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622B1 -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622B1
KR101383622B1 KR1020130032269A KR20130032269A KR101383622B1 KR 101383622 B1 KR101383622 B1 KR 101383622B1 KR 1020130032269 A KR1020130032269 A KR 1020130032269A KR 20130032269 A KR20130032269 A KR 20130032269A KR 101383622 B1 KR101383622 B1 KR 10138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handle member
push
pul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권태훈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3003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구조를 통해 내부에서 푸쉬-풀 방식의 핸들을 작동을 고정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와이어(철사) 등을 통해 강제 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 상태가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에 설치되는 안전 잠금 구조체로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기점으로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부재;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내측 브라켓; 및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 브라켓과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부재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Safety locking assembly for push-pull doorlock}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구조를 통해 내부에서 푸쉬-풀 방식의 핸들의 작동을 고정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와이어(철사) 등을 이용하여 강제 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1)을 회전시켜 도어(D)의 데드볼트(2)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2)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2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
따라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외부에서 드릴 등과 같은 공구로 도어(D)에 천공을 한 뒤 와이어(철사) 등을 투입하여 내측핸들(3)을 당겨서 강제 해정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즉,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을 누르는 동작으로 해정되기 때문에 침입자가 외부에서 문틈이나 문에 천공을 하고 와이어 등을 통해 내측핸들(3)을 외부에서 당김으로써 간단하게 강제 해정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간편한 구조를 통해 내부에서 푸쉬-풀 방식의 핸들의 작동을 고정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와이어(철사) 등을 통해 강제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 상태가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에 설치되는 안전 잠금 구조체로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회전축을 기점으로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부재;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내측 브라켓; 및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 브라켓과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부재의 좌우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락 본체의 외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안전잠금 레버가 장착되고, 상기 안전잠금 레버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기 안내공을 따라 이동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은 말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양측에 맞닿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이 상승되면 상기 고정단이 상기 내측 브라켓과 상기 핸들부재의 이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내부에서 안전잠금 레버를 설정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와이어(철사) 등을 이용하여 내부의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부에서 강제해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치의 보안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푸쉬-풀 도어락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안전잠금 레버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고정 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미설정시(핸들 잠금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핸들부재가 눌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핸들부재가 눌러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잠금설정시(핸들 잠금 상태) 고정 브라켓이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핸들부재의 좌우 유동을 차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서 핸들부재의 좌우 유동을 차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핸들잠금 해제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의 핸들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잠금 구조체는 내/외측의 도어락 본체(10,20)에서 핸들부재(11,21)를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 해정이 가능한 푸쉬-풀 도어락에 적용된다. 이하 내측의 본체(10)에 안전잠금 구조체가 장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도어락 본체(10)에는 안전잠금 레버(30)가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핸들의 잠금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도 5와 같이, 안전잠금 레버(30; 도 4 참조)의 연결부(35)는 고정 브라켓(31)의 안내공(32) 내에 장착되어 안전잠금 레버(30)의 이동에 따라 고정 브라켓(31)이 상하로 이동된다.
도 6과 같이, 고정 브라켓(31)에는 중심에 사선방향으로 안내공(3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한 쌍의 고정단(3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고정단(33)은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 브라켓(31)은 도어락 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돌기(16a,16b)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고정 브라켓(31)의 양측면은 안내돌기(16a,16b)에 의해 상하로 가이드되고, 안전잠금 레버(30)의 연결부(35)가 내부에 위치한 안내공(32)은 안전잠금 레버(30)의 좌우이동에 따라 사선의 안내공(32)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고정 브라켓(31)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는 내측 브라켓(12)이 장착된다. 이때 내측 브라켓(12)은 핸들부재(11)의 이면에 서로 마주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하로 이동되는 고정 브라켓(31)은 핸들부재(11)의 이면과 내측 브라켓(12)의 사이에 개입되거나 개입되지 않도록 이동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핸들부재(11)는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재(11)를 도어락 본체(10)의 외부에서 작동(누르거나 당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고정 브라켓(31)이 내측 브라켓(12)과 핸들부재(11)의 이면 사이에 개입되지 않은 위치에 있으면, 도 8과 같이 핸들부재(11)가 일측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즉 누름작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도 9와 같이 내측 브라켓(12)과 핸들부재(11)의 이면 사이에는 고정 브라켓(31)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핸들부재(11)가 일측으로 회동되면 핸들부재(11)의 이면은 내측 브라켓(12)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도 4의 상태에서 안전잠금 레버(30)가 일측(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안전잠금 레버(30)의 연결부(35)를 따라 고정 브라켓(31)의 안내공(32)이 안내되는데, 이때 안내공(32)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사선을 따라 고정 브라켓(31)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고정 브라켓(31)이 안전잠금 레버(3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도 12와 같이 핸들부재(11)의 이면과 내측 브라켓(12) 사이에 고정 브라켓(31)의 고정단(33)이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를 도 11과 같이 평단면으로 살펴보면, 고정 브라켓(31)의 양측 고정단(33)이 핸들부재(11)의 이면과 내측 브라켓(12) 사이에 각각 위치(개입)됨으로써 핸들부재(11)를 누르거나 당기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는 안전잠금 레버(30; 도 4 참조)를 도어락 본체(10) 상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핸들의 잠금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안전잠금 레버(30)를 핸들 잠금 해제상태에 위치시키면 고정 브라켓(31)은 하강된 상태(내측 브라켓과 핸드부재 이면 사이에서 벗어난 위치)를 이루게 됨으로써 핸들부재(11)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14와 같이 안전잠금 레버(30)를 핸들 잠금 설정상태에 위치시키면 안전잠금 레버(30)의 연결부(35)를 따라 고정 브라켓(31)의 안내공(32)이 안내되어 고정 브라켓(31)이 상승되고, 고정 브라켓(31)의 고정단(33)이 내측 브라켓(12)과 핸들부재(11)의 이면 사이에 개입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핸들부재(11)의 좌우 유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핸들부재(11)를 누르거나 당기는 작동이 불가하게 된다. 한편 도 13 및 도 14와 같이 핸들부재(11)의 이면에는 경우에 따라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6)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출하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 안전잠금 레버(30)를 핸들 잠금 설정상태로 위치시키면 외부에서 도어를 천공하거나 우유투입구와 같은 틈을 통해 철사(와이어) 등을 삽입시켜 내부의 핸들부재(11)를 누르거나 당기더라도 핸들부재(11)의 작동(회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강제해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도어락 본체(내측) 11: 핸들부재
12: 내측 브라켓 20: 도어락 본체(외측)
31: 고정 브라켓 32: 안내공
33: 고정단 35: 연결부

