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986B1 -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2986B1 KR101932986B1 KR1020180102620A KR20180102620A KR101932986B1 KR 101932986 B1 KR101932986 B1 KR 101932986B1 KR 1020180102620 A KR1020180102620 A KR 1020180102620A KR 20180102620 A KR20180102620 A KR 20180102620A KR 101932986 B1 KR101932986 B1 KR 101932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knob
- housing
- cas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05B1/0046—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sliding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마주하는 방향에서 출몰 가능한 제반 구성으로 인해 해당 도어가 자동으로 완전 패쇄될 뿐 아니라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고장률을 최소화 유도하면서도 전반적인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도록 개선시킨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도어(D)에 마련된 통로(D1)의 전·후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케이스(11)(12)와, 후방케이스(12)와 접하는 사물함(1)에 부착되어 잠금을 유도하는 고정케이스(15)로 구성된 고정부(10); 전·후방케이스(11)(12)상에 좌우로 유동하게 개재되는 노브(21)와, 노브(21) 상에 유동에 따라 고정케이스(15)로 출몰하는 걸쇠(25)로 구성된 조작부(20); 후방케이스(12) 상에 노브(21)를 유동하게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 상에 노브(21)의 중앙으로 개재되어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잠금편(35)이 구성된 잠금부(30); 하우징(31)과 고정케이스(15) 상에 도어(D)의 개방과 폐쇄 구간을 안내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고정돌기(41)와 래칫돌기(45)가 구성된 안내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의 수납 용도로 활용 가능한 사물함, 책장, 캐비닛, 보관함, 각종 수납가구 등에 힌지로 결부되어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마주하는 방향에서 출몰 가능한 제반 구성으로 인해 해당 도어가 자동으로 완전 패쇄될 뿐 아니라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고장률을 최소화 유도하면서도 전반적인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도록 개선시킨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물함은 학원이나, 학교, 도서관, 스포츠센터, 대중목욕탕, 지하철역사 등에 설치되어 개인의 비품(사물)을 일정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박스형태의 보관 공간을 상·하 및 좌우로 연속 배열하여 다수가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공간마다 독립적으로 개폐시켜 보관을 유도하는 도어가 여닫이 구조로 부착된다. 여기서 도어에는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와, 함체의 측벽과 도어의 자유단 사이에 상호 맞대어지는 자물쇠 걸이구가 각각 구성된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736호 (발명의 명칭: 사물함용 도어 손잡이)를 살펴보면, 사물함 자물쇠는 사물함 도어의 자유단 전면에 고정되고, 손잡이부와 이름표 꽂이부, 자물쇠 걸이부 및 연결판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호 직각 절곡되는 일측 판부와 후방판부를 가지며 그 일측 판부가 위 본체의 연결판부에 나사 체결되고 그 후방 판부가 사물함 도어의 자유단 후면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앵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물함 자물쇠는 하나의 본체에 손잡이부와 이름표 꽂이부, 자물쇠 걸이부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미관이 우수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자물쇠 걸이부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주위를 지나는 사람과 간섭될 우려가 상당하여 상해 등을 초래할 뿐 아니라 가방이나 의복의 끈이 걸려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는 해당 사물함 자물쇠 구조가 구조적으로 취약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복잡한 구조로 제공되면서 유지 보수에 치명적인 불편과 결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반적인 도어 제반 구성을 외부로부터 은폐시켜 외부와의 간섭성을 배제할 뿐 아니라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는 노브가 함체와 더불어 자물쇠로 하여금 이중으로 잠금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물론,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자동으로 정 위치에 안내하는 구조로 개선시켜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는 사물함 상에 힌지로 부착되는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에 있어서: 위 도어에 마련된 통로의 전·후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케이스와, 