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622B1 - 문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문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622B1
KR102151622B1 KR1020190032033A KR20190032033A KR102151622B1 KR 102151622 B1 KR102151622 B1 KR 102151622B1 KR 1020190032033 A KR1020190032033 A KR 1020190032033A KR 20190032033 A KR20190032033 A KR 20190032033A KR 102151622 B1 KR102151622 B1 KR 10215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rotation
handl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호
Original Assignee
윤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호 filed Critical 윤채호
Priority to KR102019003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5Silencing devices; Noise re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의 푸쉬풀에 따라 적은 힘으로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고, 열쇠를 통한 잠금 해제시 테이퍼진 경사면 사이를 이동하여 데드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킴에 따라 외부에서 강제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출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문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문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어셈블리;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 돌출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되는 래치볼트; 상기 모티스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 손잡이, 상기 모티스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열쇠 유닛, 상기 키 손잡이 또는 상기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테이퍼진 돌출턱 사이를 회전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보조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키 어셈블리; 및 상기 테이퍼진 돌출턱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기 보조키 유닛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문 개폐 장치{DOOR OPEN AND CLOSE APPARATUS}
본 발명은 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푸쉬풀에 따라 적은 힘으로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고, 열쇠를 통한 잠금 해제시 테이퍼진 경사면 사이를 이동하여 데드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킴에 따라 외부에서 강제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일반 주택의 현관문 또는 아파트나 기업, 사무실 등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락은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와 도어 내에 설치되는 모티스 잠금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 내에 설치되는 모티스 잠금 장치는 래치볼트와 데드볼트가 상하로 설치되고 이에 상응하는 위치인 도어 프레임에 결합홈이 상하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데드볼트는 돌출된 부분이 단면상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어 열고 닫을 때에 인위적으로 작동되며, 래치볼트는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이 일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거나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어 반인위적으로 작동된다.
최근 푸쉬풀(push-pull) 타입의 도어락 장치가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 장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래치볼트의 인입을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푸쉬풀 도어락 장치들은 도어 개방시 래치볼트가 래치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 나오지 못하고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되어 덜컥거리게 되고, 과도한 힘을 사용하거나 래치헤드가 도어틀의 홈에 걸려서 문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은 외부의 침입자가 특정 도구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데드볼트를 이송시킬 수 있어 도어의 잠금을 쉽게 해제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 및 보안상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손잡이의 푸쉬풀에 따라 적은 힘으로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고, 열쇠를 통한 잠금 해제시 테이퍼진 경사면 사이를 이동하여 데드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킴에 따라 외부에서 강제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의 푸쉬풀에 의한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고 회전 운동을 통해 래치볼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어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드볼트를 복수로 구비하여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키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른 음성 멘트를 지원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사용자의 흥미를 도모할 수 있는 문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출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문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문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어셈블리;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 돌출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되는 래치볼트; 상기 모티스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 손잡이, 상기 모티스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열쇠 유닛, 상기 키 손잡이 또는 상기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테이퍼진 돌출턱 사이를 회전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보조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키 어셈블리; 및 상기 테이퍼진 돌출턱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기 보조키 유닛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단이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하고 타단이 상기 래치볼트에 걸림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모티스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허브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키 유닛은 상기 모티스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부에 테이퍼진 돌출턱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키 손잡이와 상기 열쇠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키 손잡이 또는 상기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외주면에 개폐 돌출부가 형성되는 개폐 회전 블록; 및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데드볼트의 스토퍼 지지홈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개폐 돌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테이퍼진 돌출턱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걸림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 스토퍼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고, 문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래치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고, 키 손잡이 또는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시키는 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는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모티스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일단이 상기 래치헤드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를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에 의해 푸쉬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푸쉬풀에 따라 적은 힘으로 래치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킬 수 있고, 열쇠를 통한 잠금 해제시 테이퍼진 경사면 사이를 이동하여 데드볼트를 도어 내로 인입시킴에 따라 외부에서 강제로 데드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푸쉬풀에 의한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고 회전 운동을 통해 