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74B1 - 사물함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74B1
KR102112574B1 KR1020190162449A KR20190162449A KR102112574B1 KR 102112574 B1 KR102112574 B1 KR 102112574B1 KR 1020190162449 A KR1020190162449 A KR 1020190162449A KR 20190162449 A KR20190162449 A KR 20190162449A KR 102112574 B1 KR102112574 B1 KR 10211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locker
lev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주)야흥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야흥금속 filed Critical (주)야흥금속
Priority to KR102019016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물건을 넣어두는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 및 해제 가능한 중간의 레버 어셈블리와 스프링에 의해 탄력 기지되면서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동시에 레버측과 연계되어 구속 가능한 상하부의 래치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개폐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등 편의성 향상과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보안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도어측에 설치되는 상부 회전축 및 스프링과 사물함 본체측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축의 조합을 적용하고, 도어 개폐 작동 시에 이와 연계적으로 상하 이동함과 더불어 스프링의 탄력 지지를 받는 상부 회전축의 동작 특성을 이용하여 도어 개폐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힌지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어 열림 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스프링 압착으로 도어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도어 닫힘 시 조금만 닫아주면 스프링의 복원으로 도어가 저절로 닫혀지도록 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함 도어 장치{DOOR DEVICE FOR LOCKER}
본 발명은 사물함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의 물건을 넣어두는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개인용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러한 사물함은 사각 함체의 전면에 여닫이식으로 된 도어가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물함의 여닫이식 도어에는 개폐를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 사용자의 이름표를 꽂을 수 있는 이름표 꽂이 등이 구비되는 한편, 함체의 측벽과 도어의 자유단 사이에는 상호 맞대어지는 자물쇠 걸이구가 각각 설치되고, 이것들을 준비된 자물쇠로 체결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물함은 통상 작은 함체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를 통해 지지되는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에 형성에는 함체 내에 보관중인 비품 등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보통 사물함 도어의 잠금장치는 고정고리와 가변고리 및 영구자석과 철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물함은 각각의 작은 함체 내에 보관된 비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인 고정고리 및 가변고리가 상당한 길이만큼 앞쪽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그 주변을 오고 가는 다른 사용자 및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겨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팔, 다리 등의 신체가 자주 걸려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함의 도어는 닫아 놓아도 고정고리 및 가변고리에 자물쇠를 걸어 놓기 전에는 도어가 저절로 열려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도어 개폐조작 시에 손 끼임으로 인한 신체 손상의 문제점 및 도어의 휨 등과 같은 내구성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의 사물함 도어 장치는 한국 등록특허 10-0883310호, 한국 공개특허 10-2011-0009785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3775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62342호 등에 여러가지 타입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19162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19161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13208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860363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883310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01508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034804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09785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342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75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 및 해제 가능한 중간의 레버 어셈블리와 스프링에 의해 탄력 기지되면서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동시에 레버측과 연계되어 구속 가능한 상하부의 래치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개폐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등 편의성 향상과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보안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사물함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도어측에 설치되는 상부 회전축 및 스프링과 사물함 본체측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축의 조합을 적용하고, 도어 개폐 작동 시에 이와 연계적으로 상하 이동함과 더불어 스프링의 탄력 지지를 받는 상부 회전축의 동작 특성을 이용하여 도어 개폐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힌지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도어 