위 후방케이스와 접하는 사물함에 부착되어 잠금을 유도하는 고정케이스로 구성된 고정부; 위 전·후방케이스 상에 좌우로 유동하게 개재되는 노브와, 위 노브 상에 유동에 따라 고정케이스로 출몰하는 걸쇠로 구성된 조작부; 위 후방케이스 상에 노브를 유동하게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하우징과, 위 하우징 상에 노브의 중앙으로 개재되어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잠금편이 구성된 잠금부; 위 하우징과 고정케이스 상에 도어의 개방과 폐쇄 구간을 안내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고정돌기와 래칫돌기가 구성된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위 전·후방케이스는 통로 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단에 노브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유동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고정케이스는 노브의 유동에 따라 걸쇠를 수용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하단에 래칫돌기를 수용하는 작동부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하우징은 일측에 도어의 개폐에 따라 고정케이스에 드나드는 연장편이 형성되고, 위 연장편 상에 고정돌기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고정돌기는 끼움홈을 감싸며 결합되는 브래킷의 상·하단에 일체로 돌출되고, 위 래칫돌기는 작동부스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내장되며, 위 래칫돌기와 작동부스 사이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위 전·후방케이스와 하우징은 중앙에 도어 대비 작은 소형 사물들만의 유입 내지 육안확인을 허용하는 보조통로와, 위 하우징의 후방에 보조통로를 개폐하는 보조도어로 구성된 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전반적인 도어의 손잡이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킴으로써 사물함 주위를 지나는 사람의 신체나 착용 중인 가방이나 의복과의 간섭을 차단해줌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둘째,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파지되는 노브가 함체와 더불어 자물쇠로 하여금 이중으로 잠금 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우수한 보안성을 기대할 수가 있다.
셋째,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자동으로 정 위치에 안내해줌으로써 편리한 괘·해정을 도모함과 함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폐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가 있다.
넷째, 도어가 잠금 상태더라도 소형 사물들의 유입과 더불어 보관된 사물들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사물의 보관이나 확인 시 마다 매번 도어의 괘·해정을 반복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적용된 사물함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요부를 독립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와 잠금 과정 및 사용예를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요부를 독립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개폐와 잠금 과정 및 사용예를 구성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사물의 수납 용도로 활용 가능한 사물함, 책장, 캐비닛, 보관함, 각종 수납가구 등에 힌지로 결부되어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상하 마주하는 방향에서 출몰 가능한 제반 구성으로 인해 해당 도어가 자동으로 완전 패쇄될 뿐 아니라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고장률을 최소화 유도하면서도 전반적인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도록 개선시킨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은 도 1처럼 사물을 수납하는 함체(1)상에 힌지로 부착되는 도어(D)의 개폐를 유도하는 손잡이에 관련되며, 도 2처럼 고정부(10), 조작부(20), 잠금부(30), 안내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100)다.
위 고정부(10)는 조작부(20)를 도어(D)에 부착되게 유도하는 프레임으로써, 도 2처럼 전·후방케이스(11)(12)와 고정케이스(15)로 이루어진다. 전·후방케이스(11)(12)는 도 3 및 도 4처럼 도어(D)에 마련된 통로(D1)의 전·후면을 각각 감싸며 상호 결합되고, 고정케이스(15)는 함체(1)에 부착되어 조작부(20)와 연동하여 도어(D)의 잠금을 유도한다.
여기서 전·후방케이스(11)(12)는 도 5처럼 삽입편(11a)(12a)과 유동홀(11b)(12b)이 각각 형성된다. 즉, 삽입편(11a)(12a)은 통로(D1)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진 상태로 결합을 유도하고, 유동홀(11b)(12b)은 중앙의 상단으로 후술하는 조작부(20)의 노브(21)를 전방으로 노출시켜 도어(D)의 개폐를 유도한다.
그리고 고정케이스(15)는 도 6처럼 걸림홈(15a)과 작동부스(15b)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걸림홈(15a)은 노브(21)의 유동에 따라 걸쇠(25)를 수용하고, 작동부스(15b)는 걸림홈(15a)의 상단과 하단에 안내부(40)의 래칫돌기(45)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홈(15a)과 작동부스(15b)에 관련해서는 조작부(20)와 안내부(40)와 함께 재설명하겠다.
