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40U -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 Google Patents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40U
KR20170000540U KR2020150005164U KR20150005164U KR20170000540U KR 20170000540 U KR20170000540 U KR 20170000540U KR 2020150005164 U KR2020150005164 U KR 2020150005164U KR 20150005164 U KR20150005164 U KR 20150005164U KR 20170000540 U KR20170000540 U KR 201700005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ok
locker
brack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주
Original Assignee
송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철주 filed Critical 송철주
Priority to KR2020150005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40U/ko
Publication of KR20170000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Abstract

본 고안은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로서, 유아나 어린 학생들이 사용하는 사물함의 손잡이구조를 매우 간소화하여 제작단가를 낮추면서도 작동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손잡이구조를 제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본체에 개폐문이 힌지에 의해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사물함의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후방에 개폐문에 고정되어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후면브래킷과,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코일스프링이 내입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상하로 가이드돌기와 전방으로 접지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훅과, 상기 후면브래킷에는 훅이 코일스프링에 탄지되어 출몰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상기의 가이드돌기가 내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안내공간과, 상부에 명찰수납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일측에 문고리가 구성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의 배면으로 접지판을 구성하여 후면브래킷의 전면에 고정되게 개폐문의 개구부에 내입구성된 전면브래킷과, 상기 훅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물함 본체에 고정되며,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훅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스트라이커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물함용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Handle structure of the locker door}
본 고안은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로 학교의 교실이나 복도 등에 비치하여 학생들의 사물을 수납, 보관토록 한 사물함에 설치되어 사물함의 개폐문을 여닫을 시 사물함에 자동으로 걸려서 임의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개폐작동을 하는 구성요소들을 간소화하여 작동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물함은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함으로써 대중이 모이는 지하철역사, 독서실,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에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실례로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0415681에서 게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의 함체(11)를 개폐하는 문짝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에 형성되는 식별부(20)와, 상기 손잡이부(10)에 돌출되어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사물함 함체(1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잠금부(30)로 형성된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외측으로 결합편(17)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17)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한 금속제의 접착편(100)과, 상기 접착편(100)과 일직선상에 접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201)의 내측으로 형성된 자석(200)과, 상기 자석(200)의 하우징(201)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잠금부(30)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함체(11)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된 고정편(33)의 상, 하측으로 삽입편(300)으로 구성된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사물함은 별도의 자물쇠를 이용하여 잠금하는 자물쇠걸편을 별도의 부품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사물함을 조립함에 있어 많은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다양한 부품으로 인하여 사물함의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사물함 문의 닫힘이 별도의 걸림되는 부품이 없이 자석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오랜사용 시 자석이 철편에 붙어 빠지거나 또는 철편이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물함을 빈번히 교체하거나 바꿔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KR 20-0415681 (Y1) 2006.04.28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의 사물함 손잡이에 의하면,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편과 함체에 설치되는 고정편을 자물쇠로 잠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잠금편, 고정편을 각각의 위치에 따라 달아주어야 함으로 작업공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던 것에 반하여 본 고안에서는 사물함 손잡이 구조를 단순화 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신뢰성있는 개폐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개폐구조를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를 통해 제조단가를 최소화하고 조립 및 작업성도 우수한 손잡이 개폐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본체에 개폐문이 힌지에 의해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사물함의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 후방에 개폐문에 고정되어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후면브래킷과, 일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코일스프링이 내입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상하로 가이드돌기와 전방으로 접지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훅과, 상기 후면브래킷에는 훅이 코일스프링에 탄지되어 출몰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상기의 가이드돌기가 내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안내공간과, 상부에 명찰수납구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일측에 문고리가 구성된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의 배면으로 접지판을 구성하여 후면브래킷의 전면에 고정되게 개폐문의 개구부에 내입구성된 전면브래킷과, 상기 훅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물함 본체에 고정되며,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훅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스트라이커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사물함의 손잡이를 최소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제작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단 몇 번의 볼트결합만으로도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훅의 안치홈이 형성된 단부의 전방에는 접지돌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훅의 출물 시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고 직진성이 우수하여 신뢰성 있는 