열림 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스프링 압착으로 도어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도어 닫힘 시 조금만 닫아주면 스프링의 복원으로 도어가 저절로 닫혀지도록 할 수 있는 등 도어 개폐 조작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사물함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물함 도어의 내부에 보강용 알루미늄 압출바를 장착함과 더불어 알루미늄 압출바 내에서 래치 장치의 래치 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물함 도어의 휨, 래치 바의 휨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사물함 도어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래치 바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현상(신체손상), 손거스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사물함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사물함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레버 하우징고, 상기 레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되면서 사물함 본체의 중간부에 있는 문틀 받이판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레버 어셈블리와, 상기 사물함 도어의 이면부에 레버 하우징을 가운데 두고 위아래로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면서 레버 하우징측에 한쪽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지지됨과 더불어 다른 한쪽은 사물함 도어측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고 스프링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사물함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문틀 받이판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한쌍의 래치 장치와, 상기 사물함 도어의 개폐 시에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위아래 한쌍의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보안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래치 장치는 레버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제1래치 부시와, 사물함 도어의 래치 케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래치 부시 및 상기 제2래치 부시에 일체 형성되면서 사물함 본체의 문틀 받이판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래치와, 상기 제1래치 부시와 제2래치 부시 사이에 연결되는 래치 바와, 상기 래치측과 래치 케이스측에 양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래치를 항상 한쪽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래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어셈블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구속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래치 장치의 제2래치 부시에는 구속홈 내에 걸림 가능한 구속돌기가 형성되어, 레버 어셈블리가 잠금 위치로 이동됨과 더불어 구속홈 내에 구속돌기가 위치됨으로써, 래치 장치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레버 하우징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레버 어셈블리의 레버의 좌측 이동 시 노출되어 시건장치를 걸 수 있는 자물쇠 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면과 수평면을 가지면서 사물함 본체측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축과, 저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면과 수평면, 그리고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구속용 블록을 가지면서 사물함 도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상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과 하부 고정축의 축선을 따라 관통되면서 상부 회전축의 상하 이동과 회전을 안내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지지를 위한 너트와, 상기 볼트측과 상부 회전축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회전축을 탄력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장치는 볼트와 너트 간의 체결 정도 조절을 통해 힌지 스프링의 탄성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사물함 도어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물함의 도어 개폐 시 레버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이동하면서 걸림 및 해제 가능한 중간의 레버 어셈블리, 스프링에 의해 탄력 기지되면서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동시에 레버측과 연계되어 구속 가능한 상하부의 래치 장치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새로운 사물함 개폐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조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등 편의성 향상과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 및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보안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물함의 도어 개폐 작동 시 이와 함께 상호 연동되는 도어측 상부 회전축 및 사물함 본체측 하부 고정축과 도어 개폐 작동에 따라 압축력과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사물함 힌지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도어 열림 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스프링의 누르는 힘으로 도어 열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도어를 닫을 때에도 조금만 닫아주면 스프링의 미는 힘으로 도어가 저절로 닫혀지도록 할 수 있는 등 도어 개폐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물함 본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고정축에 대해 도어측에 설치되는 상부 회전축이 위아래로 동작하면서 도어 열림 상태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도어 닫힘 상태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힌지 메카니즘을 적용함으로써, 최소한의 부품수 및 단순한 구조의 힌지 장치로 기존의 클로저 기능을 대체할 수 있고, 따라서 힌지 