위 조작부(20)는 도 2처럼 도어(D)상에 외부로부터 은폐된 상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도어(D)를 개폐하거나 잠금을 유도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처럼 노브(21)와 걸쇠(25)로 이루어진다. 노브(21)는 전·후방케이스(11)(12)상에 좌우로 유동하게 개재되어 도어(D)를 개폐를 유도하고, 걸쇠(25)는 노브(21)상에 유동에 따라 고정케이스(15)로 출몰하여 잠금을 유도한다.
즉, 도 10처럼 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노브(2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걸쇠(25)가 걸림홈(15a)에 삽입되면서 괘정 상태가 되고, 반대로 노브(2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걸쇠(25)가 걸림홈(15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해정 상태가 된다.
여기서 노브(21)는 도 7처럼 바 형의 걸쇠(25)의 중앙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데, 중앙 일편으로 노브(21)와 걸쇠(25)를 가로지르며 절개되어 잠금부(30)의 잠금편(31)을 수용하는 잠금홀(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홀(22)은 사용자에 의한 노브(21)의 좌우 유동에 따라 잠금편(31)을 선택적으로 노출시켜 도어(D)의 괘·해정을 유도한다.
위 잠금부(30)는 도 2처럼 도어(D)를 자물쇠로 괘·해정시켜 함체(1)를 개인화 시키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처럼 하우징(31)과 잠금편(35)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은 후방케이스(12)상에 노브(21)를 유동하게 감싸며 상호 결합되고, 잠금편(35)은 하우징(31)상에 노브(21)와 걸쇠(25)를 가로지르며 절개된 잠금홀(22)에 개재된다.
여기서 하우징(31)은 도 8처럼 일측에 도어(D)의 개폐에 따라 고정케이스(15)에 드나드는 연장편(32)이 형성되고, 연장편(32)의 외면에는 안내부(40)의 고정돌기(41)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끼움홈(32a)이 형성된다.
이때, 걸쇠(35)는 노브(21)와 인접하는 위치에 자물쇠의 연결을 유도하는 구속홀(35a)이 형성된다. 즉, 도어(D)를 괘정 시키기 위해 노브(2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연장편(32)이 잠금홀(22)로부터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자물쇠를 구속홀(35a)에 연결해 잠가두면, 노브(21)의 이동(우측)이 저지되어 해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위 안내부(40)는 도 2처럼 도어(D)의 개방과 폐쇄를 자동으로 정 위치에 안내하는 것으로, 삼각으로 경사진 고정돌기(41)와 래칫돌기(45)로 구성된다. 고정돌기(41)와 래칫돌기(45)는 도 3 및 도 4처럼 하우징(31)과 고정케이스(15)상에 도어(D)과 개방과 폐쇄구간에서 서로 맞물리게 각각 개재된다.
이러한 고정돌기(41)는 도 8처럼 끼움홈(32a)을 감싸며 결합되는 브래킷(42)의 상·하단에 일체로 돌출되고, 래칫돌기(45)는 작동부스(15b)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내장된다. 여기서 래칫돌기(45)와 작동부스(15b) 사이에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46)이 개재된다.
즉, 도 10처럼 개방된 도어(D)가 폐쇄되는 시작 지점에서 고정돌기(41)와 래칫돌기(45)가 접촉되고, 폐쇄하려는 도어(D)의 작용으로 고정돌기(41)는 래칫돌기(45)를 작동부스(15b)로 함몰시키며 걸림홈(15a)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고정돌기(41)가 래칫돌기(45)의 중간지점을 지나는 순간부터 스프링(46)의 장력에 의해 돌출하며 자동으로 도어(D)를 완전 폐쇄 상태로 유도한다.
