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356B1 -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356B1
KR101957356B1 KR1020180173266A KR20180173266A KR101957356B1 KR 101957356 B1 KR101957356 B1 KR 101957356B1 KR 1020180173266 A KR1020180173266 A KR 1020180173266A KR 20180173266 A KR20180173266 A KR 20180173266A KR 101957356 B1 KR101957356 B1 KR 10195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operating
protrusion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 책, 노트, 필기구, 신발, 옷, 생필품, 학습교재, 실험교재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한 수 있는 물품 보관대와, 이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장치(1)는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체(2b)를 당김으로써,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됨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서류, 책, 노트, 필기구, 신발, 옷, 생필품, 학습교재, 실험교재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한 수 있는 물품 보관대와, 이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장치(1)는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체(2b)를 당김으로써,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됨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보관대는 여러명의 학생들이 모여서 생활하는 학교의 교실이나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학생 각자 또는 여러명의 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는 각종 교구 등을 보관하도록 하거나, 대형쇼핑몰과 지하철역사 등 유동성 인구가 밀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간단한 물건 또는 들고 다니기 무거운 물건 등을 임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물품 보관대는 내부를 다수개로 구획되어 전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구획된 전면부분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도어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금속재질과 나무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물품 보관대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5호의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선행기술 1)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98호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선행기술 2)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68070호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선행기술 3)와, 등록특허공보 제10-1762436호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선행기술 4)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함체 형상을 가지고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도어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패널, 도어를 열고 닫을 시 고정패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닫힌 도어를 잠글 시에는 개별 자물쇠에 의해서 고정패널에 이동되지 않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손잡이, 및 도어의 배면 측에서 도어,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손잡이에 장착되고, 도어를 열고 닫을 시 슬라이딩 손잡이를 따라 이동되며, 개별 자물쇠에 의해 슬라이딩 손잡이가 고정패널에 결합되었을 시에는 마스터키의 작동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도어를 열고 잠글 수 있게 하는 마스터키 뭉치를 구비한다.
선행기술 2는, 사물함 본체(1)에 힌지(2)의 핀을 기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개폐문(3) 잠금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개폐문(3)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전면브라켓(8)과 후면브라켓(13)과, 상기 전면브라켓(8)과 후면브라켓(13) 상간으로 연통되도록 개폐문(3)에 형성되는 개구(3a)와, 상기 전면브라켓(8) 일측으로 형성되는 명패수납부(6)와 손잡이(7) 및 안내공(17)과 자물쇠결합공(9)과, 상기 후면브라켓(13)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스프링(15)에 탄력설치되는 슬라이드록커(12)와, 상기 슬라이드록커(1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구(3a) 및 안내공(17)을 통해 노출되어 단부에 자물쇠결합공(20)을 가진 록킹레버(11)와, 상기 슬라이드록커(12)가 록킹작동을 위해 진입토록 본체(1) 대응부에 형성되는 록킹홀(16)과, 상기 슬라이드록커(12)가 록킹홀(16)에 진입 시 록킹레버(11)상의 자물쇠결합공(20)과 전면브라켓(8)상의 자물쇠결합공(9)이 일치되면서 자물쇠(19)로 잠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행기술 3은, 사물함(1)의 개폐문(4)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5) 후방에 고정 구성된 후면브래킷(7)과 후면브래킷(7)의 전면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손잡이(14)가 형성된 개방부(13)가 후면브래킷(7)까지 연통되게 개폐문(4)의 개구부(5)에 내입 구성된 전면브래킷(11)으로 이루어지고, 후면브래킷(7)에 후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안내편(8)의 내부에 코일스프링(18)에 탄력 지지되는 원통형 록커(10)가 좌우 슬라이딩 및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슬라이딩 안내공간(9)이 형성되며, 록커(10)의 측면에 후면브래킷(7)의 안내편(8)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개구(20)를 통해 후면브래킷(7)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단부에 체결공(16)이 관통 형성된 유동고정편(15)이 일체 또는 인서트 몰딩으로 형성되며, 록커(1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사물함(1) 본체(2) 일측에 고정 구성된 걸림편(19)에 록커(10)의 반구형 걸림부(10a)가 내입되게 반구형 내입홈(19a)이 형성되며, 슬라이딩개구(20)의 선단부에 유동고정편(15)의 하향 회전 시 내입되는 걸림개구(21)가 하향 개구되게 형성되며, 후면브래킷(7)의 전면에 유동고정편(15)의 하향 회전 시 유동고정편(15)의 체결공(16)과 일치되는 체결공(16)을 갖는 부동고정편(22)이 결합 설치도록 이루어진다.
