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356B1 -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356B1
KR101957356B1 KR1020180173266A KR20180173266A KR101957356B1 KR 101957356 B1 KR101957356 B1 KR 101957356B1 KR 1020180173266 A KR1020180173266 A KR 1020180173266A KR 20180173266 A KR20180173266 A KR 20180173266A KR 101957356 B1 KR101957356 B1 KR 10195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operating
protrusion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3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7Locks with sliding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storage stand capable of storing various articles, such as documents, books, notebooks, writing instruments, shoes, clothes, living articles, learning materials laboratory materials, and the like, and to an assembly structure and to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article storage stand. The locking device (1) comprises a locking body (2) provided on a handle (71), an operation unit (3), and a control groove (4) provided on a front pillar (31). By releasing a lock, an operator (2b) can be rotated around a hinge or the like as an axis from a fixture (2a). By pulling the operator (2b), a protrusion (2b3) is operated in a first groove (3a) and pushes the first groove (3a). As the operation unit (3) moves backward while being adjacent to a control protrusion (2c), the operation unit (3)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groove (4) to open a door. In contrast, when manpower applied to the operator (2b) is removed, the operation unit (3) is moved forward to an original position thereof by elasticity of a spring to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groove (4),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Description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structure of a storage compartment having a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서류, 책, 노트, 필기구, 신발, 옷, 생필품, 학습교재, 실험교재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한 수 있는 물품 보관대와, 이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storage box for storing a variety of articles such as documents, books, notes, writing instruments, shoes, clothes, daily necessities, learning materials,

상기 잠금장치(1)는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The locking device 1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body 2 and an operating part 3 provided on the handle 71 and an intermittent groove 4 provided on the front pillar 31,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체(2b)를 당김으로써,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됨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operator releases the lock so that the operating body 2b can be rotated from the fixed body 2a around the hinge or the like so that the projection 2b3 is operated in the first groove 3a by pulling the operating body 2b,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3 is released from the intermittent groove 4 and the door can be opened as the operating portion 3 is moved backward while abutt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mittent projection 2c The operating portion 2 is advanc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inserted into the intermittent groove 4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On the contrary,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ody 2b is removed, To an assembling structure and a locking device for a cradle.

일반적으로 물품 보관대는 여러명의 학생들이 모여서 생활하는 학교의 교실이나 실험실 등에 설치되어 학생 각자 또는 여러명의 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는 각종 교구 등을 보관하도록 하거나, 대형쇼핑몰과 지하철역사 등 유동성 인구가 밀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간단한 물건 또는 들고 다니기 무거운 물건 등을 임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the storage room is installed in a classroom or a laboratory of a school where a number of students live together, so that each student or a plurality of students can store various kinds of teaching materials used together, or a portion where a liquidity population such as a large shopping mall, To temporarily store simple objects or carrying heavy objects.

이러한 물품 보관대는 내부를 다수개로 구획되어 전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구획된 전면부분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도어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금속재질과 나무재질로 제조된다.The storage shelf is composed of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internal compartments and an open front, and a door which is independently driven on the compartment front part, and is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 wood material.

이러한 물품 보관대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구비된다.Such storage shelves ar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locking devices.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5호의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선행기술 1)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98호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선행기술 2)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68070호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선행기술 3)와, 등록특허공보 제10-1762436호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선행기술 4)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a locker for a locker (prior art 1) and a locking device for a locker (prior art 2) of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43698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0978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68070 discloses a locker for a locker (Prior Art 3) and a locker for a locker (Prior Art 4) of Patent Publication No. 10-1762436.

선행기술 1은, 함체 형상을 가지고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도어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패널, 도어를 열고 닫을 시 고정패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닫힌 도어를 잠글 시에는 개별 자물쇠에 의해서 고정패널에 이동되지 않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손잡이, 및 도어의 배면 측에서 도어, 고정패널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손잡이에 장착되고, 도어를 열고 닫을 시 슬라이딩 손잡이를 따라 이동되며, 개별 자물쇠에 의해 슬라이딩 손잡이가 고정패널에 결합되었을 시에는 마스터키의 작동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도어를 열고 잠글 수 있게 하는 마스터키 뭉치를 구비한다.The prior art 1 is disposed in a door rotatably mounted on a main body having an open front portion with a housing shape. The door lock device for a locker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ck panel is slidably moved along the fixed panel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is not moved to the fixed panel by the individual lock when the closed door is locked. And the door is mounted on the sliding handle through the door and the fixed panel at the rear side of the door and is moved along the sliding handl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sliding handle is coupled to the fixed panel by the individual lock, And a master key bundle for opening and locking the door while being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

선행기술 2는, 사물함 본체(1)에 힌지(2)의 핀을 기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토록 설치되는 개폐문(3) 잠금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개폐문(3)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전면브라켓(8)과 후면브라켓(13)과, 상기 전면브라켓(8)과 후면브라켓(13) 상간으로 연통되도록 개폐문(3)에 형성되는 개구(3a)와, 상기 전면브라켓(8) 일측으로 형성되는 명패수납부(6)와 손잡이(7) 및 안내공(17)과 자물쇠결합공(9)과, 상기 후면브라켓(13)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스프링(15)에 탄력설치되는 슬라이드록커(12)와, 상기 슬라이드록커(1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개구(3a) 및 안내공(17)을 통해 노출되어 단부에 자물쇠결합공(20)을 가진 록킹레버(11)와, 상기 슬라이드록커(12)가 록킹작동을 위해 진입토록 본체(1) 대응부에 형성되는 록킹홀(16)과, 상기 슬라이드록커(12)가 록킹홀(16)에 진입 시 록킹레버(11)상의 자물쇠결합공(20)과 전면브라켓(8)상의 자물쇠결합공(9)이 일치되면서 자물쇠(19)로 잠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Prior Art 2 discloses a locking device for a door opening and closing door 3 which is installed in a locker body 1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from a pin of a hinge 2 as a starting point, The front bracket 8 and the rear bracket 13 and an opening 3a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front bracket 8 and the rear bracket 13, And the back surface bracket 13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bracket 13. The back surface bracket 13 is provided with a nameplate storage portion 6, a handle 7, a guide hole 17, a lock hole 9, A slide locker 12 to be installed and a locking lev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lide locker 12 and the other end exposed through the opening 3a and the guide hole 17 and having a lock hole 20 at an end thereof A locking hole 16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main body 1 so as to allow the slide locker 12 to move for a locking operation, When the door locker 12 enters the locking hole 16, the lock engagement hole 20 on the locking lever 11 and the lock engagement hole 9 on the front bracket 8 can be locked with the lock 19 .