장치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힌지 장치의 부피 및 무게 경감은 물론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물함 도어의 내측으로 보강용 알루미늄 압출바를 장착하고, 이렇게 장착한 알루미늄 압출바의 내부에서 래치 바 등이 동작되도록 하는 새로운 보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물함 도어의 휨, 래치 바의 휨 등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등 사물함 도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래치 바의 움직임에 따른 끼임 현상(신체손상), 손거스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장치에서 개폐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장치에서 힌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장치에서 자물쇠 걸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사물함 도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레버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하우징(11)은 사각의 하우징 몸체(11a), 하우징 중간판(11b) 및 하우징 커버(11c)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사물함 도어(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레버 하우징(11)의 하우징 커버(11c)는 사물함 도어(10)의 전면에 노출된 상태가 되고, 이때의 하우징 커버(11c)의 내측으로는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하우징(11)의 상단부와 하단부, 즉 하우징 몸체(11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래치 장치(15)의 제1래치 부시(17)를 설치하기 위한 부시 홀(36)이 각각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부시 홀(36)에 제1래치 부시(1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면, 이때의 제1래치 부시(17)의 하단부, 즉 회전구속용 블록(30)은 레버 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하우징(11)의 한쪽 측단부, 즉 하우징 몸체(11a)의 한쪽 측단부에는 바 홀(37)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바 홀(36)을 통해 래버 어셈블리(14)에 있는 록킹 바(38)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레버 하우징(11)의 하우징 몸체(11a)의 내측 벽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한 레일(25)이 형성되며, 이때의 레일(25)에는 레버 어셈블리(26)가 좌우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사물함 도어(10)의 중간 부분을 잠글 수 있는 수단으로 레버 어셈블리(14)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어셈블리(14)는 납작한 사각 블록 형태의 레버 몸체(14a)와 상기 레버 몸체(11a)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부분에 끼워져 결합되는 레버(14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 몸체(14a)의 한쪽 측단부에는 록킹 바(38)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록킹 바(38)는 사물함 본체(12)측에 있는 문틀 받이판(13a)에 걸려지는 부분으로서, 이렇게 록킹 바(38)가 문틀 받이판(13a)에 걸려짐으로써 레버 어셈블리(14)를 포함하는 사물함 도어(10)의 중간 부분에 사물함 본체(12)에 잠겨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레버 어셈블리(14)는 레버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되면서 록킹 바(38)를 이용하여 사물함 본체(12)의 중간부에 있는 문틀 받이판(13a)에 걸림 및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를 도면의 좌측으로 밀게 되면, 레버 몸체(14a)의 록킹 바(38)가 레버 하우징(11)의 바 홀(37)을 빠져나가 사물함 본체(12)의 문틀 받이판(13a)에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를 도면의 우측으로 밀게 되면, 레버 몸체(14a)의 록킹 바(38)가 사물함 본체(12)의 문틀 받이판(13a)으로부터 벗어나 레버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진입되므로서, 사물함 도어(10)와 사물함 본체(12) 간의 중간 부분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레버 어셈블리(14)는 잠금 기능 이외에도 래치 장치(15)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버 어셈블리(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즉 레버 몸체(14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진입 부분이 확장되어 있는 형태의 구속홈(23)이 각각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구속홈(23) 내에 래치 장치(15)의 제2래치 부시(19)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속돌기(24), 예를 들면 두께는 구속홈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폭은 구속홈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태의 구속돌기(24)가 상대적으로 삽입되어(레버 몸체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구속홈 내에 삽입되어) 위치되므로서, 제2래치 부시(19)를 포함하는 래치 장치(15) 전체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레버 어셈블리(14)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잠금 위치로 옮겨가게 되면, 이때 구속홈(23)과 일직선상으로 나란하게 있던 구속돌기(24)가 구속홈(23) 내로 들어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구속돌기(24)가 구속홈(23) 내에서 움직임이 규제되므로서, 결국 래치 장치(15)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레버 어셈블리(14)는 사물함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수단, 즉 레버 어셈블리(14)의 해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레버 스프링(41)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스프링(41)은 레버 하우징(11)측과 레버 어셈블리(14)측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를 항상 우측 방향(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 몸체(14a)의 일측, 예를 들면 록킹 바(38)의 내부 공간 일측에는 스프링 지지체(42a)가 형성되는 동시에 레버 하우징(11)의 하우징 중간판(11b)의 일측에도 스프링 지지체(42b)가 형성되고, 이때의 하우징 중간판(11b)에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체(42b)는 레버 어셈블리(14)와 레버 하우징(11)의 조립 시 