선행기술 4는, 사물함의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바디, 바디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본체의 로킹고정부에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로킹뭉치, 바디에 힌지 연결되어 시소 운동을 하며 로킹뭉치를 이동 조작하는 레버, 레버의 조작으로 로킹뭉치를 탄성적으로 축 방향을 따라 전후진 작동 안내하는 슬라이드가이더, 및 바디에 설치되고 자물쇠의 잠금고리의 연결에 따라 슬라이드가이더의 후진을 제한함으로써 로킹뭉치와 로킹고정부의 구속 상태를 유지하는 로킹구속부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에 대하여 기재되고 있지만, 정작 본 출원인이 제공하고자 하는 구조 형태의 잠금장치는 제안되지 않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5호(2011.01.3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98호(2009.03.1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168070호(2012.07.2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62436호(2017.07.2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서류, 책, 노트, 필기구, 신발, 옷, 생필품, 학습교재, 실험교재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한 수 있는 물품 보관대와, 이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조립구조와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는,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체(2b)를 당김으로써,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됨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물품 보관대는,
내부가 다수개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된 것으로,
전면기둥(31)과 전면수평대(32)가 일체로 결합된 전면부재(30)와, 배면판(41)과 배면기둥(42)과 배면수평대(43)가 일체로 설치된 배면부재(40)와, 상기 전면부재와 배면부재를 연결하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대(51)와 상기 받침대 상부와 수직구획판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52)와 최상단에 삽설되는 마감대(53)로 구성된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본체(20)와;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수평대(32)와 연결부재의 배면수평대(43)에 안치되는 수평구획판(61)과, 상기 수직상의 연결부재 사이에 삽설되는 수직구획판(62)으로 구성된 나무재질인 구획판(60)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도어(7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덮는 상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재의 받침대(51)는 양단부에 삽입부(51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내부측판 사이에는 이격틈(512)이 형성되어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일측이 이격틈으로 삽설되어, 상기 삽입부가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하단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대(52)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양단부에 측면홈(522)이 형성된 결합편(521)을 외측으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연결대가 결합되는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면에는 "T"자 홈(311,411)을 형성하여 연결대의 결합편(521)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대의 개구된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개구된 홈에 수직구획판(62)이 결합되어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고,
상기 마감대(53)는 내측이 “ㄷ”자 단면을 갖고, 양단부는 삽입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내측 프레임사이에는 이격틈(532)이 형성되어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일측이 이격틈으로 삽설되어 삽입부가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 전면부재(30)의 전면수평대(32)는 사각봉체로 형성하고, 상판(80)이 안치되는 최상부를 제외한 하부와 중간에 설치되는 전면수평대(32)에는 전면수평대의 후면상측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후면하측을 중심으로 수평이되도록 절곡하여 절곡된 부분에 수평구획판(61)의 일측이 안치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 배면부재(40)의 배면수평대(43) 단면은 전면부를 향한 부분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판이 안치되는 최상부를 제외한 하부와 중간설치부에는 배면수평대의 상부돌출부(431)보다 하부돌출부(432)를 더 길게 돌출시켜 배면수평대의 홈에 수평구획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하단에는 각각 고무캡(33)을 삽설하여 삽입부(511,531)가 내입되는 받침대(51)와 마감대(53)를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하단에 결합되는 고무캡은 외부로 표출되는 부분의 두께를 일정길이 두껍게 하여 금속재질의 본체가 직접 바닥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70)는 일측에 잠금장치가 포함된 손잡이부(71)가 형성되고, 일측 상하단에 힌지공(72)이 형성되어 본체 전면부재에 돌출된 힌지편(34)에 힌지핀(73)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힌지핀(73)이 삽설되는 도어(70)의 모서리부분에는 금속재질의 보강판(74)을 더 설치하여 개폐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있어서,
먼저, 잠금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통해 안정적으로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작 중 마모 또는 내구력이 감소되어도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물품 보관대에 의하면,