선행기술 3은, 사물함(1)의 개폐문(4)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5) 후방에 고정 구성된 후면브래킷(7)과 후면브래킷(7)의 전면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손잡이(14)가 형성된 개방부(13)가 후면브래킷(7)까지 연통되게 개폐문(4)의 개구부(5)에 내입 구성된 전면브래킷(11)으로 이루어지고, 후면브래킷(7)에 후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안내편(8)의 내부에 코일스프링(18)에 탄력 지지되는 원통형 록커(10)가 좌우 슬라이딩 및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슬라이딩 안내공간(9)이 형성되며, 록커(10)의 측면에 후면브래킷(7)의 안내편(8)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딩개구(20)를 통해 후면브래킷(7)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단부에 체결공(16)이 관통 형성된 유동고정편(15)이 일체 또는 인서트 몰딩으로 형성되며, 록커(10)의 선단부와 대응되는 사물함(1) 본체(2) 일측에 고정 구성된 걸림편(19)에 록커(10)의 반구형 걸림부(10a)가 내입되게 반구형 내입홈(19a)이 형성되며, 슬라이딩개구(20)의 선단부에 유동고정편(15)의 하향 회전 시 내입되는 걸림개구(21)가 하향 개구되게 형성되며, 후면브래킷(7)의 전면에 유동고정편(15)의 하향 회전 시 유동고정편(15)의 체결공(16)과 일치되는 체결공(16)을 갖는 부동고정편(22)이 결합 설치도록 이루어진다.The prior art 3 has a rear bracket 7 fixed to the rear of the opening 5 form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4 of the locker 1 and a rear bracket 7 fixed to the front of the rear bracket 7, And a front bracket 11 formed in the opening 5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4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bracket 7. The guide bracket 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bracket 7 so as to protrude rearward The sliding guide space 9 is formed so that the cylindrical locker 10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18 can slide left and right and rotate by itself. The flow fixation piece 15 having the fastening hole 16 formed at its end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racket 7 through the sliding opening 20 formed upwardly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guide piece 8 of the guide bracket 8 is integrally formed or insert molded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2 of the locker 1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locker 10, A hemispherical inner groove 19a is formed in the fixed engaging piece 19 so that the hemispherical engaging portion 10a of the locker 10 is inserted therein. And a fastening hole 16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racket 7 so as to coincide with the fastening hole 16 of the flow fixing piece 15 when the flow fastening piece 15 is rotated downward 16 are joined to each other.

선행기술 4는, 사물함의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바디, 바디에 탄성 지지되어 축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본체의 로킹고정부에 로킹 또는 로킹해제되는 로킹뭉치, 바디에 힌지 연결되어 시소 운동을 하며 로킹뭉치를 이동 조작하는 레버, 레버의 조작으로 로킹뭉치를 탄성적으로 축 방향을 따라 전후진 작동 안내하는 슬라이드가이더, 및 바디에 설치되고 자물쇠의 잠금고리의 연결에 따라 슬라이드가이더의 후진을 제한함으로써 로킹뭉치와 로킹고정부의 구속 상태를 유지하는 로킹구속부를 포함한다.The prior art 4 discloses a locker which is hinged to a body, which is install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body of the locker, a locking assembly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ody a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axial direction and locked or unlocked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body, A slide guider for guiding the locking assembly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axial direction elastically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and a slide guider installed on the body and restric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lide guid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lock hook of the lock And a locking restricting portion for retaining the locked state of the locking block and the locking locking portion.

위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에 대하여 기재되고 있지만, 정작 본 출원인이 제공하고자 하는 구조 형태의 잠금장치는 제안되지 않고 있다.Although various types of locking devices a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 locking device of a structural type that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vide has not been propos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5호(2011.01.31.)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09785 (Jan. 31, 201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698호(2009.03.11. 공고)Registration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443698 (2009.03.11. Announcement) 등록특허공보 제10-1168070호(2012.07.24.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68070 (July 24, 2012 announcement) 등록특허공보 제10-1762436호(2017.07.28. 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0-1762436 (issued on July 27, 2017)

본 발명의 목적은, 서류, 책, 노트, 필기구, 신발, 옷, 생필품, 학습교재, 실험교재등 다양한 물품을 보관한 수 있는 물품 보관대와, 이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조립구조와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le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articles such as documents, books, notes, writing instruments, shoes, clothes, daily necessities, learn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materials, and an assembling structure and a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article storage unit To

상술된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는,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king structure and a locking device for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ing body 2 and an operating portion 3 provided on a handle portion 71, And an intermittent groove (4)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체(2b)를 당김으로써,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됨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or releases the lock so that the operating body 2b can be rotated from the fixed body 2a around the hinge or the like so that the projection 2b3 is operated in the first groove 3a by pulling the operating body 2b,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3 is released from the intermittent groove 4 and the door can be opened as the operating portion 3 is moved backward while abutt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mittent projection 2c The operating portion 2 is advanc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inserted into the intermittent groove 4 so as not to open the door .

