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246B1 - 금고 - Google Patents
금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0246B1 KR101250246B1 KR1020100112356A KR20100112356A KR101250246B1 KR 101250246 B1 KR101250246 B1 KR 101250246B1 KR 1020100112356 A KR1020100112356 A KR 1020100112356A KR 20100112356 A KR20100112356 A KR 20100112356A KR 101250246 B1 KR101250246 B1 KR 1012502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liding
- guide
- enclosure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금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고는 내부가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함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함체의 내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되, 폐쇄위치로부터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까지는 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슬라이딩하며 중간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는 슬라이딩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도어; 및 함체가 지지되는 지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도어 및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도어 및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도어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 또는 가이드홈부는 도어의 폐쇄위치 및 중간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된 직선부 및 직선부와 연결되며 도어의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된 곡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돈, 귀중한 서류 및 귀중품 등을 내부에 보관하여 화재나 도난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고에 관한 것이다.
금고는 돈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문서 또는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금고를 구매하는 구매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금고가 설치된 가정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금고(10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함체(10')와, 함체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작동하되 함체에 힌지방식으로 결합된 도어(30')와,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복수의 잠금쇠(5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3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잠금쇠(51')는 도어의 상측면, 바닥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게 복수 설치된다. 각 잠금쇠(51')가 함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하며, 이에 따라 도어는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그리고 잠금쇠(51')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러한 모터의 작동은 도어(10')의 실외측면에서 구비된 키패드(52')에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열쇠뭉치(53')의 열쇠공에 열쇠를 넣고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쇠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어(10')의 실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3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물리적 해킹, 예를 들어 도어 및 함체 사이의 틈을 통해서 빠루 등과 같은 해킹도구를 삽입하여 도어를 젖힘으로써 가능한 물리적 해킹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잠금쇠(51')가 함체(10')의 내부에 가능하면 깊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금고(100')에 있어서는, 도어(30')가 함체(10')에 대해 단순히 힌지운동만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잠금쇠(51')를 함체(10')의 내부에 깊이 배치하는데는 큰 한계가 있었다. 잠금쇠(51')를 너무 깊이 배치하면, 도어(30')의 힌지운동시 도어(30')가 함체(10')와 간섭하게 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금고 도어(30')의 개방구조로는 잠금쇠를 깊이 배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쇠가 함체의 내부에 깊이 배치될 수 있도록 도어의 개방구조를 개선됨으로써 보안성이 보다 향상된 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금고는 내부가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 상기 함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함체의 내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까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슬라이딩하며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도어; 및 상기 함체가 지지되는 지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 및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및 지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 또는 가이드홈부는 상기 도어의 폐쇄위치 및 중간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된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된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므로, 잠금쇠를 함체의 내부에 보다 깊이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안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단면도로서, 도어가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손잡이 부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단면도로서, 도어가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부재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손잡이 부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단면도로서, 도어가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며, 도 7은 도 4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100)는 함체(10)와, 슬라이딩부재와, 도어와, 잠금쇠와,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함체(1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함체(10)의 바닥면에는 함체(10)가 지지되는 지지면, 예를 들어 사무실 바닥이나 집안 바닥에 지지되며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레벨러(11)가 4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레벨러(11)는 함체(10)의 네 귀퉁이에 각각 배치되며, 나사를 이용하여 상하 레벨을 조절하는 공지의 스크류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함체(10)의 내부는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함체(10)의 내측면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공(미도시)이 복수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함체(10)의 내측면은 상측 내측면, 하측 내측면, 좌측 내측면 및 우측 내측면을 포함하며, 각 내측면에는 삽입공(미도시)이 3개씩 형성된다.
