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50B1 -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 Google Patents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250B1
KR100947250B1 KR1020090085845A KR20090085845A KR100947250B1 KR 100947250 B1 KR100947250 B1 KR 100947250B1 KR 1020090085845 A KR1020090085845 A KR 1020090085845A KR 20090085845 A KR20090085845 A KR 20090085845A KR 100947250 B1 KR100947250 B1 KR 10094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coupled
locking body
doo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09008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8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 E05B35/1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operable by a plurality of keys with master and pass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함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보관함 사용자가 배정된 열쇠를 분실하였을 때에라도 관리자가 즉시 도어를 개방시켜 보관 물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키에 의한 2중 관리가 가능한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고정되는 로킹본체와; 스프링 지지되어 로킹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틀의 로킹홈에 삽입되는 로커와; 상기 로커를 이동시키는 제1가동편과 자물쇠가 체결되는 자물쇠고정편을 구비하는 제1작동부와; 마스터키를 통하여 상기 제1작동부의 잠금 상태와 무관하게 작동하도록 상기 로커를 이동시키는 제2가동편을 구비하는 제2작동부로 구성된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Figure R1020090085845
보관함, 사물함, 락커룸, 로킹장치, 도어 락, 잠금장치, 이중 잠금장치, 마스터 키

Description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lockerroom with doub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의 개인 보관함(사물함)의 잠금 상태에서의 개인 사용자의 열쇠분실 시 마스터키에 의한 보조적인 보관함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사용자의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개별 로킹장치가 구비된 보관함(사물함) 설치물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개인용 보관함은 타인으로부터 그 물품이 보호되도록 개인별 자물쇠로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에 로킹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로킹장치로서 개폐도어에 로킹용 고리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로킹용 고리의 자물쇠를 채워 개인 사용자가 보관함의 잠금 상태를 유지 혹은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보관함 관리에 있어 개인별 사용자가 자신에게 배정된 보관함의 열쇠를 분실한 경우 열쇠 수리공을 부르기 전까지는 사물함에 보관중인 물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개인별 사용자가 특수한 자물쇠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관함의 개폐 도어를 해체하거나 파손하여야 하는 등 보관함 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관함의 사용자가 배정된 열쇠를 분실하였을 때에라도 관리자가 즉시 도어를 개방시켜 보관 물품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키에 의한 2중 관리가 가능한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관함 도어에 설치되는 로킹본체;
상기 로킹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로킹본체로부터 한쪽 단이 스프링 지지되어 돌출되는 다른쪽 끝단이 도어 틀의 로킹홈에 삽입되는 로커;
상기 로킹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는 힌지축봉과, 상기 힌지축봉의 한쪽에 결합되어 로킹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레버와, 상기 힌지축봉에 결합되어 배면에 위치하는 로커에 형성된 제1수용홈에 삽입되는 제1가동편과, 상기 힌지축봉에 결합되어 로킹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자물쇠고정편으로 이루어진 제1작동부; 및
상기 로킹본체의 전면으로 키홈을 형성한 채 로커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로킹본체에 축 결합되어, 상기 로커에 형성된 제2수용홈에 삽입되게 외주면 일측에 제2가동편을 구비하는 키축봉을 구성하여, 상기 키홈에 체결되는 마스터키를 통해 상기 제1작동부의 잠금 설정과 무관하게 로커를 이동시키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개별 보관함에 사용 시 1차 로킹장치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시키는 개별 열쇠가 분실되었을 경우나 혹은 개별 사용자가 장시간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해당 보관함 도어의 잠금 상태를 신속히 해제하여, 열쇠를 분실한 개별 사용자에게 신속한 보관물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의 관리자가 하나의 마스터키만을 이용하여, 개별 사용자의 열쇠에 의한 잠금 설정과 무관하게 보관함의 도어를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어, 관리자에 의한 보관함의 전체적인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잠금 설정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를 해체하거나 파손시킬 필요 없어 유지 관리의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가 설치되는 보관함을, 도 2는 본 발명 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분리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용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의 이중 로킹장치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설정되지 않은 이중 로킹장치의 정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설정된 이중 로킹장치의 정면도를,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이중 로킹장치의 