이때, 물품 보관대는,At this time,

내부가 다수개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된 것으로,The inside of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전면기둥(31)과 전면수평대(32)가 일체로 결합된 전면부재(30)와, 배면판(41)과 배면기둥(42)과 배면수평대(43)가 일체로 설치된 배면부재(40)와, 상기 전면부재와 배면부재를 연결하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대(51)와 상기 받침대 상부와 수직구획판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52)와 최상단에 삽설되는 마감대(53)로 구성된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본체(20)와; 상기 전면부재의 전면수평대(32)와 연결부재의 배면수평대(43)에 안치되는 수평구획판(61)과, 상기 수직상의 연결부재 사이에 삽설되는 수직구획판(62)으로 구성된 나무재질인 구획판(60)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의 전면부에 각각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도어(7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덮는 상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A front member 30 integrally joined to the front pillar 31 and the front horizontal bar 32 and a rear member 40 having a back plate 41 and a rear pillar 42 and a rear horizontal bar 43 integrally formed , A pedestal (51)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members, a pedestal (51) installed at the lower end, a linkage (52) coupl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nd the vertical partition, A main body 20 made of metal and made of a connecting member 50;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provided on the front horizontal unit 32 of the front member and the rear horizontal unit 43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vertical partition plate 62 interposed between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s, A phosphor partition plate 60; A door 70 hing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an upper plate (80)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연결부재의 받침대(51)는 양단부에 삽입부(51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내부측판 사이에는 이격틈(512)이 형성되어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일측이 이격틈으로 삽설되어, 상기 삽입부가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하단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고, The pedestal 51 of the connecting member has an insertion portion 511 at both ends and a gap 512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ner side plate so that one side of the front column 31 and the rear column 42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column and the rear column, respectively,

상기 연결대(52)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양단부에 측면홈(522)이 형성된 결합편(521)을 외측으로 연장형성하고, 상기 연결대가 결합되는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면에는 "T"자 홈(311,411)을 형성하여 연결대의 결합편(521)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대의 개구된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개구된 홈에 수직구획판(62)이 결합되어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고,The connecting rod 52 has a "C" -shaped cross section, and a coupling piece 521 having side grooves 52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s extended outward. On the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illars to which the connecting rod is coupled, T "grooves 311 and 411 are formed to allow the engaging pieces 521 of the linking members to be easi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opened portion of the linking plate is vertically oriented so that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62 is engaged So as to divide the space,

상기 마감대(53)는 내측이 “ㄷ”자 단면을 갖고, 양단부는 삽입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내측 프레임사이에는 이격틈(532)이 형성되어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일측이 이격틈으로 삽설되어 삽입부가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The finishing base 53 has a "C" -shaped inner side, an insertion portion 531 at both ends, a gap 532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ner frame,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 a spacing gap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front column 31 and the rear column 42 respectively,

상기 본체 전면부재(30)의 전면수평대(32)는 사각봉체로 형성하고, 상판(80)이 안치되는 최상부를 제외한 하부와 중간에 설치되는 전면수평대(32)에는 전면수평대의 후면상측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후면하측을 중심으로 수평이되도록 절곡하여 절곡된 부분에 수평구획판(61)의 일측이 안치되도록 하고,The front horizontal bar 32 of the main body front member 30 is formed as a rectangular bar and the front horizontal bar 32 installed at the lower part and the middle except the upper part where the upper plate 80 is positioned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nt horizontally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so th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is positioned on the bent portion,

상기 본체 배면부재(40)의 배면수평대(43) 단면은 전면부를 향한 부분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판이 안치되는 최상부를 제외한 하부와 중간설치부에는 배면수평대의 상부돌출부(431)보다 하부돌출부(432)를 더 길게 돌출시켜 배면수평대의 홈에 수평구획판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horizontal base 43 of the main body rear surface member 40 is formed in a "C" shape having a portion facing the front surface thereof opened. In the lower and intermediate mounting portions excluding the uppermost portion, The lower protrusion 432 is protruded longer than the lower protrusion 431 so that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rear surface horizontal bore,

상기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하단에는 각각 고무캡(33)을 삽설하여 삽입부(511,531)가 내입되는 받침대(51)와 마감대(53)를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하단에 결합되는 고무캡은 외부로 표출되는 부분의 두께를 일정길이 두껍게 하여 금속재질의 본체가 직접 바닥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Rubber caps 33 are inserted in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illars 31 and 42 to fix the pedestal 51 and the finishing pedestal 53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s 511 and 531 are inserted, The rubber cap to be joined is made to have a thickness of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by a certain length so as to prevent the body of the metal material from direct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상기 도어(70)는 일측에 잠금장치가 포함된 손잡이부(71)가 형성되고, 일측 상하단에 힌지공(72)이 형성되어 본체 전면부재에 돌출된 힌지편(34)에 힌지핀(73)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A hinge pin 7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70 and a hinge pin 73 is formed on the hinge piece 34 protruding from the front body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상기 힌지핀(73)이 삽설되는 도어(70)의 모서리부분에는 금속재질의 보강판(74)을 더 설치하여 개폐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al reinforcing plate 74 is further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door 70 in which the hinge pin 73 is inserted to prevent wear due to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에 있어서,In the assembling structure 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article storag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잠금장치에 의하면,First, according to the locking device,

간단한 구조를 통해 안정적으로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작 중 마모 또는 내구력이 감소되어도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type of locking device which is structured such that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stably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the period of use can be increased even when the wear or durability is reduced during operation.

