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374B1 -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374B1
KR102139374B1 KR1020200016078A KR20200016078A KR102139374B1 KR 102139374 B1 KR102139374 B1 KR 102139374B1 KR 1020200016078 A KR1020200016078 A KR 1020200016078A KR 20200016078 A KR20200016078 A KR 20200016078A KR 102139374 B1 KR102139374 B1 KR 10213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oor
main body
pressing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20001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8Hasp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05C19/063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적절하게 가늠 내지 제어하는 제반 구성으로부터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며, 고정 타입으로 일관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어의 운용 과정에서 락킹 가능한 제반 구성이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는 등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하고, 아울러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개구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와,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본체로부터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수평 이동하는 도어의 위치 설정에 의해 본체(10) 내부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내부에 위치한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여 위치 전환되게 유도하는 락킹유도부(50); 토션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하여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되고, 본체를 기점으로 일측이 선회 이동되는 도어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토션 탄성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외부로의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의 은폐 여부가 조절되는 락킹조절부(40); 락킹조절부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의 위치 고정 및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제어 내지 결정하기 위한 가압유닛(4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납가구용 잠금장치{The lock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본 발명은 캐비닛, 사물함, 서랍, 락카 등 대상물의 수납이 허용되는 모든 형태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한 잠금장치의 기술사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타입으로 일관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어의 운용 과정에서 락킹 가능한 제반 구성이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는 등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하고, 아울러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쇼핑몰 또는 지하철 구내 등의 공공장소에는 개인의 사물을 일정기간 동안 보관해 둘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사물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물함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이 타인에 의해 도난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통상의 사물함은 육면체 등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물함 본체와, 본체의 전면 중 어느 일면과 힌지 결합되면서 본체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게 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는 해당 크기가 사물함의 입구보다 넓은 돌출형 도어와, 사물함의 입구보다 약간 작거나 거의 동일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연부가 사물함의 입구 내부로 들어가 은폐되는 비돌출형 도어가 있으며, 상기 도어의 종류에 따라 적용되는 잠금 구조 또한 상이하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돌출형 도어에 설치된 기존 잠금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사물함의 내벽과 도어에 각각 돌출된 형태의 로킹편을 설치하고, 이러한 로킹편을 이용하여 자물쇠 등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이 사물함과 도어에 로킹편이 설치되는 경우 로킹편이 상당한 길이만큼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와 부딪히거나 옷이 걸리는 등 외부 요인과 간섭될 우려가 상당하므로 안전상의 문제와 함께 파손의 문제가 초래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1126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896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적절하게 가늠하게 하는 구조적 특성을 제안하여 도어의 인출 범위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조절되는 위치 가변 타입의 잠금수단을 보유한 수납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락킹조절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은폐되게 함으로써 안전상의 위험과 파손의 위험을 동시 해소할 수 있는 위치 가변 타입의 잠금수단을 보유한 수납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사물함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위치 가변 타입의 잠금수단을 보유한 수납가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도어의 위치 제어 정확성과 가변형 잠금수단을 보유한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는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개구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와,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본체로부터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수평 이동하는 도어의 위치 설정에 의해 본체(10) 내부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내부에 위치한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여 위치 전환되게 유도하는 락킹유도부(50); 토션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하여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되고, 본체를 기점으로 일측이 선회 이동되는 도어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토션 탄성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외부로의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의 은폐 여부가 조절되는 락킹조절부(40); 락킹조절부 내부로 인입되는 도어의 위치 고정 및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제어 내지 결정하기 위한 가압유닛(4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48)은 탄성체(48-7)를 기반으로 한 상하 요동 움직임에 의해 도어의 위치 고수 또는 수평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잠금수단(30)은 본체(10)를 기점으로 수평 선회 이동하는 도어(20)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외부로의 인출 여부가 결정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조절부(40)는 탄성체(48-7)에 의해 상하 요동하는 가압유닛(48)이 커버판(41)과 수용판(42)을 수단으로 더 개재되고, 상기 가압유닛(48)은 커버판에 의해 가압되면서 커버판의 일측으로 단부가 노출되어 도어(20)의 위치 고수 내지 수평 이동을 관장하며, 상기 락킹유도부(50)는 가압유닛에 대응하는 