측단면도를,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이중 로킹장치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1)은, 힌지타입으로 개폐되는 도어(2), 로킹본체(10), 로커(20), 제1작동부(30) 및 제2작동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작동부(30)는 예컨대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의 개인 보관함을 사용하는 실제 사용자에 의해 해당 보관함(1)측 도어(2)의 잠금 및 해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1차 로킹장치에 해당하며, 상기 제2작동부(40)는 해당 보관함(1)을 사용하는 개인 사용자에 의하여 제1작동부(30)가 잠금 상태에서 부득이하게 학교, 도서관, 대합실, 탈의실 등의 관리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해당 보관함을 열어야할 경우 등에 대비하여 해당 보관함(1)의 도어(2) 잠금 상태를 특별한 이유에서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2차 로킹장치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킹본체(10)는, 상기 로커(20), 제1작동부(30) 및 제2작동부(40)가 내부에 장착되고 , 도어(2)에 형성된 설치공(2a)에 끼워져 설치 고정된 다. 아울러, 상기 로커(20)의 끝단을 도어(2)의 일측에 형성된 로커돌출공(2b)으로 돌출시켜 도어(2)의 닫힘 시 대향하는 도어 틀(1a)의 로킹홈(1b)에 로커(20)의 끝단을 삽입시키는 것으로 도어(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로킹본체(10)는, 하부커버(11)와, 상부커버(12) 및 외통커버(1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커버(11)와 상부커버(12)는 상호 대응하여 외주면에 형성된 걸게홈(12a)과 걸게(11a)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그 내부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결합과 함께 형성되는 로커가이드(111)(121)를 통하여 로커(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그 끝단을 돌출시킨다. 또한, 상기 로커가이드(111)(121)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 하부커버(12)(11)의 상호 결합과 함께 형성되는 제1지지구(112)(122)를 통하여 상기 제1작동부(30)를 축 결합 지지한다. 또한, 상, 하부커버(12)(11)의 상호 결합과 함께 형성되는 제2지지구(113)(123)를 통하여 상기 제2작동부(40)를 축 결합 지지한다. 이때 제1작동부(30) 및 제2작동부(40)의 조작부(레버와 키홈)는 상부커버(12)의 전면에 노출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통커버(13)는 고정구(7)를 통하여 상기 하부커버(11) 및 상부커버(12)의 결합체 전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 외통커버(13)는 도어(2)에 형성된 설치공(2a)에 끼워져 로킹본체(10)를 도어(2)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외통커버(13)의 개방된 전면에는, 외통커버(13)의 외주 일부분에 형성된 핀홀(131)과 힌지핀(141)으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141)을 중심으로 외통커버(13)로부터 측방으로 회동 가능한 개폐용 덮개(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러한 개폐용 덮개(14)는 상부커버(12)의 전면으로 노출된 제1작동부(30) 및 제2작동부(40)의 조작부를 가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의 손잡이 기능을 겸하게 되는 제1작동부(30)의 레버(302)만을 노출시킬 수 있게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취하도록 한다. 그리고 개폐용 덮개(14)의 전면에는 보관함(1)을 사용하는 개인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고유번호 등을 기재할 수 있는 표시부를 설치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로커(20)는, 상기 로킹본체(10)의 로커가이드(111)(121) 내부에 배치되어, 한쪽은 로킹본체(10)로부터 스프링(201)지지되어, 다른쪽 끝단이 로킹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상기 제1작동부(30) 및 제2작동부(40)에 의한 아무런 외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스프링(201)에 지지된 채 항상 도어(2)의 로커돌출공(2b)으로부터 그 끝단이 돌출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때 로커(20)의 끝단이 돌출된 상태에서 도어(2)의 닫힘 작용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도어 틀(1a)을 대향하는 로커(20)의 돌출된 끝단 일측은 만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로커(20)는 상기 제1작동부(30)와 연결되는 제1수용홈(202)과 상기 제2작동부(40)와 연결되는 제2수용홈(203)이 일체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제1작동부(30)는, 상기 로킹본체(10)의 제1지지구(112)(122)에 축 결합되는 힌지축봉(301)과, 이 힌지축봉(301)의 한쪽에 결합되어 로킹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레버(302)와, 상기 힌지축봉(301)에 결합되어 배면에 위치하는 상기 로커(20)에 형성된 제1수용홈(202)에 삽입되는 제1가동편(303)과, 상기 힌지축봉(301)에 결합되어 상기 로킹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25)을 관통하는 자물쇠고정편(304)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자물쇠고정편(304)에 자물쇠(35)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302)는 도어(2)의 손잡이 기능을 겸으로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레버(302)를 당겨 힌지축봉(301)을 회전시키면, 상기 로커(20)의 제1수용홈(202)내 위치하는 제1가동편(303)이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1수용홈(202)의 한쪽 지지면(202a)을 가압하며 스프링(201)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로커(20)를 이동시켜 도어(2)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동편(303)의 이동과 연동하여, 힌지축봉(301)에 결합된 자물쇠고정편(304)은 로킹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304)의 내부로 삽입하며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반면, 개인 사용자에게 의하여 상기 자물쇠고정편(304)에 자물쇠(35)가 채워진 잠금 상태에서는 다른 사용자가 레버(302)를 당겨 도어(2)를 열려고 하더라도 자물쇠(35)로 채워진 자물쇠고정편(304)이 고정되어 있어, 힌지축봉(301)의 회전이 차단되어 로커(20)의 이동이 차단되어 도어(20)를 열수 없게 된다.
