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300B1 - 사물함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300B1
KR101086300B1 KR1020110004368A KR20110004368A KR101086300B1 KR 101086300 B1 KR101086300 B1 KR 101086300B1 KR 1020110004368 A KR1020110004368 A KR 1020110004368A KR 20110004368 A KR20110004368 A KR 20110004368A KR 101086300 B1 KR101086300 B1 KR 10108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er
opening
main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호
Original Assignee
박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호 filed Critical 박충호
Priority to KR102011000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2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movable, resilient or yie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2Bolts having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사각 형태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10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와 도어(102)의 내측에는 잠금장치(103)를 설치하되,
상기 잠금장치(103)는, 도어(102)의 앞면과 동일하게 매립 설치되고, 정면에는 요홈부(106)를 형성하여서 된 하우징(104)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어 본체(101)의 전면 개구부 상에서 도어(102)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동브라켓(105)과;
상기 작동브라켓(105)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113)의 탄성적 지지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되는 작동자(112)로 구성하여서 된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에 형성된 요홈부(106)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부이동홈(107)과 하부이동홈(108)을 형성하되, 상부이동홈(107)의 우측 끝단에는 고정레버(109)를 형성하고, 하부이동홈(108)의 좌측 상단에 고정고리(110)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브라켓(105)의 앞면에는 '
Figure 112011045957208-pat00023
'와 같은 형태로 함몰된 슬라이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단에는 작동자(112)와 코일스프링(113)을 삽입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에는 '
Figure 112011045957208-pat00024
'와 같은 형태의 이동자(114)를 삽입 구성하고;
상기 이동자(114)는 작동브라켓의 슬라이딩홈(111)에 삽입하고, 상단은 작동자(112)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15)에 삽입하며, 상기 이동자(114)의 상단에는 이동레버(116)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이동고리(117)를 구성하며;
상기 이동자(114)의 상단에 구성된 이동레버(116)를 상기 하우징(104)의 요홈부(106)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이동홈(107)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자(114)의 하단에 구성된 이동고리(117)는 상기 하우징(104)의 요홈부(106)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이동홈(108)에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따르면;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가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를 겸하도록 하고, 잠금장치가 도어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구성하므로서 사물함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 손잡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나 옷이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고정레버 및 이동레버의 좌우 수축 및 복원작동에 의해 도어의 여닫음과 사물함 잠금장치의 작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서 잠금장치의 작동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들 부분에 고장발생이 거의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함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Personal Case}
본 발명은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물함의 도어에 사물함 잠금장치를 매립되도록 구성하여서 도어를 여닫을 때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작동자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하고, 사물함 잠금장치를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와 잠금장치를 겸하도록 구성하여서 도어의 여닫음과 잠금장치의 작동이 더한층 쉽고 편리하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주로 학교, 병원, 체육시설, 사우나, 지하철 역사 내, 도서관 등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사용자들의 개인소지품을 보관하기 위한 개인용 시설물이다.
학교에 설치되는 학생용 사물함의 경우 학생들의 교과서나 참고서, 학습교재 등을 집에서 학교로 또 학교에서 집으로 매일의 시간표에 따라 휴대하는 것은 그 양이 많고, 무거워서 학생들에게 과다한 부담이 되었고 특히, 학교에서만 사용하고 집에서 사용할 필요가 없는 책이나 교재를 집으로 운반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불편하고 비능률적이어서 최근 각 교실마다 학생 개인 용도의 사물함을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다.
또한, 근래에는 학습활동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수업을 하는 열린 교육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학생들의 과중한 지참물을 줄이기 위해, 수업과목에 따라 다른 학급으로 교실을 이동하면서 수업을 하는 경우에 수업을 받고자 하는 교과서만을 지참한 후 다른 학급으로 교실을 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기 교실에 남겨진 교과서나 소지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학생들은 사물함에 자기의 물품을 보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물함은 내부에 사용자들이 보관시켜 놓은 물건의 분실위험을 줄이기 위해 열쇠 또는 전자적 제어에 의해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재질은 주로 목재나 철제를 사용하는 것인데, 목재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 주로 가격이 싼 합판으로 만들기 때문에 파손이 자주 일어나 A/S비용이 많이 들어가서 근간에는 철제로 제작된 사물함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사물함은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지하는 물품을 소정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에 수납된 물품의 도난과 훼손방지를 위해 도어에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사물함 잠금장치의 형태는 현재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는 본체에 결합되어 돌출되게 형성된 잠금고리부재와,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고리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걸쇠부재의 형태이나 이러한 형태의 문제점은 항상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손상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하나의 형태는 본체에 결합되는 잠금고리부재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형태이고, 다른 형태는 도어에 형성되어 걸쇠부재를 보호하는 형태를 취하여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는 형태이다.
