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646B1 - 사물함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646B1
KR100981646B1 KR1020100034612A KR20100034612A KR100981646B1 KR 100981646 B1 KR100981646 B1 KR 100981646B1 KR 1020100034612 A KR1020100034612 A KR 1020100034612A KR 20100034612 A KR20100034612 A KR 20100034612A KR 100981646 B1 KR100981646 B1 KR 10098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ever
lock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금애
Original Assignee
오금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금애 filed Critical 오금애
Priority to KR102010003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이나 기타 문서보관함 등의 도어에 설치하되 사물함을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견고하고 안전하게 잠금하고 사물함의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용이하게 열수 있도록 한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중앙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해당도어에 매립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자물쇠끼움 공이 천공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 상기 제1자물쇠끼움 공과 상호 일치되게 제2자물쇠끼움 공이 천공되고 힌지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와, 상기 브래킷과 레버가 함몰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함몰부내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외주연은 해당도어의 표면에 노출되게 위치되는 손잡이본체; 상기 함몰부의 이면 표면적 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일 측이 절취되어 함몰부의 이면에 덧 데어지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고정판의 이면과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레버의 후단과 연결 설치되어 레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 형태의 제1키와, 상기 제1키가 키 박스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키의 중앙부에는 레버의 끝단부와 결합되는 걸림구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걸림구의 전방 제1키에는 제1키가 키 박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의 후방과 상기 키 박스의 일측단부 간에는 제1키를 수용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된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물함 잠금장치{Locking apparatus of locker}
본 발명은 사물함이나 기타 문서보관함 등(이하"사물함"이라 통칭함)의 도어에 설치하되 사물함을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견고하고 안전하게 잠금하고, 사물함의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용이하게 열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 기능과 사물함의 주인 및 관리자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형성시켜 된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학교나 스포츠 시설물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물품을 소정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물함은 타인으로부터 그 물품이 보호되도록 자물쇠로 잠금설정을 할 수 있도록 도어에 록킹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록킹장치로서 도어에 록킹용 고리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록킹용 고리의 중공부에 자물쇠를 걸거나 분리하여 록킹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사물함 잠금장치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도어(1)의 외측에 돌출 설치되며, 자물쇠(2)의 체결을 위한 자물쇠 체결공(12)이 하단 양측에 관통 형성되어지고, 중앙에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짐과 함께 배면에는 상기 중공부(11) 주변을 따라 원형의 가이드 홈(14)이 형성되어지되, 가이드 홈(14)은 하부에서 자물쇠 체결 공(12)과 연통되어지는 회동 손잡이(10);
상기 회동손잡이(10)의 중공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전면에는 열쇠 삽입용 삽입 공(31)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후단부에는 록킹편(32)이 결합되어지는 내통(30);
상기 회동 손잡이(10)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자물쇠 체결공(12)을 통해 가이드 홈(14) 하단 부위까지 삽입된 자물쇠 부위에 걸려져 회동 손잡이(1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회동제한수단이 형성되어져 있는 외통(20);
상기 외통(2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개폐도어(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지지구(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사물함 잠금장치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손잡이(10)가 계폐도어(1)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물함의 미관을 해침은 물론,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돌출된 회동손잡이(10)와 신체 일부 간에 부딪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계폐도어(1)를 여닫기 위한 손잡이가 별로로 마련되어야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사물함을 잠그는 잠금장치가 계폐도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사물함을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견고하고 안전하게 잠금하고, 사물함의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수 있으며, 손잡이 기능과 사물함의 주인 및 관리자를 표시를 동시할 할 수 있도록 한 사물함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는 중앙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해당도어(D)에 매립되는 함몰부(51)와, 상기 함몰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자물쇠끼움 공(52a)이 천공된 브래킷(52)과,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 상기 제1자물쇠끼움 공과 상호 일치되게 제2자물쇠끼움 공(53a)이 천공되고 힌지 핀(5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3)와, 상기 브래킷(52)과 레버(53)가 함몰부(5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함몰부(51)내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외주연은 해당도어의 표면에 노출되게 위치되는 손잡이본체(50); 상기 함몰부의 이면 표면적 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일 측이 절취되어 함몰부의 이면에 덧 데어지는 고정판(60); 상기 고정판의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고정판의 이면과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레버의 후단과 연결 설치되어 레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 형태의 제1키(72)와, 상기 제1키가 키 박스(71)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키의 중앙부에는 레버의 끝단부와 결합되는 걸림구(72a)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걸림구의 전방 제1키에는 제1키가 키 박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2b)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의 후방과 상기 키 박스의 일측단부 간에는 제1키를 수용하는 탄성부재(73)를 설치하여 된 잠금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가 형성된 손잡이본체의 상부에는 사물함의 사용자 및 관리자를 표시하는 표시부(55)가 형성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는 해당도어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잠금장치와 손잡이 및 표시부가 하나의 사물함 잠금장치에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고, 또 견고하고 안전한 잠금력이 유지되고 도어의 개폐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사물함 잠금장치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의 사물함 잠금장치를 해당 도어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단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 사물함 잠금장치를 적용시킨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먼저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해당도어(D)에 매립되는 함몰부(51)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51)의 상부에는 제1자물쇠끼움 공(52a)이 천공된 브래킷(52)이 설치되며, 그 브래킷(52)의 상부에는 상기 제1자물쇠끼움 공(52a)과 상호 일치하는 위치에 제2자물쇠끼움 공(53a)이 천공된 레버(53)가 힌지 핀(5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함몰부(51)의 외주 연은 해당도어(D)의 표면에 노출되게 위치되는 손잡이본체(50)가 마련된다.
