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455B1 -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455B1
KR101722455B1 KR1020150164198A KR20150164198A KR101722455B1 KR 101722455 B1 KR101722455 B1 KR 101722455B1 KR 1020150164198 A KR1020150164198 A KR 1020150164198A KR 20150164198 A KR20150164198 A KR 20150164198A KR 101722455 B1 KR101722455 B1 KR 10172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nk block
dead bolt
manual opera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키락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락원(주) filed Critical 키락원(주)
Priority to KR102015016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간편한 작업으로 내기 및 외기와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내기 및 외기가 각각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결합하여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출입시키고 설치공을 구비한 수동조작레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링크블록 및. 일단은 상기 내기 또는 외기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블록에 삽입 고정되는 컨트롤바를 포함하는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바의 상기 링크블록 내 삽입 깊이는 문 두께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MORTISE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 락의 일종인 모티스 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간편한 작업으로 내기 및 외기와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모티스 락(Mortise Lock)은 일반 집 현관, 사무실, 창고 등에 다양한 도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잠금장치로 실내외 측 핸들에 의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볼트와, 별도의 키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티스 락을 도어에 설치함에 있어서, 건물의 도어는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어의 규격에 맞추어 내기 및 외기와 모티스 락 간의 간격을 맞추어 설치해야한다.
따라서 각 도어의 규격에 맞는 모티스 락을 제작하여 설치하는데, 이러한 규격 별 제작은 금형 비용 증대나 규격 별 부품 구비 등의 부담이 있다.
모티스 락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08980호 (2011년01월11일)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종래기술1)과, 등록특허 10-1331979 (2013년11월15일)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종래기술2)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 및 2에는 문 두께에 따라 설치 규격(내기 또는 외기와 하우징 간의 간격)의 조절을 위한 구성이나 특징을 확인하기 어렵고, 이에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문 두께에 따른 설치 규격 조절을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기 및 외기와의 결합 시 문 두께 조절 작업의 간편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제공하는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문 두께 조절을 위한 여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도입하여 자재 절감 및 원가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내기 및 외기가 각각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결합하여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출입시키고 설치공을 구비한 수동조작레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링크블록 및. 일단은 상기 내기 또는 외기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블록에 삽입 고정되는 컨트롤바를 포함하는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바의 상기 링크블록 내 삽입 깊이는 문 두께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동조작레버는 상기 설치공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은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삽입몸체 및, 상기 설치공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몸체와 노출몸체 내측 중앙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바가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노출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홀에 의해 상호 이격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몸체는 양측으로 이격부를 형성하는 제1분체 및 제2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수동조작레버의 돌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이격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부가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후크는 상기 노출몸체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상기 삽입몸체가 끝나는 지점부터 상기 이격부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가져,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구비한 본 발명은
내기 및 외기와의 결합 시 문 두께 조절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문 두께 조절을 위한 여타 부재의 생략을 통해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구성의 복잡함에 따른 고장 발생 확률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모티스 락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링크블록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링크블록만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문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4)를 구비하여 간편한 작업으로 내기(1A) 및 외기(1B)와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모티스 락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4)를 구비한 모티스 락(이하 본 모티스 락(M))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모티스 락의 내부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본 모티스 락(M)은 하우징(1), 데드볼트(2), 래치볼트(3) 및 회전레버 어셈블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 별로, 먼저 하우징(1)은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내기(1A) 및 외기(1B)가 각각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기타 구성을 내부에 내장하여 보호하는데, 여기에서 내기(1A)는 문의 안쪽에서 하우징(1)에 결합되는 구성이고, 외기(1B)는 문의 바깥쪽에서 하우징(1)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기(1A) 및 외기(1B)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외기(1B)에는 번호키, 지문인식키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내기(1A)에는 데드볼트(2)의 잠금 해제를 위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1)에 내장되는 데드볼트(2)와 래치볼트(3)는 모티스 락(Mortise Lock)을 이루는 기본 구성으로, 데드볼트(2)는 별도의 키, 버튼(전자식)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정성이 높은 구성이고, 래치볼트(3)는 내기(1A) 및 외기(1B)에 