거치프레임(55)을 더 형성하여 도어의 선회 운용에 의해 가압유닛과 중첩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48)은 설정 범위 내에서 양측 단부의 간극이 가변되는 가압블록(48-1); 가압블록 하단에서 삼각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거치프레임(55)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면서 도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압면(48-2); 탄성체(48-7)의 삽입 개재를 위하여 가압블록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결합대(48-3); 결합대를 수단으로 끼움 개재되어 커버판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체(48-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55)은 가압유닛의 가압면(48-2)과 대응한 형상의 삽지면(55-1)이 절곡 형성됨으로써 가압블록(48-1)과 삽지면이 서로 중첩됨에 기인하여 도어(20)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가압블록의 상하 신축 요동에 기인하여 삽지면(55-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도어의 수평 위치 전환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서로 대응한 형상과 크기로 일체화되는 커버판(41)과 수용판(42); 수용판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지지체(43); 지지체 상에 안착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락킹유도부(50)에 의한 후단 가압으로 선회하면서 선단의 위치 전환이 유도되는 회동링크(44); 회동링크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삽지홀(49) 내부에 개재되고 측 방향에 대한 신축성에 기인하여 회동링크 후단의 구속 여부가 결정되면서 회동링크의 탄력적인 위치 전환을 유도하는 토션 탄성체(43-1);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회동링크의 후단 가압을 위해 락킹유도부가 인입되게 허용하는 진입부(45);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토션 탄성체에 의해 후단이 제어된 회동링크의 선단이 선회하여 락킹유도부 측으로 인출되게 허용하는 출입부(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유도부(50)는 도어(20) 외면의 측단에서 취급 가능한 설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1) 및 고정프레임에 대응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서 고정프레임과 일체화되는 고정판재(51-1)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만곡 처리한 절개면(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재(51-1)는 본체(10) 내부와의 소통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인입홀(53) 및 본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는 가압돌부(54)로 구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링크(44)는 V자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토션 탄성체(43-1)에 의한 가압 여부로 전후 반전된 움직임이 유도되는 바디(44-1); 바디의 편심에서 지지체(43)에 결부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는 중앙홀(44-2); 바디 선단에서 자물쇠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고 락킹유도부(50)에 형성한 인입홀(53)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락킹홀(44-3); 락킹유도부에 의해 위치 전환되면서 설정 경로에 위치한 토션 탄성체를 삽입 개재하여 회동링크 후단을 고정되게 하는 요홈(4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30)은 본체(10) 선단과 도어(20)의 상호 중첩 시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위치 전환되어 도어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수평 이동하는 도어의 위치 설정에 의해 본체(10) 내부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내부에 위치한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여 위치 전환되게 유도하는 락킹유도부(50); 본체 내부로 진입되는 락킹유도부로 인해 일측 가압에 의한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면서 락킹유도부 전방에 대해 자물쇠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인출되는 락킹조절부(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링크(44)는 연질 소재의 보호구(44-9)가 더 끼움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고, 위 보호구(44-9)는 락킹홀(44-3) 천공으로 인해 손실된 무게 보상 및 외부와의 간섭 시 손상 방지를 위하여 회동링크 선단에서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판(42)은 회동링크(44)의 정위치 전환 시 후방으로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49)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함을 비롯한 캐비닛, 서랍, 락카 등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 충족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잠금장치락킹유도부의 이동성에 관여하는 락킹조절부의 제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고정 타입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도어의 선회 운용 과정에서 락킹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은폐 혹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킹조절부를 구성함에 있어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물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락킹유도부 및 락킹조절부의 체결 과정 및 그 실시 양태를 순차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사물함, 서랍, 락카 등 대상물의 수납이 허용되는 모든 형태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한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고정 타입으로 일관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도어의 운용 과정에서 락킹 가능한 제반 구성이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는 등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하고, 아울러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외부로의 이출입이 허용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는 도어의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락킹조절부(4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은폐되게 함으로써 안전상의 위험과 파손의 위험을 동시 해소하는데 기여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가구용 잠금장치(100)는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수평 선회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과,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으로 구성하되, 본체(10)를 기점으로 수평 선회 이동하는 도어(20)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잠금수단(30)의 외부 인출 여부가 결정되게 구성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 본체(10)와 도어(20)는 공지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잠금수단을 채용함에 있어 여닫이 방식에 기반하고 있지만, 기타 수평 이동하는 도어 상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잠금수단(30)은 본체(10) 선단과 도어(20)의 상호 중첩 시 본체 내부에서 외부로 위치 전환되어 도어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어의 수평 이동은 결국 잠금수단의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작용하여 별도의 수단이나 장치 없이도 간편하게 사물함의 잠금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에 비해 탁월하고 차별화된 기능과 효과를 부여한다.
