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41B1 -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41B1
KR102080941B1 KR1020130057130A KR20130057130A KR102080941B1 KR 102080941 B1 KR102080941 B1 KR 102080941B1 KR 1020130057130 A KR1020130057130 A KR 1020130057130A KR 20130057130 A KR20130057130 A KR 20130057130A KR 102080941 B1 KR102080941 B1 KR 10208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housing
opening
rai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717A (ko
Inventor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4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9Protecting the fingerprint sensor against damage caused by the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지문 인식 스캐너가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측면 및 곡면으로 이루어진 배면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문 인식 스캐너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배면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레일; 및 상기 커버 부재의 배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회동시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문 인식기의 커버 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부품들의 구조가 간단하고, 커버 부재가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본 발명은 도어락의 지문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한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Door-Lock)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권한이 있는 사람만 출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잠금장치를 출입문에 설치하여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 및 안전을 보호하고,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설비로서, 이러한 도어락은 보통 전면의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해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보안설비의 보조 수단으로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이외에도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 인식기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중의 보안 수단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문 인식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문 인식기는 내부 공간에 지문 인식을 위한 부품들이 수용되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 부재(20), 프레임(10)의 측벽(12)을 따라 후방으로 기울어진 제1가이드 홈(121), 커버 부재(20)에 구비되고 커버 부재(20)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가이드 홈(121)을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 돌기(21), 프레임(10)의 측벽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 홈(122), 커버 부재(20)에 구비되고 커버 부재(20)의 개폐 작동에 따라 제1가이드 홈(121)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 돌기(22), 프레임(10)과 커버 부재(2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 부재(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제1가이드 돌기(21) 및 제2가이드 돌기(22)를 가압하는 제1스프링(31) 및 제2스프링(32)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지문 인식기는, 사용자가 커버 부재(20)를 전방으로 당겨 프레임(10)의 전면을 개방한 후, 지문 인식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커버 부재(20)에서 손을 떼면, 커버 부재(20)의 자중과 제1스프링(31) 및 제2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 부재(20)가 폐쇄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문 인식기는 커버 부재(20)를 개폐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 홈(121, 122), 한 쌍의 가이드 돌기(21, 22) 및 한 쌍의 스프링(31, 32)을 구비하므로, 많은 부재들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커버 부재(20)가 원활하게 동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지문 인식기의 커버 부재를 개폐하기 위한 부품들의 구조가 간단하고, 커버 부재가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는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지문 인식 스캐너가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측면 및 곡면으로 이루어진 배면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한 쌍의 측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문 인식 스캐너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배면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레일; 및 상기 하우징의 배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회동시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측면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부시 사이에는 상기 부시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은 C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롤러가 상기 C자 형상의 곡면의 중심을 지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롤러와 상기 레일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가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하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부시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는 레일과 롤러의 구름 운동을 통해 커버 부재의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므로, 종래 장치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부재를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키면, 커버 부재가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문 인식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문 인식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커버 부재가 상방으로 일정각도 회동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의 커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및 8b,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는 도어락에 설치되어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보안 장치로서,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커버 부재(200), 레일(300) 및 롤러(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개방된 전면(110),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측면(120), 상면(130) 및 배면(140)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부재이다. 여기서, 하우징(100)의 배면(140)은 전면(110)의 하단에서 상면(130)의 후단까지 연장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 스캐너(500)가 설치된다.
커버 부재(200)는 판상의 부재로서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110)에 설치되어 전면(11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200)는 하우징(100)을 가로지르는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우징(100)의 한 쌍의 측면(12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횡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전면을 개폐한다. 커버 부재(200)가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전면(110)이 개방되면 지문 인식 스캐너(500)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레일(3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배면(140)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레일(3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배면(14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된다. 이 레일(300)은 배면(140)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전면(110)을 향해 소정 두께로 돌출된 구조이다.