래치볼트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어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도어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데드볼트를 복수로 구비하여 도어의 잠금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키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른 음성 멘트를 지원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사용자의 흥미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래치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키 어셈블리와 데드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래치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키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데드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 개폐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래치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키 어셈블리와 데드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손잡이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래치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의 키 어셈블리 조작에 따른 데드볼트의 이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는, 도어(1)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티스 본체(100), 모티스 본체(100)에 고정되어 양 측에 각각 손잡이(10)가 연결되는 손잡이 어셈블리(200), 모티스 본체(100) 내에 구비되어 손잡이 어셈블리(200)의 동작에 의해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래치볼트(300), 모티스 본체(100)에 고정되어 일측에서 키 손잡이(410)가 연결되고 타측에서 열쇠 키(420)가 연결되는 키 어셈블리(400), 및 모티스 본체(100) 내에 구비되어 키 어셈블리(400)의 동작에 의해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데드볼트(50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는 IoT(Internet of Things)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키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카드와 모티스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스마트 카드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스마트 제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키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제어 장치에서 일정 반경 이내에 있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면 도어(1)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제어 장치는 IoT(사물인터넷) 및 AI(인공지능)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 빅데이터 기반으로 다수의 상황에 따른 신호 감지, 신호 생성, 신호 송수신 등의 기능을 학습하여 다수의 상황에 대해 유연하게 동작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일정 반경 이내에서 스마트 카드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정보는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어요', 'ㅇㅇ님 어서 오세요' 등과 같은 멘트를 특정 목소리로 제공하거나, 사용자 별로 설정된 선호 벨소리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특정 센서와 연동되어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특정 센서로부터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연락처로 해당 주소와 응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센서는 연기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연락처는 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특정 센서와 연동되어 화재 발생시 도어(1)를 강제로 개방하여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도어(1)를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 알람을 울리거나 기 설정된 연락처로 강제 개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제어 장치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서 데드볼트(500) 인근으로 일정 외력 이상이 가해지면 도어(1)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려고 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얼굴, 걸음걸이, 행동, 음성, 지문, 및 홍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모션감지장치, 음성인식장치, 지문인식기, 및 홍채인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 고유의 얼굴, 걸음걸이, 행동, 음성, 지문, 및 홍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한 후 기 등록된 정보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1)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제어 장치는 원격으로 도어(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원격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원격지 서버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거나, 데스크탑, 노트북 등과 같은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제어 장치는 호텔과 같이 복수의 도어(1)를 포함하는 건물에서 경비실, 관제실 등에서 특정 도어(1)를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는 다수의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IoT 및 AI 기반의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있어 상황에 따른 음성 멘트 제공, 벨소리 제공, 응급 상황 전달 등의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 편의성, 안전성 및 사용자의 흥미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문 개폐 장치에 대한 기계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티스 본체(100)는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래치볼트(300) 및 데드볼트(5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부에서 내부를 관통하여 손잡이 어셈블리(200) 및 키 어셈블리(400)가 연결될 수 있다.
모티스 본체(100)는 별도의 체결 수단을 통해 도어(1) 틀에 고정되는 제1 스트라이커(130)와 결합될 수 있고, 제1 스트라이커(130)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래치볼트(300)와 데드볼트(500)가 연장될 수 있다.
모티스 본체(100)는 전방 본체(120)와 후방 본체(11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 본체(120)와 후방 본체(110) 각각에 도어(1)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전방 본체(120)와 후방 본체(110) 각각에 손잡이 어셈블리(200) 및 키 어셈블리(400)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티스 본체(100)는 전방 본체(120)와 후방 본체(110) 각각에 래치볼트(300)와 데드볼트(500)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홈(111, 121)이 형성되고, 후방 본체(110)의 가이드 홈(111) 사이에 래치볼트(300)의 스토퍼(340)와 연결되는 롤러(343)가 안착되기 위한 경사챔버(11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챔버(112)는 스토퍼(340)의 롤러(343)가 안착되어 경사를 따라 굴러 내려가는 구름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토퍼(340) 자체가 회전하여 스토퍼(340)의 제2 결합편(342) 상단에 형성되는 제1 곡면(341)의 곡률이 변하면서 제1 곡면(341)과 맞닿는 래치바(330)가 점차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모티스 본체(1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모티스 본체(100)의 결합공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래치볼트(300)가 삽입 및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손잡이(10)의 푸쉬풀 동작에 따라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
손잡이(10)는 사용자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외부 케이스(240a, 260b)를 따라 반원을 그리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조립체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두 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a를 참조하면,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레그부를 가지고, 모티스 본체(100)에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210a), 스테이션 유닛(210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출부(224a-1)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는 작동 레버(220a), 일단이 걸림편을 통해 손잡이(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220a)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키는 회전 레버(230a), 및 스테이션 유닛(210a)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240a)를 포함한다.