기존에는 사물함과 도어에 잠금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해당 잠금수단이 고정 타입으로 상당한 길이만큼 전면 돌출되기 때문에 신체와 부딪히거나 옷이 걸리는 등 외부 요인과 간섭될 우려가 상당하였고, 돌출된 요소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를 위해하거나 기타 사물이 쉽게 간섭되는 등 크고 작은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수평 이동하는 도어의 위치 설정에 의해 본체(10) 내부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내부에 위치한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여 위치 전환되게 유도하는 락킹유도부(50)와, 본체 내부로 진입되는 락킹유도부로 인해 일측 가압에 의한 선회 움직임이 보장되면서 락킹유도부 전방에 대해 자물쇠 체결이 가능한 형태로 인출되는 락킹조절부(40)로 구분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락킹조절부(40)는 토션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하여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되고, 본체를 기점으로 일측이 선회 이동되는 도어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토션 탄성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외부로의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의 은폐 여부가 조절된다.
상기 락킹유도부(50)는 전술한 것처럼 도어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되고, 도어 개방에 의해 본체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재차 해당 도어를 닫게 되면 자연스럽게 본체와 중첩되면서 소기의 기능이 발휘된다.
즉 이러한 락킹유도부(50)는 추후 기술할 락킹조절부(40)와 서로 긴밀하게 작용하여 하나의 잠금수단(30)으로 기능 발휘되는바, 락킹조절부의 위치 전환을 도모하기 위하여 락킹유도부에 다음과 같은 제반 구성이 요구된다.
상기 락킹유도부(50)는 도어(20) 외면의 측단에서 취급 가능한 설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1) 및 고정프레임에 대응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서 고정프레임과 일체화되는 고정판재(51-1)로 구분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만곡 처리한 절개면(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재(51-1)는 본체(10) 내부와의 소통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인입홀(53) 및 본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는 가압돌부(54)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은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락킹조절부(40)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정프레임(51)은 주지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이 손쉽게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절개면(52)으로 구축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판재(51-1)의 선단으로는 소정 크기의 인입홀(53)을 관통 천공함으로써 락킹조절부의 회동링크(44)가 간섭없이 출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재(51-1) 상에 형성한 가압돌부(54)는 락킹조절부의 위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구성으로, 도면과 같이 락킹유도부(50)의 외측 일면에서 본체 방향으로 설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바, 도어 이동에 의한 락킹유도부의 위치 가변만으로 억지스럽지 않게 락킹조절부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회동링크의 후단을 진행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락킹유도부(50)와 대응하는 구성의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서로 대응한 형상과 크기로 일체화되는 커버판(41)과 수용판(42)과, 수용판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지지체(43)와, 지지체 상에 안착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락킹유도부(50)에 의한 후단 가압으로 선회하면서 선단의 위치 전환이 유도되는 회동링크(44)와, 회동링크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삽지홀(49) 내부에 개재되고 측 방향에 대한 신축성에 기인하여 회동링크 후단의 구속 여부가 결정되면서 회동링크의 탄력적인 위치 전환을 유도하는 토션 탄성체(43-1)와,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회동링크의 후단 가압을 위해 락킹유도부가 인입되게 허용하는 진입부(45)와,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토션 탄성체에 의해 후단이 제어된 회동링크의 선단이 선회하여 락킹유도부 측으로 인출되게 허용하는 출입부(46)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판(41)과 수용판(42)은 서로의 조합으로 함체 형상의 단일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후술할 제반 구성들을 적절히 위치 정렬한다.
