축(357)이 형성된다.
상부후크(370)는,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보조축(356)이 삽입 체결되어 이동되는 상부가이드홀(372)이 형성된 상부몸체(371)와, 상부몸체(371)에 연결된 상부연결편(373) 및 상부연결편(373)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체결홈(13a)에 체결되는 상부후크편(3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후크(380)는,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보조축(357)이 삽입 체결되어 이동되는 하부가이드홀(382)이 형성된 하부몸체(381)와, 하부몸체(381)에 연결된 하부연결편(383) 및 하부연결편(383)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프레임의 하부체결홈(13b)에 체결되는 하부후크편(3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시 상부보조축(356)이 상부후크(370)의 편심된 상부가이드홀(372)에 삽입된 채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부후크(370)가 상부축(31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출입홀(311)을 통해 인출입될 수 있고 상부후크(370)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시 하부보조축(357)이 하부후크(380)의 편심된 하부가이드홀(382)에 삽입된 채 상하 이동함에 따라 하부후크(380)가 하부축(31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출입홀(312)을 통해 인출입될 수 있고 하부후크(380)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드홀(372)은, 상부후크(370)가 케이스(310)로 인입되었을 때 상부보조축(356)이 삽입되는 인입유지홀(372a)과,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시 상부보조축(356)이 인입유지홀(372a) 또는 인출유지홀(372c)로부터 이동하면서 상부후크(37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홀(372b) 및 상부후크(370)가 케이스(310)에서 인출되었을 때 상부보조축(356)이 삽입되는 인출유지홀(37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하부가이드홀(382)은, 하부후크(380)가 케이스(310)로 인입되었을 때 하부보조축(357)이 삽입되는 인입유지홀(382a), 이동플레이트(350)의 상하 이동시 하부보조축(357)이 인입유지홀(382a) 또는 인출유지홀(382c)로부터 이동하면서 하부후크(38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홀(382b) 및 하부후크(380)가 케이스(310)에서 인출되었을 때 하부보조축(357)이 삽입되는 인출유지홀(38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400)는, 제1모듈(100)의 제1커버(110)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인증수단(120)에 의한 잠금 해제가 승인되면 전자석(182)에 전류를 인가하여 척력에 의해 슬라이더(183)가 상승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체결핀(157)이 체결홀(161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130)의 회전시 회전관(150)과 제1축관(160)이 함께 회전되어 그 회전력이 연결축관(320)에 전달되어 개폐모듈(300)이 작동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반면에 인증수단(120)에 의한 잠금이 승인되면 전자석(182)에 전류가 미인가되어 슬라이더(183)가 하강하여 체결핀(157)이 체결홀(161a)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130)의 회전시 회전관(150)만 헛돌게 되어 개폐모듈(300)이 작동되지 않는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60)는, 잠금수단이 도어의 내부가 아닌 외부의 커버에 형성되어 도어 두께의 제약없이 설치 가능하고 수리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모터의 설치없이 작동되어 소음이 적고, 잠금시 레버의 회전력을 차단하여 외력에 의한 부품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쌍의 후크에 의한 강한 폐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및 해제로 보안성이 우수하며, 열쇠로 수동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고,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를 구비한 안고지기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 안고지기문 10. 메인도어틀
11. 상부프레임 12. 일측프레임
13. 타측프레임 13a. 상부체결홈
13b. 하부체결홈 20. 여닫이도어틀
30. 미닫이도어틀 40. 여닫이도어
50. 미닫이도어 60. 도어락 장치
100. 제1모듈 110. 제1커버
120. 인증수단 130. 제1레버
140. 고정홀더 141. 상부스토퍼
142. 측부스토퍼 143. 하부지지편
150. 회전관 151. 단턱
152. 내부원호편 153. 상부돌기
154. 하부돌기 155. 제1링
155a. 돌출편 156. 제2링
156a. 돌출편 157. 체결핀
160. 제1축관 161. 삽입부
161a. 체결홀 161b. 접촉돌기
162. 결합부 162a. 고정홀
163. 안착부 170. 전자석하우징
171. 경사면 172. 끼움돌기
173. 탄성스프링 174. 스토퍼편
180. 전자석유닛 181. 전자석커버체
181a. 전자석수용커버 181b. 내부커버
181c. 외부커버 182. 전자석
183. 슬라이더 184. 이동유닛
184a. 가압판 184b. 연결대
184c. 플랜지편 185. 탄성부재
190. 수동록킹부 191. 록킹하우징
191a. 가이드홈 192. 록킹유닛
192a. 키홈 192b. 회전봉
193. 덮개 194. 자석
195. 충전단자 200. 제2모듈
210. 제2커버 220. 제2레버
230. 제2축관 300. 개폐모듈
310. 케이스 311. 상부출입홀
312. 하부출입홀 313. 스프링지지축
314. 상부축 315. 하부축
320. 연결축관 330. 회전샤프트
331. 샤프트홀 340. 회전고리
341. 걸림편 350. 이동플레이트
351. 상부수직홀 352. 하부수직홀
353. 중간수직홀 354. 스프링중심축
355. 이동홈 355a. 상부수평부
355b. 상부사선부 355c. 하부수평부
355d. 하부사선부 355e. 수직선부
356. 상부보조축 357. 하부보조축
360. 토션스프링 370. 상부후크
371. 상부몸체 372. 상부가이드홀
372a. 인입유지홀 372b. 회전유도홀
372c. 인출유지홀 373. 상부연결편
374. 상부후크편 380. 하부후크
381. 하부몸체 382. 하부가이드홀
382a. 인입유지홀 382b. 회전유도홀
382c. 인출유지홀 383. 하부연결편
384. 하부후크편 400. 제어부

Claims (9)