계속해서, 제2작동부(40)는, 상기와 같이 개인 사용자에 의해 제1작동부(30)의 자물쇠고정편(304)에 자물쇠(35)가 채워져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개인 사 용자가 장시간 부재중이거나 혹은 개인 사용자가 자물쇠(35)의 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관리자(마스터)가 별도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도어(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열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제2작동부(40)는, 로킹본체(10)에 형성된 제2지지구(113)(123)에 축 결합되는 전면에 형성된 키홈(42)에 마스터키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회전되는 키축봉(41)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키축봉(41)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로커(20)에 형성된 제2수용홈(203)에 삽입 위치되는 제2가동편(43)이 설치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제1작동부(30)의 제1가동편(303)과 제2작동부(40)의 제2가동편(43)이 각각 삽입되는 로커(20)의 제1수용홈(202)과 제2수용홈(203)은, 로커(20)의 슬라이딩 이동범위에 대응하는 만큼의 길이성분을 가지게 되어, 상기 제1가동편(303)은 제1수용홈(202)의 한쪽 지지면(202a)(스프링(201)을 향하는 쪽)에 밀착된 상태를 취하고, 상기 제2가동편(43)은 제2수용홈(203)의 한쪽 지지면(203a)(스프링(201)을 향하는 쪽)에 밀착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즉,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작동부(30)의 레버(302)를 당겨 제1가동편(303)이 회전하여 로커(20)를 이동시키는 경우, 초기 고정된 상태를 취하는 제2가동편(43)은 로커(20)의 슬라이딩 이동범위 만큼의 길이구간을 갖는 제2수용홈(203)내에 머물게 되어, 로커(20) 이동에 방해되지 않으며, 반대로 제2작동부(40)의 키축봉(41)의 회전과 연동하여 제2가동편(43)이 회전하여 로커(20)를 이동시키는 경우 초기 고정된 상태를 취하는 제1가동편(303)은 로커(20)의 슬라이딩 이동범위 만큼 의 길이구간을 갖는 제1수용홈(202)내에 머물게 되어, 로커(20) 이동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로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소 도어(2)는 로킹본체(10)로부터 스프링(201)지지된 로커(20)의 돌출끝단이 도어 틀(1a)의 로킹홈(1b)에 삽입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작동부(30)의 자물쇠고정편(304)에 자물쇠(35)가 채워지지 않은 채 닫힘 상태에서는, 도어(2)의 손잡이 기능을 겸으로 하는 제1작동부(30)의 레버(302)를 당겨 힌지축봉(301)을 회전시키면, 상기 로커(20)의 제1수용홈(202)내 위치하는 제1가동편(303)이 연동하여 회전하며 로커(20)의 제1수용홈(202) 지지면(202a)을 가압하며 스프링(201)을 압축시키고, 연동하여 로커(20)를 이동시켜 도어 틀(1a)의 로킹홈(1b)으로부터 로커(20)를 이탈시켜 도어(2)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작동부(30)의 제1가동편(303) 이동과 연동하여, 힌지축봉(301)에 결합된 자물쇠고정편(304)은 로킹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25)의 내부로 삽입하며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이러한 제1작동부(30)를 잠금 설정하기 위해 개별 사용자는 도어(2)의 닫힘 상태에서 로킹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25)을 관통하여 돌출한 자물쇠고정편(304)에 개별적으로 배정된 자물쇠(35)를 걸고 열쇠로 채워 다른 외부 사람이 레버(302)를 당겨 도어(2)를 열려고 하더라도 제1작동부(30)의 힌지축봉(301)의 회전이 차단되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개별 사용자에 의해 제1작동부(30)가 잠금 설정된 상태에서 예컨대, 자신에게 배정된 보관함을 잠금 설정한 사용자가 해외여행 등과 같이 부득이 하게 장시간 자리를 비우거나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 만약 사용자의 가족 등 지인의 요구로 보관함 내부의 특별한 물품을 급하게 사용하고자 할 경우, 또는 개별 사용자가 실수로 자신에게 배정된 열쇠를 지참하지 않고 왔을 경우, 또는 자신에게 배정된 제1작동부(30)의 열쇠를 분실하였을 경우, 또는 특히 공공장소와 같이 공공의 안전을 이유로 폭발물이나 위험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부득이 하게 개별 보관함 내부의 물품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 다양한 목적으로 관리자가 해당 보관함의 도어를 열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관리자는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제2작동부(40)의 키축봉(41)을 회전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키축봉(41)에 결합된 제2가동편(43)은 로커(20)의 제2수용홈(203)의 한쪽 지지면(203a)을 가압하며 스프링(201)을 압축시키며, 연동하여 로커(20)를 이동시켜 도어 틀(1a)의 로킹홈(1b)으로부터 로커(20)를 이탈시켜 상기 제1작동부(30)의 잠금 설정과 무관하게 도어(20)를 열수 있게 된다.