함체(10)의 전면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진 부분은 함체(10)의 개구 주위에 배치된다. 함체(10)의 단차진 부분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공(10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공(102)은 상호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부재(21)는 슬라이딩공(102)의 개수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각 슬라이드부재(21)는 각 슬라이딩공(1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라이딩부재(21)의 두께는 슬라이딩공(102)의 폭보다 조금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슬라이딩부재(21)가 슬라이딩방향으로만 직선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작동성이 우수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슬라이딩부재(21)의 두께는 슬라이딩바디의 양 측면 사이의 거리이며, 슬라이딩부재(21)의 양 측면은 도어(30)와 마주하는 슬라이딩부재(21)의 전면에 직교하는 측면을 말한다.
슬라이딩부재(21)의 슬라이딩 최대 돌출길이, 즉 슬라이딩부재(21)가 함체(10)의 전면에 대해 최대로 돌출되는 길이는 도 4에 도시된 위치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부재(21)의 단부의 거리차이를 말한다. 슬라이딩부재(21)가 도 5에 도시된 최대 돌출위치에 배치되며, 슬라이딩부재(21)가 더 이상 돌출될 수 없는데, 이러한 돌출 방지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슬라이딩부재(21)의 상측면에 돌출된 돌기(211)가 슬라이딩공(102)의 상측 내측면에 단차진 단차면(103)에 걸림으로서 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밖에 다양한 공지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피봇축(23)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단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봇축(23)은 슬라이딩부재(21), 특히 슬라이딩부재(21)의 전면에 고정된다. 피봇축(23)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슬라이딩부재(21)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딩부재(21)와 한 몸체로서 처음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피봇축(23)에는 한 쌍의 스토퍼부(231)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피봇축(23)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30)는 함체(10)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30)에는 함체와 마찬가지로 4개의 측면, 즉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30)의 내측면은 함체의 단차진 부분에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30)가 도 4에 도시된 폐쇄위치에 배치되면, 도어(30) 내측면의 단차진 부분과 함체 내측면의 단차진 부분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어(30)는 함체(10)에 결합되어, 함체(10)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도어(30)는 왕복 직선운동 및 왕복 회전운동을 한다. 즉, 도어(30)는 폐쇄위치 및 중간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며,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회전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폐쇄위치에서는, 함체(10)의 내부가 도어(3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게 되어, 함체(10)의 내부가 폐쇄된다. 함체(10)가 폐쇄위치에서 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중간위치에 배치되며, 중간위치에서는, 함체(10)의 내부에 대한 접근이 함체(10)의 측면으로부터 가능하나, 함체(10)의 전방으로부터는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함체(10)가 중간위치에서 피봇축(2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개방위치에 배치되며, 개방위치에서는 함체의 내부에 대한 접근이 함체(10)의 전방으로부터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개방위치에서 함체(10)의 내부에 물건을 놓거나 꺼내게 된다.
그리고 도어(30)에는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31)가 피봇축(3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31)는 도어(3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부(301)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손잡이(31)를 잡고 당기면, 손잡이(3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손잡이(31)의 단부는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홈부(301)로부터 돌출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31)의 회전방향은 도어(30)의 회전방향, 즉 도어(30)의 중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회전방향과 정반대방향이다. 또한 손잡이(31)를 놓으면 손잡이(31)가 도 2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원위치롤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지의 토션스프링을 손잡이의 피봇축(311)에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손잡이(31)의 피봇축(311)은 슬라이딩부재(21)에 고정된 피봇축(23)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어의 회전중심축, 즉 피봇축(23)과 손잡이의 회전중심축, 즉 피봇축(311)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됨) 상에는 슬라이딩부재(21)의 슬라이딩방향의 방향벡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피봇축(311)이 배치되면, 사용자가 손잡이에 손을 넣고 잡아당기는 순간부터 바로 도어를 인출하는 힘이 작동하여 도어가 효과적으로 중간위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어(30)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바퀴(32,33)가 결합된다. 각 바퀴(32,33)는 도 1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각 바퀴(32,33)는 도 1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중심으로도 360°회전 가능하다.