사물함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돌출된 부분에 부딪혀서 손상을 당하는 경우보다는 사물함 사용자가 사물함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신체손상이 훨씬 많다는 것이며, 주로 사용중 부주의로 머리나 이마 등에 상처를 입는 경우를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첫번째의 방법은 슬라이딩 방식과 회전식 방식이 있는데, 슬라이딩 방식에 관한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슬라이딩 방식에서는 잠금고리부재의 출몰을 위해 버튼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버튼 방식채택을 위해 잠금고리부재의 수납을 위해 다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다양한 탄성부재를 사용해여 하므로 장치가 복잡해진다.
보통 이 경우에는 박스 형태의 수납공간 내에서 내부장치를 구비하고 슬라이딩할 수 있는 로드를 만들어 주는 형태이다. 또 하나의 형태로 잠금고리부재가 몰입되도록 스프링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존재하다가, 도어를 잠글 때에 이를 잡아당겨 걸쇠부재와 결합시키는 형태이다.
또 다른 형태로서, 잠금고리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잠금고리부재가 내부로 몰입되면서 충격완화와 돌출길이의 감소가 이루어지므로서 손상을 줄이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외력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에서 스프링 등을 비롯한 여러 부품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그 장치들의 수납을 위한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종으로 또는 횡으로 또는 상하로 폭이 넓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사물함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30)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20)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와 도어(11)의 내측에는 자물쇠에 의해 잠금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20,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잠금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사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세로벽면에 고정설치되어서 상기 도어의 여닫음에 따라 작동바를 본체의 내,외부로 출몰시키는 잠금장치로 구성하여서 된 사물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 세로벽면에는 도어(200)의 여닫음에 따라 작동바를 본체의 내,외부로 출몰시키는 잠금장치(300)를 설치하되,
상기 잠금장치(300)는 사각 형태의 케이스(301)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스프링(303)으로 탄력지지되어 도어의 여닫음에 따라 전,후진하는 작동편(302)과;
상기 작동편의 후단에 축착되어 작동편의 전,후진에 따라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꿔주는 변환기어(304)와; 상기 변환기어와 치합되어서 기어의 속도를 증감시키는 다수의 피니언(305,306)과;
상기 피니언(306)과 치합되어서 도어의 여닫음에 따라 본체(100)의 내,외부로 출몰되는 작동바(30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본체 상에서 도어를 개방시켜 본체의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거나 꺼내는 중에도 사용자의 신체나 옷 등이 걸고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물함을 사용시에도 사물함 근처를 통행하고 있는 통행자의 옷이 걸고리에 걸려 손상되거나 인체가 접촉되면서 부상을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200)는 본체의 개구부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것으로서, 도어의 정면 중앙에는 체결공(202)을 구비하는 손잡이(2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지닌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도어에 부착된 손잡이(201)가 도어에 매립되는 매립형이 아니라서 도어(200)를 여닫을 때 돌출되어 있어 여전히 걸리적 거리게 되며, 도어의 손잡이에 사용자의 신체나 옷이 접촉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어서 사물함 사용 시 근처를 통행하는 사람의 옷이 걸려 손상되거나 신체가 접촉되면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손잡이가 도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물함의 미관을 해치고,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부주의로 인하여 돌출된 손잡이와 신체가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도어를 여닫기 위한 손잡이가 별로로 마련되어야 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다른 예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10-927899호(2009. 11. 13)와 같은 사물함 손잡이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사물함 손잡이는 종래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빠지링을 탈피하여 직선으로 슬라이드되는 이동체를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고, 도어의 개방동작과 동시에 이동체를 작동시키는 개폐작동부에 의해 도어의 열림작동이 용이하고 도어의 닫힘 시 탄성지지되는 이동체에 의해 개폐작동부의 작동 없이 닫힘작동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사물함 잠금장치의 기술 구성이 복잡하여서 생산원가가 많이 소요되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65599호(2004. 07. 23) "사물함의 잠금장치"의 기술 구성 - 한국 특허등록 제10-807389호(2008. 02. 19) "사물함의 잠금장치"의 기술 구성 -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102017호(2010. 09. 20)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의 기술 구성 - 한국 특허등록 제10-927899호(2009. 11. 13) "사물함 손잡이"의 기술 구성 - 한국 특허등록 제10-981646호(2010. 09. 06) "사물함 잠금장치"의 기술 구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가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를 겸하도록 하고, 잠금장치가 도어에 매립되는 매립형이어서 사물함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 손잡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나 옷이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사물함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를 겸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이동레버와 고정레버를 잡고 이들을 수축시키면, 이동레버가 고정레버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자가 좌우로 이동자재되고, 이동자와 연동하는 작동자가 후단의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좌우로 슬라이드 되어서 본체의 개구부에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의 여닫음과 사물함 잠금장치의 작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서 잠금장치의 작동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들 부분에 고장발생이 거의 없는 사물함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사각 형태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개구부와 도어의 내측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도어의 앞면과 동일하게 매립 설치되고, 정면에는 요홈부를 형성하여서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어 본체의 전면 개구부 상에서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동브라켓과;
