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310B1 -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310B1
KR100883310B1 KR1020080119465A KR20080119465A KR100883310B1 KR 100883310 B1 KR100883310 B1 KR 100883310B1 KR 1020080119465 A KR1020080119465 A KR 1020080119465A KR 20080119465 A KR20080119465 A KR 20080119465A KR 100883310 B1 KR100883310 B1 KR 100883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handle
spr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퍼스
Priority to KR102008011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사물함의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구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과 이름표 삽입부를 구비하고 도어의 전면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면 판넬과; 가로방향의 중심선 상에 일측이 개구되는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 내측 벽에는 스프링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도어의 배면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락킹구 지지판과; 상,하면에 파지부가 구비되고 일측면은 트여진 형상을 가지며 배면 중앙에는 결합봉이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전면 판넬의 전면부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일단부에는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 안치홈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부에는 도어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끼워져 상기 손잡이의 결합봉에 결합된 후 볼트를 통해 손잡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형 락킹구와;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스프링 고정돌기와 가동형 락킹구의 스프링 안치홈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형 락킹구가 항상 일측부로 이동되어 도어가 닫힐 때 걸림돌기가 함체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스프링과; 전면은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의 걸림돌기 통과공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와 락킹구 지지 판을 감싸는 형태에서 도어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속이 빈 사각 함체형 커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닫는 동작은 물론 도어의 락킹 및 락킹 해제에 따른 동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모든 구성품을 다이케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잠금구로 인하여 사물함 자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사물함 자체가 주변의 각종 가구 등을 포함한 실내 장식품과 잘 어울리게 되어 사물함이 실내 인테리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 자체의 돌출이 적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컴팩트하게 형성시키므로서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걸려 부상을 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사물함, 도어, 잠금구, 손잡이, 락킹구 지지판, 락킹구, 스프링, 커버

Description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Cabinet}
본 발명은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도어를 밀어 닫을 때 도어를 미는 힘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구의 가동형 락킹구가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자동으로 끼워져 걸려 도어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필히 잠금구로부터 자물쇠를 분리하고 손잡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 자체의 돌출이 적게 함과 동시에 컴팩트하게 형성시켜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걸려 부상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 판넬 상에는 이름표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잠금구로 인하여 사물함 자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이란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개인용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설치, 사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사물함은 사각 함체의 전면에 여닫이식으로 된 도어가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에는 개폐를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와, 사용자의 이름 표를 꽂을 수 있는 이름표 꽂이가 설치되며, 함체의 측벽과 도어의 자유단 사이에는 상호 맞대어지는 자물쇠 걸이구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을 준비된 자물쇠로 체결케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사물은 통상 작은 함체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를 통해 축지된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에 형성에는 함체 내에 보관중인 비품 등의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종래 상기 잠금장치는 고정고리와 가변고리 및 영구자석과 철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물함은 각각의 작음 함체 내에 보관된 비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인 고정고리 및 가변고리가 상당한 길이 만큼 앞쪽으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그 주변을 오고 가는 다른 사용자 및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겨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팔, 다리 등의 신체가 자주 걸려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물함의 도어는 닫아 놓아도 고정고리 및 가변고리에 자물쇠를 걸어 놓기 전에는 도어가 저절로 열려 신체에 손상을 주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영구자석 등을 설치하여야하므로 비용이 증대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 제 362804호로써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몸체(11)에 손잡이 삽입구(111)를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 삽입구(111)는 깊이가 얕은 모서리의 수직면 상하부에 형성된 푸시편 삽입홀(12)(12')의 앞쪽인 