따라서 도어(D)를 자동으로 걸림홈(15a)과 걸쇠(25)가 일치하는 완전 폐쇄 상태로 전환시켜주고 유지해 줌에 따라 노브(21)의 조작이 용이하고, 수납된 사물이나 외력에 의해 해정 상태에서 급작스러운 도어(D)의 개방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잡이는 도 2처럼 도어(D) 대비 작은 소형 사물들만의 유입 내지 육안확인을 허용하는 보조부(50)를 더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보조부(50)는 도 5 및 도 8처럼 전·후방케이스(11)(12)와 하우징(31)의 중앙에 함체(1)의 내부로 연통하는 보조통로(51)와, 하우징(31)의 후방에 보조통로(51)를 개폐하는 보조도어(5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통로(51)는 손이 통과하여 함체(1)에 수납된 사물을 쥔 상태에서는 손이 밖으로 반출될 수가 없는 크기를 가지고, 보조도어(55)는 도 11처럼 하우징(31)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경첩(56)으로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보조통로(51)를 상시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즉, 휴대폰이나 전화기 따위의 사물을 보조통로(51)로 유입시키면, 보조도어(55)는 자동으로 개방되어지고, 수납이 완료되는 즉시 보조도어(55)가 보조통로(51)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D)가 노브(21)에 의한 잠금 또는 자물쇠에 의한 괘정 상태더라도 소형 사물들의 유입과 더불어 보관된 사물들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때, 보조도어(55)는 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함체(1)의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구를 더 형성할 수도 있고,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경첩(56)을 따라 유동을 억제하는 코일스프링 또는 자석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반적인 도어의 손잡이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킴으로써 사물함 주위를 지나는 사람의 신체나 착용 중인 가방이나 의복과의 간섭을 차단해줌으로써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파지되는 노브가 함체와 더불어 자물쇠로 하여금 이중으로 잠금 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우수한 보안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과 폐쇄를 자동으로 정 위치에 안내해줌으로써 편리한 괘·해정을 도모함과 함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폐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도어가 잠금 상태더라도 소형 사물들의 유입과 더불어 보관된 사물들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사물의 보관이나 확인 시 마다 매번 도어의 괘·해정을 반복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1: 함체 D: 도어
D1: 통로 10: 고정부
11: 전방케이스 12: 후방케이스
11a, 12a: 삽입편 11b, 12b: 유동홀
15: 고정케이스 15a: 걸림홈
15b: 작동부스 20: 조작부
21: 노브 22: 잠금홀
25: 걸쇠 30: 잠금부
31: 하우징 32: 연장편
32a: 끼움홈 35: 잠금편
35a: 구속홀 40: 안내부
41: 고정돌기 42: 브래킷
45: 래칫돌기 46: 스프링
50: 보조부 51: 보조통로
55: 보조도어 56: 경첩
100: 손잡이
D1: 통로 10: 고정부
11: 전방케이스 12: 후방케이스
11a, 12a: 삽입편 11b, 12b: 유동홀
15: 고정케이스 15a: 걸림홈
15b: 작동부스 20: 조작부
21: 노브 22: 잠금홀
25: 걸쇠 30: 잠금부
31: 하우징 32: 연장편
32a: 끼움홈 35: 잠금편
35a: 구속홀 40: 안내부
41: 고정돌기 42: 브래킷
45: 래칫돌기 46: 스프링
50: 보조부 51: 보조통로
55: 보조도어 56: 경첩
100: 손잡이
Claims (6)
- 사물을 수납하는 함체(1)상에 힌지로 부착되는 도어(D)의 개폐를 유도하되,
도어(D)에 마련된 통로(D1)의 전·후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케이스(11)(12)와, 후방케이스(12)와 접하는 사물함(1)에 부착되어 잠금을 유도하는 고정케이스(15)로 구성된 고정부(10);
전·후방케이스(11)(12) 상에서 좌우로 유동하는 노브(21)와, 노브(21)의 좌우 유동에 의해 고정케이스(15)로 출몰하는 걸쇠(25)로 구성된 조작부(20);
후방케이스(12) 상에 노브(21)를 유동하게 감싸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 상에 노브(21)의 중앙으로 개재되어 노브 유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잠금편(35)이 구성된 잠금부(30);
하우징(31)과 고정케이스(15) 상에 도어(D)의 개방과 폐쇄 구간을 안내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고정돌기(41)와 래칫돌기(45)가 구성된 안내부(40);
로 구성되고,
위 하우징(31)은 일측에 도어(D)의 개폐에 따라 고정케이스(15)에 드나드는 연장편(32)이 형성되고,