스테이션 유닛(210a)은 상부 스테이션 유닛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스테이션 유닛의 복수의 레그부와 하부 스테이션 유닛의 복수의 레그부가 상호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션 유닛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은 그 사이에서 래치볼트(300)가 결합되고, 모티스 본체(100)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스테이션 유닛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은 원형의 베이스판에 각각 복수의 레그부가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레그부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스테이션 유닛(210a)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배치 및 결합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부 스테이션 유닛과 하부 스테이션 유닛을 스테이션 유닛(210a)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스테이션 유닛(210a)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에 작동 레버(220a)가 결합되어 회전 레버(230a)에 의해 작동 레버(220a)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작동 레버(220a)는 스테이션 유닛(210a)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회전 레버(230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레버(220a)는 직선 운동하는 회전 레버(230a)에 의해 회전 운동 하도록 형성되며, 제1 레버 블록(221a), 회동 블록(222a), 제2 레버 블록(223a), 래치 회전 블록(224a), 및 고정 블록(225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221a)은 일단이 스테이션 유닛(210a)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스테이션 유닛(210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221a)의 일단은 내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탄성 부재(S1)와 제2 레버 블록(223a)이 순차적으로 끼워져 탄성 부재(S1)를 통해 제2 레버 블록(223a)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221a)은 타단이 회전 레버(230a)에 의한 회전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회동 블록(222a)이 끼워지고, 회동 블록(222a)이 회전 레버(230a)의 제1 및 제2 걸림부(231a, 232a)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작동 레버(220a)를 전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동 블록(222a)은 제1 레버 블록(221a)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고,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제1 걸림부(231a) 또는 제2 걸림부(232a)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동 블록(222a)은 머리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회동 끼움체(222a-1)와 고정홀이 형성되는 회동 고정체(222a-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 블록(222a)은 회동 끼움체(222a-1)의 연장부가 제1 레버 블록(221a)의 관통공에 끼워진 후 회동 고정체(222a-2)의 고정홀을 통해 연장부를 고정하여 회동 끼움체(222a-1)가 관통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회동 블록(222a)은 푸쉬 또는 풀의 동작에 따라 제1 걸림부(231a) 및 제2 걸림부(232a) 중 하나에 의해서만 회전되고, 제1 걸림부(231a)에 의한 회전과 제2 걸림부(232a)에 의한 회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레버(220a)는 사용자의 푸쉬 동작과 풀 동작 모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래치볼트(300)를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시켜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레버 블록(223a)은 일단이 탄성 부재(S1)에 의해 제1 레버 블록(221a)의 수용홈에서 탄성 지지되고, 타단에 래치 회전 블록(224a) 및 고정 블록(225a)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버 블록(223a)은 제1 레버 블록(221a)의 회전에 따라 래치 회전 블록(224a)과 고정 블록(225a)을 회전시켜 래치 회전 블록(224a)의 회전 돌출부(224a-1)가 래치볼트(300)를 직선이동 시키도록 할 수 있다.
래치 회전 블록(224a)은 제2 레버 블록(223a)의 타단에 수용된 후 고정 블록(225a)에 의해 제2 레버 블록(223a)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 회전 블록(224a)은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회전 돌출부(224a-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출부(224a-1)는 래치볼트(300)의 허브체(350)와 회전 가이드 블록(36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레버 블록(223a)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가이드 블록(360)을 밀어 래치볼트(3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 블록(225a)은 래치 회전 블록(224a)을 제2 레버 블록(223a)의 타단에 고정시키는 역할로, 제2 레버 블록(223a)에 끼워지는 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의 홈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에 래치 회전 블록(224a)의 중심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레버(230a)는 일단이 손잡이(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220a)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킬 수 있다. 회전 레버(230a)는 손잡이(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직선 운동하게 되고, 직선 운동에 따라 작동 레버(220a)의 회동 블록(222a)을 회전시켜 래치 회전 블록(224a)의 회전 돌출부(224a-1)에 의해 래치볼트(300)를 모티스 본체(10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다.
