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053B1 -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053B1
KR100991053B1 KR1020090034441A KR20090034441A KR100991053B1 KR 100991053 B1 KR100991053 B1 KR 100991053B1 KR 1020090034441 A KR1020090034441 A KR 1020090034441A KR 20090034441 A KR20090034441 A KR 20090034441A KR 100991053 B1 KR100991053 B1 KR 10099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piece
pusher
strik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09003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과 바란다 사이 또는 바란다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닫이문이 잠겨진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미닫이문을 들어 창문틀로부터 이탈시키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면에 요입부(54)를 갖으며 상기 요입부 측을 향해 대응된 지점에 절개부(59)를 갖는 하우징(53)의 내부에는 각 절개부(59)를 통해 후크(58)가 출몰하는 2개의 작동편(56)(57)을 제1탄성부재(55)로 각각 탄력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53)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60)에는 요입부(54) 측을 향해 작동편(56)(57)의 이동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출몰하는 푸셔(61)를 제2탄성부재(62)에 의해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겨 래치(65)를 회동시키면 연동수단이 2개의 작동편의 간격이 넓어지게 상호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탄성부재(62)에 의해 탄력 설치된 푸셔(61)가 하우징(53)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각 작동편(56)(57)을 지지하여 2개의 작동편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미닫이문(51)을 닫아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의해 눌려 푸셔(61)에 의한 작동편(56)(57)의 지지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으로 상측의 작동편(57)은 하강함과 동시에 하측의 작동편(56)은 상승하여 각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닫이문, 도난방지, 1개의 스트라이커, 동시 록킹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omitted}
본 발명은 거실과 바란다 사이 또는 바란다에 설치된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미닫이문이 잠겨진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미닫이문을 들어 창문틀로부터 이탈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미닫이문에는 문의 중첩부에 1개의 걸림고리와 걸림편을 각각 고정하여 문이 닫힌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어 잠금장치역할을 하도록 하는데, 이를 일명 '크리센트(crescent)"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 및 문의 조립정도에 따라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거나. 걸 수 없게 된다.
즉,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가 부정확하거나, 문의 조립정도가 불량할 경우에는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음은 물론 사용중 부주의로 걸림고리와 걸림편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 파손될 경우에도 잠금장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중량체인 미닫이문의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손잡이를 문에 부착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출원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특허 제382892호, 특허 제393016호, 특허 제421692호, 특허 제633005호, 특허 제681423호, 특허 제882419호로 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잠금장치는 미닫이문의 대형화로 인해 잠금부가 상,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미닫이문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상, 하부에 위치된 2개의 잠금부가 동시에 개방되고, 미닫이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미닫이문(1)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의 상, 하부에 동일구조를 갖는 잠금부(3)가 체결부재(4)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의 중간부위에는 래치블럭(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블럭의 내부에는 손잡이(도시는 생략함)의 잡아당김 동작에 따라 회전하면서 고정판(2)의 일 측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간(7)을 이동시키는 래치(8)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작동간(7)의 중간부위에는 래치(8)의 돌기(8a)가 끼워지는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방향으로 개방되는 미닫이문(1)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손잡이의 축(6a)이 끼워진 래 치(8)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잠금부(3)를 작동시키는 작동간(7)이 상승하면서 잠금부(3)의 록킹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잠금부(3)의 구조는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633005호로 등록되어 공지된 구조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미닫이문(1)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푸셔(17)가 창문틀(9)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1)에 부딪혀 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제2탄성부재(20)에 의해 탄력 설치된 작동편(19)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창문틀(9)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1)에 걸려 록킹된 상태, 즉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1)의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미닫이문(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인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래치(8)의 돌기(8a)에 의해 작동간(7)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각 잠금부(3)의 작동편(19)에 형성된 돌기(24)가 작동간(7)에 형성된 통공(7c)에 끼워져 있어 미닫이문(1)의 상, 하부에 위치되어 있던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를 압축시키면서 상사점까지 상승하여 스트라이커(21)와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미닫이문(1)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편(19)의 상승으로 미닫이문(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푸셔(17)가 제1탄성부재(18)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손잡이(6)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작동편(19)의 