개폐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사물함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손잡이를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사물함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손잡이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a 및 5b 본 고안의 사물함용 잠금장치의 평단면도로서, 후크가 좌우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사물함용 손잡이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사물함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손잡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사물함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손잡이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사물함(1)은 사용자의 물품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백화점, 기차역, 학교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물함(1)에는 도난이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별도의 자물쇠를 걸어서 사물함(1)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별도의 복잡한 잠금장치가 필요하거나 또는 잠금하는 자물쇠걸편을 별도의 부품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사물함(1)을 조립함에 있어 많은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시수가 오래 걸리고 많은 부품수로 인해 사물함(1)의 제작단가가 높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순수하고 욕심이 없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모이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도난의 염려가 없는 개인사무실이나 가정에 사용되는 사물함(1)에는 불필요한 잠금장치를 위한 구성품을 생략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신뢰성 있는 개폐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개폐구조를 갖는 사물함(1)을 필요로 한다.
본원고안의 사물함(1) 손잡이(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면브래킷(10), 후면브래킷(20), 훅(30) 그리고 스트라이커(41)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유아나 어린학생들의 사물을 수납, 보관하는 사물함(1)은 본체(2)의 일측 상하에 설치되는 힌지(3)에 의해서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개폐문(4)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4)의 상하 힌지(3)가 설치된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5)에 손잡이(6)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면브래킷(10), 후면브래킷(20), 훅(30) 그리고 스트라이커(41)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손잡이(6)는 개폐문(4)의 개구부(5) 후방에 개구부(5)를 후면에서 커버토록 후면브래킷(20)이 고정 구성되며, 상기 후면브래킷(20)에는 후방으로 횡방향의 안내공간(21)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7)에 탄지된 훅(30)이 출몰하도록 안내공간(21)이 마련되며, 안내공간(21)의 상,하측으로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할 훅(30)의 단부에 일체로 구성된 가이드돌기(33)가 내입되는 가이드홈(22)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안내공간(21)에 내입되는 훅(30)은 일측에 경사면(31)을 형성하고, 후단부에 코일스프링(7)이 내입되는 안치홈(32)을 형성하여 안내공간(21) 내측 후단부에 탄력 지지되어 훅(30)을 항상 밀어내도록 하는 코일스프링(7)을 내입설치한다.
안치홈(32)이 형성된 훅(30)의 단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출몰하는 훅(30)의 돌출간격을 제한하기 위해 상하로 가이드돌기(33)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후면브래킷(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내입되도록 조립한다. 또한 훅(30)의 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구성된 접지돌부(34)를 일체로 형성하며 접지돌부(34)의 작용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폐문(4)의 개구부(5)에는 후면브래킷(20)의 전면에 고정되게 전면브래킷(10)이 내입 구성되고, 전면브래킷(10)의 상부에는 사용자인 학생의 이름이나 학년, 학반 등이 기재된 명찰(11a)을 수납할 수 있도록 명찰수납구(11)가 설치되며, 전면브래킷(10)의 중심부에는 일측에 문고리(13)가 구성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개방부(12)에 손가락을 내입하여 문고리(13)를 잡고 당기면 개폐문(4)이 열리도록 구성된다.
손가락이 내입되는 개방부(12) 배면에는 접지판(14)을 일체로 구성한다. 이 접지판(14)의 배면에는 상기의 후면브래킷(20)과 상호 조립성을 높이기 위해 볼트내입공이나 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훅(30)의 전방으로 돌출구성된 접지돌부(34)는 훅(30)을 내입공간에 내입하고 상기의 전면브래킷(10)을 후면브래킷(20)에 부착조립했을 때 접지돌부(34)가 전면브래킷(10)의 접지판(14)에 닿도록 구성함으로써 훅(30)과 접지판(14) 사이의 유격(8)을 최소화하면서도 접지판(14)에 닿는 마찰면적을 줄여서 훅(30)의 출물작동성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훅(30)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물함(1) 본체(2)에는 걸림편(40)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걸림편(40)에는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훅(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스트라이커(41)를 일체로 형성하되, 훅(30)이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스트라이커(41)의 단부에는 훅(30)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31)에 대응되는 안내면(42)이 전후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사물함용 손잡이(6)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로서, 걸림편(4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41)의 내측에 자석을 내입하고, 개폐문(4)에 설치되는 훅(30)의 경사면(31) 내측에 자석(35)을 내입하였다. 도면은 자석(35)을 내입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훅(30) 또는 스트라이커(41) 자체를 자석(35)으로 제작하거나 자석(35)을 내입하여 인서트사출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폐작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스트라이커(41)와 훅(30)에 자석(35)을 적용하면 별도로 자석과 철편을 더 구성 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가 늘어나는 않으면서도 자석(35)의 인력에 의해 사물함(1) 개폐문(4)의 닫힘이 더 견고해지고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물함(1)용 손잡이(6)의 작용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사물함(1)이 닫혔을 때와 열리기 직전의 손잡이(6)부를 나타는 평단면도이다.
손잡이(6)의 전면브래킷(10) 개방부(12) 일측에 형성된 문고리(13)를 손으로 잡고 개폐문(4)을 본체(2)에서 힌지(3)를 기점으로 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30)의 경사면(31)이 스트라이커(41)의 후방안내면(42)을 따라 안내공간(21) 안쪽으로 미끄러져 이동되고, 스트라이커(41)의 모서리를 넘어서면서 개폐문(4)은 힌지(3)에 의해 자유회전하면서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 때 훅(3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지돌부(34)는 훅(30)이 안내공간(21) 안쪽으로 슬라이드 될 때 접지판(14)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개폐문(4)을 닫을 시에는 훅(30)의 경사면(31)이 스트라이커(41)의 전방안내면(42)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다가 스트라이커(41)의 모서리를 넘어서면 안내공간(21) 내측 후단부에 탄력 지지되어 있던 코일스프링(7)에 의해 훅(30)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개폐문(4)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손잡이(6) 구조는 최소한의 부품으로 부드럽고 신뢰성 있는 개폐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으로 단 몇 번의 볼트결합만으로도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이으며, 제작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사물함 2:본체 3:힌지
4:개폐문 5:개구부 6:손잡이
7:코일스프링 8:유격
10:전면브래킷
11:명찰수납구 11a:명찰 12:개방부
13:문고리 14:접지판
20:후면브래킷
21:안내공간 22:가이드홈
30:훅
31:경사면 32:안치홈 33:가이드돌기
34:접지돌부 35: 자석
40:걸림편
41:스트라이커 42:안내면