수평면 상하부에 각각 힌지공(13)(13')을 형성하여 힌지축(14)으로 손잡이(15)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푸시편 삽입홀(12)(12')이 형성된 수직면 중앙에 고리(16)를 형성하여 손잡이(15)에 형성된 관통공(151)으로 끼워져 앞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 삽입구(111)의 뒤쪽에 결합된 가이드 캡(17) 내부로 스프링(18)이 개재된 가변락킹부재(19)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잠금몸체(11)의 일측에는 사용자를 표시할 수 있는 이름표 삽입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캡(17)은 패널(171)의 상하부에 각각 힌지축 누름편(172)(172')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축 누름편(172)(172') 사이의 일측에 스프링 이탈방지편(174)을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이탈방지편(174)이 마주보는 타측이 개방되어지도록 구성하며, 또 상기 가변락킹부재(19)는 스프링 안내홈(191)이 형성된 락킹부 몸체(192)의 앞쪽에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절곡된 절곡편(193)을 형성하되, 상기 절곡편(193)이 락킹부 몸체(192)의 상하단 높이에 비해 더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그 단부에 좌측으로 향하는 제 1걸림편(194)을 형성하여 세로패널(42)에 고정된 고정락킹부재(2)의 제 2걸림편(21)에 걸려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락킹부 몸체(192)의 상하단에 각각 제 2푸시편(195)(195')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걸고리가 앞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별도의 영구자석 등이 없이도 도 어를 열거나 닫아 둘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물함용 잠금장치는 각 구성품이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 형성시킴은 물론 많은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생산원가가 많이 들고, 또한 가변락킹부재에 형성된 제 1걸림편이 철판을 "ㄱ"자로 절곡 형성시킨 형태로 되어 있음에 따라 도어를 밀어 닫는 동작만으로 고정로킹부재인 제 2걸림편에 바로 걸리지 않고 손잡이를 당긴 상태에서 도어를 밀어줘야만 걸리게 되므로 도어를 락킹시키는 동작이 복잡하고, 또 도어의 락킹을 해제하거나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필이 잠금몸체에 형성된 좁은 손가락 삽입구에 손가락을 넣어 손잡이를 잡아당켜야만 하므로 도어를 열거나 로킹을 해제시키는 동작 역시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잠금장치를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할 때 도어의 일측부에 홈을 성형하고 이에 잠금장치를 끼워 넣고 하나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잠금몸체 내측 끝 부분을 고정시켜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 제 2걸림편에 걸려져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의 외측부는 도어에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도어가 락킹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잠금장치 자체가 도어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사물함의 도어를 밀어 닫을 때 도어를 미는 힘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구의 가동형 락킹구가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자동으로 끼워져 걸려 도어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열고 닫는 동작은 물론 도어의 락킹 및 락킹 해제에 따른 동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또 모든 구성품을 다이케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구로 인하여 사물함 자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물함 자체가 주변의 각종 가구 등을 포함한 실내 장식품과 잘 어울리게 되어 사물함이 실내 인테리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 자체의 돌출이 적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컴팩트하게 형성시키므로서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걸려 부상을 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은 함체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를 통해 축지된 여닫이 식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는 손잡이겸 잠금구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과 이름표 삽입부를 구비하고 도어의 전면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면 판넬과; 가로방향의 중심선 상에 일측이 개구되는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 내측 벽에는 스프링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도어의 배면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락킹구 지지판과; 상,하면에 파지부가 구비되고 일측면은 트여진 형상을 가지며 배면 중앙에는 결합봉이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전면 판넬의 전면부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일단부에는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 안치홈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부에는 도어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끼워져 상기 손잡이의 결합봉에 결합된 후 볼트를 통해 손잡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형 락킹구와;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스프링 고정돌기와 가동형 락킹구의 스프링 안치홈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형 락킹구가 항상 일측부로 이동되어 도어가 닫힐 때 걸림돌기가 함체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스프링과; 전면은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의 걸림돌기 통과공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와 락킹구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에서 도어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속이 빈 사각 함체형 커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면 판넬의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의 상,하부에는 손잡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및 제한하는 한 쌍의 손잡이 안내편을 더 돌출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 안내편의 일측부에는 자물쇠 결합공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동형 락킹구의 정면 