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50Y1 -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 Google Patents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50Y1
KR200493750Y1 KR2020190005078U KR20190005078U KR200493750Y1 KR 200493750 Y1 KR200493750 Y1 KR 200493750Y1 KR 2020190005078 U KR2020190005078 U KR 2020190005078U KR 20190005078 U KR20190005078 U KR 20190005078U KR 200493750 Y1 KR200493750 Y1 KR 20049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racket
rotating body
hand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코 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유니코 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190005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05B13/004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by locking th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걸쇠가 출몰하여 작동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는,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출몰하여 열림, 잠금 작동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잠금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측 외주면에 락킹홈을 구비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서 상기 락킹홈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승하강하는 스토퍼; 상기 회전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장축을 갖는 승강홀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홀에 상기 회전체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승하강하면서 상기 스토퍼를 승하강시키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브래킷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락킹홈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잠겨서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고, 상기 브래킷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락킹홈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MORTISE}
본 고안은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걸쇠가 출몰하여 작동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록은 보안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도어록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등록실용신안 제20-391810호, 공개특허 제10-2004-0097829호, 공개번호 제10-2006-0020164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티스 본체와,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설치되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실내측, 실외측 손잡이가 구비된 실내측 본체와, 실외측 본체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철 재질의 방화 도어에 설치 시 철재 방화 도어는 내부 공간이 크기 때문에 모티스를 장착하는 어려움이 없으나, 철재 방화 도어가 아닌 목재 도어는 방화 도어에 비해 내부 공간이 매우 작을 뿐이 아니라, 정이나 끌 등으로 모티스 크기만큼 목재 도어의 측면을 파내야만 모티스의 장착이 가능한데 현실적으로 목재의 강도가 약하고 소요 경비가 과도하게 들어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을 목재 도어에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참고로 목재 도어와 같이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의 설치가 불가능한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어록에 관한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45717호 등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목재 도어에 구비된 주키(손잡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래치만으로 열림, 잠금 작동이 되는 소형 모티스를 구비하여 실외에서는 비밀번호 입력 등을 통해 모터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으로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실내에서 출입 시에는 손잡이의 조작만으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는,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출몰하여 열림, 잠금 작동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잠금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측 외주면에 락킹홈을 구비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서 상기 락킹홈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승하강하는 스토퍼;
상기 회전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장축을 갖는 승강홀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홀에 상기 회전체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승하강하면서 상기 스토퍼를 승하강시키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브래킷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락킹홈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잠겨서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고,
상기 브래킷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락킹홈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승강홀의 아래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는 승강돌기를 구비한 승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래킷의 상측단에 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걸림돌기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락킹홈으로 인출입하는 걸림부의 하측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률로 형성된 지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는,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제한시킴으로써 실외에서는 디지털 방식으로만 잠금 해제가 가능하면서 실내에서는 전통적인 손잡이 조작만으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며, 특히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가 어려운 목재 도어의 기존 구조를 활용해 설치가 가능한 콤팩트한 구조이면서도 모터나 브래킷의 하중을 통해 자동 잠금이 이루어져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모티스의 결합 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모티스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별 요부 정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손잡이(미도시)와 연결된 샤프트(S)의 회전에 따라 래치(l)가 출몰하여 열림, 잠금 작동하며, 상기 샤프트(S)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용 소형 모티스(M)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잠금수단은,
상기 샤프트(S)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측 외주면에 락킹홈(21)을 구비한 회전체(20);
상기 회전체(20)의 상측에서 상기 락킹홈(21)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승하강하는 스토퍼(30);
상기 회전체(2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장축을 갖는 승강홀(41)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홀(41)에 상기 회전체(20)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체(20)에 대하여 승하강하면서 상기 스토퍼(30)를 승하강시키는 브래킷(40); 및
상기 브래킷(4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브래킷(4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30)가 상기 락킹홈(21)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이 잠겨서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고,
상기 브래킷(40)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30)가 상기 락킹홈(21)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래치(l)는 샤프트(S)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측면에서 출몰하여 스트라이크로 인출입하는 것으로, 종래의 전통적인 걸쇠처럼 별도의 데드볼트가 없이 래치(l) 자체가 도어의 단순 개폐에 사용됨과 동시에 도어의 잠금에도 사용된다.