이때, 제2가동편(43)의 가압에 의한 로커(20)의 이동 중, 잠금 설정되어 있던 제1작동부(30)의 제1가동편(303)은 로커(20)의 최대 슬라이딩 이동범위 만큼의 길이영역을 구비하는 제1수용홈(202)내에서 정위치를 유지한 채 로커(20)의 이동을 허락한다.
이렇게 도어(2)를 개방한 후 보관 물품을 확인한 후 다시 도어(2)를 닫은 상태에서 키축봉(41)의 키홈(42)으로부터 마스터키를 제거한 다음에는 다시 로커(20) 는 스프링(201)의 탄성력으로 다시 돌출되어 도어 틀(1a)의 로킹홈(1b)에 끝단이 삽입되어 도어(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계속해서 잠금 설정된 상태로 정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제1작동부(30)에 의하여 도어(2)의 잠금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사용자를 위한 제1작동부(30)와 관리자를 위한 제2작동부(40)에 의한 2중의 잠금 해제 구조를 이루는 로킹장치는, 특히 학교, 도서관, 대합실, 스포츠 시설물 등의 개인 물품 보관함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는 제2작동부(40)를 조작하는 하나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전체 개인 물품 보관함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할 수 있어 그 관리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용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의 이중 로킹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로킹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설정되지 않은 이중 로킹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설정된 이중 로킹장치의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이중 로킹장치의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작동부의 작동상태를 보이기 위한 이중 로킹장치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관함 (1a) : 도어 틀
(1b) : 로킹홈 (2) : 도어
(2a) : 설치공 (10) : 로킹본체
(11) : 하부커버 (11a) : 걸게
(111) : 로커가이드 (112) : 제1지지구
(113) : 제2지지구 (12) : 상부커버
(12a) : 걸게홈 (121) : 로커가이드
(122) : 제1지지구 (123) : 제2지지구
(13) : 외통커버 (131) : 핀홀
(14) : 개폐용 덮개 (141) : 힌지핀
(20) : 로커 (201) : 스프링
(202) : 제1수용홈 (203) : 제2수용홈
(30) : 제1작동부 (301) : 힌지축봉
(302) : 레버 (303) : 제1가동편
(304) : 자물쇠고정편 (40) : 제2작동부
(41) : 키홈 (42) : 제2가동편
(100) : 이중 로킹장치

Claims (5)

  1.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도어에 설치되는 로킹본체(10);
    상기 로킹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로킹본체로부터 한쪽 단이 스프링(201) 지지되어 돌출되는 다른쪽 끝단이 도어 틀의 로킹홈에 삽입되는 로커(20);
    상기 로킹본체의 내부에 축 결합되는 힌지축봉(301)과, 상기 힌지축봉의 한쪽에 결합되어 로킹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레버(302)와, 상기 힌지축봉에 결합되어 배면에 위치하는 로커(20)에 형성된 채 로커의 이동범위 만큼의 길이구간을 갖는 제1수용홈(202)의 한쪽 지지면(202a)에 삽입 밀착된 상태를 이루는 제1가동편(303)과, 상기 힌지축봉에 결합되어 로킹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25)을 관통하는 자물쇠고정편(304)으로 이루어진 제1작동부(30); 및
    상기 로킹본체(10)의 전면으로 키홈(42)을 형성한 채 로커(20)의 이동방향에 수직하게 로킹본체에 축 결합되어, 상기 로커(20)에 형성된 채 로커의 이동범위 만큼의 길이구간을 갖는 제2수용홈(203)의 한쪽 지지면(203a)에 삽입 밀착된 상태를 이루는 제2가동편(43)을 외주면 일측에 구비하는 키축봉(41)을 구성하여, 상기 키홈(42)에 체결되는 마스터키를 통해 상기 제1작동부(30)의 잠금 설정과 무관하게 로커(20)를 이동시키는 제2작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본체(10)는, 상호 대응하여 외주면에 형성된 걸게(11a)와 걸게홈(12a)을 통해 결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로커(20)가 돌출 안내되는 로커가이드(111)(121)와, 상기 제1작동부(30)의 힌지축봉(301)이 축 결합되는 제1지지구(112)(122) 및 상기 제2작동부(40)의 키축봉(41)이 축 결합되는 제2지지구(113)(123)를 형성하는 하부커버(11)와 상부커버(12); 및