돌출부(23)가 푸셔(17)에 걸려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개방하였던 미닫이문(1)을 닫으면 미닫이문(1)이 거의 닫히는 시점에 서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푸셔(17)가 스트라이커(21)에 부딪혀 제1탄성부재(18)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12) 내에 수용되므로 푸셔(17)에 걸려 하강이 억제되었던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여 후크(22)가 스트라이커(21)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는 외부의 침입자가 미닫이문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후크(22)가 스트라이커(21)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잠금장치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이는, 사각틀형태의 창문틀에 미닫이문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창문틀의 내부 높이를 문턱을 감안하여 미닫이문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하기 때문에 후크(22)에 의한 잠금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침입자가 외부에서 미닫이문을 들어올리지 못하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잠금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882419호로 등록 받기에 이르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고정판(2)과 래치블럭(5)의 사이에 평판형태의 작동간(37)이 래치(8)의 회동에 따라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미닫이문(1)의 상, 하부에 설치되는 잠금부(3)의 내부에는 작동간(37)의 상승에 따라 회전하면서 작동편(19)을 하강시키는 회전체(38)가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를 미닫이문(1)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래치(8)가 작동간(37)을 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잠금부(3)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38)가 축(39)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편(19)을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편(19)에 접속면(40a)을 갖는 절개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19)의 일 측에 위치하는 하우징(12)에는 접속면(40a)에 맞닿는 누름돌기(38a)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38b)를 갖는 회전체(38)가 축(3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간(37)에는 돌기(38b)가 끼워지는 통공(37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미닫이문(1)이 닫히고 작동간(37)이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21)에 의해 푸셔(17)가 눌려 공간부(도시는 생략함)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작동편(19)이 제2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므로 작동편(19)의 후크(22)가 창문틀(9)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1)에 록킹되어 있어 외부에서 침입자가 미닫이문(1)을 강제로 개방할 수 없게 됨은 물론이고 미닫이문(1)을 상측으로 들어 창문틀(도시는 생략함)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축(6a)이 끼워진 래치(8)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작동간(37)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6)를 잡아당겨 작동간(37)을 상승시키면 각 잠금부(3)의 하우징(12)에는 작동간(37)의 상승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38)가 축(3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편(19)을 도 2b와 같이 하강시키게 되므로 제2탄성부재(20)가 압축됨과 동시에 후크(22)가 스트라이커(21)로부터 빠져나와 미닫이문(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6)를 지속적으로 미닫이문(1)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미닫이문 (1)이 열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잠금부를 미닫이문의 상, 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기다란 작동간에 의해 2개의 잠금부를 동시에 연동시켜야만 되었으므로 잠금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둘째, 잠금부의 설치위치가 멀어 문설주에 스트라이커에 걸리는 후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므로 스트라이커의 고정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린다.
셋째, 기다란 작동간의 하강에 의해 후크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데 비교적 큰 힘이 들어 손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이 미닫이문을 개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미닫이문을 잠그는 잠금부의 구조를 대폭 개선하여 1개의 잠금부를 사용하고도 창문틀에 고정된 1개의 스트라이커의 상, 하부에서 동시에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일면에 요입부를 갖으며 상기 요입부 측을 향해 대응된 지점에 절개부를 갖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각 절 개부를 통해 후크가 출몰하는 2개의 작동편을 제1탄성부재로 각각 탄력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는 요입부 측을 향해 작동편의 이동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출몰하는 푸셔를 제2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겨 래치를 회동시키면 연동수단이 2개의 작동편의 간격이 넓어지게 상호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된 푸셔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각 작동편을 지지하여 2개의 작동편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미닫이문을 닫아 푸셔가 스트라이커에 의해 눌려 푸셔에 의한 작동편의 지지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상측의 작동편은 하강함과 동시에 하측의 작동편은 상승하여 각 후크가 스트라이커의 개구부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미닫이문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작동편이 설치된 1개의 하우징만을 설치하고 창문틀에는 2개의 작동편에 각각 형성된 후크가 상, 하부에서 걸려 록킹되는 1개의 스트라이커를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별도의 작동간을 설치하지 않고도 손잡이를 잡아당김에 따라 2개의 작동편이 연동수단에 의해 동시에 스트라이커의 록킹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되어 있어 그 구조가 대폭 간단해지므로 잠금장치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잠금부가 1개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창문틀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의 개구부에 걸리는 후크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작업이 수월해지게 됨은 물론 창문틀에 1개의 스트라이커만을 고정함에 따라 별도의 지그(jig)에 의해 고정위치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게 되므로 스트라이커의 고정에 따른 시간이 줄일 수 있게 된다.