일측부에는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 주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 내벽 저부로는 스프링 고정돌기에 결합된 스프링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받쳐주는 호형의 스프링 받침편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함의 도어 잠금구를 전면 판넬과 슬라이딩 이동형 손잡이, 락킹구 지지판, 가동형 및 고정형 락킹구, 스프링 및 커버로 형성하여 사물함의 도어를 밀어 닫을 때 도어를 미는 힘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구의 가동형 락킹구가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자동으로 끼워져 걸려 도어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도어를 열고 닫는 동작은 물론 도어의 락킹 및 락킹 해제에 따른 동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둘째 모든 구성품을 다이케스팅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잠금구로 인하여 사물함 자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넷째 사물함 자체가 주변의 각종 가구 등을 포함한 실내 장식품과 잘 어울리 게 되어 사물함이 실내 인테리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손잡이 자체의 돌출이 적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컴팩트하게 형성시키므로서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걸려 부상을 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사물함의 일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겨진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사물함의 도어가 열릴 때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작은 함체(5)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5)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61)를 통해 축지된 여닫이식 도어(6)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6)의 타측는 손잡이겸 잠금구(7)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7)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711)과 이름표 삽입부(712)를 구비하고 도어(6)의 전면 일측부에 스크류(91)를 통해 고정 설치되 는 전면 판넬(71)과;
가로방향의 중심선 상에 일측이 개구되는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721)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721) 내측 벽에는 스프링 고정돌기(722)가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도어(6)의 배면 일측부에 스크류(91)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락킹구 지지판(72)과;
상,하면에 파지부(731)가 구비되고 일측면은 트여진 형상을 가지며 배면 중앙에는 결합봉(732)이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전면 판넬(71)의 전면부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73)와;
일단부에는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74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76)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 안치홈(742)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부에는 도어(6)에 천공된 구멍(62)을 통해 끼워져 상기 손잡이(73)의 결합봉(732)에 결합된 후 볼트(92)를 통해 손잡이(73)에 일체로 고정되는 결합돌기(743)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형 락킹구(74)와;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스프링 고정돌기(722)와 가동형 락킹구(74)의 스프링 안치홈(742)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형 락킹구(74)가 항상 일측부로 이동되어 도어(6)가 닫힐 때 걸림돌기(741)가 함체(5)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에 끼워져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스프링(76)과;
전면은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 통과공(771)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와 락킹구 지지판(72)을 감싸는 형태에서 도어(6)의 배면에 스크류(91)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속이 빈 사각 함체형 커버(7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면 판넬(71)의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711)의 상,하부에는 손잡이(7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및 제한하는 한 쌍의 손잡이 안내편(713)을 더 돌출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 안내편(713)의 일측부에는 자물쇠 결합공(714)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의 정면 일측부에는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 주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홈(744)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 내벽 저부로는 스프링 고정돌기(722)에 결합된 스프링(76)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받쳐주는 호형의 스프링 받침편(72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각종 사물함의 함체(5)에 설치된 도어(6)를 선택적으로 잠금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구(7) 자체를 전면 판넬(71)과 락킹구 지지판(72), 손잡이(73), 가동형 락킹구(74), 고정형 락킹구(75), 스프링(76) 및 커버(77)로 형성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전면 판넬(71)은 다이케스팅을 통해 직사각 철판 형태로 성형하 되, 그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711)과 이름표 삽입부(712)를 구비시켜 스크류(91)를 통해 도어(6)의 이측 전면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711)의 상,하부에는 손잡이(73)가 흔들리지 않고 원활히 좌,후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73)의 좌,우 슬리이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손잡이 안내편(713)을 더 돌출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 안내편(713)의 일측부에는 자물쇠 결합공(714)을 천공하여 이에 자물쇠(8)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안내편(713)의 자물쇠 결합공(714)에 자물쇠(8)를 도 6과 같이 체결해 주게 되면 손잡이(73) 자체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방지되어 가동형 락킹구(74)이 이동이 방지되므로 도어(6)가 락킹 상태를 유지하여 열리지 않는 상태를 갖게 된다.