롤러(400)는 커버 부재(200)의 배면 하부에 구비되고, 커버 부재(200)의 회동시에 하우징(100) 내부의 레일(300)과 접촉하여 레일(300)을 타고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롤러(400)는 커버 부재(200)의 배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봉 부재로서, 그 양측 단부가 레일(300)에 접촉되어 레일(300) 상에서 구름 운동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전면에 구비된 커버 부재(200)의 하부를 손가락으로 밀면, 커버 부재(200)가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전면(110) 하부가 개방된다. 그러면, 하우징(100) 내부의 스캐너(500)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스캐너(500) 위에 손가락을 위치시켜 지문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200)의 회동시에 롤러(400)가 레일(300)을 타고 구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커버 부재(200)는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는 레일(300)과 롤러(400)의 구성만으로도 커버 부재(200)의 원활한 개폐 동작이 가능하므로, 종래 장치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의 측면(120)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121)이 구비된다. 또한, 커버 부재(200)는 배면 중심의 측단부에 각각 연결 구멍이 형성된 연결부(210)를 구비한다. 이 연결부(210)에는 커버 부재(200)의 회동시에 회동축 역할을 하는 부시(220)가 연결된다. 그리고, 부시(220)는 하우징(100)의 관통공(12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 부재(200)의 회동시에 커버 부재(200)는 부시(220)를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부시(220)가 관통공(12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여 커버 부재(200) 역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200)가 개방될 때, 커버 부재(200)가 상방으로 이동되므로, 하우징(100)의 전면(110)의 개방 면적이 증가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측면(120)과 하부에는 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출부(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돌출부(122)와 부시(220) 사이에는 부시(220)를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6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600)에 의해, 사용자가 커버 부재(200)를 손가락을 밀어서 하우징(100)을 개방하여 지문 인식 동작을 수행한 후, 하우징(100)으로부터 손가락을 빼면,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 부재(200)가 역방향(커버 부재(2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을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커버 부재(200)는 사용자가 원활한 지문 인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커버 부재(200)를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키면 커버 부재(200)가 상방으로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커버 부재(200)의 배면은 측면에서 볼 때(도 3 참조) C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롤러(400)와 접촉하는 레일(300) 역시 C자 형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일(300)의 구조에 의해, 커버 부재(200)가 회동하여 롤러(400)가 레일(300)의 중심(P)(C자 형상 곡면의 중심)을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 부재(200)는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역방향(커버 부재(2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반면, 커버 부재(200)가 회동하여 롤러(400)가 레일(300)의 중심(P)을 지난 경우에는,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이 부시(220)를 하방으로 가압하지만, 지렛대 원리에 의해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이 롤러(400)와 레일(300)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으로 작용하여 상방으로 가해지므로, 커버 부재(200)는 상승하게 된다. 즉, 커버 부재(200)의 중심측에서 작용하는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과 커버 부재(200)의 단부측(레일(300)과 롤러(400)의 접촉 부분)의 반발력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커버 부재(200)를 상승시켜 커버 부재(200)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 부재(200)를 일정각도 미만으로 회동시킨 후, 커버 부재(200)에서 손을 떼면 커버 부재(200)는 다시 하강하여 하우징(100)을 폐쇄하고, 사용자가 커버 부재(200)를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키면, 커버 부재(200)는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는 커버 부재(200)의 롤러(400)가 하우징(100)의 레일(300)을 따고 이동함으로써, 커버 부재(200)의 부드럽고 원활한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버 부재(200)를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키면, 커버 부재(200)가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는 지문 인식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에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는 커버 부재(200)가 하우징(100)의 전면(11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손가락으로 커버 부재(200)의 하부를 밀면, 도 8a 및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 부재(200)는 부시(220)를 회동축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전면(110)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커버 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400)는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구비된 레일(300)을 타고 구르면서, 커버 부재(200)가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부시(220)는 하우징(100)의 측면(120)에 구비된 관통공(121)을 따라 약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0) 전면(110의 개방 면적이 증가된다.
커버 부재(200)가 도 8a 및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커버 부재(200)를 밀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커버 부재(200)는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역방향(커버 부재(2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을 폐쇄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계속해서 커버 부재(200)를 밀면, 도 9a 및 9b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부재(200)는 계속 정방향(커버 부재(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을 더욱 개방하게 된다.