Claims (6)

  1. 사용자가 핸들을 누르거나 당기는 것으로 도어락의 해정 상태가 이루어지는 푸쉬-풀 도어락에 설치되는 안전 잠금 구조체로서,
    도어락 본체(10);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 회전축(15)을 기점으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부재(11);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부재(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내측 브라켓(12); 및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내측 브라켓(12)과 상기 핸들부재(11)의 이면 사이에 개입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부재(11)의 유동을 제한하고, 상기 내측 브라켓(12)과 상기 핸들부재(11)의 이면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부재(11)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브라켓(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31)은,
    중앙영역에 사선방향으로 안내공(3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내측 브라켓(12)과 상기 핸들부재(11)의 이면에 개입 및 이탈되는 고정단(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외부에는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안전잠금 레버(30)가 장착되고, 상기 안전잠금 레버(30)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1)의 상기 안내공(32)을 따라 이동되는 연결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33)은 말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1)의 양측에 맞닿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3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6a,1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33)은 상기 고정 브라켓(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31)이 상승되면, 상기 고정단(33)이 상기 내측 브라켓(12)과 상기 핸들부재(11)의 이면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핸들부재(11)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KR1020130032269A 2013-03-26 2013-03-26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KR10138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69A KR101383622B1 (ko) 2013-03-26 2013-03-26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69A KR101383622B1 (ko) 2013-03-26 2013-03-26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622B1 true KR101383622B1 (ko) 2014-04-10

Family

ID=5065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269A KR101383622B1 (ko) 2013-03-26 2013-03-26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374B1 (ko) * 2015-10-08 2017-03-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 잠금 해제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4499A (ja) 2005-12-05 2007-06-21 Daikoku Seisakusho:Kk プッシュプル錠
KR100888514B1 (ko) 2008-12-10 2009-03-12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JP2009264076A (ja) 2008-04-30 2009-11-12 Imaoka Seisakusho:Kk プッシュブ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4499A (ja) 2005-12-05 2007-06-21 Daikoku Seisakusho:Kk プッシュプル錠
JP2009264076A (ja) 2008-04-30 2009-11-12 Imaoka Seisakusho:Kk プッシュブ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
KR100888514B1 (ko) 2008-12-10 2009-03-12 주식회사 티랩코리아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115258B1 (ko) 2010-02-23 2012-02-15 윤자호 푸시풀형 도어락 바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374B1 (ko) * 2015-10-08 2017-03-15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 잠금 해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EP2985397B1 (en) Mortise lock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KR200452304Y1 (ko) 고정후크가 마련된 도어록 장치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20160087699A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1890318B1 (ko) 스윙형 래치볼트 조립체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0854298B1 (ko) 도어락 장치
KR102024775B1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130268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당김형 도어록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20090123364A (ko) 키박스
KR101440528B1 (ko) 다중 래치 멀티 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