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363B1 -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363B1
KR101441363B1 KR1020140052261A KR20140052261A KR101441363B1 KR 101441363 B1 KR101441363 B1 KR 101441363B1 KR 1020140052261 A KR1020140052261 A KR 1020140052261A KR 20140052261 A KR20140052261 A KR 20140052261A KR 101441363 B1 KR101441363 B1 KR 101441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oor
plate
hous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키락원(주)
아이디 락 에이에스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락원(주), 아이디 락 에이에스, 김정한 filed Critical 키락원(주)
Priority to KR1020140052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15/02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the striker being movable by a screw/nu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1Strikers having multiple positions for the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도어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래치볼트의 인출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경사유도부가 도입되어 있고, 문 틈새들의 유격공간을 최소화하여 문틈을 통한 도어의 부정개방을 방지하고자 안출된 모티스 도어락(mortise lock)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개구부를 갖는 볼트삽입부와 문틀 삽입홈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판과 문틀 삽입홈과 접하는 양 측벽부와 문틀삽입홈의 바닥과 접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벽부 내측 위치의 볼트삽입부에 배열되어 볼트삽입부의 폭을 조절하고 개구부측에 배열되어 볼트를 안내하는 경사유도부와 암나사부를 갖는 조절판 및, 하우징의 측벽에 축결합되어 있고 공구결합부를 갖는 헤드와 상기 조절판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Strike Assembly Equipped with Variable Groove for Bolt}
본 발명은 모티스 도어락(mortise lock)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수용하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도어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래치볼트의 인출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경사유도부가 도입되어 있고, 문 틈새들의 유격공간을 최소화하여 문틈을 통한 도어의 부정개방을 방지하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현관문과 같은 도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잠금장치 중 하나는 모티스 도어락(mortise lock)일 것이다. 이러한 모티스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실내외 측 핸들에 의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볼트와, 별도의 키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모티스 도어락에서는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인 출입을 받아주는 삽입부를 갖는 수용부재를 문틀에 장착하는데, 보통 이를 스트라이커라 명명한다. (정식명칭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이러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대한 종래기술로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공개특허 제10-2008-0095917호 (2008년10월29일) [도어 스트라이커]에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어 스트라이커는 본체와, 래치 볼트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수단으로서, 래치 볼트 보유 위치와 래치 볼트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보유 수단과, 래치 볼트 보유 위치에서 보유 수단을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과, 도어 프레임으로부터의 본체의 제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종래기술은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제품을 도어에서 분리시켜 완전히 수리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야기되는 바,
등록특허 제10-0811534호 (2008년03월03일) [도어록의 스트라이커]에는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에 변형이 발생하여 도어록의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록킹홈에 대하여 불일치하여 록킹할 수가 없게 될 때 스트라이커를 구성하는 스트라이커몸체로부터 조절편쇠의 위치를 조절하여 록킹홈 규격을 간편하게 보정함에 따라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함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트라이커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조절편쇠를 당겨 스트라이커몸체로부터 빼낸 후 조절톱니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록킹홈을 확보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사실 상 그 불편함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4-0002798호 (2014년01월08일) [트리거 장치가 구비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본 발명에 따라 별도의 트리거 플레이트를 가지는 잠금장치에 사용할 수 있으며, 키 및 잠금 실린더 없이 도어가 개방되는 로킹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볼트를 수용하는 공간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다양한 규격의 도어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각 도어의 규격에 맞춰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의 규격을 맞춰야 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증가가 예상된다.
