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513B1 - 도어락 모티스 - Google Patents

도어락 모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513B1
KR101990513B1 KR1020180004905A KR20180004905A KR101990513B1 KR 101990513 B1 KR101990513 B1 KR 101990513B1 KR 1020180004905 A KR1020180004905 A KR 1020180004905A KR 20180004905 A KR20180004905 A KR 20180004905A KR 101990513 B1 KR101990513 B1 KR 101990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hole
pin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정밀
Priority to KR102018000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져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본 도어락 모티스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작동판(200)과,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뭉치(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1 수직작동판(4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직작동판(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판고정부재(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모티스{DOOR LOCK MORTISE}
본 발명은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져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문과 같은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Mortise)와, 모티스의 동작을 위해 도어의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모티스의 잠금이나 잠금해제의 동작을 구현하는 푸시풀형 레버 또는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다.
통상의 모티스는 실외 또는 실내측에 위치하는 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볼트(Latch Bolt), 도어의 잠금을 유지시키는 데드볼트(Dead Bolt), 데드볼트의 동작을 위한 전동 또는 수동식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티스는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 기계식 키, 비밀번호, 지문 등을 이용해 데드볼트를 동작시킴으로써 잠금을 해제한 후, 실외측의 레버를 동작시켜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는 실내측에 마련된 개방스위치로 데드볼트를 동작시켜 잠금을 해제한 후 실내측 레버를 동작시켜 래치볼트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는 도어프레임(3)에 상부힌지(1a)와 하부힌지(1b)에 의해 설치되며, 상부힌지(1a)와 하부힌지(1b)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열려지거나 닫힌다.
상기 도어(1)는 이에 내장되는 모티스(10)를 구비한다. 상기 모티스(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손잡이(22) 및, 하우징(11)의 측부와 상부와 하부를 향해 운동하면서 도어프레임(3)의 측부 스트라이커(3a)와 상부 스트라이커(3b)와 하부 스트라이커(3c)에 각각 3지점을 록킹되는 측부 데드볼트(34)와, 상부 데드볼트(42)와, 하부 데드볼트(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데드볼트(42)와 하부 데드볼트(52)는 가늘고 긴 봉(棒)체로서, 도어(1)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관(7)을 따라 상하 수직운동을 한다. 상기 가이드관(7)은 도어(1)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측부 데드볼트(34)와 상부 데드볼트(42)와 하부 데드볼트(52)는 도어프레임(3)의 측부와 상부와 하부에 각각 3점에서 록킹됨으로, 도어(1)를 강제로 개방해도, 특히, 힌지(1a, 1b)점을 강제로 조작하여 도어(1)를 강제 개방해도, 도어(1)의 상부와 하부가 도어프레임(3)에 록킹된 상태이므로, 강제 해정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3점 록킹을 하기 위한 도어록 모티스는 도어의 3곳을 동시에 록킹하기 위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이 까다롭고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않아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480507호 "도어락 모티스"(2015.01.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져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개방된 일측면에 측면판이 부착되고, 상기 측면판에 다수의 측면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부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공이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수직으로 상부핀이 부착되고, 상기 상부핀에 대응하여 내측 하부에 수직으로 하부핀이 부착되며, 내측 중앙 부위에 수직으로 중앙핀이 부착되고, 상기 중앙핀의 하부로 키구멍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공에 삽탈되도록 선단에 다수의 측부 데드볼트가 부착되며, 상기 중앙핀이 끼워지도록 수평장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1 이동핀이 부착되고, 상기 제1 이동핀의 하부로 상기 하부핀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2 이동핀이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작동판과; 상기 키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키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키뭉치와; 상기 상부공을 통해 상단이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 데드볼트가 연결되도록 상단에 상부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이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제1 수직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핀이 끼워지도록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1 경사공이 형성되는 제1 수직작동판과; 상기 하부공을 통해 하단이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 데드볼트가 연결되도록 하단에 하부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핀이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제2 수직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핀이 끼워지도록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2 경사공이 형성되는 제2 수직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상기 수평작동판은, 그 상단에 상호 이격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3개의 톱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티스는, 상기 수평작동판의 하부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핀이 끼워지도록 수직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톱니가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키뭉치가 회전되면서 상기 키돌기가 맞닿아 상승되도록 하단에 접촉면이 형성되는 작동판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평작동판의 상부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부착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작동판고정부재의 상단 일측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수직작동판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공과, 상기 제2 수직작동판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공과, 상기 제1 이동핀(204)과 제2 이동핀(205)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공(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작동판은, 상기 제1 가이드공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 수직작동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가이드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직작동판은, 상기 제2 가이드공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2 수직작동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 가이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작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져 작동상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개략적인 전체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하우징을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작동판고정부재의 작동 전후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수평작동판의 작동 전후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수직작동판의 작동 전후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전체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3점 록킹 구조의 도어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작동판(200)과,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뭉치(3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1 수직작동판(4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수직작동판(5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판고정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개방된 일측면에 측면판(101)이 부착되고 상기 측면판(101)에 다수의 측면공(102)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부공(103)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공(104)이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수직으로 상부핀(105)이 부착되고 상기 상부핀(105)에 대응하여 내측 하부에 수직으로 하부핀(106)이 부착되며 내측 중앙 부위에 수직으로 중앙핀(107)이 부착되고 상기 중앙핀(107)의 하부로 키구멍(108)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어 