또한, 이러한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인해 락킹유도부(50)와 인접하는 일면에는 진입부(45)와 출입부(46)가 설정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진입부(45)는 락킹유도부의 가압돌부(54) 위치에 대응한 영역에 형성하여 도어 이동 시 가압돌부의 내부 인입을 허용하고, 출입부(46) 역시 회동링크(44)가 선회하면서 외부로 인출되는 수단인만큼 락킹유도부의 인입홀(53)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삽지홀(49)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3) 주변에서 회동링크(44)의 작동 반경을 고려하여 수평 제공되고, 그 심도는 토션 탄성체(43-1)의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토션 탄성체(43-1)는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곡된 중심 부위가 삽지홀(49)로부터 설정 거리 돌출되게 위치되는바, 이로 인해 회동링크의 수평 선회 시 자연스럽게 토션 탄성체를 경유하면서 회동링크에 천공한 요홈(44-4)으로 해당 토션 탄성체의 돌출 부위가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판(42)은 회동링크(44)의 정위치 전환 시 후방으로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49)가 더 구성될 수 있는데, 해당 스토퍼는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 적정 수준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상 내지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지지체(43)는 도면에 도시한 형상일 수 있으며, 회동링크(44)를 개재한 상태에서 커버판(41)과 수용판(42)이 서로 결부됨에 따라 해당 회동링크의 이탈을 적극 방지하면서 위치 구속한다.
예컨대 이러한 지지체(43)에는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는 토션 탄성체(43-1)를 더 개재하여 회동링크(44)와 연결 형성함으로써 가압해지 시 자체 보유한 복원력에 의해 회동링크가 정위치로 전환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링크(44)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잠금수단의 주요 구성으로, 설정 형상의 바디(44-1)로 이루어져 가압 여부에 따라 자연스럽게 위치 전환되면서 사물함의 잠금 여부를 구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동링크(44)는 상기 회동링크(44)는 V자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토션 탄성체(43-1)에 의한 가압 여부로 전후 반전된 움직임이 유도되는 바디(44-1)와, 바디의 편심에서 지지체(43)에 결부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는 중앙홀(44-2)과, 바디 선단에서 자물쇠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고 락킹유도부(50)에 형성한 인입홀(53)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락킹홀(44-3)과, 락킹유도부에 의해 위치 전환되면서 설정 경로에 위치한 토션 탄성체를 삽입 개재하여 회동링크 후단을 고정되게 하는 요홈(44-4)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중앙홀(44-2)은 바디의 중심이 아닌 요홈(44-4) 측으로 치우쳐진 설정 위치에서 관통 천공되는데, 이는 회동링크(44)의 편심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중앙홀(44-2)은 지지체(43)를 수단으로 끼움 고정되면서 회동링크의 위치 고수에 기여하고, 지지체에 구속된 회동링크의 회전 효율성 제고와 함께 보다 나은 위치 선정에 기여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락킹조절부(40)는 탄성체(48-7)에 의해 상하 요동하는 가압유닛(48)이 커버판(41)과 수용판(42)을 수단으로 더 개재되고, 상기 가압유닛(48)은 커버판에 의해 하향 가압되면서 수용판의 하측으로 단부가 노출되며, 상기 락킹유도부(50)는 가압유닛에 대응하는 거치프레임(55)을 더 형성하여 도어의 슬라이드 운용에 의해 가압유닛과 중첩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가압유닛(48)은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적절하게 가늠하게 하는 제반 구성으로, 도어의 인입 범위 제한은 물론 비잠금 상태에서도 도어가 본체로부터 예기치 않게 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가압유닛(48)은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판(42)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상태로 보존되고, 도어 이동에 의해 거치프레임(55)과 간섭되면서 거치프레임 상에 수용되거나 또는 탄성체(48-7)가 보유한 설정 범위 내에서의 상하 요동으로 거치프레임으로부터 가압유닛의 이탈을 쉽게 허용하는바, 도어의 슬라이드 운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범위 내에서 가용된다.
이때 상기 가압유닛(48)은 설정 범위 내에서 양측 단부의 간극이 가변되는 가압블록(48-1)과, 가압블록 하단에서 삼각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거치프레임(55)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면서 도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압면(48-2)과, 탄성체(48-7)의 삽입 개재를 위하여 가압블록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결합대(48-3)와, 결합대를 수단으로 끼움 개재되어 커버판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탄성체(48-7)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블록(48)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일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형상에 국한하는 것이 아닌 측부로의 간극 가변 내지 탄성, 그리고 거치프레임(55) 상에 맞춤 수용되는 구조를 만족하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가령 가압블록(48-1)의 양측 단부가 소폭 간극 변화되는 것은 거치프레임(55)과의 중첩으로 해당 수직 위치가 상이해지는 것과 관련되며, 수용판(42)으로부터 하향하여 돌출된 상태에 놓여있던 가압블록은 거치프레임이 측부 접근함에 따라 삼각 형상에 기인하여 자연스럽게 상향 이동하면서 거치프레임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가압블록의 양측면은 수용판의 해당 내벽과 마찰되면서 간극 변화의 필요성이 있고, 이러한 상태는 도어가 가압블록에 의해 구속된 상황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거치프레임 내부에 머무르던 가압블록은 도어의 후방 이동에 의해 거치프레임 내부에서 이탈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가압블록이 거치프레임 내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탄성체 수축과 함께 상향 이동된다.