상기 함몰부(51)를 형성하는 이유는 사물함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해당도어(D)의 표면으로 키를 삽입하는 키 삽입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 상기 홈몰부(51)를 해당도어(D)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도어(D)에 구멍을 천공한 후 그 천공된 구멍으로 함몰부(51)를 매립 설치한다.
또 상기 브래킷(52)을 함몰부(51)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52)의 후방 일부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그 절곡부를 함몰부(51)의 이면에 용접 또는 고정부재(볼트, 리베팅)로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52)의 상부에는 레버(53)를 설치하는데, 그 레버(53)의 전방 일부는 상향하도록 절곡하여 그 절곡부가 손가락으로의 레버(53) 작동을 용이하게 하였다.
한편 상기 브래킷(52)과 레버(53)의 상호 중첩되는 부분 중 일 측에는 힌지 핀(54)을 설치하여 레버(53)가 회동되게 하였으며, 상기 브래킷(52)과 레버(53)에는 상호 일치하는 부분에 각각의 제1 및 제2자물쇠끼움 공(52a.53a)을 천공하여 사물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자물쇠끼움 공(52a.53a)에 자물쇠를 끼우고 잠그면 된다.
또 상기 레버(53)의 끝단부분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피스톤 형태의 제1키(72)와 연결되어 레버(53)의 작동에 따라 제1키(72)가 이동되게 하였다.
상기 함몰부(51)의 이면에는 함몰부(51)의 이면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상기 레버(53)의 회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일 측이 절취된 고정판(60)이 덧 데어져 고정부재(용접방법, 볼트체결방법, 리베팅방법 중 선택된 방법)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60)의 이면에는 고정판(60)의 이면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는 잠금수단(70)이 결합부재(용접방법, 볼트체결방법, 리베팅방법 중 선택된 방법)를 매개로 분해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잠금수단(70)을 고정판(60)의 이면 표면적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해당도어(D)의 이면에 설치되는 잠금수단(70)이 상기에서 설명한 함몰부(51)가 매립되는 해당도어(D)의 구멍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고정판(60)의 표면적을 함몰부(51)의 이면 표면적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잠금수단(7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함몰부(51)를 관통하지 않고 고정판(6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70)의 상부에는 상기 레버(53)의 후단과 연결 설치되어 레버(53)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 형태의 제1키(72)가 설치된 키 박스(71)가 마련되어 상기 레버(53)의 작동 방향에 따라 제1키(72)가 키 박스(71)를 따라 이동되면서 해당도어(D)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형태의 제1키(72)는 키 박스(71)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71a)을 관통하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키(72)의 중앙부에는 레버(53)의 끝단부와 결합되는 걸림구(72a)가 설치되며, 그 걸림구(72a)의 전방 제1키(72)에는 제1키(72)가 키 박스(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2b)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72a)의 후방과 키 박스(71)의 일측단부 간에는 제1키(72)를 수용하는 탄성부재(73)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구(72a)의 역할은 레버(53)의 끝단부분과 접촉되어 레버(53)의 회동과 동시에 제1키(72)를 이동시키는 것이고, 스토퍼(72b)의 역할은 키 박스(71)의 일 측 구멍(71a)으로 제1키(72)가 빠져나가는 것을 제어함은 물론, 제1키(72)의 이동 량을 제어하고, 탄성부재(73)는 레버(53)의 회동과 동시에 제1키(72)의 이동 후 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 상기 탄성부재(73)는 코일스프링의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제1키(72)의 이동 후 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브래킷(52)과 레버(53)에 천공된 각각의 제1 및 제2자물쇠끼움 공(52a,53a)은 해당도어(D)가 잠긴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자물쇠를 끼우는 구멍으로써,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자물쇠끼움 공(52a,53a)이 상호 일치할 때에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키(72)가 잠긴 상태이고, 상기 각각의 제1 및 제2자물쇠끼움 공(52a,53a)이 상호 엇갈려 있을 때에는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키(72)가 열린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51)가 형성된 손잡이본체(50)의 상부에는 사물함의 사용자 및 관리자를 표시하는 표시부(55)가 형성됨으로써 해당도어(D)에 별도의 표시부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함몰부(51)의 하부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도5 및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잠금수단(80)이 설치되어 사물함에 기밀문서나 기타 중요한 문서가 보관되어 각별한 보안이 필요할 때에는 2중으로 잠금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브래킷(52)과 레버(53) 및 보조잠금수단(80)은 함몰부(51)의 외부 즉 손잡이본체(50)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함몰부(51)내에 위치되게 하여 사용 중 부주의로 실체 일부와 부딪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는 해당도어에 설치되었을 때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잠금장치와 손잡이 및 표시부가 하나의 사물함 잠금장치에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고, 또 견고하고 안전한 잠금력이 유지되고 도어의 개폐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0 : 손잡이본체 51 : 함몰부
52 : 브래킷 52a : 제1자물쇠끼움 공
53 : 레버 53a : 제2자물쇠끼움 공