상기 작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탄성적 지지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작동자로 구성하여서 된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요홈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부이동홈과 하부이동홈을 형성하되, 상부이동홈의 우측 끝단에는 고정레버를 형성하고, 하부이동홈의 좌측 상단에 고정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브라켓의 앞면에는 '
Figure 112011045957208-pat00019
'와 같은 형태로 함몰된 슬라이딩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단에는 작동자와 코일스프링을 삽입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에는 '
Figure 112011045957208-pat00020
'와 같은 형태의 이동자를 삽입 구성하고;
상기 이동자는 작동브라켓의 슬라이딩홈에 삽입하고, 상단은 작동자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하며, 상기 이동자의 상단에는 이동레버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이동고리를 구성하며;
상기 이동자의 상단에 구성된 이동레버를 상기 하우징의 요홈부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이동홈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자의 하단에 구성된 이동고리는 상기 하우징의 요홈부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이동홈에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따르면,
사물함의 도어에 설치되는 잠금장치가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를 겸하도록 하고, 잠금장치가 도어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구성하므로서 사물함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 손잡이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나 옷이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함의 잠금장치는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를 겸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이동레버를 고정레버쪽으로 수축시키면 이동레버와 연동하는 이동자가 이동자재되고, 이동자와 연동하는 작동자가 후단의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좌우로 슬라이드 되어서 본체의 개구부에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의 여닫음과 사물함 잠금장치의 작동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서 잠금장치의 작동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들 부분에 고장발생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사물함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가 설치된 사물함의 사시도
도 5는 사물함의 도어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사물함 잠금장치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사물함 잠금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사물함 잠금장치의 잠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사물함 잠금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사물함의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에서,
부호 100은 사물함의 잠금장치가 설치된 사물함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사물함(100)은, 사각 형태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10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와 도어(102)의 내측에는 자물쇠에 의해 잠금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103)는 도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도어(102)의 앞면과 동일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 발명의 잠금장치(103)는 목제 사물함이나 금속제 사물함에 모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103)는 도어(102)를 여닫는 손잡이 역할을 하면서 자물쇠에 의해 잠금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였다.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3)는,
도어(102)의 앞면과 동일하게 매립 설치되고, 정면에는 요홈부(106)를 형성하여서 된 하우징(104)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어서 본체(101)의 전면 개구부 상에서 도어(102)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동브라켓(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4)은 정면에 요홈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부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부이동홈(107)과 하부이동홈(108)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이동홈(107)의 우측 끝단에는 고정레버(109)를 형성하고, 하부이동홈(108)의 좌측 상단에는 고정고리(110)를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작동브라켓(105)은 상기 하우징(104)의 배면에 설치되어서 본체(101)의 전면 개구부 상에서 도어(102)의 개폐를 단속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브라켓(105)은 앞면에 '
Figure 112011003525270-pat00003
'와 같은 형태로 함몰된 슬라이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단에는 작동자(112)와 코일스프링(113)을 삽입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에는 '
Figure 112011003525270-pat00004
'와 같은 형태의 이동자(114)를 삽입 구성하였다.