록킹바(38)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스프링(41)은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레버 몸체(14a)의 스프링 지지체(42a)와 하우징 중간판(11b)의 스프링 지지체(42b) 사이에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 어셈블리(14)를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좌측으로 밀지 않는 상태에서의 레버 어셈블리(14)는 레버 스프링(41)의 힘에 의해 항상 우측으로 밀려나 위치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러한 상태에서는 사물함 도어(10)가 항상 열려 있게 되는 등 사물함 개폐와 관련한 조작성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사물함의 잠금 상태 유지를 위해 시건장치(미도시)를 걸 수 있는 수단으로 자물쇠 걸이(26)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 걸이(26)는 띠 모양의 철판 형태로서, 뒷쪽 끝 부분은 90°절곡되어 레버 하우징(11)의 하우징 몸체(11a)의 벽면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앞쪽 끝 부분에는 자물쇠 홀(25)이 형성되고, 이렇게 자물쇠 홀(25)이 형성되어 있는 자물쇠 걸이(26)의 앞쪽 끝 부분은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 몸체(14a)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 부위와 레버 하우징(11)의 하우징 중간판(11b)에 형성되어 있는 홀 부위를 통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가 우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물쇠 걸이(26)의 내측 공간 부분 내에 숨겨져 있게 되고, 레버(14b)를 손으로 잡고 좌측으로 밀게 되면, 자물쇠 홀(25)이 형성되어 있는 자물쇠 걸이(26)의 앞쪽 끝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이렇게 노출되는 자물쇠 걸이(26)의 자물쇠 홀(25)에 시건장치를 체결하게 되면, 레버 어셈블리(14)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사물함 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사물함 도어(10)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을 잠글 수 있는 수단으로 한쌍의 래치 장치(15)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장치(15)는 사물함 도어(10)의 이면부에 레버 하우징(11)을 가운데 두고 위아래로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면서 한쪽은 레버 하우징(11)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다른 한쪽은 사물함 도어(10)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래치 장치(15)는 스프링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사물함 본체(12)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각각의 문틀 받이판(13b)에 걸림 및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래치 장치(15)는 제1래치 부시(17), 제2래치 부시(19), 래치(20), 래치 바(21), 래치 스프링(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래치 부시(17)는 레버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는 부시 홀(36) 내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래치 부시(17)의 한쪽 단부에는 구속돌기(24)가 일체 형성되며, 이때의 구속돌기(24)가 레버 어셈블리(14)측의 구속홈(23) 내에 삽입 위치되면, 제1래치 부시(17)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래치 부시(19)는 사물함 도어(10)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 케이스(18) 상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면서 자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20)는 제2래치 부시(19)의 한쪽 단부에 일체 형성되면서 사물함 본체(12)의 문틀 받이판(13b)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20)의 경우 끝 부분이 양편 경사면을 갖는 "V"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문틀 받이판(13b)과의 접촉 시 쉽게 한쪽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래치(20)는 래치 스프링(22)의 탄력 지지에 의해 항상 한쪽으로 젖혀져 있는 자세, 예를 들면 문틀 받이판(13b)에 걸려지는 자세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물함 도어(10)를 닫게 되면, 래치(20)의 바깥쪽 끝 부분이 문틀 받이판(13b)에 간섭됨과 동시에 이때의 래치(20)는 래치 스프링(22)의 힘을 이기면서 시계방향으로 젖혀지게 되고, 계속해서 래치(20)의 끝 부분이 문틀 받이판(13b)과의 간섭을 벗어나게 되면, 이와 동시에 래치 스프링(22)의 힘에 의해 래치(20)가 재차 반시계 방향으로 젖혀져 복귀되면서 문틀 받이판(13b)에 걸려지게 된다.
반대로, 사물함 도어(10)를 열게 되면, 래치(20)의 안쪽 끝 부분이 문틀 받이판(13b)에 간섭됨과 동시에 이때의 래치(20)는 래치 스프링(22)의 힘을 이기면서 시계방향으로 젖혀지게 되고, 계속해서 래치(20)의 끝 부분이 문틀 받이판(13b)과의 간섭을 벗어나게 되면, 이와 동시에 래치 스프링(22)의 힘에 의해 래치(20)가 재차 반시계 방향으로 젖혀져 원래의 자세로 복귀된다.
상기 래치 바(21)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의 바 형태로서, 제1래치 부시(17)와 제2래치 부시(19) 사이에 양단부가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래치 바(21)는 제1래치 부시(17)와 제2래치 부시(19)를 일체식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래치 스프링(22)은 래치(20)를 항상 한쪽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래치 스프링(22)은 한쪽 끝을 통해 래치(20)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제2래치 부시(19)를 몇차례 감은 후에 다른 한쪽 끝을 통해 래치 케이스(18)측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결국 상기 래치 스프링(22)이 발휘하는 스프링 힘에 의해 래치(20)는 항상 한쪽 방향(잠금 방향)으로 젖혀져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래치 장치(15)는 래치 바(21) 등의 부품을 보호함과 더불어 사물함 도어(10)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는 한쌍의 알루미늄 압출바(43)를 포함한다.
상기 알루미늄 압출바(43)는 폭 양단부에 플랜지 부분을 가지면서 "U"자형 단면을 가지는 압출 타입의 바 형태로서, 사물함 도어(10)의 이면부에 수직 배치됨과 더불어 래치 바(21) 등을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사물함 도어(10)의 이면부에 스크류 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된다.