54 : 힌지 핀 55 : 표시부
60 : 고정판 70 : 잠금수단
71 : 키 박스 72 : 제1키
72a : 걸림구 72b : 스토퍼
73 : 탄성부재 80 : 보조잠금수단

Claims (5)

  1. 중앙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해당도어(D)에 매립되는 함몰부(51)와, 상기 함몰부의 상부에 마련되며 제1자물쇠끼움 공(52a)이 천공된 브래킷(52)과,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 상기 제1자물쇠끼움 공과 상호 일치되게 제2자물쇠끼움 공(53a)이 천공되고 힌지 핀(5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3)와, 상기 브래킷(52)과 레버(53)가 함몰부(5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함몰부(51)내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의 외주연은 해당도어의 표면에 노출되게 위치되는 손잡이본체(50);
    상기 함몰부의 이면 표면적 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상기 레버의 회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일 측이 절취되어 함몰부의 이면에 덧 데어지는 고정판(60);
    상기 고정판의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으며 고정판의 이면과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레버의 후단과 연결 설치되어 레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 형태의 제1키(72)와, 상기 제1키가 키 박스(71)의 양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키의 중앙부에는 레버의 끝단부와 결합되는 걸림구(72a)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걸림구의 전방 제1키에는 제1키가 키 박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2b)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구의 후방과 상기 키 박스의 일측단부 간에는 제1키를 수용하는 탄성부재(73)를 설치하여 된 잠금수단(7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가 형성된 손잡이본체의 상부에는 사물함의 사용자 및 관리자를 표시하는 표시부(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5. 삭제
KR1020100034612A 2010-04-15 2010-04-15 사물함 잠금장치 KR10098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612A KR100981646B1 (ko) 2010-04-15 2010-04-15 사물함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612A KR100981646B1 (ko) 2010-04-15 2010-04-15 사물함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646B1 true KR100981646B1 (ko) 2010-09-10

Family

ID=4301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612A KR100981646B1 (ko) 2010-04-15 2010-04-15 사물함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6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11-23 박충호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334117B1 (ko) * 2013-08-23 2013-11-27 오금애 사물함 손잡이의 잠금장치
KR101957356B1 (ko) * 2018-12-31 2019-03-12 영남강철 주식회사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854Y1 (ko) * 2006-06-30 2006-11-27 주식회사 야흥금속 비돌출형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42775Y1 (ko) * 2007-04-03 2008-12-11 주식회사 아이토프 사물함용 도어락의 이중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854Y1 (ko) * 2006-06-30 2006-11-27 주식회사 야흥금속 비돌출형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442775Y1 (ko) * 2007-04-03 2008-12-11 주식회사 아이토프 사물함용 도어락의 이중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11-23 박충호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334117B1 (ko) * 2013-08-23 2013-11-27 오금애 사물함 손잡이의 잠금장치
KR101957356B1 (ko) * 2018-12-31 2019-03-12 영남강철 주식회사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13B2 (en) Locker structure
US9091295B1 (en) Safety hook
US6631835B2 (en) Object storing case of a motorcycle
US6929292B1 (en) Lever lock system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KR100981646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331892B1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10116807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ES2718081T3 (es) Cerradura para postes delanteros de marcos en paredes para puertas deslizantes retráctiles
KR101689788B1 (ko)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의 잠금장치
JP4623620B2 (ja) 鎌錠
KR100947250B1 (ko)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KR200431854Y1 (ko) 비돌출형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JP5038051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6384855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セーフティーストッパー
JP5066295B1 (ja) 保護キャップ
JP4615326B2 (ja) 錠装置
KR101990692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530698B1 (ko) 자동잠금식 레버형 도어록
KR200390354Y1 (ko) 물품 보관함
KR200447622Y1 (ko) 사물함의 개폐문 록킹장치
KR1013959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139368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33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