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992A -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992A
KR20150063992A KR1020150069728A KR20150069728A KR20150063992A KR 20150063992 A KR20150063992 A KR 20150063992A KR 1020150069728 A KR1020150069728 A KR 1020150069728A KR 20150069728 A KR20150069728 A KR 20150069728A KR 20150063992 A KR20150063992 A KR 2015006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elf
locking
sliding memb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열
배상호
오순애
Original Assignee
신동열
배상호
오순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열, 배상호, 오순애 filed Critical 신동열
Priority to KR102015006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3992A/ko
Publication of KR2015006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rivacy rooms, e.g. bath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작동 및 소지품이 보관되는 선반 프레임과,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선반; 상기 회전선반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락킹 샤프트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 샤프트가 인입 및 인출되는 도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회전축 및 슬라이딩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딩 부재측으로 전달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Door locks for public toilets}
본 발명은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 화장실의 도어의 잠금설정 여부에 따라 회전선반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선반의 작동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변을 보는 동안 개인 소지품의 보관이 가능하고, 용변을 마친 후, 보관 중인 소지품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중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 휴대하고 있던 소지품,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 가방 등은 용변을 볼 시에 주머니에 휴대하거나, 또는 화장실 바닥면 적정 위치에 안치한 상태에서 용변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소지품을 화장실 바닥면 등에 놓고 용변을 보게 될 경우 비위생적임은 물론 자칫 화장실을 나갈 때 이를 잊고 나가는 경우가 잦아 분실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화장실 관리자 및 소지품 분실자는 분실물에 대한 분실물 보관센터 등에 신고를 행하여야 하고, 그로 인한 분실물 보관시설 확보 및 관리자가 필요하며, 분실된 소지품을 다른 사람이 임의로 가져 갈 경우는 찾기도 어려운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일 예로, 화장실 사용자가 소지품을 비치할 수 있도록 한 화장실용 선반 등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0173767호에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문헌1은 화장실 벽면에 설치하는 케이싱에 선반이 축핀을 기점으로 수평으로 전개 및 수직방향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싱 내부에는 거울을 설치한 것으로서, 이러한 선반은 화장실 사용자가 소지품을 용변을 볼 시에 잠시 위생적으로 안치할 수 있는 이점과 거울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은 주어지지만, 용변 후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소지품 분실의 우려는 일소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55570호에는 공중 화장실 문에 설치하여 선반에 도어 잠금 기능이 가능토록 한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도어를 잠글 때 선반이 전개되고, 사용이 끝난 후 도어를 열 때 선반을 위로 젖혀지도록 하여 공중 화장실 내에서 핸드폰, 지갑, 핸드백 등의 각종 개인 소지품을 화장실내 옷걸이 또는 휴지 걸이 위에 두었다가 용변을 본 후 잊어버린 채 화장실을 나오는 것을 막도록 하여 분실이 예방되고 화장실 공간 활용도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선반의 수평방향으로의 전개 및 수직방향으로 원위치시키는 동작을 사용자가 일일이 번거롭게 조작을 해야하고, 록커의 록킹 동작 및 언록킹 동작 역시 선반을 잡고 일일이 슬라이드 작동을 시켜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017376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5557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중 화장실의 도어의 잠금설정 여부에 따라 회전선반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선반의 작동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변을 보는 동안 개인 소지품의 보관이 가능하고, 용변을 마친 후, 보관 중인 소지품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작동 및 소지품이 보관되는 선반 프레임과,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선반; 상기 회전선반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락킹 샤프트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 샤프트가 인입 및 인출되는 도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회전축 및 슬라이딩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딩 부재측으로 전달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수직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수직 회전력을 수평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을 작동시키는 랙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어 및 회전기어는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 프레임에는 보관중인 소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구성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선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또한, 상기 도어 고정부는 상기 락킹 샤프트가 인입 및 인출되는 락킹홈과, 상기 락킹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는 회전핀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핀의 가압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작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 화장실의 도어의 잠금설정 여부에 따라 회전선반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선반의 작동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작동과 선반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변을 보는 동안 개인 소지품의 보관이 가능하고, 용변을 마친 후, 보관 중인 소지품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선반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선번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는 공중 화장실을 구성하는 도어(10) 및 도어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용변을 보는 화장실 이용자의 소지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도어(10)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용자의 소지품이 보관되는 회전선반(110), 회전선반(110)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20), 도어(10) 및 도어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회전선반(1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도어(10)의 상태를 잠금상태로 설정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선반(110)은 이용자의 사물이 거치, 또는 보관되는 선반 프레임(210)과,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축(220) 및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작동시 소정의 회전력을 회전수단(120)측으로 제공하는 작동기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반 프레임(210)은 회전수단(120)에 의해 잠금수단(1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선반 프레임(210)은 공중 화장실의 도어(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잠금수단(130)의 잠금설정 및 잠금 해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선반 프레임(210)은 회전 작동 여부에 따라 도어(10)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용자가 선반 프레임(210)을 사용하기 위해 회전시키면, 잠금수단(130) 역시 잠금상태로 설정되어 도어(10)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면서 소지품의 용이한 보관 및 도어(10)의 간편한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용변을 다 본 후, 도어(10)를 열기 위해서는 선반 프레임(210)을 원위치로 복원시켜야만 잠금수단(130)의 잠금 설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선반 프레임(210)에 보관중이던 소지품을 소지한 뒤, 선반 프레임(210)의 위치를 복원하도록 함에 따라 공중 화장실에서의 소지품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선반 프레임(210)은 그 양측부에 보관중인 소지품이 선반 프레임(2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212)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축(220)은 선반 프레임(210)의 양측부에 구성되어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선단부에는 회전수단(120)의 회전기어(310)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작동기어(230)가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축(220)은 선반 프레임(210)의 일측부에만 작동기어(230)가 구성되며, 타측부는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작동기어(230)는 선반 프레임(210)의 작동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회전수단(120)의 회전기어(310)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통상의 베벨기어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회전선반(110)에는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선반 스토퍼(240)를 더 구성하여 소지품 등의 무게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선반 프레임(21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수단(120)은 도어(10)에 설치되고, 회전선반(110)의 선반 프레임(210)과 작동기어(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잠금수단(13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수단(120)은 작동기어(230)와 기어 이물림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회전기어(310)와, 이 회전기어(310)의 하부에 구성되어 회전기어(3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해 후술할 잠금수단(130)의 락킹 샤프트(422)를 작동시키는 구동기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기어(310)는 작동기어(2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구동기어(320)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작동기어(230)와 같은 베벨기어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회전기어(310)는 선반 프레임(21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수직 회전력을 좌,우 방향에 대한 수평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기어(320)로 전달하는 것이다.