한편 한 쌍의 바퀴 중 손잡이(31)에 가깝게 배치된 바퀴(33), 즉 도 1에서 우측에 배치된 바퀴(33)는 지지부재(34)의 가이드홈부에 삽입된다. 지지부재(34)는 함체(10)가 지지되는 지지면, 예를 들어 사무실의 바닥이나 집안 바닥에 고정된다. 가이드홈부는 도어의 슬라이딩 및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선 형태로 형성된 직선부(341) 및 곡선 형태로 형성된 곡선부(342)가 형성된다. 직선 부(341) 및 곡선부(342)는 모두 지지부재(34)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직선부(341)에는, 도어(30)가 폐쇄위치 및 중간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할 때에 도어의 바퀴(33)가 삽입된다. 그리고 곡선부(342)에는, 도어(30)가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회전할 때에 도어의 바퀴(33)가 삽입된다. 이러한 직선부(341) 및 곡선부(342)는 바퀴(33)의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바퀴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도어(30)의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예를 들어, 직선부(341)의 길이를 조절하면, 도어(30)의 직선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곡선부(342)의 길이를 조절하면, 도어(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퀴(33)가 직선부(341)의 중간 정도에 머물고 있을 때에는, 도어를 피봇축(2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더라도 바퀴(33)가 직선부(341)의 내측면에 걸리기 때문에 도어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바퀴(33)가 곡선부(342)에 머물고 있을 때에는,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려 하더라도 바퀴(33)가 곡선부(342)의 내측면에 걸리기 때문에 도어를 슬라이딩시킬 수 없게 된다. 다만 바퀴(32)는 바퀴(33)와 같이 지지부재(34)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사무실 바닥이나 집안 바닥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재(41)는 슬라이딩부재(21)의 개수에 대응되게 한 쌍 구비된다. 한 쌍의 힌지부재(41)는 각각 도어(30)에 고정되어 도어(30)와 함께 회전 및 직선이동을 한다. 여기서 힌지부재(41)의 회전중심축은 상하방향과 평행하다. 힌지부재(41)는 피봇축(23)에 삽입되어 피봇축(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힌지부재(41)는 한 쌍의 스토퍼부(231)에 삽입되며 스토퍼부(231)와 접촉한다. 힌지부재(41)는 전체적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나, 절개된 부분이 없는 완전한 고리 모양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수단은 도어(30)가 폐쇄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어(30)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수단은 수평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한 3개의 좌측 잠금쇠(51) 및 3개의 우측 잠금쇠(51)로 구성된다. 3개의 좌측 잠금쇠 및 3개의 우측 잠금쇠는 각각 함체(10)의 좌측 내측면 및 우측 내측면 각각에 형성된 3개의 삽입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작동한다. 또한 잠금수단은 미도시되어 있으나 함체(10)의 상측 내측면 및 하측 내측면 각각에 형성된 3개의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한 3개의 상측 잠금쇠 및 3개의 하측 잠금쇠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키패드(52), 사용자 인증시 각 잠금쇠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 및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쇠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열쇠뭉치(53)도 더 구비된다.
한편 도어(30)는 내화재 및 금속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무거우므로, 도어(30)의 폐쇄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운동이 슬라이딩부재(21) 및 힌지부재(41)의 연결구조 이외에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가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함체(10)의 좌측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104) 및 가이드 홈부(10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35)가 포함된다.