다음으로, 물품 보관대에 의하면,Next, according to the storage rack,

전면과 배면의 프레임과 상기 전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의 재질을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신속한 조립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한 물품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 내부의 공간은 나무판재를 이용해 구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나무재질의 고품격 심미감을 제공함과 더불어 물품안치벽면의 산화를 방지하여 오염없이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캐비닛과 옷장, 책장기능제공과 실험도구와 약품을 보관하는 활용도를 향상시킨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ront and back frames and the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etal material so as to improve the strength and mass production by rapid assembly. In addition, the space inside the frame is partitioned by using the wooden plate, thereby providing a high quality aesthetic feeling of the wood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store the article without contamination by preventing the oxidation of the wall of the furniture, thereby providing a cabinet, a closet, And a useful product that improves the utilization of the medic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와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와 잠금장치의 동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전면수평대와 배면수평대와 수평구획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마감대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와 전면기둥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대와 전면기둥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받침대와 마감대에 캡을 삽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전면부재와 상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재와 도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1b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and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ng portion of a locking device. FIG.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horizontal unit, a rear horizontal unit, and a horizontal partition in an article storage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a finishing bas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a finishing base and a front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onnecting rod and a front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inishing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cap is inserted into a pedestal and a finishing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member and the upp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11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front member and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B to 11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hinge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를 먼저 설명한다.The articl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의 전면수평대와 배면수평대와 수평구획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마감대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와 전면기둥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연결대와 전면기둥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받침대와 마감대에 캡을 삽설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전면부재와 상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부재와 도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11b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side view of th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rod and the front colum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nishing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8A and 8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cap is inserted into a pedestal and a finishing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vention of invention FIG. 11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member and the doo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B to 11D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hinge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대(10)는 전면부재(30)와 배면부재(40)와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 본체(20)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다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획판(60)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수납공간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7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덮는 상판(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rticle storage 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0 including a front member 30, a back member 40 and a connecting member 50, A door 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and an upper plate 8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전면부재(30)는 전면기둥(31)과 전면수평대(32)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기둥(31)은 양측면의 2개로 구성하여 1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거나,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면과 중앙의 3개로 구성하여 2열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등 전면기둥의 수를 증가시켜 다수의 열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면기둥(31)의 수에 따라 배면기둥(42)도 동일한 숫자로 증가시켜야 한다.The front member 30 of the main body is integrally joined to the front pillars 31 and the front horizontal pillars 32. The front pillars 31 may be formed by two sides of the front pillars 31 to provide a single row of storage space, As shown in the figure, the number of the front pillars can be increased to provide a plurality of rows by providing two rows of storage space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cours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front pillars 31, the rear pillars 42 should be increased to the same number.

상기한 바와같이 배열되는 전면기둥(31) 사이에는 전면수평대(32)가 가로로 설치되어 기둥을 지지한다. 상기 전면수평대는 전면기둥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tween the front pillars 31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horizontal pillars 32 are horizontally installed to support the pillars. Preferably, the front horizontal uni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ront column by bolting or welding.

상기 전면수평대(32)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봉체로 형성하고, 후면상측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고 후면하측을 중심으로 수평이 되도록 절곡하여 안치턱(321)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안치턱에 수평구획판(61)의 일측이 안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절단은 전면수평대 후면상단에서 일정길이 하측부분에 수평으로 형성되도록하여 날까로운 절단면이 수평구획판의 설치에 의해 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면수평대(32)는 내부 수납공간을 다층으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전면기둥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숫자를 달리하여 다층 또는 단층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4A,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is horizontally bent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so as to form a protrusion 321, So th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is lai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ting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certain length at the upper part of the front horizontal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part, so that the sharp cutting surface is embedd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The front horizontal unit 32 forms a multi-layered internal storage space, and can provide a multi-layer or single-layer storage space with a numb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ront column.

또한, 상판(80)이 안치되는 최상부의 전면수평대(32)는 안치턱없이 사각봉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치턱(321)의 높이를 사각봉체의 상단부와 수평이되도록 형성하여 상부에 안치되는 상판과 볼트, 피스 등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한다.The uppermost leveling table 32 on which the upper plate 80 is place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out a jaw or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jaws 321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rectangular shape, So as to be fastened by means of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 piece, and the like which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다음으로 상기 본체의 배면부재(40)는 본 발명의 물품 보관대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배면판(41)과 배면기둥(42)과 상기 배면기둥 사이에 가로로 결합되는 배면수평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면판(41)은 후면 전체를 폐구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수납공간 내부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배면기둥(42)과 배면수평대(43)는 수납공간의 열 수와 단 수에 의해 설치수를 조절사용할 수 있고, 배면기둥(42)과 배면수평대(43) 및 배면판(41) 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견고히 부착된다.The back surface member 40 of the main body forms the back surface of the article storag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back surface plate 41, a back surface column 42, . The rear plate 41 and the rear horizontal plate 4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torage space. The number of the fittings can be adjusted by the number of heat and the number of the step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ck column 42 and the back horizontal plate 43 and the back plate 41 is securely attached by welding.

이와같이 결합된 배면수평대(43)의 단면은 전면부를 향한 부분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의 돌출된 부분 중 상부돌출부(431)가 하부돌출부(432)보다 짧게 형성하여 수평구획판(61)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수평구획판(61)의 후미부분을 배면수평대의 홈에 삽입하고 배면수평대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면서 누르면, 수평구획판의 전면부분이 전면수평대의 안치턱(321)에 안치되면서 견고하게 장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431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432.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43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o that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can be easily engaged. That is,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ear horizontal plate and the rear horizontal plate is rotated and pressed while being hinged, the front portion of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is placed in the front chin 321 of the front horizontal plate,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배면수평대(43)도 상판(80)이 안치되는 최상부를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판과 접하는 면이 넓도록 상부돌출부(431)를 하부돌출부(432)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B, the upper protrusion 431 may be longer than the lower protrusion 432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

한편 본체의 전면부재(30)와 배면부재(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0)는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대(51)와, 상기 받침대 상부와 삽설되는 수직구획판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52)와, 최상단에 삽설되는 마감대(53)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mber 50 connecting the front member 30 and the rear member 40 of the main body includes a pedestal 5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50 and a connecting rod 50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artition, 52, and a finishing base 53 inserted at the uppermost end.

상기 받침대(51)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양단부에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하단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11)가 형성되고, 내부측판과 삽입부 사이에는 수직상으로 이격틈(512)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틈으로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이 삽설되어 받침대의 삽입부(511)가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설치장소의 바닥에 직접 설치되는 부분이므로, 측판의 높이를 일정길이 높게 형성하여 걸레받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A and 5B, the pedestal 51 is formed with insertion portions 511 at both ends thereof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pillar 31 and the rear pillar 42, The front pillar 31 and the rear pillar 42 are inserted into the gap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511 of the pedestal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s of the front pillar and the rear pillar. In addition, since the pedestal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is formed to be a certain height so as to serve as a base.