셋째, 기다란 작동간의 하강시키지 않고도 미닫이문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므로 손에 힘이 없는 노약자들도 미닫이문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미닫이문(51)의 일면, 즉 창문틀(52)과 접속되는 미닫이문(51)의 일면에 고정되는 하우징(53)에는 창문틀(52) 측을 향해 요입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부 측의 상, 하부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제1탄성부재(55)로 각각 설치되는 작동편(56)(57)의 후크(58)가 요입부(54) 측으로 출몰하도록 절개부(59)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53)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60)에는 미닫이문(51)이 닫히고 열리는 과정에서 요입부(54) 측을 향해 작동편(56)(57)의 이동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출몰하는 푸셔(61)가 제2탄성부재(62)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출몰홈(63)을 통해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작동편(56)(57)은 하우징(53)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면(64)에 각각 접속됨에 따라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되는 동작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다.
상기 하우징(53)의 내부에 제1탄성부재(55)로 탄력 설치되어 절개부(59)를 통해 출몰하는 작동편(56)(57)은 미닫이문(5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잡아당겨 래치(65)를 회동시킴에 따라 연동수단에 의해 간격이 넓어지게 상호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2탄성부재(62)에 의해 탄력 설치된 푸셔(61)가 출몰홈(63)을 통해 하우징(53)의 외부로 빠져나오면서 2개의 작동편(56)(57)이 동시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손잡이를 잡아당겨 미닫이문(51)을 개방하면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된 2개의 작동편(56)(57)이 푸셔(61)에 의해 지지되어 절개부(59)를 통해 요입부(54)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방되었던 미닫이문(51)을 닫을 때 창문틀(5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66)에 의해 작동편(56)(57)이 부딪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하우징(53)의 내부에 설치된 2개의 작동편(56)(57)을 동시에 멀어지게 하는 연동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일 측의 작동편(56)에 레버부(67)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부에 눌림 턱(68) 및 통과홈(69) 그리고 삽입홈(70)을 차례로 형성함과 동시에 눌림 턱(68)의 상측에 손잡이의 당김에 따라 회전하는 래치(65)를 위치시키고 다른 일 측의 작동편(57)에는 삽입홈(7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71)과 레버부(67)의 삽입홈(70)에는 축(7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73)의 양단이 각각 끼워지게 설치하며 상기 레버부(67)에 형성된 통과홈(69)에는 제1,2절개홈(74)(75)을 갖는 푸셔(61)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2탄성부재(62)로 탄력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이 때, 상기 레버부(67)에 형성된 눌림 턱(68)과 통과홈(69)의 사이에 스토퍼(76)를 더 구비하면 미닫이문(51)이 닫힐 때, 스토퍼(76)가 푸셔(61)의 저면에 닿게 되므로 레버부(67)의 상승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연동수단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6과 같이 하우징(53)의 내부에 절곡부(77)를 갖는 가동편(78)을 래치(65)의 회동에 따라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절곡부(77)가 하우징(53)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편(57)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하부에 설치된 작동편(56)에는 가동편(78)의 상승에 따라 회전하면서 작동편(56)을 하강시키는 회전체(79)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우징(53)의 내부에는 푸셔(61)를 제2탄성부재(62)로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겨 래치(65)에 의해 작동편(56)(57)이 상호 멀어지면 푸셔(61)가 하우징(53)으로부터 출몰하여 작동편(56)(57)이 멀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함께 미닫이문(51)을 닫아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부딪혀 눌리면 푸셔(61)에 의한 작동편(56)(57)의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멀어진 작동편이 상호 내 측으로 이동하면서 후크(58)가 각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닫이문(51)을 개방할 때, 하우징(53)의 내부에 설치된 2개의 작동편(56)(57)이 동시에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을 2가지 타입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미닫이문(51)이 설치되는 창문틀(52)에는 2개의 스트라이커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되는 종래의 장치와는 달리 요입부(54)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1개의 스트라이커(66)만이 고정되어 미닫이문(51)이 닫히면 작동편(56)(57)의 각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상, 하부인 개구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미닫이문(51)을 닫는 과정에서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의해 눌려 푸셔(61)에 의한 작동편(56)(57)의 지지상태가 해제되면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으로 상측의 작동편(57)은 하강함과 동시에 하측의 작동편(56)은 상승하여 작동편(56)(57)의 각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상부 및 하부의 개구부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트라이커(66)를 창문틀(52)에 