회전 레버(230a)는 제1 걸림부(231a), 제2 걸림부(232a), 축 연결 블록(233a), 및 고정 블록(234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걸림부(231a)는 제2 걸림부(232a)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축 연결 블록(233a)을 통해 제2 걸림부(232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걸림부(231a)는 일단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제2 걸림부(232a)의 걸림편과 함께 손잡이(10)의 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1)를 기준으로 외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걸림편이 형성되어 외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230a)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도어(1)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내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230a)를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외부에서도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레버(230a)를 결합한다면 회전 레버(230a)로부터 손잡이(10)를 쉽게 분리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걸림편을 통해 손잡이(10)와 회전 레버(230a)를 한번 결합하면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여 손잡이(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림편은 제1 걸림부(231a)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고, 제1 걸림부(231a)와 손잡이(10)의 결합 시 손잡이(10)의 홈에 수용된 후 외부 힘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더 젖혀지면서 손잡이(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걸림부(231a)는 타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손잡이(10)의 푸쉬 또는 풀 방향에 따라 작동 레버(220a)의 회동 블록(222a)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 돌기는 손잡이(10)의 푸쉬 방향에 따라 회동 블록(222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면, 손잡이(10)의 풀 방향에 대해서는 제2 걸림부(232a)의 걸림 돌기가 회동 블록(222a)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231a)는 걸림편과 걸림 돌기 사이에 축 연결공이 형성되어 축 연결공에 삽입되는 축 연결 블록(233a)에 의해 제2 걸림부(232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231a)는 걸림편과 축 연결공 사이에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는 날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날개편은 축 연결 블록(233a)에 감겨져 연장되는 회동탄성부재(S2)의 끝단 중 하나가 끼워져 다른 끝단이 끼워지는 외부 케이스(240a)와 연동되어 손잡이(10)의 푸쉬풀에 따라 회전된 회전 레버(230a)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걸림부(232a)는 제1 걸림부(231a)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축 연결 블록(233a)을 통해 제1 걸림부(23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32a)는 제1 걸림부(231a)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걸림부(231a)의 구성 및 역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블록(234a)은 대략 ㄷ자로 형성되고, 소정의 홀이 형성되어 축 연결 블록(233a)이 제1 걸림부(231a)의 축 연결공과 제2 걸림부(232a)의 축 연결공에 삽입된 후 홀에 축 연결 블록(233a)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블록(234a)은 외부 케이스(240a)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회전 레버(230a)를 외부 케이스(240a)에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축 연결 블록(233a)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40a)는 모티스 본체(100)의 관통공을 덮어 씌우는 역할로, 모티스 본체(100) 인근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덮개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원부는 그 중심부가 관통되어 회전 레버(230a)가 통과하는 회전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40a)는 도어(1)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가 도어(1)의 외측에 박히게 됨에 따라 도어(1)로부터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3b를 참조하면,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복수의 레그부를 가지고, 도어(1) 내에 삽입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210b), 스테이션 유닛(210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며, 편심축(221b-1)이 형성되는 작동 레버(220b), 편심축(221b-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 레버(230b), 일단이 손잡이(10)와 결합되고, 타단이 링크 레버(230b)와 결합되며, 손잡이(10)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링크 레버(230b)를 직선 운동시켜 작동 레버(220b)가 회전 운동 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레버(240b), 회전 레버(240b)의 축에 상대적으로 연결되고, 링크 레버(230b)의 측면이 끼워져 링크 레버(230b)의 이동 범위를 가이드하는 고정 블록(250b), 및 스테이션 유닛(210b)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260b)를 포함한다.
스테이션 유닛(210b)은 도 3a에서 설명한 스테이션 유닛(210a)과 구성, 형상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손잡이 어셈블리(200)는 스테이션 유닛(210b)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배치 및 결합될 수 있다.
작동 레버(220b)는 스테이션 유닛(210b)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회전 레버(240b)에 의해 직선으로 이동하는 링크 레버(230b)에 편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에 따라 래치볼트(300)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레버(220b)는 제1 레버 블록(221b), 제2 레버 블록(222b), 래치 회전 블록(223a), 및 고정 블록(224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221b)은 일단이 스테이션 유닛(210b)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타단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편심축(221b-1)이 형성될 수 있다. 편심축(221b-1)은 링크 레버(230b)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되, 가이드홈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레버(240b)의 직선 운동에 따라 가이드홈 내에서 회전 운동하여 제1 레버 블록(221b), 제2 레버 블록(222b), 래치 회전 블록(223a), 및 고정 블록(224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편심축(221b-1)은 제1 레버 블록(221b)에 편심되어 있는 특성 상 손잡이(10)가 푸쉬 또는 풀 되지 않은 평상시에 링크 레버(230b)의 가이드홈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가 손잡이(10)가 푸쉬 또는 풀되면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레버 블록(221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레버 블록(221b)의 일단은 내부에 일정 깊이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탄성 부재(S)와 제2 레버 블록(222b)이 끼워져 탄성 부재(S)를 통해 제2 레버 블록(222b)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2 레버 블록(222b)은 일단이 탄성 부재(S)에 의해 제1 레버 블록(221b)의 수용홈에서 탄성 지지되고, 타단에 래치 회전 블록(223b) 및 고정 블록(224b)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버 블록(222b)은 제1 레버 블록(221b)의 회전에 따라 래치 회전 블록(223b)과 고정 블록(224b)을 회전시켜 래치 회전 블록(223b)의 회전 돌출부(223b-1)가 래치볼트(300)를 직선이동 시키도록 할 수 있다.