즉, 상기 알루미늄 압출바(43)는 래치 바(21), 제1래치 부시(17) 및 제2래치 부시(19)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 바(21) 등을 사물함 도어(10)에 설치되어 있는 알루미늄 압출바(43)의 내부에서 동작(회전)되게 함으로써, 래치 바(21) 등의 원활한 작동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래치 바(21) 등이 알루미늄 압출바(43)의 내부에서 보호받고 있기 때문에 외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 래치 바(21) 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알루미늄 압출바(43)가 사물함 도어(10)의 이면부에서 구조적인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사물함 도어(10)가 휘어지거나 훼손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물함 도어 장치에서 사물함 도어(10)의 개폐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사물함 본체(12)의 사물함 도어(10)를 닫는 경우, 사물함 도어(10)를 사물함 본체(12)측으로 밀게 되면, 사물함 도어(10)의 위아래 한쌍의 래치 장치(15)의 각 래치(20)가 사물함 본체(12)의 윗쪽과 아래쪽에 있는 문틀 받이판(13b)과의 간섭에 의해 젖혀졌다가 복원되면서 문틀 받이판(13b)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10)의 윗쪽과 아래쪽이 잠겨지게 된다.
계속해서,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를 좌측으로 밀게 되면, 레버 몸체(14a)의 록킹 바(38)가 사물함 본체(12)의 중간에 있는 문틀 받이판(13a)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10)의 중간이 잠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레버 몸체(14a)의 이동에 따라 사물함 도어(10)의 중간이 잠긴 상태에서, 래치 장치(15)의 제1래치 부시(17)의 구속돌기(24)는 레버 몸체(14a)에 있는 구속홈(23) 내로 들어가 회전이 구속되므로서, 래치 장치(15)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자물쇠(미도시) 등으로 레버 어셈블리(14)를 잠그게 되면, 사물함의 닫힘 상태가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에 의해 완벽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물함 도어 장치는 사물함 도어(10)의 개폐 시에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위아래 한쌍의 힌지 장치(16)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장치(16)는 사물함 도어측 상부 회전축(31)과 사물함 본체측 하부 고정축(29), 그리고 상부 회전축(3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34) 및 상부 회전축(31)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볼트(32)의 조합 구성을 채택하여, 사물함 도어 개폐 시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도어의 자동 닫힘 상태를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 장치(16)는 사물함 도어(10)측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 시 사물함 도어(10)와 함께 회전됨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부 회전축(31)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회전축(31)은 원통형의 형태로서, 축선을 따라 관통되는 볼트(32)에 끼워져 지지됨과 더불어 사물함 도어(10)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장치 커버(39)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위아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회전축(31)의 외주면 일측에는 회전구속용 블록(30)이 형성되고, 이때의 회전구속용 블록(30)의 양쪽 측면은 힌지 장치 커버(39)의 양쪽 내벽과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회전축(31)은 힌지 장치 커버(39)의 벽면에 걸려져 있는 회전구속용 블록(30)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되지 못함과 더불어 사물함 도어(10)와 함께 회전하면서 사물함 도어(1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회전축(31)의 저면에는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면(27b)과 수평면(28b)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경사면(27b)과 수평면(28b)은 하부 고정축(29)에 있는 경사면(27a) 및 수평면(28a)과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즉, 경사면(27a,27b)끼리 또는 경사면(27a,27b)과 수평면(28a,28b) 간에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16)는 사물함 본체(12)측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 시 상부 회전축(31)의 회전 유도를 위한 기준체 역할을 하는 하부 고정축(29)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축(29)은 원통형의 형태로서, 사물함 본체(12)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장치 베이스(40)의 상면에 수직 자세로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고정축(29)에는 축선을 따라 관통되는 홀은 물론 이때의 홀과 연통되는 저면부의 너트 안착홈(35)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홀에는 볼트(32)과 관통됨과 더불어 너트 안착홈(35)에는 너트(33)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하부 고정축(29)의 상면에는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면(27a)과 수평면(28a)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경사면(27a)과 수평면(28a)은 상부 회전축(31)에 있는 경사면(27b) 및 수평면(28b)과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즉, 경사면(27a,27b)끼리 또는 경사면(27a,27b)과 수평면(28a,28b) 간에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16)는 상부 회전축(31)과 하부 고정축(29)의 축선을 따라 관통되면서 상부 회전축(31)의 상하 이동과 회전을 안내하는 볼트(32) 및 상기 볼트(32)의 지지를 위한 너트(33)를 포함한다.