아울러 볼트를 수용하는 공간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구비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 20-0397904(2005년09월30일) [도어록용 도어 걸쇠] 가 있는데, 이 종래기술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고정몸체에 상,하,좌,우 운동 가능한 가동몸체를 구비하되, 좌,우 방향 조절나사와 상,하 방향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가동몸체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동몸체에 형성된 록킹홈을 도어록 본체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에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하여, 작업오차 및 도어의 자연침하로 인해 도어 걸쇠의 록킹홈과 도어록 본체의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서로 어긋날 경우라도 쉽게 보정할 수 있는 도어록용 도어 걸쇠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이미 기 설치된 상태에서 가동몸체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함이 예상되고, 또한 문틀에 노출된 형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유격공간이 생겨 미관상의 단점과 특히, 문 틈새로 개방도구를 투입하여 도어를 부정개방 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도난과 보안에 우려가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삽입부 크기 조절이 가능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틀삽입홈에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삽입한 상태로 볼트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공구결합부가 형성된 헤드를 갖는 조절볼트를 도입하여 공구결합부에 렌치(wrenches) 또는 철사 등을 넣은 채로 돌려서 조절판을 이동시켜 볼트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문의 흔들거림을 막고, 데드 혹은 래치볼트와 볼트삽입부의 부정결합을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문틀삽입홈에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삽입한 후 유격공간의 최소화와 단단한 고정력을 갖기 위해 스크류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일정 경사를 가진 외측경사판을 스트라이커 어셈블리의 측벽부에 도입하여 드라이버와 외측경사판의 체결공이 정확히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보다 쉽게 스크류를 삽입시켜 스트라이커를 고정할 수 있게끔 하여 보다 용이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의 설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의 크기 조절을 담당하는 조절판의 상측면 경사각을 곡면으로 처리한 경사유도부를 도입하여 래치볼트가 볼트삽입부로 인 출입될 때 경사유도부를 타고 보다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나아가 설치 시, 문틀 삽입홈 내측벽과 하우징의 양 측벽부는 밀착되는데, 문 틈새로 개방도구를 투입하여 도어를 부정개방 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도난과 보안에 우려가 예상되는 바, 본 발명은 둘 사이에 유격공간이 아예 없이 완전하게 밀착되게 하기 위해, 타측벽부의 돌출부의 단부는 헤드의 단부보다 일정 높이차이(h)만큼 높게 형성하여 완전한 밀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이 상태에서도 조절볼트를 움직여 볼트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는
개구부를 갖는 볼트삽입부와, 문틀 삽입홈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판과, 문틀 삽입홈과 접하는 양 측벽부와, 문틀삽입홈의 바닥과 접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측벽부 내측 위치의 볼트삽입부에 배열되어 볼트삽입부의 폭을 조절하고, 개구부측에 배열되어 볼트를 안내하는 경사유도부와 암나사부를 갖는 조절판 및,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축결합되어 있고, 공구결합부를 갖는 헤드와, 상기 조절판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조절판은 볼트삽입부의 폭 축소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판의 스토퍼는 끼움돌기이고,
상기 하우징의 노출판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 안내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타측벽부는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고, 상기 함몰부에는 조절볼트의 헤드가 위치하며, 돌출부는 헤드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삽입부 크기 조절이 가능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는,
공구결합부가 형성된 헤드를 갖는 조절볼트를 도입하여 공구결합부에 렌치(wrenches) 또는 철사 등을 넣은 채로 돌려서 조절판을 이동시켜 볼트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하여 문의 흔들거림을 막고, 데드 혹은 래치볼트와 볼트삽입부의 부정결합을 조정하여 문틀삽입홈에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삽입한 상태로 볼트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볼트삽입부의 조절을 위해 따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문틀삽입홈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한, 문틀삽입홈에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삽입한 후 유격공간의 최소화와 단단한 고정력을 갖기 위해 스크류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일정 경사를 가진 외측경사판을 스트라이커 어셈블리의 측벽부에 도입하여 드라이버와 외측경사판의 체결공이 정확히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보다 쉽게 스크류를 삽입시켜 스트라이커를 고정할 수 있게끔 하여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 데드볼트와 래치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부의 크기 조절을 담당하는 조절판의 상측면 경사각을 곡면으로 처리한 경사유도부를 통해, 래치볼트가 볼트삽입부로 인 출입될 때 경사유도부를 타고 보다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고, 나아가 마찰에 따른 마모를 줄여주어 내구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으며,