1개만 고정하므로 인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지그(jig)(80)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으며, 상기 스트라이커(66)의 배면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높이 조절부재(81)를 위치시킴에 따라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작동편(56)(57)의 후크(58)가 정확히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3 내지 도 5를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닫이문(51)에 도 4와 같이 작동편(56)(57) 및 푸셔(61)가 설치된 하우징(53)을 고정한 다음 상기 하우징(53)에 설치된 작동편(56)(57)의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정확히 걸려 록킹되도록 창문틀(52)에 스트라이커(66) 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지그(80)의 일 측에 스트라이커(66)를 끼운 다음 지그(80)를 하우징(53)의 요입부(54)에 결합하고 미닫이문(51)를 닫으면 지그(80)에 끼워진 스트라이커(66)가 창문틀(52)에 접속되는데, 상기 창문틀(52)에 스트라이커(66)가 접속되는 지점이 스트라이커의 고정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지그(80)로 스트라이커(66)를 창문틀(52)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51)을 열고 스크류(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스트라이커(66)를 창문틀(52)에 고정시킨 다음 별도의 마개(82)로 스크류 삽입공(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된 부위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창문틀(52)에 스트라이커(66)를 고정시킨 다음 미닫이문(51)을 닫음에 따라 작동편(56)(57)이 동시에 승, 하강할 때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걸리지 않고 개구부의 입구 측에서 걸리면 창문틀(52)로부터 스트라이커(66)를 분리한 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66)의 배면에 적당한 개수의 높이 조절부재(81)를 위치시켜 스트라이커(66)의 좌, 우 위치를 미세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미닫이문(51)이 록킹된 상태, 즉 미닫이문(51)이 닫혀 하우징(53)의 출몰홈(63)을 통해 노출되어 있던 푸셔(61)가 제2탄성부재(62)를 압축시키면서 도 7a와 같이 하우징(53)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레버부(67)에 형성된 통과홈(69)이 푸셔(61)의 제1절개홈(74)과 일치되므로 하우징(53)의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이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절개부(59)를 통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부(67)의 삽입홈(70)에 일단이 끼워져 있던 링크(73)는 축(72)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하우징(53)의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57) 또한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절개부(59)를 통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각 작동편(56)(57)의 후크(58)가 창문틀(5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각각 걸려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외부의 침입자가 창문틀(52)로부터 미닫이문(51)을 강제로 분리시키기 위해 미닫이문(51)을 상부로 들어올리지 못하게 되므로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닫이문(5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축이 래치(65)의 축공(65a)에 끼워져 있어 레버부(67)의 눌림 턱(68)에 접속되어 있던 래치(65)가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하부 작동편(56)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65)의 회동으로 하우징(53)의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이 하강하면 상기 작동편에는 레버부(67)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레버부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홈(70)에는 축(7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73)의 일단이 끼워져 있고 링크의 다른 일단은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57)의 삽입홈(71)에 끼워져 있어 레버부(67)가 하강할 때, 링크(73)가 축(7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57)은 제1탄성부재(55)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하여 도 5b와 같이 절개부(59)를 통해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은 하강하고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57)이 상승하여 각 작동편(56)(57)에 형성된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로부터 빠져나오면 미닫이문(51)의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계속되는 손잡이의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미닫이문(51)이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레버부(67)가 하강하면 제2탄성부재(62)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53)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푸셔(61)는 스트라이커(66)로부터의 눌림상태가 해제되어 제2탄성부재(62)의 복원력에 의해 출몰홈(63)을 통해 요입부(54) 측으로 노출되므로 레버부(67)에 형성된 통과홈(69)에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셔(61)의 제2절개홈(75)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절개홈(75)에 의해 푸셔(61)의 저면에 레버부(67)의 눌림 턱(68)이 위치되므로 미닫이문(51)이 개방된 상태로서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레버부(67)가 구비된 하부의 작동편(56)이 상승되지 않아 레버부(67)의 삽입홈(70)에 일단이 끼워진 링크(73) 또한 회동되지 않으므로 상부의 작동편(57)도 하강하지 않는다.