구비된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가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데드볼트(2) 및 래치볼트(3)의 구성은 공지된 종래의 기술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고, 또한 모티스 락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든지 이해하고 실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데드볼트(2) 및 래치볼트(3)의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1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데드볼트(2)는 일 측에 형성된 결합홈(215)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데드볼트(2)의 결합홈(215)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회전레버 어셈블리(4)의 수동조작레버(41)와 결합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인 결합홈(215)의 설명은 이하 수동조작레버(41)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회전레버 어셈블리(4)는 하우징(1)에 내장된 수동조작레버(41), 내기(1A) 또는 외기(1B)와 하우징(1)과의 결합을 제공하는 링크블록(43) 및 컨트롤바(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수동조작레버(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에 내장되고 데드볼트(2)와 결합하여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2)를 출입시키는 구성으로, 상기한 데드볼트(2)의 결합홈(215)에 걸림 결합되는 결합돌기(415)가 일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데드볼트(2)의 결합홈(215)에 수동조작레버(41)의 결합돌기(415)가 걸림 결합되어 수동조작레버(41)의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2)가 수평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수동조작레버(41)는 설치공(41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설치공(411)은 링크블록(43)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수동조작레버(41)의 회동 중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링크블록(43)은 설치공(41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우징(1)과 내기(1A)(또는 외기(1B))와의 결합을 위해 컨트롤바(45)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링크블록(43)에 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통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바(45)는 일단은 내기(1A)(또는 외기(1B))에 장착되고 타단은 링크블록(43)에 삽입 고정되는 구성으로, 일단은 내기(1A)(또는 외기(1B))에 장착되어 열쇠, 회동버튼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타단은 링크블록(43)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에 맞추어 수동조작레버(41)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은 컨트롤바(45)의 링크블록(43) 내 삽입 깊이가 본 모티스 락(M)을 설치하고자 하는 문의 두께에 따라 조절되는 것인데, 보다 명확하게는 컨트롤바(45)가 문 두께에 맞추어 링크블록(43) 내로 삽입되고, 이를 통해 내기(1A)(또는 외기(1B))와 하우징(1)과의 간격이 문 두께에 따라 조절되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간편하게 내기(1A) 및 외기(1B)와 하우징(1) 간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핵심특징인 회전레버 어셈블리(4), 특히 그 중에서도 링크블록(43)에 대한 사시도(도 3), 그리고 평면도 및 측면도(도 4)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조작레버(41)는 설치공(411)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3)를 포함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블록(43)은 설치공(411)에 삽입되는 삽입몸체(431) 및, 설치공(41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몸체(433)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이러한 링크블록(43)은 삽입몸체(431)와 노출몸체(433) 내측 중앙을 따라 형성되어 컨트롤바(45)가 삽입되는 삽입홀(437) 및, 노출몸체(433)에서 연장되고 삽입홀(437)에 의해 상호 이격되며 돌출부(413)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4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돌출부(413)는 설치공(411)의 형상을 링크블록(43)의 삽입몸체(431)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하고, 아울러 기 삽입된 링크블록(43)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삽입홀(437)은 삽입몸체(431) 및 노출몸체(433) 전체에 걸쳐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크(439)는 삽입홀(437)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삽입몸체(431)의 설치공(411) 내 삽입 시 돌출부(413)와의 걸림 결합을 통해 링크블록(4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삽입홀(437)을 막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후크(439)는 자체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삽입몸체(431)가 노출공 내로 삽입될 때에는 이격 거리를 좁히고, 삽입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돌출부(413)에 걸림 결합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제조 용이성 측면에서, 링크블록(43) 전체는 후크(439)와 동일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모티스 락(M)은 문 두께의 조절을 위한 여타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구조를 취하는 회전레버 어셈블리(4)를 통해 문 두께에 따라 조절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원가 절감 효과 및 구성의 복잡성에 따른 고장 확률 증가 방지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티스 락(M)은 삽입몸체(431)는 삽입몸체(431)의 양측으로 이격부(431c)를 형성하는 제1분체(431a) 및 제2분체(431b)로 이루어져, 이격부(431c)에는 수동조작레버(41)의 돌출부(41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크(439)는 이격부(431c) 측에 배치되고, 이격부(431c)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413)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부(439a)가 후크(439)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분체(431a)와 제2분체(431b)는 동일 형상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 개의 후크(439)의 구비를 위해 이격부(431c)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부(431c)는 수동조작레버(41)의 설치공(411)에 링크블록(43)을 삽입할 때, 돌출부(413)가 안착되기 위한 구성으로, 자체 탄성을 갖는 후크(439)의 이격 거리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후크(439)의 제작을 위한 공간 확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티스 락(M)은 후크(439)는 노출몸체(433)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보강부(439b)를 더 포함하되, 이러한 보강부(439b)는 삽입몸체(431)가 끝나는 지점부터 이격부(431c)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가져,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설계 구조 상 후크(439)는 자체 탄성을 갖기 위해 얇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 때문에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후크(439)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크(439)의 단부에 보강부(439b)를 구비하였다.