전면과 배면의 프레임과 상기 전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의 재질을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신속한 조립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한 물품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 내부의 공간은 나무판재를 이용해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나무재질의 고품격 심미감을 제공함과 더불어 물품안치벽면의 산화를 방지하여 오염없이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캐비닛과 옷장, 책장기능제공과 실험도구와 약품을 보관하는 활용도를 향상시킨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와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의 동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전면수평대와 배면수평대와 수평구획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마감대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와 전면기둥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대와 전면기둥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받침대와 마감대에 캡을 삽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면부재와 상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재와 도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1b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를 먼저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전면수평대와 배면수평대와 수평구획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마감대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와 전면기둥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연결대와 전면기둥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받침대와 마감대에 캡을 삽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전면부재와 상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재와 도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11b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10)는 전면부재(30)와 배면부재(40)와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 본체(20)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획판(60)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7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덮는 상판(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전면부재(30)는 전면기둥(31)과 전면수평대(32)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기둥(31)은 양측면의 2개로 구성하여 1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거나,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면과 중앙의 3개로 구성하여 2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등 전면기둥의 수를 증가시켜 다수의 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기둥(31)의 수에 따라 배면기둥(42)도 동일한 숫자로 증가시켜야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배열되는 전면기둥(31) 사이에는 전면수평대(32)가 가로로 설치되어 기둥을 지지한다. 상기 전면수평대는 전면기둥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수평대(3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봉체로 형성하고, 후면상측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후면하측을 중심으로 수평이 되도록 절곡하여 안치턱(321)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안치턱에 수평구획판(61)의 일측이 안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절단은 전면수평대 후면상단에서 일정길이 하측부분에 수평으로 형성되도록하여 날까로운 절단면이 수평구획판의 설치에 의해 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면수평대(32)는 내부 수납공간을 다층으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전면기둥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숫자를 달리하여 다층 또는 단층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판(80)이 안치되는 최상부의 전면수평대(32)는 안치턱없이 사각봉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치턱(321)의 높이를 사각봉체의 상단부와 수평이되도록 형성하여 상부에 안치되는 상판과 볼트, 피스 등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배면부재(40)는 본 발명의 물품 보관대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배면판(41)과 배면기둥(42)과 상기 배면기둥 사이에 가로로 결합되는 배면수평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면판(41)은 후면 전체를 폐구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수납공간 내부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배면기둥(42)과 배면수평대(43)는 수납공간의 열 수와 단 수에 의해 설치수를 조절사용할 수 있고, 배면기둥(42)과 배면수평대(43) 및 배면판(41) 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견고히 부착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배면수평대(43)의 단면은 전면부를 향한 부분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의 돌출된 부분 중 상부돌출부(431)가 하부돌출부(432)보다 짧게 형성하여 수평구획판(61)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수평구획판(61)의 후미부분을 배면수평대의 홈에 삽입하고 배면수평대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면서 누르면, 수평구획판의 전면부분이 전면수평대의 안치턱(321)에 안치되면서 견고하게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배면수평대(43)도 상판(80)이 안치되는 최상부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판과 접하는 면이 넓도록 상부돌출부(431)를 하부돌출부(432)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의 전면부재(30)와 배면부재(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는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대(51)와, 상기 받침대 상부와 삽설되는 수직구획판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52)와, 최상단에 삽설되는 마감대(53)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51)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양단부에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11)가 형성되고, 내부측판과 삽입부 사이에는 수직상으로 이격틈(512)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틈으로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이 삽설되어 받침대의 삽입부(511)가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설치장소의 바닥에 직접 설치되는 부분이므로, 측판의 높이를 일정길이 높게 형성하여 걸레받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대(52)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개구된 홈부분에 수직구획판(62)을 삽설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대는 도 6를 참조한 바와같이 양단부에 측면홈(522)이 형성된 결합편(521)을 외측으로 