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335A - 매립형 손잡이 - Google Patents

매립형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335A
KR20130141335A KR1020120124410A KR20120124410A KR20130141335A KR 20130141335 A KR20130141335 A KR 20130141335A KR 1020120124410 A KR1020120124410 A KR 1020120124410A KR 20120124410 A KR20120124410 A KR 20120124410A KR 20130141335 A KR20130141335 A KR 2013014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over
handle
guide
push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198B1 (ko
Inventor
이희택
Original Assignee
(주)다보스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스티엔지 filed Critical (주)다보스티엔지
Publication of KR2013014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의 판넬 두께와 일체되도록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푸시커버만이 노출되게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푸시커버가 양방향으로 푸시 동작되게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매립형 손잡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형 손잡이{insert type knob}
본 발명은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의 판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매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의 판넬 두께와 일체되도록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푸시커버만이 노출되게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푸시커버가 양방향으로 푸시 동작되게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매립형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서랍장 혹은 수납장 등과 같은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전면에는 개폐작업을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며, 이러한 손잡이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혹은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손잡이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어린이들이 장난치다 넘어지면서 돌출된 손잡이에 부딪히는 안전사고가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매립형 손잡이를 선호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매립형 손잡이의 일예로서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0-0000408호(선원)의 '매립형 가구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원은 푸시를 눌렀을 때 생기는 내부공간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손잡이의 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원은 어느 한쪽만으로 푸시 동작이 이루어지게 때문에 설치에 따른 제약이 있다. 즉, 푸시 동작이 단방향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단의 서랍식 등이나 시용자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선원은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의 양측에서 손잡이를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서 서랍이나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단점이 있고, 손잡이 케이싱이 외부로 노출됨에 의해 외관미를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손잡이 케이싱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손잡이 케이싱을 이루는 원소재 외의는 다른 질감의 변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0408호, 매립형 가구 손잡이.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의 판넬 두께와 일체되도록 손잡이를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푸시커버만이 노출되게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푸시커버가 양방향으로 푸시 동작되게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매립형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장방형상을 이루게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측면 둘레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이루게 소정 경사면으로 형성된 손잡이 구멍; 상기 손잡이 구멍의 전방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위치됨과 아울러 후방에 압축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소정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 동작하는 푸시커버와 상기 푸시커버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스프링이 지지됨에 의해 상기 푸시커버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및 상기 손잡이 본체에 구비되는 푸시커버의 양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회전축 역할을 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가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걸리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돌부가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서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홈부로 이루어진 푸싱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스프링은 푸시커버의 양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의 뒷면에는 스프링 홀더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상기 고정판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그 고정돌기에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부는 푸시커버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가 양측으로 푸싱 동작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부는 푸시커버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가 양측으로 푸싱 동작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에는 안내돌부를 형성하여 그 안내돌부가 상기 2개의 가이드돌부 사이에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부는 호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가 푸싱 동작될 때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구멍을 통해 노출됨과 아울러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압축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소정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 동작하는 푸시커버와 상기 푸시커버가 손잡이 구멍을 통해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상기 푸시커버의 전면 둘에를 따라 형성된 지지턱부와 상기 지지턱부가 형성된 푸시커버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및 상기 손잡이 본체에 구비되는 푸시커버의 모서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판넬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돌부가 안내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푸싱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시커버과 고정판체에는 압축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립형 손잡이가 설치되는 도어 혹은 판넬을 가공하여 손잡이로 사용함은 물론 손잡이의 테두리 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푸시커버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함으로서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이 가능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푸싱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매립형 손잡이의 설치 높이 및 사용자 높이(키 등)가 다른 경우라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도 6b는 도 5표시의 매립형 손잡이에 대한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4표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매립형 손잡이에 대한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가 적용된 가구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가 적용된 가구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장방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는 손잡이 구멍(10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 구멍(102)의 내측면 둘레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이루게 소정 경사면(102a)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102a)을 사용자의 손으로 잡아 서랍이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 구멍(102)에 설치되는 손잡이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 본체(110)는 상기 손잡이 구멍(102)의 전방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 본체(110)는 후방에 압축스프링(114a,114b)으로 지지되어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 동작하도록 푸시커버(112)가 설치되며, 이 푸시커버(112)가 상기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푸시커버(112)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부재(116a,116b)가 