래치 회전 블록(223b)은 제2 레버 블록(222b)의 타단에 수용된 후 고정 블록(224b)에 의해 제2 레버 블록(222b)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 회전 블록(223b)은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회전 돌출부(223b-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출부(223b-1)는 래치볼트(300)의 허브체(350)와 회전 가이드 블록(36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레버 블록(222b)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가이드 블록(360)을 밀어 래치볼트(3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 블록(224b)은 래치 회전 블록(223b)을 제2 레버 블록(222b)의 타단에 고정시키는 역할로, 제2 레버 블록(222b)에 끼워지는 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중앙의 홈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에 래치 회전 블록(223b)의 중심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링크 레버(230b)는 작동 레버(220b)의 편심축(221b-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로, 일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편심축(221b-1)이 끼워지고, 타단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걸림 돌기의 중심에 형성된 걸림홈에 회전 레버(240b)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링크 레버(230b)의 일단 측면 방향에서 오픈되는 형상으로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손잡이(10)의 푸쉬 또는 풀 동작에 따라 내부에서 편심축(221b-1)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걸림 돌기는 링크 레버(230b)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서 가이드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 레버(240b)의 끼움부(243b)가 끼워질 수 있다. 걸림홈은 회전 레버(240b)의 끼움부(243b)가 상대 회전하여 끼움부(243b)에 의해 링크 레버(230b)가 직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링크 레버(230b)는 작동 레버(220b)와 회전 레버(240b) 사이에서 작동 레버(220b)와 회전 레버(240b)를 연결할 수 있으며, 회전 레버(240b)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시켜 작동 레버(220b)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레버(240b)는 일단이 손잡이(10)와 결합되고, 타단이 링크 레버(230b)와 결합되며, 손잡이(10)의 푸쉬 또는 풀 방향에 따라 링크 레버(230b)를 직선 운동시켜 작동 레버(220b)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 시킬 수 있다.
회전 레버(240b)는 손잡이(10)와 연결되는 지지부(241b)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부(24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41b)는 손잡이(10)에 형성되는 홈에 수용되어 별도의 결합 부재(244b) 또는 볼트-너트를 통해 손잡이(10)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1)를 기준으로 외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지지부(241b)의 측면에 결합 부재(244b)가 형성되어 외부의 손잡이(10)와 회전 레버(240b)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부재(244b)는 지지부(241b)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244b-3)에 탄성 부재(244b-2)가 수용된 후 결합 핀(244b-1)이 수용되어, 탄성 부재(244b-2)에 의한 결합 핀(244b-1)의 이동에 따라 손잡이(10)에 형성되는 결합 홈(미도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 부재(244b)는 지지부(241b)가 손잡이(10)에 최초 인입시 탄성 부재(244b-2)에 의해 결합 핀(244b-1)이 홈(244b-3) 내에 수용되고, 지지부(241b)가 결합 홈(미도시) 부분까지 인입하게 되면 탄성 부재(244b-2)에 의해 결합 핀(244b-1)이 홈(244b-3)으로부터 인출되어 결합홈(미도시)으로 끼워져 지지부(241b)와 손잡이(1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어(1)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부분은 볼트-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내부의 손잡이(10)와 지지부(241b)를 결합할 수 있다.
작동부(242b)는 지지부(241b)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역삼각형의 폭이 가장 좁은 위치에서 끼움부(243b)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242b)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부가 지지부(241b)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가 끼움부(243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작동부(242b)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축 연결공이 형성되고, 축 연결공에 축 연결 블록(245b)이 끼워질 수 있다. 축 연결 블록(245b)은 축 연결공에 삽입된 후 한 쌍의 작동부(242b) 각각의 외측에서 고정 블록(250b)의 홀(250b-1)에 끼워져 고정 블록(250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끼움부(243b)는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링크 레버(230b)의 걸림홈에 끼워지고, 걸림홈 내에서 회전하여 링크 레버(230b)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고정 블록(250b)은 대략 ㄷ자로 형성되고, 소정의 홀(250b-1)이 형성되어 축 연결 블록(245b)이 한 쌍의 작동부(242b)의 축 연결공에 삽입된 후 홀(250b-1)에 축 연결 블록(245b)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블록(250b)은 링크 레버(230b)의 직선 운동 방향으로 가이드 관통공(250b-2)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링크 레버(230b)의 측면이 가이드 관통공(250b-2)에 끼워질 수 있다.