내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판상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작동판(200)을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판(101)은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면서 도어의 측면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을 도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측면공(102)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공(102)은 상기 수평작동판(200)에 부착되는 측부 데드볼트(201)가 수평으로 삽탈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공(103)은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이 상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부공(104)은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이 하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을 통해 하부로 돌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핀(105)은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수직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부핀(106)은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수직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중앙핀(107)은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키구멍(108)은 상기 키뭉치(3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작동판(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공(102)에 삽탈되도록 선단에 다수의 측부 데드볼트(201)가 부착되며 상기 중앙핀(107)이 끼워지도록 수평장공(202)이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홈(20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105)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1 이동핀(204)이 부착되고 상기 제1 이동핀(204)의 하부로 상기 하부핀(106)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2 이동핀(205)이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작동판(20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측면공(102)을 통해 상기 측부 데드볼트(201)를 돌출시켜 록킹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부 데드볼트(201)는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도어를 문틀에 록킹하거나 그 록킹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장공(202)은 상기 중앙핀(107)에 끼워져 상기 수평작동판(200)이 조립되도록 하면서 상기 중앙핀(107)에 지지되어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홈(203)은 상기 키뭉치(300)의 키돌기(301)가 걸리어 상기 키뭉치(30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수평작동판(200)이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이동핀(204)은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이 걸리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이동핀(205)은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이 걸리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작동판(200)은 그 상단에 상호 이격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3개의 톱니(20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톱니(206)는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에 끼워지면서 상기 수평작동판(200)이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키뭉치(300)는 상기 키구멍(10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20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키돌기(30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키로 회전시켜 도어를 록킹하거나 그 록킹을 해제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키돌기(301)는 상기 걸림홈(203)에 맞닿아 상기 걸림홈(203)을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은 상기 상부공(103)을 통해 상단이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 데드볼트가 연결되도록 상단에 상부후크(40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105)이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제1 수직공(4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핀(204)이 끼워지도록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1 경사공(403)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부 데드볼트를 상부로 밀어서 도어를 록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후크(401)는 상부 데드볼트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수직공(402)은 상기 상부핀(105)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경사공(403)은 상기 제1 이동핀(204)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과 함께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은 상기 하부공(104)을 통해 하단이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 데드볼트가 연결되도록 하단에 하부후크(50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핀(106)이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제2 수직공(50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핀(205)이 끼워지도록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2 경사공(503)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서 하부 데드볼트를 하부로 밀어서 도어를 록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후크(501)는 하부 데드볼트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수직공(502)은 상기 하부핀(106)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경사공(503)은 상기 제2 이동핀(205)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과 함께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이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는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하부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핀(107)이 끼워지도록 수직장공(601)이 형성되며 상기 톱니(206)가 끼워지도록 끼움부(602)가 형성되고 상기 키뭉치(3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키돌기(301)가 맞닿아 상승되도록 하단에 접촉면(603)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뭉치(300)의 회전과 함께 상기 키돌기(301)에 상기 접촉면(603)이 맞닿아 상기 중앙핀(107)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수직장공(601)을 따라 상승되면서 상기 끼움부(602)에 끼워져 있던 상기 톱니(206)가 빠져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고정이 해제되고, 반대로 상기 키돌기(301)가 상기 접촉면(603)에서 이탈되어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기 끼움부(602)에 상기 톱니(206) 중의 하나가 끼워지면서 상기 수평작동판(20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상부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부착되는 가이드홈(109)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는 상기 가이드홈(109)을 통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의 상단 일측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6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돌기(604)는 상기 가이드홈(109)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에 대한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공(110)과,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공(1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은 상기 제1 가이드공(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가이드턱(40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은 상기 제2 가이드공(11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 가이드턱(5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턱(404)은 상기 제1 가이드공(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가이드공(11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가이드턱(504)은 상기 제2 가이드공(11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 가이드공(11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이동핀(204)과 제2 이동핀(205)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공(1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가이드공(112)은 상기 제1 이동핀(204)과 제2 이동핀(205)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1 : 측면판 102 : 측면공
103 : 상부공 104 : 하부공
105 : 상부핀 106 : 하부핀
107 : 중앙핀 108 : 키구멍
109 : 가이드홈 110 : 제1 가이드공
111 : 제2 가이드공 112 : 수평가이드공
200 : 수평작동판
201 : 측부 데드볼트 202 : 수평장공
203 : 걸림홈 204 : 제1 이동핀
205 : 제2 이동핀 206 : 톱니
300 : 키뭉치
301 : 키돌기
400 : 제1 수직작동판
401 : 상부후크 402 : 제1 수직공
403 : 제1 경사공 404 : 제1 가이드턱
500 : 제2 수직작동판
501 : 하부후크 502 : 제2 수직공
503 : 제2 경사공 504 : 제2 가이드턱
600 : 작동판고정부재
601 : 수직장공 602 : 끼움부
603 : 접촉면 604 : 가이드돌기