설치되어 상기 푸시커버(112)를 지지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재(116a,116b)는 상기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체(118)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판체(118)에는 가이드부재(116a,116b)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스프링(114a,114b)이 지지됨에 의해 상기 푸시커버(112)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커버(112)가 푸싱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 본체(110)에서 압축스프링(114a,114b)은 푸시커버(112)의 양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이 좋고, 또 상기 압축스프링(114a,114b)은 푸시커버(112)의 뒷면에는 스프링 홀더(112a)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114a,114b)의 일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고정판체(118)에 고정돌기(118a)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114a,114b)의 다른 일단을 고정되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푸싱작동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푸싱작동부(120)는 상기 손잡이 본체(110)에 구비되는 푸시커버(112)의 양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112)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부재(116a,116b) 내에서 회전축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부(122)와, 상기 가이드돌부(122)가 가이드부재(116a,116b)의 내측면에 걸리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112)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돌부(122)가 가이드부재(116a,116b)의 내측면에서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홈부(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부(122)는 푸시커버(112)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112)가 양측으로 푸싱 동작될 수 있게 함이 좋다.(도 4참조)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부(122)를 푸시커버(112)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112)가 양측으로 푸싱 동작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116a,116b)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24)에는 안내돌부(126)를 형성하여 그 안내돌부(126)가 상기 2개의 가이드돌부(122)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푸싱 동작시 가이드돌부(122)를 안내할 수 있게 함이 좋다.(도 5 및 도 6a ~도 6b참조)
또한, 상기 가이드홈부(124)는 호 형상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112)가 푸싱 동작될 때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도 7 ~도 8참조)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부(124)를 호 형상을 이루게 형성하면, 상기 푸시커버(112)의 부드러운 작동력 관리가 용이하며, 상기 푸시커버(112)의 복원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부(124)의 호 형상에 의해 회전 기능을 함으로서 부드러운 작동 및 복원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부(124)는 푸시커버(112)의 양측부에 1개씩을 형성하면 되며, 이는 위에서 설명한 상기 푸시커버(112)의 양측부에 가이드돌부(124)를 각각 2개를 형성한 것을 1개로 합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시커버(112)를 밀게 되면 압축스프링(114a,114b)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푸시커버(112)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122)가 상기 가이드부재(116a,116b)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24)에서 힌지축 역할을 하면서 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손잡이 구멍(102)의 경사면(102a)을 잡아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즉, 푸시커버(112)를 밀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손잡이 구멍(102)의 경사면(102a)을 잡을 수 있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0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사각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는 손잡이 구멍(20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 구멍(202)의 내측면 둘레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이루게 소정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을 사용자의 손으로 잡아 서랍이나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 구멍(202)에 설치되는 손잡이 본체(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 본체(210)는 상기 손잡이 구멍(202)의 전방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이루어, 상기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 본체(210)는 후방에 압축스프링(214)으로 지지되어 소정의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 동작하도록 푸시커버(212)가 설치되며, 이 푸시커버(212)가 상기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푸시커버(212)의 전면부에는 지지턱부(216)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 구멍(202)을 통해 푸시커버(212)가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지지되며, 상기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뒷면에는 고정판체(218)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판체(218)에 의해 압축스프링(214)이 지지됨에 의해 상기 푸시커버(212)와 고정판체(218)가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커버(212)가 손잡이 구멍(202) 내에서 푸싱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 본체(210)에서 압축스프링(214)은 푸시커버(212)와 고정판체(218)에 각각 스프링지지홈(212a,218a)을 형성하여, 상기 압축스프링(214)의 양단이 고정되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푸싱작동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푸싱작동부(220)는 상기 손잡이 본체(210)에 구비되는 푸시커버(212)의 각 모서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212)의 푸싱 동작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부(222)와, 상기 가이드돌부(222)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판체(218)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212)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돌부(222)가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홈부(224a)가 형성된 가이드부재(2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돌부(222)는 푸시커버(212)의 모서리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서 상기 푸시커버(212)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푸싱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시커버(212)를 밀게 되면 압축스프링(214)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면서 푸시커버(212)의 각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222)가 상기 가이드부재(224)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224a)에서 안내되면서 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손잡이 구멍(202)의 경사면을 잡아 도어를 개폐하게 된다. 즉, 푸시커버(212)를 밀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손잡이 구멍(202)의 경사면을 잡을 수 있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10)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두께와 일치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푸시커버(112,212)를 도의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푸시커버(112,212) 외의 테두리 노출이 없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립형 손잡이는 가구의 문(도어) 자체에 손잡이 구멍(102,202)을 가공하여 손잡이로 사용되어지며, 푸시커버(112,202)만이 노출되어 손잡이의 기능부 자체는 숨겨짐으로서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푸시커버(112,212) 위에 다양한 소재의 판재를 부착하여 디자인의 다양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손잡이는 상기 푸시커버(112,201)의 푸싱 동작이 양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함으로서, 설치 높이 및 사용자 높이(키 등)가 다른 경우라도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립현 손잡이는 그 푸싱 동작이 양방향으로 동작되어 설치 위치에 따라 문(도어)을 1개 또는 2개 이상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1개에 적용시 손잡이의 높이 또는 사용자의 높이 변화에도 손잡이 방향이 다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위치가 높을 땐 아래방향을 잡고 동작시킬 수 있고, 위치가 낮을 땐 위의 방향을 잡아 동작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102,202 - 손잡이 구멍 110,210 - 손잡이 본체
112,212 - 푸시커버 114a,114b,214 - 압축스프링
116a,116b,224 - 가이드부재 118,218 - 고정판체
120,220 - 푸싱 작동부 122,222 - 가이드돌부
124,224a - 가이드홈부 126 - 안내돌부