Claims (2)

  1. 본체(2)에 개폐문(4)이 힌지(3)에 의해서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된 사물함(1)의 손잡이(6)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4)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5) 후방에 개폐문(4)에 고정되어 개구부(5)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후면브래킷(20)과,
    일측에는 경사면(31)이 형성되며 코일스프링(7)이 내입되는 안치홈(32)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상하로 가이드돌기(33)가 일체로 형성된 훅(30)과,
    상기 후면브래킷(20)에는 훅(30)이 코일스프링(7)에 탄지되어 출몰하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상기의 가이드돌기(33)가 내입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 안내공간(21)과,
    상부에 명찰수납구(1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일측에 문고리(13)가 구성된 개방부(12)가 형성되며, 개방부(12)의 배면으로 접지판(14)을 구성하여 후면브래킷(20)의 전면에 고정되게 개폐문(4)의 개구부(5)에 내입구성된 전면브래킷(10)과,
    상기 훅(30)의 선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사물함(1) 본체(2)에 고정되며,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훅(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스트라이커(41)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훅(30)의 안치홈(32)이 형성된 단부의 전방에는 접지돌부(34)가 일체로 형성되어 훅(30)의 출물 시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KR2020150005164U 2015-07-31 2015-07-31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KR201700005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64U KR20170000540U (ko) 2015-07-31 2015-07-31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64U KR20170000540U (ko) 2015-07-31 2015-07-31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40U true KR20170000540U (ko) 2017-02-08

Family

ID=58404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64U KR20170000540U (ko) 2015-07-31 2015-07-31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02B1 (ko) * 2017-10-31 2018-05-11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손잡이
KR101957356B1 (ko) * 2018-12-31 2019-03-12 영남강철 주식회사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81Y1 (ko) 2006-02-17 2006-05-04 주식회사 퍼맥스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81Y1 (ko) 2006-02-17 2006-05-04 주식회사 퍼맥스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02B1 (ko) * 2017-10-31 2018-05-11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손잡이
KR101957356B1 (ko) * 2018-12-31 2019-03-12 영남강철 주식회사 잠금장치를 갖는 물품 보관대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8135B1 (ja) カバンの蓋止め具
US20170335604A1 (en) Magnetic lock
KR20170000540U (ko) 사물함도어의 손잡이구조
US4915430A (en) Tamper resistant latch
US20210071444A1 (en) Child-safe door, cabinet, and drawer locking system and apparatus
KR20160111117A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CN204115176U (zh) 一种空调滑动门的连接结构
KR101857202B1 (ko) 가구용 손잡이
JP6853548B2 (ja) ドア及びドア装置
US11812850B2 (en) Latching mechanism
US20090188693A1 (en) Electrical-Outlet Faceplate with Hinged Cover Doors
KR101872022B1 (ko) 폴딩도어 고정장치
KR10121526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343904B1 (ko) 슬라이딩도어 고정장치
CN215671610U (zh) 一种便于使用的磁铁锁
RU194432U1 (ru) Механизм фиксации
JP2015187346A (ja) 収納家具の引手装置
JPH048214Y2 (ko)
KR20130141335A (ko) 매립형 손잡이
KR200399357Y1 (ko) 사물함의 도어 구조
CN210118011U (zh) 门的安全锁定装置
CN109667498A (zh) 一种学校教室用新型插销
CN212011381U (zh) 一种墙面插座面板防护装置
KR200450979Y1 (ko) 도어용 손잡이
KR200439135Y1 (ko)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