    상기 상부커버(12)의 전면 가장자리에 고정구(7)를 통해 결합되어 도어의 설치공(2a)에 끼워져 고정되는 외통커버(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커버(13)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핀홀(131)에 힌지핀(141)으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며, 닫힘 시 로킹본체의 전면으로 레버(302)만이 노출되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개폐용 덮개(1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30)의 레버(302)는, 도어의 개폐용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KR1020090085845A 2009-09-11 2009-09-11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KR10094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45A KR100947250B1 (ko) 2009-09-11 2009-09-11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45A KR100947250B1 (ko) 2009-09-11 2009-09-11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250B1 true KR100947250B1 (ko) 2010-03-11

Family

ID=4218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45A KR100947250B1 (ko) 2009-09-11 2009-09-11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252B1 (ko) * 2018-01-12 2019-07-18 (주)동화엠피에스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255132B1 (ko) * 2021-02-19 2021-05-24 양해채 다관절 도어 잠금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물함
KR102276666B1 (ko) * 2020-11-20 2021-07-13 (주)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344A (ja) * 1995-12-28 1997-07-15 Kazuaki Ando ガード錠の室外乖離方法
KR100903061B1 (ko) * 2009-02-09 2009-06-18 윤자호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344A (ja) * 1995-12-28 1997-07-15 Kazuaki Ando ガード錠の室外乖離方法
KR100903061B1 (ko) * 2009-02-09 2009-06-18 윤자호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252B1 (ko) * 2018-01-12 2019-07-18 (주)동화엠피에스 도어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276666B1 (ko) * 2020-11-20 2021-07-13 (주)퍼맥스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255132B1 (ko) * 2021-02-19 2021-05-24 양해채 다관절 도어 잠금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273B2 (en) Lock
KR200448297Y1 (ko) 사물함용 손잡이형 잠금장치
US5203187A (en) Portable door lock closure
KR100947250B1 (ko)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AU2009243929A1 (en) Handle
KR1014500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872687B1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JP4540917B2 (ja) ロック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100947251B1 (ko) 비상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도어의 로킹장치
KR101731823B1 (ko) 이중 잠금장치로 구성된 사물함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100981646B1 (ko) 사물함 잠금장치
JP3145858B2 (ja) 宅配ボックスの閉じ込め防止装置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JP3197691U (ja) 解錠ボタンを有する錠前装置
JP5364899B2 (ja) 収納什器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102661398B1 (ko) 갇힘 방지용 도어록
KR100903061B1 (ko)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KR102663528B1 (ko) 잠금 손잡이에서 자물쇠 제거가 가능한 학생용 사물함
KR101881042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JP4986794B2 (ja) 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