이러한 래치(l)는 내측에 샤프트(S)가 연결된 해정수단(UL)이 구비되어, 샤프트(S), 즉 손잡이의 조작(회전)으로 래치(l)가 출몰하며, 이때 래치(l)와 연결된 해정수단(UL) 및 실내측 및 실외측 샤프트(S)의 회전에 따른 선택적 잠금 해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 내지 작동 구조 등은 공지된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회전체(20), 스토퍼(30), 브래킷(40), 승강수단은 하우징(10)에 장착되어 도어(특히 목재 도어)에 매립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전후면측 개구부에 결합되는 전면판(12)과 후면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와 전, 후면판(12)(13) 중앙에는 샤프트(S)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중공부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1)는 중공부의 전면측에 회전체(20)용 제1 장착부(1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장착부(14)의 아래에 승강레버(60)용 제2 장착부(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후면측에는 중공부의 상측에 스토퍼(30)용 제3 장착부(16)가 구비되고, 중공부의 아래에 모터(50)용 제4 장착부(17)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장착부(17)는 후면판(13)의 소켓(13a)과 연결되어 소켓(13a)에 끼워진 모터(50)의 회전축(51)이 제4 장착부(17)를 관통하여 몸체(11)의 전면측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1)는 중공부의 일측에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된 한 쌍의 장착홀(18)이 구비되어, 몸체(11)의 후면에 결합되는 기판(19)의 센서(19a)들이 각 장착홀(18)로 삽입되어 몸체(11)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체(20)는 락킹홈(21)을 제외한 원형의 외주면을 갖는 것으로써 상기 제1 장착부(14)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락킹홈(21)이 'ㄷ'자 형으로 개구되어 구비되고, 이때 락킹홈(21)의 바닥면은 회전체(20)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곡률를 갖는 호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체(20)는 중앙에 형성된 각이진 결합공(22)에 샤프트(S)가 끼워져 결합되어, 손잡이의 조작 시 상기 샤프트(S)와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락킹홈(21)에 스토퍼(30)가 인입되어 걸렸을 때 회전체(20)의 회전이 불가능해져, 샤프트(S), 즉 손잡이의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락킹홈(21)에 상응하는 크기와 모양의 블록 형태로써, 상기 제3 장착부(16)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스토퍼(30)는 상기 브래킷(40)의 상측단에 지지되도록 전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31)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홈(21)으로 인출입하는 걸림부(32)의 하측면에 상기 회전체(2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률로 형성된 지지홈(32a)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31)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반원형 기둥 형태로써, 상측 곡면에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70)의 일단이 지지되고, 하측 평면에 브래킷(40)의 상측단이 접촉된다.
상기 브래킷(40)은 상기 회전체(20) 및 스토퍼(30)의 전면을 덮으면서 몸체(11)에 장착되는데, 이때 브래킷(40)은 상기 승강홀(41)에 끼워진 회전체(20)를 축으로 몸체(11)의 전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브래킷(40)은 상기 승강홀(41)의 아래에 구비되며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끼움홀(42)을 포함하여, 상기 끼움홀(42)에 상기 승강레버(60)의 승강돌기(61)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브래킷(40)은 일측단에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감지돌기(43)를 구비하여, 브래킷(40)이 승하강할 때 상기 감지돌기(43)가 상부 센서(19a)와 하부 센서(19a) 사이를 움직여서 기판(19)이 브래킷(40)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 하부 센서(19a)는 감지돌기(43)에 의한 빛의 차단을 감지하는 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50)와, 상기 모터(50)의 회전축(51)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51)의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42)에 삽입되는 승강돌기(61)를 구비한 승강레버(6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50)는 상기 제4 장착부(17)와 소켓(13a)에 장착되어 기판(19)의 제어를 받아 작동한다.