이때의 상기 볼트(32)는 상부 회전축(31)과 하부 고정축(29)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홀을 차례로 관통한 후에 힌지 장치 베이스(40)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32)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회전축(31)은 수직 자세를 취하고 있는 볼트(32)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16)는 상부 회전축(31)을 탄력 지지하는 수단, 즉 상부 회전축(31)는 상시 아래로 눌러주는 수단으로 힌지 스프링(34)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 스프링(34)은 일종의 코일 스프링으로서, 볼트(32)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상태에서 상단은 볼트(32)의 헤드부 저면에, 하단은 상부 회전축(31)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힌지 스프링(34)은 항상 상부 회전축(31)을 아래로 눌러줄 수 있게 되고, 상부 회전축(31)이 하강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팽창된 상태를, 상승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압출된 상태를 각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힌지 장치(16)는 힌지 스프링(34)의 탄성력을 가변시켜서 상부 회전축(31)를 누르는 힘, 즉 사물함 도어(10)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볼트(32)와 너트(33) 간의 체결 정도를 조절하여 힌지 스프링(34)의 탄성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사물함 도어(10)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볼트(32)를 너트(33)에 상대적으로 덜 체결하면 힌지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때의 사물함 도어(10)는 약간 헐겁게 개폐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볼트(32)를 너트(33)에 상대적으로 더 체결하면 힌지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때의 사물함 도어(10)는 약간 뻑뻑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도어 장치에서 힌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사물함 도어(10)를 닫아놓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힌지 장치(16)의 상부 회전축(31)은 하향 위치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부 회전축(31)의 경사면(27b)과 하부 고정축(29)의 경사면(27b)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있게 되며, 힌지 스프링(34)은 팽창된 상태에서 상부 회전축(31)을 아래로 누르고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사물함 도어(10)를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사용자가 사물함 도어(10)를 열게 되면, 사물함 도어(10)가 회전함과 더불어 이때의 상부 회전축(31)도 도어 열림 정도에 상응하는 회전 각도 및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 회전축(31)의 경사면(27b)이 하부 고정축(29)의 경사면(27a)을 타고 위로 미끄러져 올라가게 되므로, 이때의 상부 회전축(31) 또한 힌지 스프링(34)을 압축하면서 위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사물함 도어(10)가 열려지는 과정에서 상부 회전축(31)은 경사면(27a,27b) 간의 미끄럼 안내를 받으면서 회전 및 상승하게 되고, 상부 회전축(31)의 경사면(27b)과 연이어 있는 수평면(28b)이 하부 고정축(29)의 경사면(27a)과 연이어 있는 수평면(28a)에 올라타게 되므로서, 사물함 도어(10)가 약 180°정도 열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사물함 도어(10)의 열린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34)의 압축력에 의해 상부 회전축(31)과 하부 고정축(29)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므로서, 상부 회전축(31)의 회전이 규제되고, 결국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사물함 도어(10)를 닫지 않는 한 사물함 도어(10)의 열림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열려 있는 상태의 사물함 도어(10)를 닫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 닫힘 방향으로 사물함 도어(10)를 살짝 밀게 되면, 상부 회전축(31)의 수평면(28b)이 하부 고정축(29)의 수평면(28a)을 벋어나게 되고, 이때부터는 힌지 스프링(34)의 복원력이 작용하면서 상부 회전축(31)을 아래로 밀게 되며, 그 결과 상부 회전축(31)은 경사면(27a,27b) 간의 미끄럼 안내를 받으면서 하강 및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이때의 사물함 도어(10) 또한 닫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사물함 도어(10)를 닫을 때 힘이 덜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물함 도어(10)를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에서도 힌지 스프링(34)의 복원력과 상부 회전축(31)의 회전력에 의해 사물함 도어(10)가 완전히 닫혀질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물함 도어(10)의 전면을 누르게 되면, 위아래 한쌍의 래치 장치(15) 및 가운데의 레버 어셈블리(14)가 잠겨지면서 사물함 도어(1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윗쪽과 아래쪽의 한쌍의 래치 장치, 그리고 가운데의 레버 어셈블리의 조합을 이용한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를 채택한 새로운 도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물함 보안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도어 개폐 작동과 연계되면서 상하 동작을 유도하는 상부 회전축 및 하부 고정축, 그리고 힌지 스프링의 조합을 채택한 새로운 힌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물함 도어의 개폐 작동성 향상 및 개폐 조작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 : 사물함 도어