또한, 위 거치프레임(55)은 가압유닛의 가압면(48-2)과 대응한 형상의 삽지면(55-1)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가압블록(48-1)과 삽지면이 서로 중첩됨에 기인하여 도어(20)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가압블록의 상하 신축 요동에 기인하여 삽지면(55-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도어의 수평 위치 전환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동링크(44) 외면으로 연질 소재의 보호구(44-9)가 더 끼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구(44-9)는 락킹홀(44-3) 천공으로 인해 손실된 무게 보상 및 외부와의 간섭 시 손상 방지를 위하여 회동링크 선단에서 커버링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물함을 비롯한 캐비닛, 서랍, 락카 등의 함체 따위에 적용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동시 충족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은폐되거나 돌출되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사고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잠금장치락킹유도부의 이동성에 관여하는 락킹조절부의 제반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고정 타입으로 일관되던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바, 도어의 선회 운용 과정에서 락킹조절부가 선택적으로 은폐 혹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와의 불필요한 간섭 내지 걸림으로부터 적극 보호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킹조절부를 구성함에 있어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나은 편의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10. 본체
20. 도어
30. 잠금수단
40. 락킹조절부
50. 락킹유도부
100.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Claims (8)

  1. 대상물의 수납 내지 보관을 위하여 중공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 선단을 기점으로 개구되면서 본체 내부를 외부와 소통되게 하는 도어(20)와, 도어와 본체를 서로 결속시켜 본체로부터 도어의 이동을 강제 제어하는 잠금수단(30)으로 구성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30)은 도어(20) 측단에 일체 형성되고 수평 이동하는 도어의 위치 설정에 의해 본체(10) 내부로의 진입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내부에 위치한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여 위치 전환되게 유도하는 락킹유도부(50);와, 토션 탄성체(43-1)를 기반으로 하여 상하 반전 타입의 위치 전환이 허용되고, 본체를 기점으로 일측이 선회 이동되는 도어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토션 탄성체의 가압 여부가 결정되면서 본체 외부로의 인출 또는 본체 내부로의 은폐 여부가 조절되는 락킹조절부(40);와, 락킹조절부로 이동되는 락킹유도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압유닛(48);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48)은 탄성체(48-7)를 기반으로 한 상하 요동 움직임에 의해 도어의 위치 고수 또는 수평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잠금수단(30)은 본체(10)를 기점으로 수평 선회 이동하는 도어(20)의 설정 위치에 기인하여 외부로의 인출 여부가 결정되게 구성하되, 상기 락킹조절부(40)는 탄성체(48-7)에 의해 상하 요동하는 가압유닛(48)이 커버판(41)과 수용판(42)을 수단으로 더 개재되고, 상기 가압유닛(48)은 커버판에 의해 가압되면서 커버판의 일측으로 단부가 노출되어 도어(20)의 위치 고수 내지 수평 이동을 관장하며, 상기 락킹유도부(50)는 가압유닛에 대응하는 거치프레임(55)을 더 형성하여 도어의 선회 운용에 의해 가압유닛과 중첩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48)은,
    설정 범위 내에서 양측 단부의 간극이 가변되는 가압블록(48-1);
    가압블록 하단에서 삼각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거치프레임(55)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면서 도어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압면(48-2);
    탄성체(48-7)의 삽입 개재를 위하여 가압블록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결합대(48-3);
    결합대를 수단으로 끼움 개재되어 커버판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체(48-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55)은 가압유닛의 가압면(48-2)과 대응한 형상의 삽지면(55-1)이 절곡 형성됨으로써 가압블록(48-1)과 삽지면이 서로 중첩됨에 기인하여 도어(20)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가압블록의 상하 신축 요동에 기인하여 삽지면(55-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도어의 수평 위치 전환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조절부(40)는,
    서로 대응한 형상과 크기로 일체화되는 커버판(41)과 수용판(42);
    수용판 상에서 상향 입설되는 지지체(43);
    지지체 상에 안착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락킹유도부(50)에 의한 후단 가압으로 선회하면서 선단의 위치 전환이 유도되는 회동링크(44);
    회동링크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삽지홀(49) 내부에 개재되고 측 방향에 대한 신축성에 기인하여 회동링크 후단의 구속 여부가 결정되면서 회동링크의 탄력적인 위치 전환을 유도하는 토션 탄성체(43-1);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회동링크의 후단 가압을 위해 락킹유도부가 인입되게 허용하는 진입부(45);