상기 승강레버(60)는 상기 제2 장착부(15)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50)의 회전축(51)에 끼워져 모터(50)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승강돌기(61)는 회전축(51)을 벗어난 테두리측 편심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42)에 끼워진다.
이러한 승강레버(60)는 회전 시, 상기 승강돌기(61)가 상기 끼움홀(4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하 회동하여, 상기 브래킷(40)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가압하여, 브래킷(40)을 승하강시키는 일종의 캠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61)는 부채꼴 형태의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레버(60)가 회전할 때 세 개의 외변들 중 하나가 상기 끼움홀(42)의 상측단 또는 하측단에 선 접촉하는 형태로 브래킷(4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걸림돌기(31)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몸체(11)의 전면측 모서리에 고정되는 원형 꼬임부를 기준으로 양 측단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토션 스프링(70)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70)은 일측단이 상기 걸림돌기(31)의 상측면에 지지되고, 타측면이 상기 몸체(11)의 측벽부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30)가 하강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도어락용 소형 모티스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어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상기 모터(50)에 의해 상기 승강돌기(61)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승강레버(60)가 회전하여 브래킷(40)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브래킷(40)의 상측단이 걸림돌기(31)를 상측으로 가압하면서 스토퍼(30)가 상승하고,
상승하는 걸림돌기(31)에 의해 토션 스프링(70)의 일측단이 오므려지면서 토션 스프링(70)의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렇게 스토퍼(3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걸림부(32)가 락킹홈(21)에서 인출되면서 회전체(20)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어, 실내측 및 실외측 손잡이의 조작으로 샤프트(S)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여, 손잡이를 이용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32)의 지지홈(32a)과 회전체(20)의 외주면이 서로 상응한 곡률을 가져, 샤프트(S)에 의해 회전체(20)가 스토퍼(30)의 지지홈(32a)을 따라 쉽게 회전하며, 락킹홈(21)이 스토퍼(30)의 하부를 벗어나는 위치까지 회전체(20)가 회전하더라도 지지홈(32a)이 스토퍼(30)의 외주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70)에 의해 스토퍼(30)가 하강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어를 잠그면, 도 4와 같이, 모터(50)에 의해 승강레버(60)가 일방향(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돌기(61)가 브래킷(40)을 하측으로 가압시켜 브래킷(40)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 측단이 오므려져 있던 토션 스프링(70)의 탄성력이 하측으로 작용하면서, 스토퍼(30)가 하강하여 걸림부(32)가 락킹홈(21)으로 인입되어 회전체(20)가 스토퍼(30)에 의해 걸려서 샤프트(S), 즉 실외측 손잡이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실내측 손잡이의 잠금 조작과 별개로 샤프트(S)에 대한 잠금이 추가됨에 따라, 실외측 손잡이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보안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 도 6과 같이, 도어 개방을 위해 손잡이를 조작한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모터(50)에 의한 자동 잠금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어 개방 후, 모터(50)에 의해 승강레버(60)가 원위치로 자동 복귀 회전함에 따라 승강돌기(61)의 가압 내지 브래킷(40) 자체의 하중에 의해 브래킷(40)이 하강하게 되며, 걸림돌기(3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토션 스프링(70)의 탄성력으로 인해 스토퍼(30)가 하강 압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의 자동 복귀에 의해 회전체(20)가 원위치로 복귀 회전하게 하여 락킹홈(21)의 스토퍼(30)의 하부에 정지되면, 토션 스프링(70)에 의해 스토퍼(30)가 하측으로 밀리면서 하강하여 스토퍼(30)가 락킹홈(21)에 걸리게 되면서 도어가 잠기게 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 즉, 회전체(20)의 회전과 별개로 모터(50)에 의한 브래킷(40)의 자동 복귀가 이루어지므로, 모터(50)가 비정상적인 부하를 받지 않는다.