외부 케이스(260a)는 모티스 본체(100)의 관통공을 덮어 씌우는 역할로, 모티스 본체(100) 인근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덮개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반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원부는 그 중심부가 관통되어 회전 레버(240b)가 통과하는 회전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260a)는 도어(1)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가 도어(1)의 외측에 박히게 됨에 따라 도어(1)로부터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래치볼트(300)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서 손잡이 어셈블리(200)의 스테이션 유닛(210a, 210b) 사이에 배치되어 래치 회전 블록(224a, 223b)의 회전 돌출부(224a-1, 223b-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래치볼트(300)는 가이드몸체(310), 래치헤드(320), 래치바(330), 스토퍼(340), 허브체(350), 및 회전 가이드 볼록(3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몸체(310)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중앙에 래치바(330)가 관통하여 연결되기 위한 래치바 관통창(313)과 모티스 본체(100)의 가이드 홈(121)에 끼워져 가이드 이동되기 위한 돌출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310)는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311)와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310)는 제1 결합부(311)를 통해 래치헤드(320)의 제1 결합편(321)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1 결합부(311) 및 제1 결합편(321)에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래치헤드(310)가 항상 선단방향으로 돌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몸체(310)는 제2 결합부(312)를 통해 스토퍼(34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2 결합부(312) 및 제2 결합편(342)에도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가 삽입되어 스토퍼(340)가 항상 직립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래치헤드(3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장방체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에 래치바(330)의 선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래치헤드(320)는 가이드몸체(310)의 제1 결합부(311)와 힌지 결합되어 모티스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래치헤드(320)는 허브체(350)와 회전 가이드 블록(360) 사이에 위치하는 래치 회전 블록(224a, 223b)의 회전 돌출부(224a-1, 223b-1)에 의해 래치바(33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래치바(330)는 래치헤드(320)의 중공 내부에 일단(331)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가이드몸체(310)의 래치바 관통창(313)을 관통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래치바(330)는 타단에서 허브체(350)가 끼움 결합된 후 돌출 끼움공(332)에 회전 가이드 블록(36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래치바(330)는 중심의 하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스토퍼(340)의 곡면(341)에 지지되고, 스토퍼(340)의 곡면(341)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가이드몸체(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340)는 가이드몸체(310)의 제2 결합부(312)와 결합되어 래치헤드(3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3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래치바(3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토퍼(340)는 도어(1)가 닫혀있을 때 래치바(330)가 후단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손잡이(10)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킬 때는 지지력을 해제함으로써 래치바(330)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헤드(32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340)는 2개의 제2 결합편(342)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며, 2개의 제2 결합편(342)이 연결된 상단 부분에서 가이드몸체(310)의 제2 결합부(312)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토퍼(340)는 리벳(L)과 회동탄성부재(S)에 의해 제2 결합부(312)와 제2 결합편(342)이 연결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토퍼(340)의 제2 결합편(342) 상단에서 래치바(330)의 하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일정 곡면(341)이 형성될 수 있다. 곡면(341)은 래치바(330)의 경사면과 맞닿게 되어 래치바(33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40)의 제2 결합편(342)의 하단에는 리벳(L)에 의해 롤러(343)가 회전 연결되고, 후방 본체(110)에 형성되는 경사챔버(112)에 롤러(343)가 안착되어 구름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허브체(350)는 전방에서 두 개의 결합 돌기(351)가 결합되어 결합 돌기(351)에 각각 끼워지는 탄성부재(TS)를 통해 가이드몸체(310)의 후방과 연결되고, 래치바 관통창(352)이 형성되어 래치바 관통창(352)에 래치바(330)가 관통하여 끼움 고정될 수 있다.
허브체(350)는 상부면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전방 본체(120)에 형성되는 홈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볼록(360)은 래치바(330)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332)에 끼움 결합되어 허브체(350)와의 사이에서 회전 돌출부(224a-1, 223b-1)가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볼록(360)은 메인 바(361)와 탄성부재(362-1, 36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래치바(330)의 돌출 끼움공(332) 양 측에 각각 탄성부재(362-1, 362-2)가 연결되도록 메인 바(361)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부재(362-1, 362-2) 중 하나는 도어(1)의 외측에 구비되는 래치 회전 블록(224a, 223b)의 회전 돌출부(224a-1, 223b-1)에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는 도어(1)의 내측에 구비되는 래치 회전 블록(224a, 223b)의 회전 돌출부(224a-1, 223b-1)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즉, 회전 가이드 볼록(360)은 회전 블록(224a, 223b)의 회전에 따라 회전 돌출부(224a-1, 223b-1)에 의해 모티스 본체(100) 내로 당겨지면 모티스 본체(100) 내로 래치헤드(320)를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1)에 설치되어 도어(1)의 폐쇄시 제1 스트라이커(130)와 맞닿는 제2 스트라이커(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트라이커(2)는 래치헤드(320)를 수용할 수 있는 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래의 스트라이커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성과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1)은 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각을 이루거나 비스듬한 각(예각, 둔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의 스트라이커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도어(1)와 관통홀 사이에 래치헤드(32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의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제2 스트라이커(2)는 관통홀이 아닌 홈(2-1)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시 일체로 한번에 사출할 수 있고 부품 수 및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키 어셈블리(400)는 모티스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 손잡이(410), 모티스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열쇠 유닛(420), 키 손잡이(410) 또는 열쇠 유닛(420)의 회전에 따라 테이퍼진 돌출턱(431-1) 사이를 회전 이동하면서 고정되는 보조키 유닛(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 손잡이(410)는 모티스 본체(100)의 일측, 즉 도어(1)를 기준으로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도어(1)의 외측에 설치되는 열쇠 유닛(420)과 연동될 수 있다.