또한, 상기 연결대(52)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개구된 홈부분에 수직구획판(62)을 삽설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대는 도 6를 참조한 바와같이 양단부에 측면홈(522)이 형성된 결합편(521)을 외측으로 연장형성하여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에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대향되는 면에는 "T"자 홈(311,411)을 형성하여 가로로 넓에 형성된 상단홈에 연결대의 결합편(521)을 삽입한 후 내림으로써 폭이 좁은 T홈의 양측면이 결합편의 측면홈(522)에 끼워지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대(52)는 최하단에 설치된 받침대에 결합되어 받침대(51)와 전면기둥(31) 및 배면기둥(42)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상기 연결대 위에 개구된 홈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다른 연결대를 포개서 장착한 후 수직구획판(62)을 장착하고, 상기 수직구획판의 상단에는 개구된 홈을 하측으로 향하도록 또다른 연결대를 삽설하여 다수의 수직구획판을 수직선상으로 연속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52 has a "C" -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62 is inserted into the opened groove. As shown in FIG. 6, the connecting block 521 is formed by extending outwardly the coupling pieces 521 having the side grooves 52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pillars. In other words, "T" grooves 311, 411 are formed on the opposed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pillars 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so that the connecting piece 521 of the connect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 formed laterally,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narrow T-groove are fitted in the side groove 522 of the engagement piece. For example, the connecting rod 52 is coupled to a pedestal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edestal 51 and the front pillar 31 and the rear pillar 42, and the other opening A plurality of vertical partition plates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in a vertical line by inserting a vertical partition plate 62 after the upper partition plate is overlaid and another connecting rod is inserted i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so that the opened groove is directed downward.

또한, 상기 마감대(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이 “ㄷ”자 단면을 갖고, 양단부는 삽입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내측 프레임사이에는 이격틈(532)이 형성되어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일측이 이격틈으로 삽설되어 삽입부(531)가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단에 각각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7, the finishing base 53 has a "C" -shaped inner surface, both ends are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531, a gap 532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ner frame, So that one side of the front pillar and the rear pillar are inserted into the gap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53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op of the front pillar 31 and the rear pillar 42, respectively.

이 때 상기 받침대와 마감대의 삽입부와 연결대의 결합편은 받침재와 마감대 및 연결대에 각각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분리구성하여 용점에 의해 일체화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s of the pedestal and the insertion part of the finishing stand and the connecting rod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ing member, the finishing base, and the connecting rod, or can be formed by separating them separately and integrating them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본체(20)의 전면부재(30)의 하단부와 연결부재(50)의 하단부인 받침대(51)는 일정길이 높게 형성하여 걸레받이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of the front member 30 of the main body 20 and the pedestal 51 as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serve as a base.

도 8a와 도 8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전면기둥(31)과 배면기둥(42)의 상하단에는 각각 고무캡(33)을 삽설하여 삽입부(511,531)가 내입되는 받침대(51)와 마감대(53)를 고정하도록 하고 전면기둥과 배면기둥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하단에 결합되는 고무캡은 외부로 표출되는 부분의 두께를 일정길이 두껍게 하여 금속재질의 본체가 직접 바닥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고무캡(33)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플랜지(331)를 더 돌출시켜 연결부재의 받침대(51)를 일부 안치하도록 할 수 있다. 8A and 8B, a rubber cap 33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pillars 31 and 42, respectively, and a pedestal 51 and a finishing base 53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s 511 and 531, )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side the front and rear columns. In addition, the rubber cap coupled to the lower end prevents the body of the metal material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loor surface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 certain length, 331 may be further projected so that a part of the pedestal 51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partially laid.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체(20)에는 나무재질의 구획판(60)이 설치되어 내부수납공간을 다수개로 구획한다. 상기 구획판은 수평구획판(61)과 수직구획판(62)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구획판(61)은 상술된 바와같이 전면수평대(32)와 배면수평대(43)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구획판(62)은 연결부재(50) 사이에 결합된다. The main body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late 60 made of wood, and divides the internal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partition plate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and a vertical partition plate 62.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61 is mounted on the front horizontal bar 32 and the rear horizontal bar 43,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62) is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50).

즉, 도 9을 참조한 바와같이 연결부재의 받침대(51) 상부에 하부방향으로 연결대(52a)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대의 상부에 제2연결대(52b)를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한 후 수직구획판(62a)을 제2연결대의 홈에 결합하고, 상기 수직구획판의 상단에는 제3연결대(52c)를 결합하고, 상기 제3연결대의 상부에는 제4연결대(52d)를 접하여 안치하고, 상기 제4연결대의 홈에 다른 수직구획판(62b)을 장착한 후 수직구획판의 상단에 마감대(53)를 장착하여 물품 보관대의 좌우측면과 내부수직벽을 설치한다.9, the connecting rod 52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51 of the connecting member in a downward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ng rod 52b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62a) is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a third connecting rod (52c)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itioning plate, and a fourth connecting rod (52d) 4, another vertical partition plate 62b is mounted on the groove of the connecting rod, and a finishing stand 53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to install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inner vertical wall.

상기 수평구획판과 수직구획판의 설치가 완료된 상부에는 상판이 안착된다. 상기 상판의 고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부재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전면수평대(32)의 안치턱(321)에 결합공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부에 안치된 상판에 볼트나 피스 등의 체결수단(81)으로 결합할 수 있다.An upper plate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where the horizontal partition plate and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10, the fixing of the upper plate is performed by drilling a coupling hole in the lower jaw 321 of the front horizontal base 32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front member, And can be coupled by fastening means 81 such as a nipple.

또한,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구획된 수납공간 각각에 개폐가능한 도어(70)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의 전면부재(30)에는 도 11a를 참고한 바와같이 힌지편(3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힌지편의 통공(341)에는 힌지핀(73)이 설치되어 힌지핀의 단부에 도어(70)의 일측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힌지공(72)이 삽설되어 도어가 회동되어 개폐되도록 한다. 즉, 도어(70)의 일측상하단에는 힌지공(7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과 힌지핀의 통공(341)을 동일 수직성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 힌지핀(73)을 삽설하여 회동이 이루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a door 7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mounted on each of the partitioned compartmen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A, a hinge piece 34 is fixed to the front member 30 of the main body and a hinge pin 73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341 of the hinge case so that the door 70 A hinge hole 72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one side of the door is inserted and the door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at is, a hinge hole 72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one side of the door 70, and the hinge pin and the through hole 341 of the hinge pin are positioned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the hinge pin 73 is inserted .

