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86Y1 -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86Y1
KR200451886Y1 KR2020080003117U KR20080003117U KR200451886Y1 KR 200451886 Y1 KR200451886 Y1 KR 200451886Y1 KR 2020080003117 U KR2020080003117 U KR 2020080003117U KR 20080003117 U KR20080003117 U KR 20080003117U KR 200451886 Y1 KR200451886 Y1 KR 200451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er
opening
receiving member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186U (ko
Inventor
권양섭
Original Assignee
권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양섭 filed Critical 권양섭
Priority to KR2020080003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8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수용절개홈이 형성된 개폐문을 사물함 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이 개폐문의 수용절개홈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홈과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과 후면에 형성된 체결편홀이 구비된 자물쇠 수용부재와, 이 사물함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편과 이 베이스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체결공을 갖고 절곡 형성된 전반부가 체결편홀을 통해 돌출되어 자물쇠 수용부재 내부에서 자물쇠가 체결되도록 하는 자물쇠 체결편이 구비된 자물쇠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사물함, 잠금장치, 개폐문, 자물쇠 수용부재, 자물쇠 체결부재

Description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cabinet}
본 고안은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물쇠와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행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의 공공장소에는 개인용 사물함이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사물함의 전면에는 여닫이 식으로 된 도어를 설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여닫이식 도어의 전면에는 도어의 개폐를 쉽게 하는 손잡이와, 사용자의 이름표를 꽂을 수있는 이름표 꽂이가 설치되며, 함실의 측벽과 도어의 자유단에 상호 맞대어지는 자물쇠 걸이구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을 준비된 자물쇠로 체결케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개인용 사물함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8-00154호(2008.02.11) "사물함용 잠금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통상 의 사물함 본체(1)에서 힌지(2) 핀을 기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개폐문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전면브라켓 및 후면브라켓과, 이 전면브라켓과 후면브라켓 상간으로 연통되도록 개폐문에 형성되는 개구와, 전면브라켓 일측으로 일체 형성되는 명패수납부와 손잡이 및 크랭크형 안내공과 자물쇠결합공 및, 후면브라켓에 형성된 슬라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스프링에 탄력설치되는 슬라이드록커와, 이 슬라이드록커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개폐문상에 연통되는 개구 및 전면브라켓상의 안내공을 통해 전면으로 노출되어 단부에 자물쇠결합공을 갖는 록킹레버와, 슬라이드록커가 록킹작동을 위해 진입되도록 본체에 형성되는 록킹홀과, 슬라이드록커가 록킹홀에 진입 시 록킹레버 상의 자물쇠결합공과 전면브라켓상의 자물쇠결합공이 일치되면서 자물쇠로 잠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잠금을 이중으로 행할 수 있어 사물함 내부에 수납된 물품의 도난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자물쇠 체결수단과 이에 체결되는 자물쇠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보행자가 통행시 자물쇠 체결수단과 자물쇠에 부딪혀 다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자물쇠와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행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측에 수용절개홈이 형성된 개폐문을 사물함 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이 개폐문의 수용절개홈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홈과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과 후면에 형성된 체결편홀이 구비된 자물쇠 수용부재와, 이 사물함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편과 이 베이스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체결공을 갖고 절곡 형성된 전반부가 체결편홀을 통해 돌출되어 자물쇠 수용부재 내부에서 자물쇠가 체결되도록 하는 자물쇠 체결편이 구비된 자물쇠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자물쇠 수용부재와 자물쇠 체결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다.
둘째, 자물쇠 수용부재의 레일홈 일측벽을 타측벽 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미관의 수려함을 유지하면서도 자물쇠 수용부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채용된 자물쇠 수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채용된 자물쇠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채용된 자물쇠 수용부재의 변형 실시예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1)는 자물쇠 수용부재(10)와 자물쇠 체결부재(20)를 포함한다.
자물쇠 수용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 몸체(200)에 개폐가능하게 결합 된 개폐문(300)의 수용절개홈(300a)에 결합 되어 후술할 자물쇠 체결부재(20)와 자물쇠(40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10)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직사각형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다. 이 자물쇠 수용부재(1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홈(11)이 형성된다. 이 레일홈(11)은 자물쇠 수용부재(10)가 개폐문(300)의 수용절개홈(300a)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 레일홈(11)의 일측벽 바람직하게는 도 2를 기준으로 후면벽은 전면벽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레 일홈(11)의 후면벽을 통해 자물쇠 수용부재(10)가 개폐문(30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의 수려함을 유지함과 더불어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10)의 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2)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12)은 자물쇠(400)를 잠그거나 열 때 사용자가 자물쇠(40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물쇠 수용부재(10)의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이 절개홈(12)은 손잡이의 역할도 한다.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10)의 후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긴 직사각형 형상의 체결편홀(13)이 형성된다. 이 체결편홀(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체결편(22)의 일측이 자물쇠 수용부재(1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10)의 전면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표시부(14)가 형성된다. 이 번호표시부(14)는 홈 형상 등으로 되었지만 다른 공지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가 자물쇠 수용부재(10)의 전면 타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부착부(15)가 형성된다. 이 이름부착부(15)는 홈 형상으로 되었지만 번호표시부(14)와 마찬가지로 다른 공지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이름부착부(15)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수용부재(10)의 일측에 돌출부(15a)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15a)에 설치할 수 있다.
자물쇠 체결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 몸체(200)의 내벽 일측에 나사나 리벳 등의 공지된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편(21)과, 이 베이스편(2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힌지 결합되는 자물쇠 체결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물쇠 체결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편(21)에 바람직하게는 힌지 결합되는 후반부(22a)와, 이 후반부(22a)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체결공(22ba)을 갖고 절곡 형성된 전반부(22b)로 구성된다.
상기 자물쇠 체결편(22)은 베이스편(21)을 축으로 좌우(도 3 기준)로 회동되며, 체결공(22ba)이 형성된 전반부(22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수용부재(10) 내부로 삽입되고, 이 전반부(22b)에 자물쇠(400)가 고정된다. 전술한 전반부(22b)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부(22b)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체결편홀(13)에 정확히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1)의 작용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열려 있는 개폐문(300)을 잠그는 경우 자물쇠 체결편(22)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사물함 몸체(200)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자물쇠 수용부재(10)의 체결편홀(13)을 통해서 자물쇠 체결편(22)이 관통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300)을 닫는다. 그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2)을 통해서 자물쇠(400)를 자물쇠 체결편(22)에 고정한다. 개폐문(300)을 열려고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순서의 역으로 하면 된다.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자물쇠 체결부재(120)의 전반부(122b)를 절곡 형성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하면 개폐문(300)을 열었을 때 자물쇠 체결편(122)이 베이스편(21)에 포개질 수 있으므로 사물함 몸체(200)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채용된 자물쇠 수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채용된 자물쇠 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와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채용된 자물쇠 수용부재의 변형 실시예,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10,10' : 자물쇠 수용부재
11 : 레일홈 12 : 절개홈
13 : 체결편홀 14 : 번호표시부
15 : 이름부착부 15a: 돌출부
20,120 : 자물쇠 체결부재 21 : 베이스편
22,122 : 자물쇠 체결편 22a : 후반부
22b,122b : 전반부 22ba : 체결공
200 : 사물함 몸체 300 : 개폐문
300a : 수용절개홈 400 : 자물쇠