키 손잡이(41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열쇠 유닛(420)과 보조키 유닛(430)의 개폐 회전 블록(432)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고, 데드볼트(500)를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시켜 도어(1)를 개방할 수 있다.
열쇠 유닛(420)은 모티스 본체(100)의 타측, 즉 도어(1)를 기준으로 외측에 설치되어 도어(1)를 개폐하기 위한 열쇠가 수용되고, 열쇠의 적합 여부에 따라 데드볼트(500)를 이동시켜 도어(1)를 개폐할 수 있다.
열쇠 유닛(420)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되는 키 손잡이(410)와 연동되고, 사용자에 의해 적합한 열쇠가 수용된 후 회전하면 키 손잡이(410)와 보조키 유닛(430)의 개폐 회전 블록(432)을 함께 회전시키며, 데드볼트(500)를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시켜 도어(1)를 개방할 수 있다.
보조키 유닛(430)은 키 손잡이(410) 또는 열쇠 유닛(420)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500)를 모티스 본체(100)로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431), 개폐 회전 블록(432), 및 걸림 스토퍼(4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31)는 모티스 본체(100)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부에 테이퍼진 돌출턱(431-1)이 형성되어 테이퍼진 돌출턱(431-1)을 따라 걸림 스토퍼(433)가 이동하면서 데드볼트(500)의 직선 이동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31)는 테이퍼진 돌출턱(431-1)의 양 측에 각각 걸림홈(431-2)이 형성되어 테이퍼진 돌출턱(431-1)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 스토퍼(433)가 걸림홈(431-2) 중 하나에 안착될 수 있다.
걸림홈(431-2) 중 모티스 본체(100)의 내측 방향에 형성되는 홈에 걸림 스토퍼(433)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데드볼트(500)를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시킬 수 있고, 걸림홈(431-2) 중 모티스 본체(10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홈에 걸림 스토퍼(433)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데드볼트(500)를 모티스 본체(100)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걸림홈(431-2)은 테이퍼진 돌출턱(431-1)을 기준으로 걸림 스토퍼(433)가 안착되도록 하여 걸림 스토퍼(433)의 이동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데드볼트(500)를 이동시켜 도어(1)를 개방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회전 블록(432)은 키 손잡이(410)와 열쇠 유닛(420) 사이에 배치되고, 키 손잡이(410) 또는 열쇠 유닛(4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걸림 스토퍼(433)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개폐 회전 블록(432)은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개폐 돌출부(432-1)가 형성되고, 개폐 돌출부(432-1)의 상부면에 걸림 스토퍼(433)가 안착되어 키 손잡이(410) 또는 열쇠 유닛(420)의 회전에 따라 걸림 스토퍼(433)를 고정 플레이트(431)의 걸림홈(431-2) 중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걸림 스토퍼(433)는 일단(433-1)과 타단(433-2)이 절곡 형성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433-1)이 탄성부재(TS1)를 통해 데드볼트(500)의 스토퍼 지지홈(510)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433-2)이 개폐 회전 블록(432)의 개폐 돌출부(432-1)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걸림 스토퍼(433)는 개폐 돌출부(432-1)의 회전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431)의 테이퍼진 돌출턱(431-1) 사이를 탄성 이동하여 걸림홈(431-2) 중 하나에 안착됨에 따라 데드볼트(500)를 직선 이동시켜 데드볼트(5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절할 수 있다.