상기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핀(73a)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기둥형태에 중간부분에 걸림돌기(73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핀은 물품보관함의 하단에 위치하는 도어의 하측부분과 상하단 도어 사이를 결합하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의 경우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핀(73b)의 상부결합주(732)는 길게 형성하고, 하부결합주(733)는 짧게 형성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품보관함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의 상측에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핀(73c)은 상부결합주가 없는 형태를 사용하여 상판결합시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pin 73a that rotatably supports the door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1B, and a locking protrusion 731 protruding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In addition, the hinge pin may be mounted on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which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box,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and lower door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C,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upling groove 732 of the hinge pin 73b is formed to be long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733 is formed to be shor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D, the hinge pin 73c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box, so that the hinge pin 73c is not caught when the upper plate is engaged.

아울러 상기 힌지핀(73)이 결합되는 도어의 일측 상하부 모서리에는 금속재질의 보강판(74)을 더 설치하여 상기 보강판에 힌지핀이 삽설되어 회동되게 함으로써 도어개폐에 의해 마모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 metal reinforcing plate 74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one side of the door to which the hinge pin 73 is coupled, so that the hinge pin is inserted and rotated in the reinforcing plate so as to prevent wear and tear .

이상과 같은 물품 보관대에 구비된 잠금장치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storage box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동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part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1)는 상술된 손잡이부(71)에 구비된 잠금몸체(2) 및 동작부(3)와,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lock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lock body 2 and the operating portion 3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71 and the intermittent groove 4 provided in the front column 31 do.

구체적으로, 잠금몸체(2)는 손잡이부(71)의 연통된 영역의 후방측으로 부착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일측 중 상기 단속홈(4) 방향이 개방되되 내측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 홈부(21)가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locking body 2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or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ommunicating area of the handle 71, wherein one side of the locking body 2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mittent groove 4, (21) is formed.

또한, 잠금몸체(2)의 전방측 일면에는 홈부(21)의 상측으로 고정체(2a)가 용접 등으로 일체로 구성되고, 고정체(2a)의 하측으로 조작체(2b)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체(2a)의 하면과 조작체(2b)의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되고,The fixed body 2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21 on the front side of the lock body 2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operating body 2b is positioned below the fixed body 2a .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body 2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body 2b are positioned to abut each other,

상기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에 형성된 힌지홀(2a2, 2b2)에 힌지를 삽입하여 고정체(2a)와 조작체(2b)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힌지는 볼트와 너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A hinge is inserted into the hinge holes 2a2 and 2b2 formed in the fixing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so that the fixing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are engaged. At this time, the hinge may be replaced by a bolt and a nut.

또한,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의 다른 일측으로는 좌물쇠홀(2a1, 2b1)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고정체(2a)와 조작체(2b)가 맞닿도록 겹쳐지는 경우, 2개의 좌물쇠홀(2a1, 2b1)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좌물쇠홀(2a1, 2b1)을 통해 좌물쇠를 걸어둘 수 있다.Each of the lock holes 2a1 and 2b1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other side of each of the fixed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so that the fixed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are overlapped The two lock holes 2a1 and 2b1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left lock can be hung through the left lock holes 2a1, 2b1.

한편, 고정체(2a)는 통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작체(2b)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되, 추후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갖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body 2a is formed in a usual plate shape, and the operating body 2b is bent in the shape of a letter "A", and has a shape that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later opened.

또한, 조작체(2b)의 수평면의 일측으로는 소정의 경사를 갖으면서 돌출된 돌기(2b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경사의 방향은 홈부(21)의 폐쇄된 단부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The projection 2b3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operating body 2b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is directed toward the closed end of the groove 21. [

또한, 홈부(21)의 폐쇄된 단부 일측 중, 잠금몸체(2)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속돌기(2c)가 형성될 수 있다.An interlocking protrusion 2c protruding rearward can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 body 2 on one side of the closed end of the groove 21.

또한, 홈부(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잠금몸체(2)의 후면으로는 동작부(3)가 위치될 수 있다.The operating portion 3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body 2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groove 21.

상기 동작부(3)는 일단부가 상기 단속돌기(2c)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단부는 손잡이부(71)를 초과하는 정도의 길이로 구성되어,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operating section 3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directed toward the intermittent projection 2c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of a length exceeding the handle section 71, (4).

이러한 동작부(3)는, 고정체(2a)와 조작체(2b) 방향의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홈(3a)과 상기 단속돌기(2c)에 맞닿는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홈(3b)의 내부에는 스프링(도면이 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홈(3a)에는 상기 돌기(2b3)가 삽입되도록 한다.The operating section 3 includes a first groove 3a recessed inwardly on one side of the fixed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and a second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groove 2a, And a second groove 3b, and a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second groove 3b. In addition, the protrusion 2b3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3a.

이러한 스프링은 일단부가 제2 홈(3b)의 내측 단부에 닿고, 다른 단부가 상기 단속돌기(2c)에 닿도록 구성된다.These springs ar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contacts the inner end of the second groove 3b and the other end touches the intermittent projection 2c.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1)의 동작 관계를 살펴보면,[0031]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좌물쇠를 풀어 조작체(2b)가 고정체(2a)로부터 힌지 등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되면, 조작체(2b)를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unlocks the lock so that the operating body 2b can rotate from the fixed body 2a on the axis of the hinge or the like, the operating body 2b can be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body.

이때, 돌기(2b3)가 제1 홈(3a)에서 조작되면서, 제1 홈(3a)을 밀어주게 되어, 동작부(3)가 단속돌기(2c) 방향으로 인접하면서 후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ojection 2b3 is operated in the first groove 3a to push the first groove 3a, and the operating portion 3 is moved backward while being adjacent to the interlocking projection 2c.