이때, 커버 부재(200)의 롤러(400)가 하우징(100)에 구비된 레일(300)의 중심(P)을 지난 경우에는,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이 부시(220)를 하방으로 가압하지만, 롤러(400)와 레일(300)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이 상방으로 가해지므로, 커버 부재(200)는 상승하게 된다. 즉, 커버 부재(200)의 중심측에서 작용하는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과 커버 부재(200)의 단부측(레일(300)과 롤러(400)의 접촉 부분)의 반발력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커버 부재(200)를 상승시켜 커버 부재(200)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된 하우징(100)의 전면에 손가락을 넣어 지문 인식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자는 커버 부재(200)의 상부를 밀어 하우징(100)의 전면(110)을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는 커버 부재(200)의 롤러(400)와 하우징(100)의 레일(300)의 구름 운동에 의해 커버 부재(200)의 개폐 동작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커버 부재(2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지문 인식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전면
120: 측면 121: 관통공
122: 돌출부 130: 상면
140: 배면 200: 커버 부재
210: 연결부 220: 부시
300: 레일 400: 롤러
500: 지문 인식 스캐너 600: 탄성 부재

Claims (5)

  1. 내부에 지문 인식 스캐너(500)가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110), 나란하게 배열된 한 쌍의 측면(120) 및 곡면으로 이루어진 배면(140)을 구비한 하우징(100);
    상기 한 쌍의 측면(12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문 인식 스캐너(500)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방된 전면(110)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배면(140)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 레일(300); 및
    상기 커버 부재(200)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부재(200)의 회동시 상기 레일(300)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40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1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121)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200)는 상기 관통공(121)에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시(2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부시(220) 사이에는 상기 부시(22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배면(140)은 C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부재(200)가 회동하여 상기 롤러(400)가 상기 C자 형상의 곡면의 중심(P)을 지나면, 상기 탄성 부재(600)의 탄성력과 상기 롤러(400)와 상기 레일(300)의 접촉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200)가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120) 하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600)는 상기 부시(220)와 상기 돌출부(122)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5. 삭제
KR1020130057130A 2013-05-21 2013-05-21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KR10208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130A KR102080941B1 (ko) 2013-05-21 2013-05-21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130A KR102080941B1 (ko) 2013-05-21 2013-05-21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17A KR20140136717A (ko) 2014-12-01
KR102080941B1 true KR102080941B1 (ko) 2020-02-24

Family

ID=5245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130A KR102080941B1 (ko) 2013-05-21 2013-05-21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418B1 (ko) 2018-01-05 2019-10-17 (주)솔리티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28Y1 (ko) * 2000-10-26 2001-04-02 최형선 지문인식장치용 슬라이드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413A (ko) * 2000-11-24 2002-05-30 장대훈 지문취득장치가 구비된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28Y1 (ko) * 2000-10-26 2001-04-02 최형선 지문인식장치용 슬라이드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17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959B2 (en) Security gate latch system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33418B1 (ko) 지문인식모듈을 구비한 슬림형 디지털 도어록
KR102080941B1 (ko)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KR100929435B1 (ko) 디지털 도어록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79872B1 (ko) 디지털 도어록 보호 커버
JP3987996B2 (ja) 引き戸のローラーラッチ機構
CN109779431A (zh) 用于平开窗的打开控制装置
KR200470342Y1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KR20140015016A (ko) 도어락의 지문 인식부 개폐 장치
KR101829937B1 (ko)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KR101013719B1 (ko) 도어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JP6511822B2 (ja) ラッチ装置及び電気錠システム
JP3135266U (ja) 指紋認証機能を備えた錠
JP4605119B2 (ja) 扉のロック機構
KR101336542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101250246B1 (ko) 금고
KR102607539B1 (ko) 푸시풀 도어락
KR20090054036A (ko) 미닫이창문의 안전잠금장치
JP5300284B2 (ja) 扉装置
KR20120058084A (ko)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