가이드 홈부(104)는 함체(10)의 좌측 내측면에 슬라이딩부재(21)의 슬라이딩방향, 즉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롤러(35)는 도어(30)의 좌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 롤러(35)는 가이드 홈부(104)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이에 따라 도어(30)의 슬라이딩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홈부(104) 및 복수의 가이드 롤러(35)는 슬라이딩부재(21) 및 힌지부재(41)와 대체적으로 면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다만 가이드 롤러(35)는 도어의 좌측면이 아니라 함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21)가 슬라이딩공(102)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좀더 원활하게 슬라이딩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도어(30)의 좌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35)와 유사하게, 슬라이딩부재의 측면이나 바닥면에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30)의 배면측에는 내화재로 이루어진 삽입부(36)가 형성된다. 삽입부는 도어잠금장치의 일부분으로 구성되거나 도어잠금장치의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36)는 폐쇄위치에서 함체(10)의 전방으로 개구된 개구부에 삽입된다. 삽입부(36)는 폐쇄위치에서 함체(10)의 내측면과 약간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어(30)가 도 5에 도시된 중간위치에 배치된 후에는, 도어의 개방위치로의 회전시 도어의 삽입부(36)가 함체(10)의 내측면에 간섭되지 않아서 도어(30)의 회전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도어의 바퀴(33)가 직선부(341)의 중간 정도에 머물러 있을 때에는, 물론 바퀴(33)가 직선부(341)의 내측면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이 방지되기는 하나, 바퀴(33)가 파손되어 바퀴(33)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비상시에도 삽입부(36)가 함체(10)의 내측면에 걸리기 때문에 도어(30)는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금고(100)의 작동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30)가 폐쇄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함체(10)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각 잠금쇠(51)를 작동시켜 각 삽입공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 후, 손잡이(31)를 잡고 당기면, 손잡이(31)가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30)가 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딩부재(21)는 슬라이딩공(102)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며, 복수의 가이드 롤러(35)는 가이드 홈부(104)의 내측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도어(3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도어가 직선이동하면, 도어에 결합된 바퀴(33)는 가이드홈부의 직선부(341)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퀴(33)가 직선부(341)의 단부에 이르게 되면, 바퀴(33)의 진행방향으로 더 이상의 직선부(341)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퀴(33)는 그 이후부터는 가이드홈부의 곡선부(342)를 따라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퀴(33)가 곡선부(342)를 따라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슬라이딩부재(21)는 더 이상 슬라이딩운동을 하지 않고 정지한다. 그리고 도어(30)는 슬라이딩부재(21)에 고정된 피봇축(2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국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이르게 되고 곡선부(342)의 내측면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도 6에 도시된 개방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30)를 다시 닫기 위해서, 손잡이(31)를 잡고 도어(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도어에 힘을 인가하면, 도어가 열리는 과정의 반대로, 즉 도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에 후방으로 직선이동하여 도 4에 도시된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바퀴(33)는 곡선부(342) 및 직선부(341)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30)가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을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잠금쇠(35)를 함체(10)의 내부에 종래에 비해 보다 깊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쇠(51)가 보다 깊이 설치되면, 함체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해킹, 특히 도어 및 함체 사이의 틈을 통한 물리적 해킹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바퀴(33) 및 지지부재의 가이드홈부 간의 단순 결합에 의해서 도어의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을 순차적으로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며 고장 발생이 적어 사용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손잡이(31)가 피봇축(23) 근처, 특히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되되 도어(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30)의 개방이 보다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손잡이(31)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결합홈부(301)에 끼이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등 작동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의 개방 및 폐쇄시 도어의 이동이 바퀴(33) 및 지지부재의 직선부(341) 및 곡선부(342)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도어(30)의 직선이동 및 회전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부재(34) 및 바퀴(33)가 도어의 회전축, 즉 피봇축(23) 주위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발이 도어 및 함체가 지지되는 지지면 사이에 끼여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저면에 바퀴가 결합되고 지지부재의 가이드홈부에 바퀴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어의 저면에 바퀴 대신에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가이드돌출부가 지지부재의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돌출부가 