11 : 레버 하우징
12 : 사물함 본체
13a,13b : 문틀 받이판
14 : 레버 어셈블리
15 : 래치 장치
16 : 힌지 장치
17 : 제1래치 부시
18 : 래치 케이스
19 : 제2래치 부시
20 : 래치
21 : 래치 바
22 : 래치 스프링
23 : 구속홈
24 : 구속돌기
25 : 자물쇠 홀
26 : 자물쇠 걸이
27a,27b : 경사면
28a,28b : 수평면
29 : 하부 고정축
30 : 회전구속용 블록
31 : 상부 회전축
32 : 볼트
33 : 너트
34 : 힌지 스프링
35 : 너트 안착홈
36 : 부시 홀
37 : 바 홀
38 : 록킹 바
39 : 힌지 장치 커버
40 : 힌지 장치 베이스
41 : 레버 스프링
42a,42b : 스프링 지지체
43 : 알루미늄 압출바

Claims (6)

  1. 사물함 도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레버 하우징(11);
    상기 레버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되면서 사물함 본체(12)의 중간부에 있는 문틀 받이판(13a)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레버 어셈블리(14);
    상기 사물함 도어(10)의 이면부에 레버 하우징(11)을 가운데 두고 위아래로 나란하게 수직 배치되면서 레버 하우징(11)측에 한쪽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지지됨과 더불어 다른 한쪽은 사물함 도어(10)측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지지되고, 스프링에 의한 탄력 지지를 받으면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사물함 본체(12)의 상부와 하부에 있는 문틀 받이판(13b)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한쌍의 래치 장치(15);
    상기 사물함 도어(10)의 개폐 시에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는 위아래 한쌍의 힌지 장치(16);
    를 포함하며, 상중하 3곳의 잠금 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보안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상기 레버 어셈블리(1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구속홈(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래치 장치(15)의 제2래치 부시(19)에는 구속홈(23) 내에 걸림 가능한 구속돌기(24)가 형성되어, 레버 어셈블리(14)가 잠금 위치로 이동됨과 더불어 구속홈(23) 내에 구속돌기(24)가 위치됨으로써, 래치 장치(15)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 장치(15)는 레버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제1래치 부시(17)와, 사물함 도어(10)의 래치 케이스(1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래치 부시(19) 및 상기 제2래치 부시(19)에 일체 형성되면서 사물함 본체(12)의 문틀 받이판(13b)에 걸림 및 해제 가능한 래치(20)와, 상기 제1래치 부시(17)와 제2래치 부시(19) 사이에 연결되는 래치 바(21)와, 상기 래치(20)측과 래치 케이스(18)측에 양단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래치(20)를 항상 한쪽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래치 스프링(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하우징(11)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레버 어셈블리(14)의 레버(14b)의 이동 시 노출되어 시건장치를 걸 수 있는 자물쇠 걸이(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16)는 상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면(27a)과 수평면(28a)을 가지면서 사물함 본체(12)측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축(29)과, 저면에 연이어 형성되는 경사면(27b)과 수평면(28b), 그리고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구속용 블록(30)을 가지면서 사물함 도어(10)측에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상부 회전축(31)과, 상기 상부 회전축(31)과 하부 고정축(29)의 축선을 따라 관통되면서 상부 회전축(31)의 상하 이동과 회전을 안내하는 볼트(32) 및 상기 볼트(32)의 지지를 위한 너트(33)와, 상기 볼트(32)측과 상부 회전축(31)측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회전축(31)을 탄력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16)는 볼트(32)와 너트(33) 간의 체결 정도 조절을 통해 힌지 스프링(34)의 탄성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사물함 도어(10)의 개폐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 장치.