  1. 도어의 개폐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 도어프레임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 전면에 설치되되, 제1커버, 제1커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인증하는 인증수단, 제1커버 외부에 설치된 제1레버, 제1레버와 연결되어 제1레버의 상·하측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하부의 내부에 체결핀이 설치된 회전관, 회전관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체결핀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축관, 회전관 하측에 설치되는 전자석하우징, 전자석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되,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성을 띄는 전자석과,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상측에 배치되어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여 상승시 체결핀을 가압하여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하거나 하강시 체결핀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체결핀이 체결홀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이동유닛과, 이동유닛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석유닛을 포함하는 제1모듈;
    도어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에 상·하부후크가 인출입되는 상·하부출입홀이 형성되고, 연결축관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축관을 관통하여 제1축관과 체결된 회전샤프트가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력을 연결축관에 전달하고, 연결축관의 회전에 의해 회전고리가 회전하면서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켜 이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상·하부후크를 함께 회전시켜 각각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체결홈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개폐모듈; 및
    제1모듈의 제1커버 내측에 설치되되,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 해제가 승인되면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척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상승하여 체결핀이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관과 제1축관이 함께 회전되고 회전력이 연결축관에 전달되어 개폐모듈이 작동 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인증수단에 의한 잠금이 승인되면 전자석에 전류가 미인가되어 슬라이더가 하강하여 체결핀이 체결홀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관만 헛돌도록 하여 개폐모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도어 후면에 설치되되, 제2커버, 제2커버 외부에 설치된 제2레버, 제2레버와 연결되어 제2레버의 상·하측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2축관 및 제2커버에 설치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2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제1모듈과 제2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도어 내측에 설치되고, 제1축관과 제2축관 사이에 연결축관이 배치되며, 연결축관을 관통하여 제1,2축관과 체결된 회전샤프트가 제1레버 또는 제2레버의 회전시 회전력을 연결축관에 전달하고, 연결축관의 회전에 의해 회전고리가 회전하면서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켜 이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상·하부후크를 함께 회전시켜 각각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체결홈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상부에 상부스토퍼가 형성되고 양측에 측부스토퍼가 형성된 고정홀더를 더 포함하고,
    회전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회전관의 외주면에는 제1링과 제2링이 밀착 형성되며, 제1링과 제2링은 각각 상부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제1링과 제2링의 각 돌출편은 상부스토퍼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며,
    제1레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관의 상·하측 회전시 상부돌기와 하부돌기가 양측의 측부스토퍼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회전관의 상·하측 회전후 복귀시 제1링과 제2링의 돌출편이 상부스토퍼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제1레버가 원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전자석하우징 하측에 형성되고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 개폐에 대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동록킹부는, 상부에 장홀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 록킹하우징과, 록킹하우징에 내장되고 편심된 위치에 키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회전봉이 형성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록킹유닛과, 록킹유닛 주변에 설치된 자석 및 충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하우징은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열쇠를 키홈에 삽입한 채 회전시키면 회전봉이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회전봉의 단부가 경사면을 따라 접촉 이동하여 전자석하우징을 위로 푸쉬하여 이동유닛이 체결핀을 가압하여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부에 원호 형상으로 상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판으로 이루어져 회전관이 회전하는 동안 체결핀을 가압하는 가압판과, 가압판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한쌍의 연결대와, 각 연결대의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편을 포함하고, 플랜지편의 상측에 탄성부재가 내장되어 이동유닛의 승강 이동을 탄성 지지하며,
    고정홀더의 하부에 하부지지편이 형성되고, 고정홀더 하측에 설치된 전자석하우징의 일측에 L자 형상의 스토퍼편이 형성되어 수동록킹부의 잠금시 전자석하우징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며, 전자석하우징의 상부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끼움돌기와 하부지지편의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전자석하우징의 상하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모듈은, 중간 양측에 스프링지지축이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축과 하부축이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관;