연장형성하여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에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대향되는 면에는 "T"자 홈(311,411)을 형성하여 가로로 넓에 형성된 상단홈에 연결대의 결합편(521)을 삽입한 후 내림으로써 폭이 좁은 T홈의 양측면이 결합편의 측면홈(522)에 끼워지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대(52)는 최하단에 설치된 받침대에 결합되어 받침대(51)와 전면기둥(31) 및 배면기둥(42)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상기 연결대 위에 개구된 홈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다른 연결대를 포개서 장착한 후 수직구획판(62)을 장착하고, 상기 수직구획판의 상단에는 개구된 홈을 하측으로 향하도록 또다른 연결대를 삽설하여 다수의 수직구획판을 수직선상으로 연속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대(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이 “ㄷ”자 단면을 갖고, 양단부는 삽입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내측 프레임사이에는 이격틈(532)이 형성되어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일측이 이격틈으로 삽설되어 삽입부(531)가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받침대와 마감대의 삽입부와 연결대의 결합편은 받침재와 마감대 및 연결대에 각각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분리구성하여 용점에 의해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전면부재(30)의 하단부와 연결부재(50)의 하단부인 받침대(51)는 일정길이 높게 형성하여 걸레받이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하단에는 각각 고무캡(33)을 삽설하여 삽입부(511,531)가 내입되는 받침대(51)와 마감대(53)를 고정하도록 하고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하단에 결합되는 고무캡은 외부로 표출되는 부분의 두께를 일정길이 두껍게 하여 금속재질의 본체가 직접 바닥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고무캡(33)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플랜지(331)를 더 돌출시켜 연결부재의 받침대(51)를 일부 안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체(20)에는 나무재질의 구획판(60)이 설치되어 내부수납공간을 다수개로 구획한다. 상기 구획판은 수평구획판(61)과 수직구획판(62)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구획판(61)은 상술된 바와같이 전면수평대(32)와 배면수평대(43)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구획판(62)은 연결부재(50) 사이에 결합된다.
즉, 도 9을 참조한 바와같이 연결부재의 받침대(51) 상부에 하부방향으로 연결대(52a)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제2연결대(52b)를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한 후 수직구획판(62a)을 제2연결대의 홈에 결합하고, 상기 수직구획판의 상단에는 제3연결대(52c)를 결합하고, 상기 제3연결대의 상부에는 제4연결대(52d)를 접하여 안치하고, 상기 제4연결대의 홈에 다른 수직구획판(62b)을 장착한 후 수직구획판의 상단에 마감대(53)를 장착하여 물품 보관대의 좌우측면과 내부수직벽을 설치한다.
상기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의 설치가 완료된 상부에는 상판이 안착된다. 상기 상판의 고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부재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전면수평대(32)의 안치턱(321)에 결합공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부에 안치된 상판에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81)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구획된 수납공간 각각에 개폐가능한 도어(70)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의 전면부재(30)에는 도 11a를 참고한 바와같이 힌지편(3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힌지편의 통공(341)에는 힌지핀(73)이 설치되어 힌지핀의 단부에 도어(70)의 일측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힌지공(72)이 삽설되어 도어가 회동되어 개폐되도록 한다. 즉, 도어(70)의 일측상하단에는 힌지공(7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과 힌지핀의 통공(341)을 동일 수직성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 힌지핀(73)을 삽설하여 회동이 이루이지도록 한다.
상기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핀(73a)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기둥형태에 중간부분에 걸림돌기(73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핀은 물품보관함의 하단에 위치하는 도어의 하측부분과 상하단 도어 사이를 결합하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의 경우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핀(73b)의 상부결합주(732)는 길게 형성하고, 하부결합주(733)는 짧게 형성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보관함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의 상측에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핀(73c)은 상부결합주가 없는 형태를 사용하여 상판결합시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핀(73)이 결합되는 도어의 일측 상하부 모서리에는 금속재질의 보강판(74)을 더 설치하여 상기 보강판에 힌지핀이 삽설되어 회동되게 함으로써 도어개폐에 의해 마모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는 상술된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잠금몸체(2)는 손잡이부(71)의 연통된 영역의 후방측으로 부착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일측 중 상기 단속홈(4) 방향이 개방되되 내측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 홈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잠금몸체(2)의 전방측 일면에는 홈부(21)의 상측으로 고정체(2a)가 용접 등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고정체(2a)의 하측으로 조작체(2b)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체(2a)의 하면과 조작체(2b)의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에 형성된 힌지홀(2a2, 2b2)에 힌지를 삽입하여 고정체(2a)와 조작체(2b)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힌지는 볼트와 너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의 다른 일측으로는 좌물쇠홀(2a1, 2b1)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체(2a)와 조작체(2b)가 맞닿도록 겹쳐지는 경우, 2개의 좌물쇠홀(2a1, 2b1)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좌물쇠홀(2a1, 2b1)을 통해 좌물쇠를 걸어둘 수 있다.