가이드홈부의 직선부 및 곡선부를 따라서 이동함에 따라서 도어의 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폐쇄위치 및 이격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운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어의 슬라이딩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재의 바닥면에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고, 랙기어에 기어결합되는 피니언이 모터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랙기어 및 피니언 기어 사이에는 감속기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랙기어는 도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재와 잠금쇠는 서로 연관관계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나,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쇠가 슬라이딩부재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금고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재(21a)에는 잠금쇠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공(213)이 관통 형성된다. 출입공(213)은 잠금쇠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한 쌍의 잠금쇠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한 쌍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출입공(213)은 각각 함체(10)의 우측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공과 각각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어(30)의 록킹시 한 쌍의 잠금쇠는 슬라이딩부재(21a)의 출입공(213) 및 함체의 삽입공에 모두 삽입되며, 도어의 록킹 해제시에는 완전히 이탈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열쇠뭉치가 항상 도어의 실외측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쇠뭉치(53)가 손잡이(31)의 뒤쪽에 배치되어 손잡이(31)를 회전시킬 때에만 도어의 실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된 피봇축이 슬라이딩공의 중심축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된 피봇축, 즉 도어의 회전중심축이 슬라이딩공의 중심축선상으로부터 함체의 외측면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재(21b)의 선단부는 슬라이딩공(102)의 외측에 배치되며,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봇축(23b)은 슬라이딩부재(21b)의 단부에 배치되므로, 피봇축(23b)은 앞선 실시예에 비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재(21b) 및 피봇축(23b)이 형성되면, 피봇축(23b)이 슬라이딩공(102)의 중심축으로부터 함체(1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30)를 회전시킬 때에 도어(30)가 앞선 실시예에 비해 더 많이, 예를 들어 90°를 초과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함체(10)의 내부를 더 많이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함체 및 도어가 동일한 형상이더라도 함체 및 도어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함체 11...레벨러
21,21a,21b...슬라이딩부재 23,23b,311...피봇축
30...도어 31...손잡이
32,33...바퀴 34...지지부재
22...스위칭부재 23...피봇축
41...힌지부재 51...잠금쇠
52...키패드 53...열쇠뭉치
100...금고 102...슬라이딩공
103...단차진 내측면 104...가이드 홈부
211...돌기 213...출입공
341...직선부 342...곡선부
21,21a,21b...슬라이딩부재 23,23b,311...피봇축
30...도어 31...손잡이
32,33...바퀴 34...지지부재
22...스위칭부재 23...피봇축
41...힌지부재 51...잠금쇠
52...키패드 53...열쇠뭉치
100...금고 102...슬라이딩공
103...단차진 내측면 104...가이드 홈부
211...돌기 213...출입공
341...직선부 342...곡선부
Claims (9)
- 내부가 일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함체(10);
상기 함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1, 21a, 21b);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함체(10)의 내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함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의 중간위치까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와 함께 슬라이딩하며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까지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도어(30); 및
상기 함체(10)가 지지되는 지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4);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30) 및 지지부재(34)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30) 및 지지부재(34)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도어(30)의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10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4)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 또는 가이드홈부(104)는 상기 도어(30)의 폐쇄위치 및 중간위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직선 형태로 형성된 직선부(341) 및 상기 직선부(341)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30)의 중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된 곡선부(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도어(30)의 저면에 결합된 바퀴(32, 33)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4)에는 상기 바퀴(32, 33)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홈부(10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공(102)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공(102)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35)가 결합되며,