이에 따라, 동작부(3)가 단속홈(4)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the operating portion 3 is released from the intermittent groove 4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그리고 조작체(2b)에 가한 인력(人力)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동작부(2)가 본래의 위치로 전진되면서 단속홈(4)에 삽입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ody 2b is removed, the operating portion 2 is advanc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inserted into the interrupted groove 4 so that the door is not opened.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조작체(2b)의 힌지홀(2b2)은 조작체(2b)의 회동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과 형태를 같는 홀을 하나 더 형성하되, 상기 힌지홀(2b2)과 상기 홀이 연통되어 '8'의 형태를 갖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hinge hole 2b2 of the operating body 2b is formed with one hole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shape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body 2b, And the holes are communicated to have the shape of '8'.

이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돌기(2b3)가 마모되거나, 혹은 충격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조작체(2b2)는 힌지(또는 볼트)를 연통된 상기 홀로 이동시켜 조작체(2b2)의 최대 회전 반경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힌지홀(2b2)과 홀의 연통되는 영역은 힌지(또는 볼트)의 삽입되는 기둥의 직경보다 커야 함은 당연하다.Accordingly, even if the protrusion 2b3 is worn or damaged due to stress due to continuous use, the operating body 2b2 moves the hinge (or bolt) to the communicating hole, 2b2 can be further increased.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area in which the hinge hole 2b2 and the ho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lumn into which the hinge (or bolt) is inserted.

또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돌기(2b3)가 조작체(2b)에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힌지의 조합을 통해 돌기(2b3)가 조작체(2b)의 일측으로부터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힌지에 토션스프링을 함께 채용함으로써, 돌기(2b3)는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한다.According to other design conditions, the projection 2b3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rating body 2b, but the projection 2b3 can be moved from one side of the operating body 2b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hinges. At this time, by employing a torsion spring together with the hinge, the projection 2b3 is always configured to receive a force in an inclined direction.

또한, 돌기(2b3)의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큰 측면에는 '('의 형태로 만곡된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의 다른 단부는 조작체(2b)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Further, a curved elastic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2b3 having a relatively large inclination angle,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ar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operating body 2b.

이에 따라, 돌기(2b3)는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밀리게 된다.As a result, the projection 2b3 is always pushed by a force acting in an inclined direction.

이로 인해,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돌기(2b3)의 마모 또는 충격에 따른 파손 등이 발생되면, 힌지와 토션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해 돌기(2b3)의 단부가 제1 홈(3a)의 내벽에 닿기 위해, 경사방향으로 더 움직이게 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가 밀어주는 힘에 의해, 돌기(2b3)의 일부가 파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홈(3a)의 내벽에 밀착되게 될 수 있다.The end of the projection 2b3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roove 3a due to the action of the hinge and the torsion spring when the protrusion 2b3 is continuously damaged due to abrasion or impact,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roove 3a even though a part of the protrusion 2b3 is broken by the force pushing the elastic portion.

따라서, 돌기(2b3)의 일부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되어도,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어서,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part of the protrusion 2b3 is worn or damaged, the door can be opened, the use time can be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n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1 : 잠금장치 2 : 잠금몸체
3 : 동작부 4 : 단속홈
10 : 물품 보관대 20 : 본체
30 : 전면부재 31 : 전면기둥
32 : 전면수평대 33 : 고무캡
34 : 힌지편 40 : 배면부재
41 : 배면판 42 : 배면기둥
43 : 배면수평대 50 : 연결부재
51 : 받침대 52 : 연결대
53 : 마감대 60 : 구획판
61 : 수평구획판 62 : 수직구획판
70 : 도어 71 : 손잡이부
72 : 힌지공 73,73a~c : 힌지핀
74 : 보강판 80 : 상판
81 : 체결수단 311,411 : T홈
321 : 안치턱 331 : 플랜지
341 : 통공 431 : 상부돌출부
432 : 하부돌출부 511,531 : 삽입부
512,532 : 이격틈 521 : 결합편
522 : 측면홈 731 : 걸림돌기
732 : 상부결합주 733 : 하부결합주
1: Locking device 2: Locking body
3: operation part 4: intermittent home
10: Storage bin 20: Body
30: Front member 31: Front column
32: Front horizontal stand 33: Rubber cap
34: hinge piece 40: rear member
41: back plate 42: back column
43: back horizontal level 50: connecting member
51: pedestal 52: connecting rod
53: Finishing stand 60:
61: horizontal partition plate 62: vertical partition plate
70: Door 71: Handle portion
72: hinge pin 73, 73a to c: hinge pin
74: reinforcing plate 80: top plate
81: fastening means 311, 411: T-groove
321: Anchoring jaws 331: Flange
341: through hole 431: upper protrusion
432: lower protrusions 511, 531:
512,532: clearance 521:
522: side groove 731:
732: upper joint 733: lower joint

Claims (2)