Claims (4)

  1. 개방된 일측면에 측면판(101)이 부착되고, 상기 측면판(101)에 다수의 측면공(102)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부공(103)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부공(104)이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수직으로 상부핀(105)이 부착되고, 상기 상부핀(105)에 대응하여 내측 하부에 수직으로 하부핀(106)이 부착되며, 내측 중앙 부위에 수직으로 중앙핀(107)이 부착되고, 상기 중앙핀(107)의 하부로 키구멍(108)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면공(102)에 삽탈되도록 선단에 다수의 측부 데드볼트(201)가 부착되며, 상기 중앙핀(107)이 끼워지도록 수평장공(202)이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홈(20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105)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1 이동핀(204)이 부착되고, 상기 제1 이동핀(204)의 하부로 상기 하부핀(106)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2 이동핀(205)이 부착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작동판(200)과;
    상기 키구멍(10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20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키돌기(30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키뭉치(300)와;
    상기 상부공(103)을 통해 상단이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부 데드볼트가 연결되도록 상단에 상부후크(40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핀(105)이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제1 수직공(4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핀(204)이 끼워지도록 일측 하부에서 타측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1 경사공(403)이 형성되는 제1 수직작동판(400)과;
    상기 하부공(104)을 통해 하단이 돌출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 데드볼트가 연결되도록 하단에 하부후크(50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핀(106)이 끼워지도록 수직으로 제2 수직공(50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핀(205)이 끼워지도록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제2 경사공(503)이 형성되는 제2 수직작동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작동판(200)은,
    그 상단에 상호 이격되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3개의 톱니(2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하부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핀(107)이 끼워지도록 수직장공(601)이 형성되며, 상기 톱니(206)가 끼워지도록 끼움부(602)가 형성되고, 상기 키뭉치(300)가 회전되면서 상기 키돌기(301)가 맞닿아 상승되도록 하단에 접촉면(603)이 형성되는 작동판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평작동판(200)의 상부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부착되는 가이드홈(109)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는,
    상기 가이드홈(109)을 통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작동판고정부재(600)의 상단 일측에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6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하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공(110)과,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공(111)과,
    상기 제1 이동핀(204)과 제2 이동핀(205)이 끼워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공(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은,
    상기 제1 가이드공(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 수직작동판(40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가이드턱(40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은,
    상기 제2 가이드공(11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2 수직작동판(50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 가이드턱(5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모티스.
KR1020180004905A 2018-01-15 2018-01-15 도어락 모티스 KR101990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05A KR101990513B1 (ko) 2018-01-15 2018-01-15 도어락 모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905A KR101990513B1 (ko) 2018-01-15 2018-01-15 도어락 모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513B1 true KR101990513B1 (ko) 2019-06-18

Family

ID=6710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905A KR101990513B1 (ko) 2018-01-15 2018-01-15 도어락 모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42B1 (ko) * 2019-12-31 2021-04-07 전정일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226Y1 (ko) * 2005-05-31 2005-08-22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 록 장치
KR101480507B1 (ko) 2013-03-11 2015-0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226Y1 (ko) * 2005-05-31 2005-08-22 주식회사 아이레보 모티스 록 장치
KR101480507B1 (ko) 2013-03-11 2015-0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모티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rtise(2012.04.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742B1 (ko) * 2019-12-31 2021-04-07 전정일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929B1 (en) Multipoint mortise lock
US7775563B2 (en) Mortise lock for a sliding door
US8678451B2 (en) Gate latch
US10648195B2 (en)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990513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0489050Y1 (ko) 베이비룸용 문고리장치
KR101598958B1 (ko) 래치볼트 방향 설정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모티스락
KR20210066762A (ko) 도어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US11319735B1 (en) Sliding-door latch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0489898Y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US20170081887A1 (en) Double lever latch device
KR100544963B1 (ko) 도어락 장치의 백셋
KR20210106399A (ko) 도어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502664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20030097762A (ko) 레버형 도어록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WO2015126163A1 (ko) 데드볼트 지지력이 향상된 도어락 모티스
JPH0220382Y2 (ko)
KR100991053B1 (ko)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JPH047346Y2 (ko)
US20220112744A1 (en) Gate latch
CA3064591C (en) Side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