한편, 고정체(2a)는 통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작체(2b)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되, 추후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갖도록 한다.
또한, 조작체(2b)의 수평면의 일측으로는 소정의 경사를 갖으면서 돌출된 돌기(2b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경사의 방향은 홈부(21)의 폐쇄된 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홈부(21)의 폐쇄된 단부 일측 중, 잠금몸체(2)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속돌기(2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잠금몸체(2)의 후면으로는 동작부(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3)는 일단부가 상기 단속돌기(2c)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단부는 손잡이부(71)를 초과하는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어,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부(3)는, 고정체(2a)와 조작체(2b) 방향의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3a)과 상기 단속돌기(2c)에 맞닿는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3b)의 내부에는 스프링(도면이 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홈(3a)에는 상기 돌기(2b3)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링은 일단부가 제2 홈(3b)의 내측 단부에 닿고, 다른 단부가 상기 단속돌기(2c)에 닿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1)의 동작 관계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면, 조작체(2b)를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이때,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조작체(2b)의 힌지홀(2b2)은 조작체(2b)의 회동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과 형태를 같는 홀을 하나 더 형성하되, 상기 힌지홀(2b2)과 상기 홀이 연통되어 '8'의 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돌기(2b3)가 마모되거나, 혹은 충격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조작체(2b2)는 힌지(또는 볼트)를 연통된 상기 홀로 이동시켜 조작체(2b2)의 최대 회전 반경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힌지홀(2b2)과 홀의 연통되는 영역은 힌지(또는 볼트)의 삽입되는 기둥의 직경보다 커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돌기(2b3)가 조작체(2b)에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힌지의 조합을 통해 돌기(2b3)가 조작체(2b)의 일측으로부터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힌지에 토션스프링을 함께 채용함으로써, 돌기(2b3)는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한다.
또한, 돌기(2b3)의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큰 측면에는 '('의 형태로 만곡된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의 다른 단부는 조작체(2b)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돌기(2b3)는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돌기(2b3)의 마모 또는 충격에 따른 파손 등이 발생되면, 힌지와 토션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해 돌기(2b3)의 단부가 제1 홈(3a)의 내벽에 닿기 위해, 경사방향으로 더 움직이게 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가 밀어주는 힘에 의해, 돌기(2b3)의 일부가 파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홈(3a)의 내벽에 밀착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2b3)의 일부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되어도,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어서,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잠금장치 2 : 잠금몸체
3 : 동작부 4 : 단속홈
10 : 물품 보관대 20 : 본체
30 : 전면부재 31 : 전면기둥
32 : 전면수평대 33 : 고무캡
34 : 힌지편 40 : 배면부재
41 : 배면판 42 : 배면기둥
43 : 배면수평대 50 : 연결부재
51 : 받침대 52 : 연결대
53 : 마감대 60 : 구획판
61 : 수평구획판 62 : 수직구획판
70 : 도어 71 : 손잡이부
72 : 힌지공 73,73a~c : 힌지핀
74 : 보강판 80 : 상판
81 : 체결수단 311,411 : T홈
321 : 안치턱 331 : 플랜지
341 : 통공 431 : 상부돌출부
432 : 하부돌출부 511,531 : 삽입부
512,532 : 이격틈 521 : 결합편
522 : 측면홈 731 : 걸림돌기
732 : 상부결합주 733 : 하부결합주

Claims (2)

  1. 잠금몸체(2), 동작부(3) 및 단속홈(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잠금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2) 및 동작부(3)는 물품 보관대의 손잡이부(71)에 구비되고, 상기 단속홈(4)은 물품 보관대의 전면기둥(31)에 구비되되,
    상기 잠금몸체(2)는,
    상기 손잡이부(71)의 연통된 영역의 후방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일측 중 상기 단속홈(4) 방향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 홈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몸체(2)의 전방측 일면에는 홈부(21)의 상측으로 고정체(2a)가 잠금몸체(2)와 일체로 구성되고, 고정체(2a)의 하측으로 'ㄱ'자 형태로 절곡된 조작체(2b)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체(2a)의 하면과 조작체(2b)의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에 형성된 힌지홀(2a2, 2b2)에 힌지를 삽입하여 고정체(2a)와 조작체(2b)가 결합되며, 결합 후 힌지를 축으로 조작체(2b)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의 다른 일측으로는 좌물쇠홀(2a1, 2b1)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체(2b)의 수평면 일측으로는 소정의 경사를 갖으면서 돌출된 돌기(2b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1)의 폐쇄된 단부 일측 중, 잠금몸체(2)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속돌기(2c)가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3)는,