또,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은 철판을 사각형의 형태로 절단한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되, 가로방향의 중심선 상에 일측이 개구되는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721)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721) 내측 벽에는 스프링(76)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돌기(722)를 돌출 형성한 구성을 갖고 도어(6)의 배면 일측부에 스크류(91)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721) 내측 벽에 돌출 형성시킨 스프링 고정돌기(722)에 스프링(76)의 일단부를 단순히 결합할 경우 자체의 탄발력에 의해 스프링(76)의 일부 휘어 스프링 걸림돌기(741)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 내벽 저부에 호형의 스프링 받침편(723)을 더 형성시켜 스프링 고정돌기(722)에 결합된 스프링(76)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스프링(76)의 일부가 자체의 탄발력에 의해 휘어져 스프링 걸림돌기(7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73)는 후면이 개구되는 대략 사각 함체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으로 상,하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활히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731)가 구비되고, 일측면은 상기 손잡이(73)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전면 판넬(71)의 손잡이 안내편(713)이 원활히 출입되도록 트여진 형상을 가지며, 배면 중앙에는 사각봉 형상을 갖고 후술하는 가동형 락킹구(74)의 결합돌기(743)와 결합되는 결합봉(732)이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손잡이(73)는 상기 전면 판넬(71)의 전면부에서 가동형 락킹구(74)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가동형 락킹구(74)와 함께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6)의 외측 즉, 전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면 판넬(71)과 손잡이(73)는 그 형상이 미려하고 표면 역시 매끄러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물함 자체를 미려하게 해 주게 되므로 사물함 자체가 그 주변 각종 가구 등을 포함한 실내 장식품과 잘 어울리게 되어 사물함이 실내 인테리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손잡이(73) 자체의 돌출이 적고 걸리적거리지 않게 됨과 동시에 컴팩트하여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려 찢어지거나 팔, 다리 등의 신체에 걸려 부상을 주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상기 가동형 락킹구(74)는 일단부에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741)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76)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스프링 안치홈(742)을 형성해 주며, 전면 중앙부에는 도어(6)에 천공된 구멍(62)을 통해 끼워져 상기 손잡이(73)의 결합봉(732)에 볼트(92)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돌기(743)를 돌출 형성한 구성을 갖고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의 정면 일측부에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 주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홈(744)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볼트(92)와 결합봉(732) 및 결합돌기(743)를 통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 상기 손잡이(73)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형 락킹구(74)를 작동시킬 때 가이드 레일홈(744)에 상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 주연부가 끼워진 상태를 갖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74)가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을 따라 직선상으로 원활히 좌,우 슬라이딩 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스프링(76)는 전술한 락킹구 지지판(72)의 스프링 고정돌기(722)와 가동형 락킹구(74)의 스프링 안치홈(742)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손잡이(73)를 작동시키지 않는 통상시 상기 가동형 락킹구(74)가 스프링(76)의 탄발력에 의해 항상 일측부로 이동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도어(6)가 닫힐 때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741)가 함체(5)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77)는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전면이 개구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 통과공(771)이 천공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커버(77)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와 락킹구 지지판(72)을 감싸는 형태에서 도어(6)의 배면에 스크류(91)를 통해 고정 설치되므로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와 락킹구 지지판(72) 및 스프링(76)이 도어(6)의 