나아가 설치 시, 문틀 삽입홈 내측벽과 하우징의 양 측벽부는 밀착되는데, 문 틈새로 개방도구를 투입하여 도어를 부정개방 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도난과 보안에 우려가 예상되는 바, 본 발명은 둘 사이에 유격공간이 아예 없이 완전하게 밀착되게 하기 위해, 타측벽부의 돌출부의 단부는 헤드의 단부보다 일정 높이차이(h)만큼 높게 형성하여 완전한 밀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이 상태에서도 조절볼트를 움직여 볼트삽입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및 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배면 측을 관찰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4는 본 발명의 '높이차이'에 따른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하우징(10)의 측면부를 일 측을 측벽부(10A)로 설정하고 다른 타 측면을 타측벽부(10B)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외측경사판(171)이 구비된 측벽부를 타측벽부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측벽부 모두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고, 본 발명을 실시를 하는 자의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변형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타측벽부의 설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설정이며 권리보호범위의 축소의 개념은 아닌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인 모티스 디지털 도어락(Mortise lock)은 실내외 측 핸들에 의해 도어의 잠금과 잠금 해제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볼트와, 별도의 키 또는 버튼에 의해 잠금과 잠금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안정성이 높은 데드볼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드볼트에는 데드볼트를 회동에 의해 도어에서 출몰시키는 구동 유닛이 구비되며, 잠금과 잠금 해제를 원할 경우에는 키를 삽입하여 회동한다거나 또는 버튼 등을 누른다거나 하는 등의 특정한 동작을 취하면, 전동모터에 의하여 상기 구동 유닛이 자동으로 회동하여 상기 데드볼트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이 실행되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또한, 데드볼트와는 별도로 동작하는 래치볼트에는 래치볼트를 회동에 의해 도어에서 출몰시키는 회전 유닛이 마련되고, 회전 유닛은 실내측 핸들과 실 외측 핸들이 결합되며, 도어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실내측 핸들과 실 외측 핸들 중에 어느 하나가 회동되면 회전 유닛에 의하여 상기 래치 볼트가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는 실내측 또는 실 외측 손잡이들을 돌리게 되면 손잡이만이 공회전하여 회전 유닛이 작동되지 않게 되어 래치볼트가 인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데드볼트와 함께 래치볼트까지도 도어의 브래킷 내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보안이 강화되도록 한다.
모티스 도어락에서는 상기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인 출입을 받아주는 삽입부를 갖는 수용부재를 문틀에 장착하는데, 보통 이를 스트라이커라 명명한다. (정식명칭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구성에 대해 알아본다.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는
개구부를 갖는 볼트삽입부(11)와, 문틀 삽입홈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판과, 문틀 삽입홈과 접하는 양 측벽부(10A)와, 문틀삽입홈의 바닥과 접하는 저면부(10C)를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벽부 내측 위치의 볼트삽입부(11)에 배열되어 볼트삽입부(11)의 폭을 조절하고, 개구부측에 배열되어 볼트를 안내하는 경사유도부(21)와 암나사부(23)를 갖는 조절판(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 축결합되어 있고, 공구결합부(311)를 갖는 헤드(31)와, 상기 조절판(20)의 암나사부(23)에 결합되는 수나사부(33)를 갖는 조절볼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조절판(20)은 볼트삽입부(11)의 폭 축소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판(20)의 스토퍼(25)는 끼움돌기이고,
상기 하우징(10)의 노출판(13)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 안내되는 삽입슬롯(1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벽부(10B)는 돌출부(17)와 함몰부(18)를 갖고, 상기 함몰부(18)에는 조절볼트(30)의 헤드(31)가 위치하며, 돌출부(17)는 헤드(31)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1 내지 도4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설치 및 동작에 대해 알아본다.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는 도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두개의 볼트삽입부(11)를 구비하고 있고, 둘 중 하나에는 상기 래치볼트가, 다른 하나에는 데드볼트가, 또는 경우에 따라 둘 모두에 같은 볼트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설치에 대해 도1 내지 도3을 통해 알아보면,
문틀에는 문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미도시), 이 문틀 삽입홈의 바닥에 상기 하우징(10)의 저면부(10C)가 접하고, 문틀 삽입홈의 내측벽과 하우징(10)의 양 측벽부(10A)(10B)가 접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를 문틀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벽부(10B), 특히 돌출부(17)에는 체결공(171a)을 갖는 외측 경사판(171)이, 상기 노출판(13)에는 형성된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어, 문틀삽입홈에 본 스트라이커를 삽입하고 노출판(13)에 형성된 고정공에 스크류를 박아 넣어 문틀에 고정시키되, 상기 돌출부(17)에 구비된 외측 경사판(171)의 체결공(171a)을 통과하도록 스크류를 문틀 삽입홈의 내측벽으로 관통 삽입시켜 박아 넣으면 타 측벽부(10A)의 돌출부(17)와 문틀의 내측벽이 밀착되면서 본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측 경사판(171)은 하우징(10)의 돌출부(17)에서부터 노출판(13)의 단부 근처로까지 이어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7)와 노출판(13)의 단부와의 높이차이(g)만큼의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크류의 삽입은 미리 스트라이커를 삽입 시킨 후에 이루어지는데, 스크류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볼트삽입부(11)의 개구부로 드라이버를 넣어 스크류를 회전시켜 삽입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체결공(171a)에 스크류를 삽입하기에 직립된 형태의 측벽판(외측 경사판(171)과 동일한 개념이나 직립된 상태를 가정함)은 스크류를 회전시키기에 부적절하고 무리하게 스크류를 회전시킨다고 하여도 이는 스크류의 머리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의 마모를 유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돌출부(17)와 노출판(13)의 단부와의 높이차이(g)에 의한 경사를 갖는 외측 경사판(171)을 도입하여 드라이버와 외측경사판(171)의 체결공(171a)이 정확히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보다 쉽게 스크류를 삽입시켜 스트라이커를 고정할 수 있게끔 하였다.