상기 작동자(112)의 중단부에는 고정홈(115)을 형성하여서 상기 이동자(114)의 상단이 고정홈에 삽입되어서 코일스프링(113)의 탄성적 지지에 의해 작동자(112)를 좌우로 슬라이드 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자(114)는 슬라이딩홈(111)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작동자(112)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15)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113)을 압축하면서 작동자(112)를 좌우로 슬라이드 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자(114)는 상단에 이동레버(116)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이동고리(117)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자(114)의 상단에 구성된 이동레버(116)는, 상기 하우징(104)의 요홈부(106)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이동홈(107)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자재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레버(116)를 상부이동홈(107)의 우측 끝단에 형성된 고정레버(109)쪽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자(114)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동자(114)의 하단에 구성된 이동고리(117)는 하우징(104)의 고정고리(110)와 함께 자물쇠를 걸어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4)의 요홈부(106)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이동홈(108)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자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작동브라켓(105)의 이동자(114)에 형성된 이동레버(116)와, 하우징(104)의 상부이동홈(107)의 우측 끝단에 형성된 고정레버(109)를 잡고서 이들을 수축시키면, 이동레버(116)가 고정레버(109)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자(114)가 우측으로 이동자재되고, 이동자와 연동하는 작동자(112)가 후단의 코일스프링(113)을 압축하면서 함께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어서 본체(101)의 개구부에서 도어(102)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레버(116)의 앞쪽에는 합성수지나 고무재질의 두툼한 형태의 손잡이가 조립된다.
이러한 손잡이는 사용자의 이동레버(116) 작동 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조립되는 것으로서, 조립순서는 작동브라켓의 이동자(114)에 형성된 이동레버(116)의 몸체를 하우징의 상부이동홈(107)에 삽입한 다음, 이동레버(116)의 몸체 앞쪽에서 손잡이를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사물함의 본체(101) 개구부 내측에는 공지된 이탈방지구(12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구 상에는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잠금장치(103)를 구성하는 작동브라켓(105)에 설치된 작동자(112)가 본체(101)의 개구부 내측 이탈방지구 상에 형성된 걸림턱(121)으로 출몰하면서 도어(102)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이거나 자물쇠로 채워 도어를 폐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10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1)의 개구부와 도어(102)의 내측에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 역할을 하면서 자물쇠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사물함 잠금장치(103)는 도어(10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도어 앞면과 동일하게 매립되도록 고정 설치되며, 잠금장치(103)의 하우징(104)과 작동브라켓(105)에 구성된 고정레버(109) 및 이동레버(116)는 도어를 여닫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어(102)를 열기 위해서 사용자가 잠금장치(103)의 이동레버(116)를 고정레버(109)쪽으로 밀면, 이동레버(116)의 이동에 의해 이와 연동하는 이동자(114)가 슬라이딩홈(111) 내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고, 이동자와 연동하는 작동자(112)가 후단의 코일스프링(113)을 압축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잠금장치(103)를 구성하는 작동브라켓(105)에 설치된 작동자(112)는 본체(101)의 개구부 내측 이탈방지구 상에 형성된 걸림턱(121)에서 빠져나와서 도 10과 같이 본체(101)의 개구부에서 도어(102)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도어(102)를 열고 난 후, 잠금장치(103)의 수축된 이동레버(116)와 고정레버(109)를 놓으면 이동레버(116) 및 이와 연동하는 작동자(112)는 압축된 코일스프링(113)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홈(111) 내의 최초 상태로 복귀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도어(102)를 본체(101)의 개구부쪽을 향해 약간의 힘을 주어 닫으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3)를 구성하는 작동브라켓(105)에 설치된 작동자(112)는 선단이 약간 경사각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01)의 개구부 내측 이탈방지구 상에 형성된 걸림턱(121)의 경사면과 맞닿으면서 걸림턱의 경사면을 통과하게 되어서 도 5, 도 7 및 도 9와 같이 고정고리(110)와 이동고리(117)에 자물쇠를 채워 도어를 폐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물함(100)의 최초 사용자가 잠금장치(103)에 구성된 고정고리(110)와 이동고리(117)에 자물쇠를 채워 도어(102)를 폐쇄한 다음, 다른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려고 이동레버(116)를 고정레버(109)쪽으로 밀더라도, 고정고리(110)와 이동고리(117)에 자물쇠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이동자(114)와 고정된 이동고리(117)가 전혀 움직이지 않아서 잠금장치(103)의 이동레버(116)를 고정레버(109)쪽으로 수축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도어를 개방할 수 없어서 내용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사물함 101 : 본체
102 : 도어 103 : 잠금장치
104 : 하우징 105 : 작동브라켓
106 : 요홈부 107 : 상부이동홈
108 : 하부이동홈 109 : 고정레버
110 : 고정고리 111 : 슬라이딩홈
112 : 작동자 113 : 코일스프링
114 : 이동자 115 : 고정홈
116 : 이동레버 117 : 이동고리
120 : 이탈방지구 121 : 걸림턱

Claims (1)