KR1020190162449A 2019-12-09 2019-12-09 사물함 도어 장치 KR10211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449A KR102112574B1 (ko) 2019-12-09 2019-12-09 사물함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449A KR102112574B1 (ko) 2019-12-09 2019-12-09 사물함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574B1 true KR102112574B1 (ko) 2020-05-19

Family

ID=7091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449A KR102112574B1 (ko) 2019-12-09 2019-12-09 사물함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5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79B1 (ko) * 2021-08-26 2022-01-07 주식회사 야흥금속 도어의 힌지장치
KR20220064086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집현전 안전도어가 구비된 사물함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12Y1 (ko) * 1989-07-01 1992-01-15 주문길 캐비넷 도어로크(Door Lock)
KR960013208U (ko) 1994-10-22 1996-05-17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200437756Y1 (ko) 2007-01-09 2008-01-02 이승철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883310B1 (ko) 2008-11-28 2009-02-11 주식회사 네오퍼스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100000106A (ko) * 2008-06-24 2010-01-06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사물함용 삼방향 도어록킹장치
KR20110009785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명성산업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015085B1 (ko) 2010-03-16 2011-02-16 주식회사 아이닥스 토션부를 구비하는 도어힌지
KR101034804B1 (ko) 2010-03-11 2011-05-16 주식회사 아이닥스 속도제어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200462342Y1 (ko) 2012-01-11 2012-09-06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65309B1 (ko) * 2015-06-22 2015-11-03 정재항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860363B1 (ko) 2018-04-10 2018-05-23 이승철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잠금장치가 작동되는 사물함
KR101958219B1 (ko) * 2018-10-17 2019-03-14 주식회사 야흥금속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12Y1 (ko) * 1989-07-01 1992-01-15 주문길 캐비넷 도어로크(Door Lock)
KR960013208U (ko) 1994-10-22 1996-05-17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200437756Y1 (ko) 2007-01-09 2008-01-02 이승철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100000106A (ko) * 2008-06-24 2010-01-06 하이스트 시스템 주식회사 사물함용 삼방향 도어록킹장치
KR100883310B1 (ko) 2008-11-28 2009-02-11 주식회사 네오퍼스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110009785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명성산업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034804B1 (ko) 2010-03-11 2011-05-16 주식회사 아이닥스 속도제어부를 구비한 도어힌지
KR101015085B1 (ko) 2010-03-16 2011-02-16 주식회사 아이닥스 토션부를 구비하는 도어힌지
KR200462342Y1 (ko) 2012-01-11 2012-09-06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65309B1 (ko) * 2015-06-22 2015-11-03 정재항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860363B1 (ko) 2018-04-10 2018-05-23 이승철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잠금장치가 작동되는 사물함
KR101958219B1 (ko) * 2018-10-17 2019-03-14 주식회사 야흥금속 도어 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086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집현전 안전도어가 구비된 사물함
KR102401503B1 (ko) 2020-11-11 2022-05-24 주식회사 집현전 안전도어가 구비된 사물함
KR102348279B1 (ko) * 2021-08-26 2022-01-07 주식회사 야흥금속 도어의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US5862689A (en) Drawer lock improvement
KR102112574B1 (ko) 사물함 도어 장치
US8220296B2 (en) Locking assembly hasp
US5203187A (en) Portable door lock closure
US20060225628A1 (en) Locking system for a door of an enclosure
US9771741B2 (en) Dual cam lock apparatus
WO2006094368A1 (en) Locking mechanism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20110010936U (ko) 출입문 안전장치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56039B1 (ko) 전기정 스트라이커
KR101932986B1 (ko)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JP4005954B2 (ja) スイッチボックス
GB2332019A (en) Door closure and locking
JPH1025945A (ja) 感震ロック具
JP3264476B2 (ja) 扉の自然開放防止装置
KR100530698B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RU2675228C1 (ru) Сейф
KR102145729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1059888B1 (ko) 패닉릴리즈형 도어록의 개방장치
JP3163034B2 (ja) 収納庫
KR20240066584A (ko) 비상 탈출 방범창
JP3318265B2 (ja) 扉装置
WO2017011880A1 (en) Aperture closing de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