한편, 각 종 도어는 서로 규격도 다르고 그 유격공간도 다르기에 문틀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는 그 규격에 유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면부(10C)에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삽입도 조절용 승강볼트(40)가 결합되는 너트부(15)를 구비하였다.
상기 승강볼트(40)는 일 단부에는 나사머리를 갖고, 타 측 단부에는 드라이버홈을 가져, 볼트삽입부(11)의 개구부를 통해 승강볼트(40)를 회전시켜 하우징(10)의 저면부(10C)와 문틀 삽입홈의 바닥 사이에 위치한 나사머리의 인 출입을 통해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와 문틀 삽입홈과의 유격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흔들림 현상을 막고 나아가 소음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인 조절판(20)과 조절볼트(30)를 통한 볼트삽입부(11)의 크기가 조절되는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통해 상기 조절판(2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절판(20)은 하우징(10)의 일 측벽부(10A) 측에 배열되는 조절판(20) 본체(20A)와 이 조절판(20) 본체(20A)에 연결되고 하우징(10)의 저면부(10C)와 접하는 지지체(20B)로 구성되어 그 단면 형상이 알파벳 'L'자 유사 형상을 가지고,
도3에서는 본체(20A)의 상측 단부에는 라운드 처리된 경사유도부(21)와 돌기형태로 구성된 스토퍼(25)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A)의 일면에는 암나사부(23)가 있어 상기 조절볼트(30)의 수나사부(33)를 수용한다.
특히 본체(20A)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경사유도부(21)는 래치볼트의 인 출입 시에 마찰력을 줄여주어 보다 원활한 볼트 움직임을 돕는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특성을 설명하면,
래치볼트는 일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고,
래치볼트의 인입 시, 래치볼트의 곡면이 상기 조절판(20)의 본체(20A)에 배열된 경사유도부(21)와 접촉하여 이를 따라 볼트삽입부(11)로 안내되어 삽입된다.
또한 출입 시, 걸림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경사유도부(21)를 따라 볼트삽입부(11)를 빠져 나온다.
이러한 경사유도부(21)의 도입을 통해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는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이는 결국 도어의 내구성 향상과 소음발생 억제에 기여하며, 나아가 래치볼트와 볼트삽입부(11)의 유격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래치볼트의 측면부와 볼트삽입부(11)의 내측면의 완전한 밀착을 제공하여 틈새로 도구 등을 삽입하여 도어의 부정개방을 도모하는 등과 같은 도난 및 보안에 관한 염려도 사전에 차단한다.
또한 상기 조절판(20)의 본체(20A) 상측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5)는 아래에서 설명할 조절판(2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스토퍼(25)는 끼움돌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노출판(13)에 형성된 삽입슬롯(135)에 스토퍼(25)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판(20)이 볼트삽입부(11)의 크기 조절을 위하여 움직일 때 스토퍼(25)도 함께 이동하고 스토퍼(25)는 양 단부가 삽입슬롯(135)에 의해 안내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직선운동만을 하게 되고 스토퍼(25)와 일체를 이루는 조절판(20) 본체(20A) 역시 안정적으로 양 단부가 일정하게 이동된다.