    연결축관을 관통하여 제1축관과 체결되고 제1레버의 회전시 회전력을 연결축관에 전달하는 회전샤프트;
    연결축관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단부가 이동홈에 삽입된 채 상하로 회전함으로써 이동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고리;
    케이스 내측면에 설치되고 회전고리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축이 삽입되는 상부수직홀과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축이 삽입되는 하부수직홀과 중간에 형성되어 양측의 스프링지지축 중 하나가 삽입되는 중간수직홀, 양측의 스프링지지축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중심축 및 상부수직홀과 중간수직홀의 사이에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이동플레이트;
    스프링중심축과 양측의 스프링지지축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상부축과 하부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시 동시에 인출되어 도어프레임의 상·하부체결홈에 체결되거나 동시에 인입되는 상부후크 및 하부후크;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부축의 일측 대각선 방향에 상부보조축이 형성되고, 하부축의 타측 대각선 방향에 하부보조축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후크는,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보조축이 삽입 체결되어 이동되는 상부가이드홀이 포함된 상부몸체, 상부몸체에 연결된 상부연결편 및 상부연결편에 상측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프레임의 상부체결홈에 체결되는 상부후크편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후크는,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하부보조축이 삽입 체결되어 이동되는 하부가이드홀이 포함된 하부몸체, 하부몸체에 연결된 하부연결편 및 하부연결편에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도어프레임의 하부체결홈에 체결되는 하부후크편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시 상·하부보조축이 함께 이동하면서 상·하부후크를 회전시켜 케이스에 대해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홀과 하부가이드홀은, 상·하부후크가 케이스로 인입되었을 때 상·하부보조축이 삽입되는 인입유지홀, 이동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시 상·하부보조축이 인입유지홀 또는 인출유지홀로부터 이동하면서 상·하부후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홀 및 상·하부후크가 케이스에서 인출되었을 때 상·하부보조축이 삽입되는 인출유지홀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여닫이도어와 미닫이도어를 포함하는 안고지기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210192136A 2021-12-30 2021-12-30 도어락 장치 KR10242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36A KR102424830B1 (ko) 2021-12-30 2021-12-30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36A KR102424830B1 (ko) 2021-12-30 2021-12-30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830B1 true KR102424830B1 (ko) 2022-07-26

Family

ID=8260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136A KR102424830B1 (ko) 2021-12-30 2021-12-30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066B1 (ko) 2023-08-09 2023-12-19 양운규 미닫이용 스마트 도어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85B1 (ko) * 2006-09-14 2007-10-05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도어록 장치
KR101871838B1 (ko) 2016-08-24 2018-08-02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85B1 (ko) * 2006-09-14 2007-10-05 주식회사 바이오엔터 도어록 장치
KR101871838B1 (ko) 2016-08-24 2018-08-02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066B1 (ko) 2023-08-09 2023-12-19 양운규 미닫이용 스마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409B2 (en) Media container module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102424830B1 (ko) 도어락 장치
KR101891785B1 (ko) 데드볼트의 잼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JPH08226263A (ja) カードキーを用いる施錠装置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2147347B1 (ko) 수납장용 지문인식 도어락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20220065195A (ko) 미닫이문용 오목형 잠금장치
CN110607948B (zh) 电动式门闩控制装置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2452230B1 (ko) 푸시풀 핸들 조작이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KR102449598B1 (ko) 수동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한 오토래치형 도어 잠금장치
JPH07109878A (ja) 宅配受け付きドア
KR100530698B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US11976495B2 (en) Tubular-type deadbolt door lock with edge bolt for detecting door lock status
KR102385348B1 (ko) 자동 해정이 가능한 도어용 도어래치
KR102519271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473617B1 (ko) 자동문 로킹장치
KR102151622B1 (ko) 문 개폐 장치
CN220667239U (zh) 一种电控开锁机构
KR200493750Y1 (ko)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