배면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잠금구(7)가 설치된 사물함의 도어(6)를 밀어 닫게 되어 커버(77)의 일측면에 천공된 걸림돌기 통과공(77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741)의 경사면이 함체(5)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형 락킹구(75)의 접면부와 접촉되는 순간 상기 가동형 락킹구(74)가 스프링(76)의 탄발력을 받으며 락킹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을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걸림돌기(741)의 단부가 고정형 락킹구(75)의 측면에서 벋어나 걸림공(751)이 이르렀을 때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형 락킹구(74)가 원위치로 이동되므로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741)가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에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 도어(6)는 자동으로 락킹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물함의 도어를 타인이 열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면 판넬(71)의 손잡이 안내편(713)에 천공된 자물쇠 결합공(714)에 자물쇠(8)의 걸고리를 끼워 체결하게 되면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 손잡이(73)의 일측부가 상기 자물쇠(8)의 걸고리에 걸려 좌,우 슬라이딩 이동이 방지되므로 자물쇠(8)를 해정하고 상기 손잡이 안내편(713)의 자물쇠 결합공(714) 으로부터 자물쇠(8)를 분리시키지 않는 한 도어(6)를 열 수 없는 상태인 완벽한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구(7)의 전면 판넬(71)과 락킹구 지지판(72)은 도어(6)의 전면부와 배면부에 각각 스크류(91)를 통해 고정된 형캐를 갖고 있고, 또 상기 손잡이(73)와 가동형 락킹구(74)는 전면 판넬(71)과 락킹구 지지판(7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92)와 결합봉(732) 및 결합돌기(743)를 통해 상호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외부에서 어떠한 강한 압력이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잠금구(7)는 도어(6)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잠금구(7) 자체를 파손하고 도어(6)를 열게 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완벽한 도난 방지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6)를 닫고 자물쇠(8)를 이용하여 도어(6)를 쇄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도어(6)를 열고자 할 때에는 먼저, 자물쇠(8)의 쇄정을 해정하고 손잡이 안내편(713)으로부터 자물쇠를 분리한 다음, 손잡이(73)를 잡고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우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손잡이(73)의 슬라이딩 이동거리에 부응하여 가동형 락킹구(74)가 락깅구 지지판(72)의 결합홈(721)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에 끼워져 있던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741)가 걸림공(75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도어(6)의 락킹이 해제되는데, 이와 같이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작용이 해제된 상태에서 손잡이(73)를 전방부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도 7과 같이 도어(6)를 열게 되면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손잡이(73)를 잡고 일측으로 밀어 도어(6)의 락킹을 해제한 후 잡고 있던 손잡이(73)를 당겨 도어(6)를 연후 잡고 있던 손잡이(73)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상기 가동형 락킹구(74)를 포함하여 이에 일제로 결합된 상태를 갖는 상기 손잡이(73)는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도 6과 과 같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73)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는 전면 판넬(71)에 천공된 장방형의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711) 길이 또는 손잡이(73)의 내부에서 일측벽에 일단부가 걸지지는 손잡이 안내편(71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어지므로 설계시 이들 길이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도어의 락킹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상기 손잡이(73)는 결합봉(732)이 전면 판넬(71)의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711)의 내벽에 닿거나 손잡이(73)의 일측면 내벽이 손잡이 안내편(713)의 일측면에 닿게 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는데, 이때 물론 상기 가동형 락킹구(74)의 걸림돌기(741)는 고정형 락킹구(75)의 걸림공(751)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갖는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겨 있을 때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사물함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겨진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평 단면도.