즉, 하우징(53)의 내부에 2개의 작동편(56)(57)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방되었던 미닫이문(51)을 닫는 과정에서 작동편(56)(57)의 후크(58)가 창문틀(5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66)와 부딪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려있던 미닫이문(51)을 닫으면 출몰홈(63)을 통해 요입부(54)측으로 노출되어 있던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부딪히게 된다.
즉, 상기 요입부(54) 측으로 노출되어 있던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부 딪혀 제2탄성부재(62)를 압축시키면서 출몰홈(63)을 통해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되면 레버부(67)의 통과홈(69)에 푸셔(61)의 제1절개홈(74)이 위치되어 레버부(67)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이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부의 작동편(57)이 하강하게 되므로 각 작동편(56)(57)에 형성된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상,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각각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연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6a와 같이 미닫이문(51)이 닫힌 상태에서는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의해 눌려 제2탄성부재(62)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된 상태이므로 상부 및 하부 작동편(56)(57)은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각각 절개부(59)를 통해 요입부(54) 측으로 빠져나와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걸려 미닫이문(51)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문(51)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손잡이의 축이 래치(65)의 축공(65a)에 끼워져 있고 래치(65)의 돌기(65b)가 가동편(78)의 통공(78a)에 끼워져 있어 가동편(78)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편(78)의 절곡부(77)가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57)의 걸림턱(57a)에 걸려 있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작동편(57)이 제1탄성부재(55)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의 접속면(56a)에는 회전체(79)의 돌기(79a)가 끼워져 있어 회전체(79)가 축(7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의 접속면(56a)을 눌러주게 되므로 작동편(56)이 제1탄성부재(55)를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스트라이커(66)와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된 작동편(57)은 상승하고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은 하강하여 각 작동편(56)(57)에 형성된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로부터 빠져나오면 미닫이문(51)의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계속되는 손잡이의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미닫이문(51)이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상,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2개의 작동편(56)(57)이 하우징(53)의 절개부(59)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고 나면 푸셔(61)는 제2탄성부재(62)의 복원력에 의해 출몰홈(63)을 통해 요입부(54) 측으로 노출되어 도 6b와 같이 푸셔(61)의 상, 하 양단이 작동편(56)(57)을 지지하게 되므로 미닫이문(51)이 개방된 상태로서 손잡이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하우징(53)의 내부에 2개의 작동편(56)(57)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방되었던 미닫이문(51)을 닫는 과정에서 작동편(56)(57)의 후크(58)가 창문틀(52)에 고정된 스트라이커(66)와 부딪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려있던 미닫이문(51)을 닫으면 출몰홈(63)을 통해 요입부(54)측으로 노출되어 있던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부딪혀 제2탄성부재(62)를 압축시키면서 하우징(53)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작동편(56)(57)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상,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56)(57)이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하므로 각 작동편(56)(57)에 형성된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상,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각각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2a는 미닫이문이 닫혀 록킹된 상태도
도 2b는 미닫이문이 열린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5a는 미닫이문이 닫혀 록킹된 상태도
도 5b는 미닫이문이 열린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도 6a는 미닫이문이 닫혀 록킹된 상태도
도 6b는 미닫이문이 열린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푸셔에 의한 레버부의 걸림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로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미닫이문 52 : 창문틀
53 : 하우징 56, 57 : 작동편
58 : 후크 61 : 푸셔
65 : 래치 66 : 스트라이커
67 : 레버부 68 : 눌림 턱
69 : 통과홈 73 : 링크
74 : 제1절개홈 75 : 제2절개홈
76 : 스토퍼 78 : 가동편
79 : 회전체 80 : 지그
81 : 높이 조절부재

Claims (5)