즉, 만약 회전체(20)(샤프트(S))의 복귀 회전과 모터(50)에 의한 승강레버(60)의 복귀 회전이 서로 연동할 경우, 이들의 회전 복귀 속도가 서로 동기화되어 있는 경우에만 모터(50)가 부하를 받지 않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별로 손잡이를 개방 조작하는 시간이 제각각 이므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20)의 복귀 회전과 별개로 모터(50)를 통한 브래킷(40)의 자동 복귀가 선행된 후, 회전체(2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정지하였을 때 토션 스프링(70)에 의해 스토퍼(30)가 하강 작동하게 함으로써, 모터(50)가 비정상적인 부하를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브래킷(40)의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 센서(19a) 또는 하부 센서(19a)가 상기 감지돌기(43)를 감지하여, 모터(50)의 작동 방향 내지 시간 등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샤프트 L : 래치
UL : 해정수단
10 : 하우징 11 : 몸체
12 : 전면판 13 : 후면판
14 ~ 17 : 장착부 18 : 장착홀
19 : 기판 20 : 회전체
21 : 락킹홈 22 : 결합공
30 : 스토퍼 31 : 걸림돌기
32 : 걸림부 40 : 브래킷
41 : 승강홀 42 : 끼움홀
43 : 감지돌기 50 : 모터
51 : 회전축 60 : 승강레버
61 : 승강돌기 70 : 토션 스프링

Claims (4)

  1. 손잡이와 연결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출몰하여 열림, 잠금 작동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락용 소형 모티스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잠금수단은,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측 외주면에 락킹홈을 구비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서 상기 락킹홈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승하강하는 스토퍼;
    상기 회전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장축을 갖는 승강홀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홀에 상기 회전체가 끼워지며,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승하강하면서 상기 스토퍼를 승하강시키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브래킷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락킹홈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잠겨서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고,
    상기 브래킷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락킹홈에서 인출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이 잠금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승강홀의 아래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끼움홀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의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에 삽입되는 승강돌기를 구비한 승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래킷의 상측단에 지지되도록 돌출된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걸림돌기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측단에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된 감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브래킷이 승하강할 때 상기 감지돌기가 상부 센서와 하부 센서 사이를 움직여서 기판이 브래킷의 승하강 높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락킹홈으로 인출입하는 걸림부의 하측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률로 형성된 지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KR2020190005078U 2019-12-16 2019-12-16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KR20049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78U KR200493750Y1 (ko) 2019-12-16 2019-12-16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078U KR200493750Y1 (ko) 2019-12-16 2019-12-16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50Y1 true KR200493750Y1 (ko) 2021-06-01

Family

ID=7637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078U KR200493750Y1 (ko) 2019-12-16 2019-12-16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5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99Y1 (ko) * 2003-05-13 2003-08-09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 잠금장치 해건 기구
US20110079057A1 (en) * 2009-10-05 2011-04-07 George Frolov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99Y1 (ko) * 2003-05-13 2003-08-09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도어 잠금장치 해건 기구
US20110079057A1 (en) * 2009-10-05 2011-04-07 George Frolov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219B2 (en) Door lock
KR102471518B1 (ko)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US20060119108A1 (en) Reach out lock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0493750Y1 (ko) 손잡이 잠금수단을 구비한 도어록용 소형 모티스
EP0021820A1 (en) Lock
CN105745385A (zh) 具有锁死特征的榫眼锁组件
KR20170007038A (ko)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US20170081887A1 (en) Double lever latch device
KR102424830B1 (ko) 도어락 장치
KR101333324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JP3873205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EP1443163B1 (en) Lock assembly
WO2014107048A1 (ko) 푸쉬-풀 도어락
KR101990513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60023498A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451884Y1 (ko) 문 잠금장치
KR100922504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101722455B1 (ko)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200455914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레버 외부 강제 회동 방지 장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140046512A (ko) 창호용 잠금 장치
JPH09264084A (ja) 電気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