위 연장편(32) 상에는 고정돌기(41)와의 결합을 유도하는 끼움홈(32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위 전·후방케이스(11)(12)는 통로(D1) 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호 끼워지는 삽입편(11a)(12a)이 형성되고, 상단에 노브(21)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유동홀(11b)(12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위 고정케이스(15)는 노브(21)의 유동에 따라 걸쇠(25)를 수용하는 걸림홈(15a)이 형성되고, 상·하단에 래칫돌기(45)를 수용하는 작동부스(15b)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위 고정돌기(41)는 끼움홈(32a)을 감싸며 결합되는 브래킷(42)의 상·하단에 일체로 돌출되고,
위 래칫돌기(45)는 작동부스(15b)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내장되고,
위 래칫돌기(45)와 작동부스(15b) 사이에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46)이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위 전·후방케이스(11)(12)와 하우징(31)은 중앙에 도어(D) 대비 작은 소형 사물들만의 유입 내지 육안확인을 허용하는 보조통로(51)와, 하우징(31)의 후방에 보조통로(51)를 개폐하는 보조도어(55)로 구성된 보조부(50)를 더 포함하는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620A KR101932986B1 (ko) | 2018-08-30 | 2018-08-30 |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620A KR101932986B1 (ko) | 2018-08-30 | 2018-08-30 |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2986B1 true KR101932986B1 (ko) | 2018-12-28 |
Family
ID=6500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2620A KR101932986B1 (ko) | 2018-08-30 | 2018-08-30 |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298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6490B1 (ko) * | 2022-07-25 | 2022-12-12 | 박태순 | 캐비닛 잠금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039B1 (ko) * | 2011-10-13 | 2013-02-12 | 최규수 | 사물함용 록킹장치 |
KR101570086B1 (ko) * | 2014-11-20 | 2015-11-19 | 장근대 | 사물함 잠금장치 |
-
2018
- 2018-08-30 KR KR1020180102620A patent/KR1019329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2039B1 (ko) * | 2011-10-13 | 2013-02-12 | 최규수 | 사물함용 록킹장치 |
KR101570086B1 (ko) * | 2014-11-20 | 2015-11-19 | 장근대 | 사물함 잠금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6490B1 (ko) * | 2022-07-25 | 2022-12-12 | 박태순 | 캐비닛 잠금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4581B1 (ko) |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 |
US10641011B2 (en) | Bag and bracket assembly for a bag | |
KR101011262B1 (ko) |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 |
KR101932986B1 (ko) |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 |
US20180142497A1 (en) | Door lock | |
KR100883310B1 (ko) |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 |
KR100533742B1 (ko) | 사물함의 잠금장치 | |
KR102112574B1 (ko) | 사물함 도어 장치 | |
US6238030B1 (en) | Hollow-door closet | |
KR101958223B1 (ko) |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 |
KR101983647B1 (ko) | 액세서리 보관함 | |
KR200331590Y1 (ko) | 가구의 비밀서랍 구조 | |
KR200445240Y1 (ko) | 잠금보조장치 | |
KR102145729B1 (ko) |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 |
KR101279556B1 (ko) |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 |
KR20110009785A (ko) |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 |
KR200386598Y1 (ko) |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 |
KR102659785B1 (ko) |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 |
KR102439160B1 (ko) | 사물함 잠금장치 | |
KR200451886Y1 (ko) |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 |
KR102145725B1 (ko) |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 |
KR100641327B1 (ko) | 슬림형 금고 | |
KR102139371B1 (ko) |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 |
KR20050026444A (ko) |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 |
KR102202097B1 (ko) | 사물함용 잠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