특징적인 것은 이러한 보강부(439b)는 노출몸체(433) 측에 구비된다는 점인데,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부(439b)는 삽입몸체(431)가 끝나는 지점부터 이격부(431c) 외측(링크블록(43)의 중심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가져 상협하광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후크(439)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보강부(439b)를 구비하면서도 삽입몸체(431)의 설치공(411) 내 삽입 시 보강부(439b)에 의해 링크블록(43)의 삽입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티스 락(M)은 삽입몸체(431)가 노출몸체(433)보다 큰 직경을 가져, 삽입몸체(431)와 노출몸체(433)의 접경부위에는 단턱부(4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단턱부(435)는 링크블록(43)을 수동조작레버(41)의 설치공(411)에 삽입할 때 스토핑 기능을 제공하여 링크블록(43)의 과 삽입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한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티스 락(M)은 노출몸체(433)가 삽입몸체(431)의 이격부(431c)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43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구부(433a)는 도 3 및 도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부(439b)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개구부(433a)는 후크(439)의 제작에 여유를 제공하여 링크블록(43)의 제조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모티스 락(M)은 이격부(431c)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경사단부(431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사단부(431s) 역시 후크(439)의 제조 용이성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특히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모티스 락(M)은 내기(1A) 및 외기(1B)와의 결합에 있어서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고, 이에 작업 및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본 모티스 락
1: 하우징
1A: 내기 1B: 외기
2: 데드볼트 3: 래치볼트
4: 회전레버 어셈블리
41: 수동조작레버 411: 설치공
413: 돌출부
43: 링크블록 431: 삽입몸체
431a: 제1분체 431b: 제2분체
431c: 이격부 433: 노출몸체
437: 삽입홀 439: 후크
439a: 걸림돌부 439b: 보강부
45: 컨트롤바

Claims (4)

  1. 각각 손잡이를 구비한 내기 및 외기가 각각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데드볼트;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래치볼트;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결합하여 회동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출입시키고 설치공을 구비한 수동조작레버,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링크블록 및 일단은 상기 내기 또는 외기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링크블록에 삽입 고정되는 컨트롤바를 포함하는 회전레버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바의 상기 링크블록 내 삽입 깊이는 문 두께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수동조작레버는 상기 설치공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은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삽입몸체 및, 상기 설치공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몸체와 노출몸체 내측 중앙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바가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노출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삽입홀에 의해 상호 이격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몸체는 상기 삽입몸체의 양측으로 이격부를 형성하는 제1분체 및 제2분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격부에는 상기 수동조작레버의 돌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이격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부가 상기 후크의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노출몸체와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상기 삽입몸체가 끝나는 지점부터 상기 이격부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가져,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티스 락.
  4. 삭제
KR1020150164198A 2015-11-23 2015-11-23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10172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98A KR101722455B1 (ko) 2015-11-23 2015-11-23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98A KR101722455B1 (ko) 2015-11-23 2015-11-23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455B1 true KR101722455B1 (ko) 2017-04-04

Family

ID=5858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98A KR101722455B1 (ko) 2015-11-23 2015-11-23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510A (zh) * 2017-12-20 2018-11-06 诺电器有限公司 具有门栓用无负荷控制器的插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37B1 (ko) * 2010-11-23 2011-05-12 주식회사 시스텍원 디지털 도어락
KR20130002366U (ko) * 2011-10-11 2013-04-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의 구동축 연장용 허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37B1 (ko) * 2010-11-23 2011-05-12 주식회사 시스텍원 디지털 도어락
KR20130002366U (ko) * 2011-10-11 2013-04-19 주식회사 아이레보 도어락의 구동축 연장용 허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510A (zh) * 2017-12-20 2018-11-06 诺电器有限公司 具有门栓用无负荷控制器的插锁
CN108756510B (zh) * 2017-12-20 2019-06-14 一诺电器有限公司 具有门栓用无负荷控制器的插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416B2 (en) Lock
US7559219B2 (en) Door lock
US7523968B2 (en) Reach out lock
US11359408B2 (en) Indicator-type door lock
US6564596B2 (en) Door lock assembly with multiple latch devices
US8079238B2 (en) Lock device
US20050092042A1 (en) Multipoint lock
US20140007631A1 (en) Latch or lock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US8266934B2 (en) Keyed cylinder assembly for door lock
US20180371792A1 (en) Door lock mortise
KR101771196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KR101722455B1 (ko) 유니버설 회전레버 어셈블리를 구비한 모티스 락
CA2455443C (en) Adjustable handle assembly
US20140157843A1 (en) Door lock assembly with re-keyable rotor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441363B1 (ko)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JP4231595B2 (ja) 施錠装置
US20130219793A1 (en) Door locking assemblies and arrangements
KR102634596B1 (ko) 래치볼트의 방향전환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JP4202501B2 (ja) 安全装置
KR20230032585A (ko) 핸들 고정형 도어락용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200495519Y1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