  1. 일면에 요입부(54)를 갖으며 상기 요입부 측을 향해 대응된 지점에 절개부(59)를 갖는 하우징(53)의 내부에는 각 절개부(59)를 통해 후크(58)가 출몰하는 2개의 작동편(56)(57)을 제1탄성부재(55)로 각각 탄력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53)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부(60)에는 요입부(54) 측을 향해 작동편(56)(57)의 이동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출몰하는 푸셔(61)를 제2탄성부재(62)에 의해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겨 래치(65)를 회동시키면 연동수단이 2개의 작동편의 간격이 넓어지게 상호 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탄성부재(62)에 의해 탄력 설치된 푸셔(61)가 하우징(53)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각 작동편(56)(57)을 지지하여 2개의 작동편이 최대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미닫이문(51)을 닫아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의해 눌려 푸셔(61)에 의한 작동편(56)(57)의 지지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1탄성부재(55)의 복원력으로 상측의 작동편(57)은 하강함과 동시에 하측의 작동편(56)은 상승하여 각 후크(58)가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걸려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어느 일 측의 작동편(56)에 레버부(67)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부에 눌림 턱(68) 및 통과홈(69) 그리고 삽입홈(70)을 차례로 형성함과 동시에 눌림 턱(68)의 상측에 손잡이의 당김에 따라 회전하는 래치(65)를 위치시키고 다른 일 측의 작동편(57)에는 삽입홈(7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71)과 레버부(67)의 삽입홈(70)에는 축(7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링크(73)의 양단이 각각 끼워지게 설치하며 상기 레버부(67)에 형성된 통과홈(69)에는 제1,2절개홈(74)(75)을 갖는 푸셔(61)를 수평 이동 가능하게 제2탄성부재(62)로 탄력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67)에 형성된 눌림 턱(68)과 통과홈(69)의 사이에 스토퍼(76)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하우징(53)의 내부에 절곡부(77)를 갖는 가동편(78)을 래치(65)의 회동에 따라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절곡부(77)가 하우징(53)의 상부에 설치된 작동편(57)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하부에 설치된 작동편(56)에는 가동편(78)의 상승에 따라 회전하면서 작동편(56)을 하강시키는 회전체(79)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우징(53)의 내부에는 푸셔(61)를 제2탄성부재(62)로 탄력 설치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겨 래치(65)에 의해 작동편(56)(57)이 상호 멀어지면 푸셔(61)가 하우징(53)으로부터 출몰하여 작동편(56)(57)이 멀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함께 미닫이문(51)을 닫아 푸셔(61)가 스트라이커(66)에 부딪혀 눌리면 푸셔(61)에 의한 작동편(56)(57)의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멀어진 작동편이 상호 내 측으로 이동하면서 후크(58)가 각 스트라이커(66)의 개구부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66)의 배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높이 조절부재(8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KR1020090034441A 2009-04-21 2009-04-21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KR10099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441A KR100991053B1 (ko) 2009-04-21 2009-04-21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441A KR100991053B1 (ko) 2009-04-21 2009-04-21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053B1 true KR100991053B1 (ko) 2010-10-29

Family

ID=4313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441A KR100991053B1 (ko) 2009-04-21 2009-04-21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26B1 (ko) * 2016-07-08 2018-08-03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22B1 (ko) 2007-05-17 2008-04-17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22B1 (ko) 2007-05-17 2008-04-17 이병노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426B1 (ko) * 2016-07-08 2018-08-03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62827B2 (en) Latch mechanism
US8177265B2 (en) Latch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KR20180065173A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200433867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100878593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100991053B1 (ko)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KR10068142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1237681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910005295B1 (ko) 창문, 문 등의 슬라이딩 철물을 위한 잠금끼워맞춤
KR100633005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919233B1 (ko) 개폐정도 유지 및 방범기능을 갖는 미서기용 창문
US8827324B2 (en) Multi-point lock assembly
KR100882419B1 (ko) 상, 하 잠금부를 갖는 미닫이문의 잠금부 동시 개폐장치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866997B1 (ko) 건물용 현관문
KR101990513B1 (ko) 도어락 모티스
KR20200109073A (ko) 개방이 용이한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0991055B1 (ko) 미닫이문의 도난방지용 잠금장치
JPS62387Y2 (ko)
JP746099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窓サッシ及び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