또한 지나치게 볼트삽입부(11) 내부에서 이동되면 상기 조절판(20)이 상기 승강볼트(40)와 접촉하게 되면 승강볼트(40)를 압박하여 승강볼트(40)가 휘어져 제대로 문틈과 스트라이커 본체(20A) 사이의 유격공간을 조절할 수 없게 되는데, 상기 조절판(20) 본체(20A)의 스토퍼(25)는 상기 노출판(13)의 삽입슬롯(135)에 의해 움직임을 제한 받기 때문에 스토핑 기능을 통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 내지 도3을 통해 상기 조절볼트(3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볼트삽입부(11)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30)는 공구결합부(311)를 가진 헤드(31)와 수나사부(33)로 이루어져 있고, 수나사부(33) 외주면에 코일스프링(35)이 외삽 되어 있는데, 이 코일스프링(35)은 상기 조절판(20) 본체(20A)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벽부(10B)에 양단이 탄지 되는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상기 헤드(31)는 상기 타측벽부(10B)의 함몰부(18)에 자리 잡고 있고, 조절볼트(30)의 헤드(31)에 형성된 공구결합부(311)에 렌치 또는 철사 등(핀의 형태를 가진 도구)을 삽입 고정하여 헤드(31)를 회전시켜주면 조절볼트(30)의 수나사부(33)가 조절판(20) 본체(20A)의 암나사부(23)로 인 출입되는데, 이 때 헤드(3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절판(20) 본체(20A)는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 시, 상기 탄지스프링(35)은 헤드(31) 측으로 이동할 때는 스토핑 기능을 제공하고, 하우징(10)의 측벽부(10A) 측으로 이동할 때는 보다 쉽게 이동하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핵심 특징인 각 구성요소들의 '높이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도1, 도2 및 도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30)의 헤드(31)는 함몰부(18)에 위치하고 있고, 돌출부(17)는 헤드(31)의 단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문틀삽입홈에 본 발명에 따른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를 삽입하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문틀 삽입홈 내측벽과 상기 하우징(10)의 양 측벽부(10A)는 밀착되는데, 둘 사이에 유격공간이 아예 없이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조절볼트(30)의 헤드(31)가 문틀 삽입홈 내측벽과 접촉하여 압박을 받으면 조절볼트(30)의 움직임이 제약을 받게 되어 상기 조절판(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벽부(10B)의 돌출부(17)의 단부는 헤드(31)의 단부보다 일정 높이차이(h)만큼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출판(13)의 삽입슬롯(135)에 결합된 상기 조절판(20)의 스토퍼(25)는 노출판(13)보다 낮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는 이와 같은 높이차이(j)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어의 닫힘상태 시, 도어의 단부와 노출판(13)은 밀착된 상태로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 유격공간이 크게 되면 문틈 사이로 부정개방을 위한 도구의 침투가 염려되는 바, 도난 및 보안의 문제가 우려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단부와 노출판(13)이 최소한의 유격공간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조절판(20)의 스토퍼(25)가 도어의 단부에 접촉하여 압박을 받으면 조절볼트(30)에 의한 조절판(20)의 움직임이 제약을 받게 되고 안정적인 이동을 방해받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25)는 상기 노출판(13)보다 일정 높이차이(j)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출판(13)에는 상기 조절볼트(30)의 헤드(31) 접근용 통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문틀삽입홈에 기 삽입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조절판(20)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노출판(13)에 헤드(31) 접근용 통공(131)을 구비하여 상기 렌치 또는 철사 등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조절볼트(30)의 헤드(31)를 돌릴 수 있게끔 하였다.