걸림 스토퍼(433)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 구비되는 가압탄성부재(TS2)를 통해 가압되어 데드볼트(500)의 스토퍼 지지홈(510) 상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 플레이트(431)의 걸림홈(431-2)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압탄성부재(TS2)는 걸림 스토퍼(433)의 상부에서 걸림 스토퍼(433)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걸림 스토퍼(433)가 탄성부재(TS1)에 의해 스토퍼 지지홈(5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테이퍼진 돌출턱(431-1)을 따라 걸림홈(431-2) 사이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데드볼트(500)는 모티스 본체(100) 내에 배치되고, 고정 플레이트(431)의 테이퍼진 돌출턱(431-1) 사이에서 이동하여 걸림홈(431-2)에 고정되는 보조키 유닛(430)의 걸림 스토퍼(433) 위치에 따라 모티스 본체(10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데드볼트(500)는 설치 장소,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 또는 동시에 잠금 해제가 제어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되면 도어(1)의 잠금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티스 본체
200: 손잡이 어셈블리
300: 래치볼트
400: 키 어셈블리
500: 데드볼트
10: 손잡이
1: 도어

Claims (6)

  1.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는 스테이션 유닛, 상기 스테이션 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돌출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문 손잡이와 연결되고 상기 문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 상기 스테이션 유닛과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손잡이 어셈블리;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 돌출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되는 래치볼트;
    상기 모티스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키 손잡이, 상기 모티스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열쇠 유닛, 상기 키 손잡이 또는 상기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테이퍼진 돌출턱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턱의 양 측 각각에 형성되는 걸림홈 사이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홈에 고정되는 보조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키 어셈블리; 및
    상기 테이퍼진 돌출턱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기 보조키 유닛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키 유닛은
    상기 모티스 본체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부에 테이퍼진 돌출턱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키 손잡이와 상기 열쇠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키 손잡이 또는 상기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외주면에 개폐 돌출부가 형성되는 개폐 회전 블록; 및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데드볼트의 스토퍼 지지홈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개폐 돌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테이퍼진 돌출턱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걸림 스토퍼를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일단이 상기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하고 타단이 상기 래치볼트에 걸림되어 상기 래치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개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모티스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 및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허브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어셈블리는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 스토퍼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
  6.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티스 본체;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고, 문 손잡이의 푸쉬풀 방향에 따라 래치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시키는 손잡이 어셈블리; 및
    상기 모티스 본체에 고정되고, 키 손잡이 또는 열쇠 유닛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를 상기 모티스 본체 내로 인입시키는 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볼트는
    상기 모티스 본체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타면에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1 결합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모티스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의 중공 내부에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래치바 관통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2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래치바의 후방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하여 끼움 고정되는 허브체와, 상기 래치바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허브체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문 개폐 장치.

KR1020190032033A 2019-03-20 2019-03-20 문 개폐 장치 KR102151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33A KR102151622B1 (ko) 2019-03-20 2019-03-20 문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33A KR102151622B1 (ko) 2019-03-20 2019-03-20 문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622B1 true KR102151622B1 (ko) 2020-09-03

Family

ID=7246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33A KR102151622B1 (ko) 2019-03-20 2019-03-20 문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6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75Y1 (ko) * 2001-01-20 2001-06-15 김종수 레버형 도어록
JP3204263U (ja) * 2016-03-07 2016-05-26 技研金物株式会社 間仕切りドア用のプッシュプル錠の操作ユニット
KR20170111228A (ko) * 2016-03-25 2017-10-12 윤채희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JP2018145768A (ja) * 2017-03-09 2018-09-20 株式会社ゴール 扉錠及び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75Y1 (ko) * 2001-01-20 2001-06-15 김종수 레버형 도어록
JP3204263U (ja) * 2016-03-07 2016-05-26 技研金物株式会社 間仕切りドア用のプッシュプル錠の操作ユニット
KR20170111228A (ko) * 2016-03-25 2017-10-12 윤채희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JP2018145768A (ja) * 2017-03-09 2018-09-20 株式会社ゴール 扉錠及び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937B2 (en) Automatic hidden latch structure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90099029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EP1245765A1 (en) Cabinet having double locking mechanism
KR102151622B1 (ko) 문 개폐 장치
KR20080088409A (ko) 도어록 장치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101331979B1 (ko) 디지털용 도어록의 모티스 및 이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10003030U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TWI660104B (zh) 電動式門閂控制裝置
KR102151623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102424830B1 (ko) 도어락 장치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2289715B1 (ko) 보조개방 장치를 구비한 도어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100648574B1 (ko) 2중 물림 빗장
KR102080941B1 (ko)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JP2001173332A (ja) 非常脱出用面格子の取付装置
JP3512458B2 (ja) 特殊保管庫
KR101336542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0473617B1 (ko) 자동문 로킹장치
KR100538409B1 (ko)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