상기 함체(10)의 내측면 중 상기 슬라이딩공(102)이 형성된 내측면과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가이드 홈부(104)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함체(10)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10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롤러(35) 또는 상기 함체(1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0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돌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해 잡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30)의 중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30)에 결합되되, 상기 도어(30)의 회전중심축 주위에 회전중심축이 배치되는 손잡이(3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0)의 회전중심축 및 상기 손잡이(31)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의 법선벡터는 상기 도어(30)의 슬라이딩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을 구동하는 직선 구동력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랙기어 및 피니언기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의 슬라이딩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30)에 결합되며, 상기 함체(10)의 내측면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및 이탈되어 상기 도어(30)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51);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1, 21a, 21b)에는 상기 잠금쇠(51)가 출입하며 상기 삽입공과 연결되는 출입공(213)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해 잡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손잡이(31); 및
상기 도어(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잠금쇠(51)가 구동되도록 상기 잠금쇠(51)에 연결되며, 열쇠공이 형성되는 열쇠뭉치(5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열쇠공은 상기 손잡이(31)의 회전시 상기 도어(30)의 실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손잡이(31)의 미회전시 상기 손잡이(31)에 의해 가려져 상기 도어(30)의 실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0)의 피봇축(23)은 상기 슬라이딩공(102)의 중심축선상으로부터 상기 함체(10)의 외측면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2356A KR101250246B1 (ko) | 2010-11-12 | 2010-11-12 | 금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2356A KR101250246B1 (ko) | 2010-11-12 | 2010-11-12 | 금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1106A KR20120051106A (ko) | 2012-05-22 |
KR101250246B1 true KR101250246B1 (ko) | 2013-04-03 |
Family
ID=4626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2356A KR101250246B1 (ko) | 2010-11-12 | 2010-11-12 | 금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02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53257A (zh) * | 2014-03-24 | 2014-07-30 | 创斯达科技集团(中国)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高防撬性能的薄壁保险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0667A (en) * | 1982-07-28 | 1985-11-05 | Meyers Grahame A | Safe having concealed hinges |
JP2001003654A (ja) * | 1999-06-24 | 2001-01-09 | Kumahira Safe Co Inc | スライド式気密扉 |
KR100586674B1 (ko) * | 2005-06-14 | 2006-06-08 | 정석찬 | 미닫이형 금고비 |
KR20070072995A (ko) * | 2006-01-03 | 2007-07-10 | 제영상 | 차량 도어의 손잡이 구조 |
-
2010
- 2010-11-12 KR KR1020100112356A patent/KR1012502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0667A (en) * | 1982-07-28 | 1985-11-05 | Meyers Grahame A | Safe having concealed hinges |
JP2001003654A (ja) * | 1999-06-24 | 2001-01-09 | Kumahira Safe Co Inc | スライド式気密扉 |
KR100586674B1 (ko) * | 2005-06-14 | 2006-06-08 | 정석찬 | 미닫이형 금고비 |
KR20070072995A (ko) * | 2006-01-03 | 2007-07-10 | 제영상 | 차량 도어의 손잡이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953257A (zh) * | 2014-03-24 | 2014-07-30 | 创斯达科技集团(中国)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高防撬性能的薄壁保险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1106A (ko) | 2012-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92731U (ja) | ドアガード装置 | |
KR20180006213A (ko) |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 |
US4679353A (en) | Security door | |
KR101250246B1 (ko) | 금고 | |
KR100877570B1 (ko) | 창문 자동 잠금 장치 | |
KR101301675B1 (ko) | 2중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용 도어 | |
KR101091801B1 (ko) | 도어 보조 잠금장치 | |
KR102112574B1 (ko) | 사물함 도어 장치 | |
KR101013719B1 (ko) | 도어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
KR101782579B1 (ko) |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 |
KR200470342Y1 (ko) |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 |
KR200458415Y1 (ko) | 사물함열쇠고리잠금장치 | |
KR20120058374A (ko) | 도어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
KR101122312B1 (ko) |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 |
KR20120058084A (ko) | 보관함 | |
KR20110120023A (ko) | 볼 조인트를 이용한 도어 보조 잠금장치 | |
KR20120082050A (ko) | 도어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
KR101115424B1 (ko) |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 |
KR101195925B1 (ko) | 도어 보조 잠금장치 | |
KR20120058077A (ko) | 도어의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
KR102080941B1 (ko) | 지문 인식기 개폐 장치 | |
KR101122311B1 (ko) |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 |
KR102632627B1 (ko) | 보관함 | |
KR102260129B1 (ko) | 도어용 손 끼임 방지장치 | |
JP4234668B2 (ja) | 両開き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