상기 언급한 바 있는 도어의 단부와의 접촉에 의한 움직임의 제한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31) 접근용 통공(131) 내부에 자리 잡고 있는 조절볼트(30)의 헤드(31)의 단부는 도면에서 확인 되는 바와 같이, 상기 노출판(13)보다 일정 높이차이(k)만큼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움직임의 제한) 조절판(20)의 경사유도부(21) 역시 노출판(1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경사판(171)의 양단부가 상기 타측벽부(10B)의 돌출부(17)와 노출판(13)의 단부와의 높이차이(g)에 의해 경사를 갖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전기한 바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의 소재 등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트라이커 어셈블리(A)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10: 하우징
10A: 측벽부 10B: 타측벽부
10C: 저면부
11: 볼트삽입부 13: 노출판
131: 헤드접근용 통공 135: 삽입슬롯
15: 너트부 17: 돌출부
171: 외측경사판 18: 함몰부
20: 조절판 21: 경사유도부
25: 스토퍼 30: 조절볼트
31; 헤드 311: 공구결합부
35: 코일스프링 40: 삽입도 조절용 승강볼트

Claims (4)

  1. 개구부를 갖는 볼트삽입부와, 도어의 문틀 삽입홈 외부로 노출되고 볼트의 헤드 접근용 통공을 구비한 노출판과, 문틀 삽입홈과 접하는 양 측벽부와, 문틀삽입홈의 바닥과 접하는 저면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측에 배열되어 볼트를 안내하는 경사유도부 및 상기 경사유도부 양측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볼트삽입부에 배열되어 상기 볼트삽입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판; 및
    상기 하우징의 양 측벽부에 축결합되어 있고, 공구결합부를 갖는 헤드와, 상기 조절판의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는 조절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판은 볼트삽입부의 폭 축소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트 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의 스토퍼는 끼움돌기이고,
    상기 하우징의 노출판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 안내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트 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벽부는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고, 상기 함몰부에는 조절볼트의 헤드가 위치하며, 돌출부는 헤드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트 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판(13)의 삽입슬롯(135)에 결합된 상기 조절판(20)의 스토퍼(25)는 노출판(13)보다 낮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볼트 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KR1020140052261A 2014-04-30 2014-04-30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KR10144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61A KR101441363B1 (ko) 2014-04-30 2014-04-30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61A KR101441363B1 (ko) 2014-04-30 2014-04-30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363B1 true KR101441363B1 (ko) 2014-09-17

Family

ID=5176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61A KR101441363B1 (ko) 2014-04-30 2014-04-30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17Y1 (ko) 2017-02-20 2017-06-15 송성면 도어 유동방지용 도어 스트라이커
KR102117306B1 (ko) 2020-01-06 2020-06-01 송성면 도어 흔들림 방지용 도어 스트라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티스락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958A (ja) * 1993-10-26 1995-07-11 Osaka Kanagu Kk ラッチボルトの受孔調整可能なストライク
JP2000104424A (ja) * 1998-09-29 2000-04-11 Kikaku Hashimoto:Kk ラッチ受け
JP2003082890A (ja) 2001-09-14 2003-03-19 Giken Kanamono Kk ラッチ受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958A (ja) * 1993-10-26 1995-07-11 Osaka Kanagu Kk ラッチボルトの受孔調整可能なストライク
JP2000104424A (ja) * 1998-09-29 2000-04-11 Kikaku Hashimoto:Kk ラッチ受け
JP2003082890A (ja) 2001-09-14 2003-03-19 Giken Kanamono Kk ラッチ受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17Y1 (ko) 2017-02-20 2017-06-15 송성면 도어 유동방지용 도어 스트라이커
WO2018151459A1 (ko) 2017-02-20 2018-08-23 송성면 도어 유동방지용 도어 스트라이커
KR102117306B1 (ko) 2020-01-06 2020-06-01 송성면 도어 흔들림 방지용 도어 스트라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티스락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8747C (en) Lock with sliding locking elements
KR101425565B1 (ko) 백셋 조절이 가능한 도어 줌업 래치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US11549285B2 (en) Lock assembly
GB2551015A (en) Cable restrictor
KR101441363B1 (ko) 가변형 볼트삽입부를 구비한 스트라이커 어셈블리
US7201406B2 (en) Adjustable handle assembly
US20160194903A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KR101789773B1 (ko) 스토퍼 기능을 구비한 틸트 타입 도어락
US20080105010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a cam associated with a handle to transmit movements to a latch operating spindle
AU2011213547B2 (en) A cover for a mortice lock assembly
AU2010201641B9 (en) A Latch and a Latchset
US20070028656A1 (en) Lockable pull handle
JP7238091B2 (ja) 錠アセンブリ
AU2018223219B2 (en) Rim latch with cylinder lock change
AU2024100005B4 (en) A lock assembly with a retention means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AU2018223215B2 (en) Rim latch with safety release selectability
AU2014253559B2 (en) A Lock
KR20230032585A (ko) 핸들 고정형 도어락용 래치볼트 해정 구조체
JP2001187248A (ja) 遊技機台前面の不正解錠防止機能を備えた扉装置
KR20230032566A (ko) 래치 볼트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고정형 도어락 장치
NZ740152A (en) Improved Rim Latch for Attachment to a Movable Barrier
AU2018201300A1 (en) Improved Rim Latch for Attachment to a Movable Barrier
JP4464202B2 (ja) サムターン装置
KR20200140062A (ko) 도어 가드가 구비된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