    일단부가 상기 단속돌기(2c)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단부는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에 삽입되되,
    상기 홈부(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잠금몸체(2)의 후면으로 위치되고,
    고정체(2a)와 조작체(2b) 방향의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2b3)가 삽입되는 제1 홈(3a)과, 상기 단속돌기(2c) 방향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3b)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홈(3b)의 내부에는, 그의 단부가 단속돌기(2c)에 닿는 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돌기(2b3)는 힌지를 통해 조작체(2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돌기(2b3)가 조작체(2b)로부터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힌지에 토션스프링을 채용하여 상기 돌기(2b3)는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하며,
    상기 돌기(2b3)의 경사각이 큰 일측에 '('의 형태로 만곡된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의 다른 단부는 조작체(2b)의 일측면에 결합시켜, 상기 돌기(2b3)가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아 밀림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돌기(2b3)의 마모 또는 충격에 따른 파손이 발생되면, 힌지와 토션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해 돌기(2b3)의 단부가 제1 홈(3a)의 내벽에 닿기 위해, 경사방향으로 더 움직이게 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가 밀어주는 힘에 의해, 돌기(2b3)의 일부가 파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홈(3a)의 내벽에 밀착되게 될 수 있어서, 돌기(2b3)의 파손에도 불구하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어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2. 삭제
KR1020180173266A 2018-12-31 2018-12-31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KR10195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66A KR101957356B1 (ko) 2018-12-31 2018-12-31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66A KR101957356B1 (ko) 2018-12-31 2018-12-31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356B1 true KR101957356B1 (ko) 2019-03-12

Family

ID=6580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266A KR101957356B1 (ko) 2018-12-31 2018-12-31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3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98Y1 (ko) 2008-01-04 2009-03-11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0981646B1 (ko) * 2010-04-15 2010-09-10 오금애 사물함 잠금장치
KR20110009785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명성산업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168070B1 (ko) 2010-05-28 2012-07-24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70000540U (ko) * 2015-07-31 2017-02-08 송철주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KR101762436B1 (ko) 2017-05-18 2017-07-2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98Y1 (ko) 2008-01-04 2009-03-11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927899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20110009785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명성산업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0981646B1 (ko) * 2010-04-15 2010-09-10 오금애 사물함 잠금장치
KR101168070B1 (ko) 2010-05-28 2012-07-24 송철주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70000540U (ko) * 2015-07-31 2017-02-08 송철주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KR101762436B1 (ko) 2017-05-18 2017-07-28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2295A (en) Concealable storage cabinet
TWI710337B (zh) 模組儲物櫃系統
US4283099A (en) Locker cabinet
US3767280A (en) Locking system for filing cabinets
US6735908B2 (en) Straddle bin
US2620251A (en) Industrial cabinet
US20080272676A1 (en) Boltless cabinet assembly
JPH04504449A (ja) 搬送可能な間仕切り
US20040100173A1 (en) Storage cabinet
KR20170042812A (ko) 플라스틱 구조물이 제공된 옷장을 구성하는 모듈식 장치
KR101957356B1 (ko)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US6364441B1 (en) Toe kick drawer
US750193A (en) Willaed c
US20130134849A1 (en) Instrument storage cabinet system
US20120280605A1 (en) Increased storage capacity door system
US20020101142A1 (en) Drawer with interchangeable lock assembly
JP4671190B2 (ja) 家具用ラッチ
KR200415023Y1 (ko) 상반도출 이중밀대 잠금장치
US544138A (en) Cabinet
KR102582319B1 (ko)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JP3159241U (ja) 薄型小仏壇
AU2012202034A1 (en) A Cabinet
JP6209180B2 (ja) 収納家具
KR200321265Y1 (ko) 받침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물품수납장
KR102264590B1 (ko) 자립형 시스템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