    커버판과 수용판의 조합으로 구축되고 토션 탄성체에 의해 후단이 제어된 회동링크의 선단이 선회하여 락킹유도부 측으로 인출되게 허용하는 출입부(4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유도부(50)는 도어(20) 외면의 측단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51) 및 고정프레임에 대응 형성되고 도어 내면에서 고정프레임과 일체화되는 고정판재(51-1)로 구분 형성하되,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만곡 처리한 절개면(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재(51-1)는 본체(10) 내부와의 소통을 위하여 관통 천공되는 인입홀(53) 및 본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락킹조절부(40)를 가압하는 가압돌부(54)로 구분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44)는,
    V자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토션 탄성체(43-1)에 의한 가압 여부로 전후 반전된 움직임이 유도되는 바디(44-1);
    바디의 편심에서 지지체(43)에 결부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는 중앙홀(44-2);
    바디 선단에서 자물쇠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 천공되고 락킹유도부(50)에 형성한 인입홀(53)을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락킹홀(44-3);
    락킹유도부에 의해 위치 전환되면서 설정 경로에 위치한 토션 탄성체를 삽입 개재하여 회동링크 후단을 고정되게 하는 요홈(44-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0200016078A 2020-02-11 2020-02-11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78A KR102139374B1 (ko) 2020-02-11 2020-02-11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78A KR102139374B1 (ko) 2020-02-11 2020-02-11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374B1 true KR102139374B1 (ko) 2020-07-30

Family

ID=7183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78A KR102139374B1 (ko) 2020-02-11 2020-02-11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3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742B1 (ko) * 2003-01-15 2005-12-19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07896Y1 (ko) 2005-11-23 2006-02-06 박덕순 사물함용 잠금구조
KR100551094B1 (ko) * 2005-09-07 2006-02-09 주식회사 리바트 사물함
KR101011262B1 (ko) 2009-03-10 2011-01-26 (주)삼미가구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20150086756A (ko) * 2014-01-20 2015-07-29 안대연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70082105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KR102052303B1 (ko) * 2019-08-26 2019-12-04 전지환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742B1 (ko) * 2003-01-15 2005-12-19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551094B1 (ko) * 2005-09-07 2006-02-09 주식회사 리바트 사물함
KR200407896Y1 (ko) 2005-11-23 2006-02-06 박덕순 사물함용 잠금구조
KR101011262B1 (ko) 2009-03-10 2011-01-26 (주)삼미가구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20150086756A (ko) * 2014-01-20 2015-07-29 안대연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70082105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KR102052303B1 (ko) * 2019-08-26 2019-12-04 전지환 사물함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7741A2 (en) Cabinet door prop unit
US8113608B2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US5103532A (en) Flat-mounted cabinet door hinge having low profile
EP1640537B1 (en)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KR102139374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71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68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33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25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29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CN208310499U (zh) 一种方便调节的回转铰链装置
US9737139B1 (en) Rack and drawer systems
US6932396B2 (en) Support arm assembly for a safe lid
US20210401173A1 (en) Furniture objects including hidden containers
KR100981646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49640Y1 (ko) 사물함 경첩
KR101086300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932986B1 (ko)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CN208480885U (zh) 一种用于家具的回转开闭锁定结构
KR100414546B1 (ko) 독서실용 책상
KR102404445B1 (ko) 캐비닛 걸고리
US8376155B1 (en) Hingedly adjustable two sided storage device
KR200451886Y1 (ko) 사물함의 개폐문 잠금장치
GB2058196A (en) A Casket and its Lock Device
CN219845411U (zh) 一种使用新型合页的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