잠금몸체(2), 동작부(3) 및 단속홈(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잠금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2) 및 동작부(3)는 물품 보관대의 손잡이부(71)에 구비되고, 상기 단속홈(4)은 물품 보관대의 전면기둥(31)에 구비되되,
상기 잠금몸체(2)는,
상기 손잡이부(71)의 연통된 영역의 후방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일측 중 상기 단속홈(4) 방향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 홈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몸체(2)의 전방측 일면에는 홈부(21)의 상측으로 고정체(2a)가 잠금몸체(2)와 일체로 구성되고, 고정체(2a)의 하측으로 'ㄱ'자 형태로 절곡된 조작체(2b)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체(2a)의 하면과 조작체(2b)의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에 형성된 힌지홀(2a2, 2b2)에 힌지를 삽입하여 고정체(2a)와 조작체(2b)가 결합되며, 결합 후 힌지를 축으로 조작체(2b)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체(2a)와 조작체(2b) 각각의 다른 일측으로는 좌물쇠홀(2a1, 2b1)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체(2b)의 수평면 일측으로는 소정의 경사를 갖으면서 돌출된 돌기(2b3)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1)의 폐쇄된 단부 일측 중, 잠금몸체(2)의 후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단속돌기(2c)가 형성되며,
상기 동작부(3)는,
일단부가 상기 단속돌기(2c)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단부는 전면기둥(31)에 구비된 단속홈(4)에 삽입되되,
상기 홈부(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잠금몸체(2)의 후면으로 위치되고,
고정체(2a)와 조작체(2b) 방향의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2b3)가 삽입되는 제1 홈(3a)과, 상기 단속돌기(2c) 방향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홈(3b)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홈(3b)의 내부에는, 그의 단부가 단속돌기(2c)에 닿는 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돌기(2b3)는 힌지를 통해 조작체(2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돌기(2b3)가 조작체(2b)로부터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힌지에 토션스프링을 채용하여 상기 돌기(2b3)는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하며,
상기 돌기(2b3)의 경사각이 큰 일측에 '('의 형태로 만곡된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의 다른 단부는 조작체(2b)의 일측면에 결합시켜, 상기 돌기(2b3)가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 힘을 받아 밀림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돌기(2b3)의 마모 또는 충격에 따른 파손이 발생되면, 힌지와 토션스프링의 작용으로 인해 돌기(2b3)의 단부가 제1 홈(3a)의 내벽에 닿기 위해, 경사방향으로 더 움직이게 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가 밀어주는 힘에 의해, 돌기(2b3)의 일부가 파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홈(3a)의 내벽에 밀착되게 될 수 있어서, 돌기(2b3)의 파손에도 불구하고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어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A locking device (1) comprising a locking body (2), an operating part (3) and an intermittent groove (4)
The locking body 2 and the operation part 3 are provided on the handle 71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intermittent groove 4 is provided on the front pillar 31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locking body (2)
A groove portion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ne side to open the direction of the intermittent groove 4 and to form a 'C' shape inward,
On the front side of the lock body 2, a fixed body 2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 body 2 on the upper side of the groove 21, and the lower body of the fixed body 2a is ben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2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ng body 2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xing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are engaged by inserting the hinge into the hinge holes 2a2 and 2b2 formed in the fixing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2b) can be rotated,
The left keyholes 2a1 and 2b1 ar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respectively,
A projecting protrusion 2b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operating body 2b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 interlocking projection (2c) protruding rearwar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 body (2) on one side of the closed end of the groove (21)
The operating section (3)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termittent groove 4 provided in the front column 31,
Is locat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lock body (2)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groove portion (21)
A first groove 3a which is recessed inwardly on one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2a and the operating body 2b and into which the protrusion 2b3 is inserted and a second groove 3a in which a concave And a second groove (3b)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groove 3b, a spring whose end portion contacts the intermittent projection 2c is inserted,
The protrusion 2b3 is coupled to the operating body 2b through a hinge so that the protrusion 2b3 can move from the operating body 2b. To receive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photograph,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art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operating body 2b so that the projection 2b3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body 2b, By always pushing in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If the end portion of the projection 2b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roove 3a due to the action of the hinge and the torsion spring when the projection 2b3 is continuously damaged due to abrasion or impact, Even if a part of the protrusion 2b3 is damage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elastic par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groove 3a, so that even if the protrusion 2b3 is damaged And the door can be opene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삭제delete
KR1020180173266A 2018-12-31 2018-12-31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KR101957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66A KR101957356B1 (en) 2018-12-31 2018-12-31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266A KR101957356B1 (en) 2018-12-31 2018-12-31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356B1 true KR101957356B1 (en) 2019-03-12

Family

ID=6580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266A KR101957356B1 (en) 2018-12-31 2018-12-31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35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98Y1 (en) 2008-01-04 2009-03-11 송철주 Locking device for a property box
KR100927899B1 (en)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Handgrip for locker
KR100981646B1 (en) * 2010-04-15 2010-09-10 오금애 Locking apparatus of locker
KR20110009785A (en)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명성산업 Locking device for personal case
KR101168070B1 (en) 2010-05-28 2012-07-24 송철주 Locking device for a locker
KR20170000540U (en) * 2015-07-31 2017-02-08 송철주 Handle structure of the locker door
KR101762436B1 (en) 2017-05-18 2017-07-28 주식회사 퍼맥스 Lock unit for cabine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98Y1 (en) 2008-01-04 2009-03-11 송철주 Locking device for a property box
KR100927899B1 (en)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Handgrip for locker
KR20110009785A (en)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명성산업 Locking device for personal case
KR100981646B1 (en) * 2010-04-15 2010-09-10 오금애 Locking apparatus of locker
KR101168070B1 (en) 2010-05-28 2012-07-24 송철주 Locking device for a locker
KR20170000540U (en) * 2015-07-31 2017-02-08 송철주 Handle structure of the locker door
KR101762436B1 (en) 2017-05-18 2017-07-28 주식회사 퍼맥스 Lock unit for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0337B (en) A modular locker system
US4283099A (en) Locker cabinet
US3767280A (en) Locking system for filing cabinets
US6735908B2 (en) Straddle bin
US2620251A (en) Industrial cabinet
US20080272676A1 (en) Boltless cabinet assembly
JPH04504449A (en) Transportable partition
US20040100173A1 (en) Storage cabinet
KR20170042812A (en) A modular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wardrobes provided with plastic structure
KR101957356B1 (en) Safety deposit apparatus's assembly having a locking device
US750193A (en) Willaed c
US20130134849A1 (en) Instrument storage cabinet system
US20120280605A1 (en) Increased storage capacity door system
US20020101142A1 (en) Drawer with interchangeable lock assembly
JP4671190B2 (en) Furniture latch
AU2012202034B2 (en) A Cabinet
KR200415023Y1 (en) A reverse actional double thrust-stick Locker Device.
US544138A (en) Cabinet
US6113200A (en) Compartment with vertical drawers and structure for allowing only one vertical drawer to be outside compartment at a time
KR102582319B1 (en) storage cabinet with ceiling storage
JP3159241U (en) Thin small Buddhist altar
JP6209180B2 (en) Storage furniture
KR200321265Y1 (en) Chest for adjusted crosspiece's height
KR102264590B1 (en) Stand-type system furniture
CN116831401A (en) Hanging cabinet with object partition plate convenient to disassem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