Claims (6)

  1. 일측에 수용절개홈이 형성된 개폐문을 사물함 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수용절개홈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홈과,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과, 후면에 형성된 체결편홀이 구비된 자물쇠 수용부재; 및
    상기 사물함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편과, 상기 베이스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체결공을 갖고 절곡 형성된 전반부가 상기 체결편홀 통해 돌출되어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 내부에서 자물쇠가 체결되도록 하는 자물쇠 체결편이 구비된 자물쇠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2. 일측에 수용절개홈이 형성된 개폐문을 사물함 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수용절개홈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홈과,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과, 후면에 형성된 체결편홀이 구비된 자물쇠 수용부재; 및
    상기 사물함 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편과, 상기 베이스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전반부가 상기 체결편홀 통해 돌출되어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 내부에서 자물쇠가 체결되도록 하는 자물쇠 체결편이 구비된 자물쇠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의 일측에는 번호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의 일측에는 이름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의 레일홈 일측벽은 타측벽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수용부재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이름부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KR2020080003117U 2008-03-10 2008-03-10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KR200451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17U KR200451886Y1 (ko) 2008-03-10 2008-03-10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17U KR200451886Y1 (ko) 2008-03-10 2008-03-10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86U KR20090009186U (ko) 2009-09-15
KR200451886Y1 true KR200451886Y1 (ko) 2011-01-17

Family

ID=4153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17U KR200451886Y1 (ko) 2008-03-10 2008-03-10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434B1 (ko) * 2020-12-24 2021-08-04 (주) 투템디자인 안전 잠금장치를 갖는 사물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38A (ko) * 2002-11-12 2004-05-20 백성기 습식 마늘박피장치
KR20040043698A (ko) * 2002-11-16 2004-05-24 곽양진 조립식건축의 다 기능 판넬
KR20040065599A (ko) * 2003-01-15 2004-07-23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551094B1 (ko) * 2005-09-07 2006-02-09 주식회사 리바트 사물함
KR200442038Y1 (ko) 2007-12-28 2008-10-01 김두철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43698Y1 (ko) 2008-01-04 2009-03-11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38A (ko) * 2002-11-12 2004-05-20 백성기 습식 마늘박피장치
KR20040043698A (ko) * 2002-11-16 2004-05-24 곽양진 조립식건축의 다 기능 판넬
KR20040065599A (ko) * 2003-01-15 2004-07-23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551094B1 (ko) * 2005-09-07 2006-02-09 주식회사 리바트 사물함
KR200442038Y1 (ko) 2007-12-28 2008-10-01 김두철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43698Y1 (ko) 2008-01-04 2009-03-11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86U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US10881235B1 (en) Combination outdoor furniture and locking package storage
US6588655B2 (en) Non-contact food pass
KR200451886Y1 (ko)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KR100533742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43698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37756Y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110131021A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47622Y1 (ko) 사물함의 개폐문 록킹장치
KR200431854Y1 (ko) 비돌출형 사물함의 잠금장치
US20210244191A1 (en) Combination Outdoor Furniture and Locking Package Storage and Ice Chest
KR101932986B1 (ko)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KR20110009785A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JP3591780B2 (ja) 引戸扉のロック構造
KR102145725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71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367509Y1 (ko) 매립형 손잡이가 구비된 사물함 도어 잠금장치
KR102139374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29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KR200399357Y1 (ko) 사물함의 도어 구조
KR102145733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200311022Y1 (ko) 조립식 사물함용 이름꽂이 겸용 도어 잠금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2

Effective date: 201011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