  1. 사각 형태의 전면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되면서 개폐 가능한 도어(10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1)의 개구부와 도어(102)의 내측에는 잠금장치(103)를 설치하되,
    상기 잠금장치(103)는, 도어(102)의 앞면과 동일하게 매립 설치되고, 정면에는 요홈부(106)를 형성하여서 된 하우징(104)과;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어 본체(101)의 전면 개구부 상에서 도어(102)의 개폐를 단속하는 작동브라켓(105)과;
    상기 작동브라켓(105)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113)의 탄성적 지지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드 되는 작동자(112)로 구성하여서 된 사물함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에 형성된 요홈부(106)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부이동홈(107)과 하부이동홈(108)을 형성하되, 상부이동홈(107)의 우측 끝단에는 고정레버(109)를 형성하고, 하부이동홈(108)의 좌측 상단에 고정고리(110)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브라켓(105)의 앞면에는 '
    Figure 112011045957208-pat00021
    '와 같은 형태로 함몰된 슬라이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단에는 작동자(112)와 코일스프링(113)을 삽입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단에는 '
    Figure 112011045957208-pat00022
    '와 같은 형태의 이동자(114)를 삽입 구성하고;
    상기 이동자(114)는 작동브라켓의 슬라이딩홈(111)에 삽입하고, 상단은 작동자(112)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15)에 삽입하며, 상기 이동자(114)의 상단에는 이동레버(116)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이동고리(117)를 구성하며;
    상기 이동자(114)의 상단에 구성된 이동레버(116)를 상기 하우징(104)의 요홈부(106)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상부이동홈(107)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자(114)의 하단에 구성된 이동고리(117)는 상기 하우징(104)의 요홈부(106)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하부이동홈(108)에 삽입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20110004368A 2011-01-17 2011-01-17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08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368A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01-17 사물함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368A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01-17 사물함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300B1 true KR101086300B1 (ko) 2011-11-23

Family

ID=4539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368A KR101086300B1 (ko) 2011-01-17 2011-01-17 사물함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43B1 (ko) * 2018-05-23 2019-03-13 송인호 잠금 및 개폐가 용이한 사물함
KR102596884B1 (ko) 2023-02-21 2023-11-01 서우산업 주식회사 사물함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620Y1 (ko) * 2007-05-15 2007-09-14 주식회사 퍼맥스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0981646B1 (ko) 2010-04-15 2010-09-10 오금애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52863Y1 (ko) 2010-07-30 2011-03-25 주식회사 이노프 사물함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620Y1 (ko) * 2007-05-15 2007-09-14 주식회사 퍼맥스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
KR100927899B1 (ko)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사물함 손잡이
KR100981646B1 (ko) 2010-04-15 2010-09-10 오금애 사물함 잠금장치
KR200452863Y1 (ko) 2010-07-30 2011-03-25 주식회사 이노프 사물함용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43B1 (ko) * 2018-05-23 2019-03-13 송인호 잠금 및 개폐가 용이한 사물함
KR102596884B1 (ko) 2023-02-21 2023-11-01 서우산업 주식회사 사물함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896Y1 (ko) 사물함용 잠금구조
US20170150815A1 (en) Drawer Stop Mechanism For Sliding Drawer
KR101176797B1 (ko) 도어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손잡이
KR101011262B1 (ko) 작동실용성을 갖는 슬라이딩식 사물함 잠금구조
KR1013304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CN112369840B (zh) 一种物联网储物柜
KR101086300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1298851B1 (ko) 도어 및 서랍용 닫힘 방지부재
KR20140122347A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883310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407897Y1 (ko) 비돌출형 도어를 갖는 사물함의 잠금 구조
KR200462342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047040B1 (ko) 전자교탁시스템
KR20150063992A (ko)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JP5957261B2 (ja) アコーディオンドア
JPH0262243B2 (ko)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20110009785A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US11178966B2 (en) Furniture objects including hidden containers
KR101932986B1 (ko) 사물함 도어의 손잡이
KR102139374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45729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KR102139368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817

Effective date: 2011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