Claims (7)

  1.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장방형상의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구멍을 통해 노출됨과 아울러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압축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소정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 동작하는 푸시커버와 상기 푸시커버의 양측부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스프링이 지지됨에 의해 상기 푸시커버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및
    상기 손잡이 본체에 구비되는 푸시커버의 양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회전축 역할을 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가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걸리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돌부가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서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홈부로 이루어진 푸싱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푸시커버의 양측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의 뒷면에는 스프링 홀더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상기 고정판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그 고정돌기에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부는 푸시커버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가 양측으로 푸싱 동작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부는 푸시커버의 양측부에 각각 2개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커버가 양측으로 푸싱 동작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에는 안내돌부를 형성하여 그 안내돌부가 상기 2개의 가이드돌부 사이에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호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가 푸싱 동작될 때 회전될 수 있게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6. 가구의 서랍이나 도어 판넬에 손잡이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구멍을 통해 노출됨과 아울러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압축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소정 외력이 가해지면 푸시 동작하는 푸시커버와 상기 푸시커버가 손잡이 구멍을 통해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상기 푸시커버의 전면 둘에를 따라 형성된 지지턱부와 상기 지지턱부가 형성된 푸시커버로부터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서랍이나 도어 판넬의 뒷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체로 이루어진 손잡이 본체; 및
    상기 손잡이 본체에 구비되는 푸시커버의 모서리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고정판넬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커버의 푸싱 동작시 상기 가이드돌부가 안내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푸싱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커버과 고정판체에는 압축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손잡이.
KR1020120124410A 2012-06-15 2012-11-05 매립형 손잡이 KR101388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481 2012-06-15
KR1020120064481 2012-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335A true KR20130141335A (ko) 2013-12-26
KR101388198B1 KR101388198B1 (ko) 2014-04-23

Family

ID=4998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10A KR101388198B1 (ko) 2012-06-15 2012-11-05 매립형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29B1 (ko) * 2020-03-10 2020-07-13 (주)베스툴 가구용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80Y1 (ko) * 2020-08-13 2020-10-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필터 교체가 용이한 정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796A (ja) 2005-05-26 2006-12-07 Ryuichi Ueda 取っ手
KR200454552Y1 (ko) 2010-02-19 2011-07-11 주식회사 동양기업 도어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29B1 (ko) * 2020-03-10 2020-07-13 (주)베스툴 가구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198B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4627B2 (en) Pocket door pull devices
KR101343998B1 (ko) 매립형 손잡이
KR20160107423A (ko) 매립형 손잡이
JP5189864B2 (ja) 符号錠付き家具及び符号錠
JP2015501181A (ja) 前部ドアに当該前部ドアのロック調節装置が設けられている改良された引き出し
JPS587015Y2 (ja) 引出し鎖錠装置
KR101388198B1 (ko) 매립형 손잡이
JP6787805B2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の設置方法
JP5812871B2 (ja) 収納家具の扉構造
KR20170103338A (ko) 개량형 붙박이장
KR100864565B1 (ko) 커버가 형성된 문 손잡이
JP2015025242A (ja) 家具用引き手
KR101337409B1 (ko) 여닫이문 도어 커버의 틸팅 힌지장치
KR101449312B1 (ko) 가구 손잡이
KR200459275Y1 (ko) 룸식 독서실 책상
JP5236972B2 (ja) 幕板
KR20160001798U (ko) 가구와 일체감을 갖게 하는 가구용 개폐 핸들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JP2015187346A (ja) 収納家具の引手装置
KR20130102174A (ko) 룸식 독서실 책상
KR200483771Y1 (ko) 매립형 가구용 손잡이
KR101749426B1 (ko) 미닫이 문용 안전 손잡이
KR200236608Y1 (ko) 매립형 손잡이
JP2008208524A (ja) 建具用ロック具及びこれを利用した開閉体錠
JP2008127860A (ja) 引戸用受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