도 7은 사물함의 도어가 열릴 때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함체 6 : 도어
61 : 힌지 62 : 구멍
7 : 잠금구 71 : 전면 판넬
711 :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 712 : 이름표 삽입부
713 : 손잡이 안내편 714 : 자물쇠 결합공
72 : 락킹구 지지판 721 :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
722 : 스프링 고정돌기 723 : 스프링 받침편
73 : 손잡이 731 : 파지부
732 : 결합봉 74 : 가동형 락킹구
741 : 걸림돌기 742 : 스프링 안치홈
743 : 결합돌기 744 : 가이드 레일홈
75 : 고정형 락킹구 751 : 걸림공
76 : 스프링 77 : 커버
771 : 걸림돌기 통과공 8 : 자물쇠
91 : 스크류 92 : 볼트

Claims (4)

  1. 작은 함체가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고, 각각의 함체 전면 개구부에는 일측이 힌지를 통해 축지된 여닫이식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의 타측는 손잡이겸 잠금구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사물함의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과 이름표 삽입부를 구비하고 도어의 전면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면 판넬과;
    가로방향의 중심선 상에 일측이 개구되는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 결합홈 내측 벽에는 스프링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도어의 배면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락킹구 지지판과;
    상,하면에 파지부가 구비되고 일측면은 트여진 형상을 가지며 배면 중앙에는 결합봉이 돌출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전면 판넬의 전면부에서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와;
    일단부에는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 안치홈이 형성되며, 전면 중앙부에는 도어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끼워져 상기 손잡이의 결합봉에 결합된 후 볼트를 통해 손잡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형 락킹구와;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스프링 고정돌기와 가동형 락킹구의 스프링 안치홈 사 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동형 락킹구가 항상 일측부로 이동되어 도어가 닫힐 때 걸림돌기가 함체의 일측 내벽에 설치된 고정형 락킹구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스프링과;
    전면은 개구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동형 락킹구의 걸림돌기 통과공이 천공된 형상을 갖고 상기 가동형 락킹구와 락킹구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에서 도어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속이 빈 사각 함체형 커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판넬의 손잡이 결합봉 통과공의 상,하부에는 손잡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 및 제한하는 한 쌍의 손잡이 안내편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 안내편의 일측부에는 자물쇠 결합공을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락킹구의 정면 일측부에는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 주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구 지지판의 결합홈 내벽 저부로는 스프링 고정돌기에 결합된 스프링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받쳐주는 호형의 스프링 받침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20080119465A 2008-11-28 2008-11-28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88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65A KR100883310B1 (ko) 2008-11-28 2008-11-28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65A KR100883310B1 (ko) 2008-11-28 2008-11-28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310B1 true KR100883310B1 (ko) 2009-02-11

Family

ID=4068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465A KR100883310B1 (ko) 2008-11-28 2008-11-28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3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154433B1 (ko) * 2011-11-17 2012-06-15 주식회사 팀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97459B1 (ko) 2012-08-27 2014-05-20 (주)하나토건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102112574B1 (ko) 2019-12-09 2020-05-19 (주)야흥금속 사물함 도어 장치
KR102312745B1 (ko) 2021-06-04 2021-10-14 주식회사 태금 원터치 잠금 개폐 기능이 내재된 사물함 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62Y1 (ko) * 2001-04-03 2001-10-10 최상화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0362804Y1 (ko) * 2004-06-21 2004-09-23 오정환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62Y1 (ko) * 2001-04-03 2001-10-10 최상화 사물함용 록킹장치
KR200362804Y1 (ko) * 2004-06-21 2004-09-23 오정환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1154433B1 (ko) * 2011-11-17 2012-06-15 주식회사 팀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97459B1 (ko) 2012-08-27 2014-05-20 (주)하나토건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잠금장치
KR102112574B1 (ko) 2019-12-09 2020-05-19 (주)야흥금속 사물함 도어 장치
KR102312745B1 (ko) 2021-06-04 2021-10-14 주식회사 태금 원터치 잠금 개폐 기능이 내재된 사물함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310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407896Y1 (ko) 사물함용 잠금구조
TWI674351B (zh) 前拉閂鎖
JP2006263439A (ja) 折り畳み式棚
KR101978907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07897Y1 (ko) 비돌출형 도어를 갖는 사물함의 잠금 구조
KR101102509B1 (ko) 사물함 손잡이
KR101860363B1 (ko)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잠금장치가 작동되는 사물함
KR20043775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83352Y1 (ko) 사물함 록킹구 잠금장치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65309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08136614A (ja) スライドステップ付きキャビネット
KR200343167Y1 (ko) 사물함
KR200445240Y1 (ko) 잠금보조장치
KR200310985Y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JP2596301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428963Y1 (ko) 소형 수제금고의 서랍개폐장치
JP2002165657A (ja) 磁石構造ロック機構
JP7177473B2 (ja) ロック装置
KR200386598Y1 (ko)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JP3066126U (ja)
JP3031911B2 (ja) 地震時ロック装置に使用するケーシングとそのケーシングを用いた収納ボックス
JP2007190297A (ja) キャビネット収納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