구동기어(320)는 통상의 피니언 기어로 구성되어 후술할 잠금수단(130)의 슬라이딩 부재(420)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며, 회전기어(3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슬라이딩 부재(420)로 전달하여 잠금수단(130)의 상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회전수단(120)에는 작동기어(230)와 회전기어(310)가 긴말한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 기어들의 기어치 사이로 이물질 들이 유입되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어 케이싱(302)이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기어 케이싱(302)은 후술할 잠금수단(130)의 잠금 작동부(4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잠금수단(130)은 도어(10)측에 설치되며,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선반(1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선반(1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회전수단(12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락킹 샤프트(422)를 작동시켜 도어(1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설정하는 잠금 작동부(410)와, 도어 프레임(20)측에 설치되고, 잠금 작동부(410)의 작동에 따라 도어(1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 고정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 작동부(410)는 회전수단(120)의 구동기어(320)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부재(420)가 구성되며, 이 슬라이딩 부재(420)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슬라이딩홈(412)이 형성된다.
또한, 잠금 작동부(410)는 일측 선단부에 락킹 샤프트(422)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부재(420)이 작동에 따라 도어 고정부(430)에 고정되도록 하는 축 관통홀(414)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420)는 구동기어(32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도어(10)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기어(320)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랙 기어부가 일면에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420)는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 여부에 따라 도어(10)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는 것으로, 그 선단부에는 락킹 샤프트(422)가 형성되고, 락킹 샤프트(422)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부재(424)가 구성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어(10)의 언락킹 상태, 즉 잠금 해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어 고정부(430)는 도어 프레임(20)에 설치되며, 락킹 샤프트(422)가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면서 도어(1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락킹 샤프트(422)가 인입 및 인출되는 락킹홈(432)이 형성되고, 이 락킹홈(432)에는 락킹 샤프트(422)가 인입될 때, 도어(10)를 잠금상태로 설정하는 락킹부재(434)가 구성된다.
여기서, 락킹부재(434)는 도어 고정부(430)의 상부를 관통하여 락킹홈(432)의 내주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락킹 샤프트(422)에 구성된 핀고정홈(422a)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축과, 이 고정축을 핀고정홈(422a)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어 락킹 샤프트(422)가 도어 고정부(4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10)를 잠금 상태로 설정되도록 하거나, 락킹 샤프트(422)가 도어 고정부(430)로부터 인출되어 도어(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잠금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선반 프레임(210)을 하향 회전시키면, 이 선반 프레임(210)에 구성된 회전축(220) 및 작동기어(230)가 회전하면서 회전수단(120)의 회전기어(310)를 회전시키고, 회전기어(3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있는 구동기어(320)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420)가 작동하면서 슬라이딩 부재(420)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락킹 샤프트(422)가 도어 프레임(20)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 고정부(430)의 락킹홈(432)에 삽입되고, 락킹부재(434)에 의해 고정되어 도어(10)가 도어 프레임(20)으로부터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후, 용변을 마친 사용자는 도어(10)를 개방하기 위해 잠금 설정을 해제하려면, 선반 프레임(210)을 상향 회전시켜 슬라이딩 부재(420), 회전수단(120) 및 작동기어(230)가 잠금 설정 상태시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부재(434)가 핀고정홈(422a)과 분리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 부재(4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10)의 잠금 설정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킹부재(434)의 스위치부를 작동시켜 락킹부재(434)가 핀고정홈(422a)과 분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한 소정의 가압력을 슬라이딩 부재(420)측으로 전달하여 이 슬라이딩 부재(420)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1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회전수단(120)은 선반 프레임(210)에 구성된 회전축(220)의 선단부에 구성되고,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소정의 회전력을 슬라이딩 부재(420)측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이 회전력에 의한 소정의 가압력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42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부재(420)의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핀(530)과, 슬라이딩 부재(420)의 타측 선단부에 구성되며, 회전핀(53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핀(530)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420)의 락킹 샤프트(422)를 도어 고정부(430)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520)가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부(52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로 구성되고, 회전핀(530)은 구의 형태를 이루는 원형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520)와 선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선반 프레임(21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핀(530)이 하향 회전이 이루어지게 될수록 회전핀(530)과 가이드부(520) 간의 접촉점이 가이드부(520)의 경사각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는 결국 회전피(530)의 회전력을 가이드부(520)에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딩 부재(4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는 공중 화장실의 도어(10)의 잠금설정 여부에 따라 회전선반(11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선반(110)의 작동에 따라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어(10)의 개폐작동과 선반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함과 동시에 용변을 보는 동안 개인 소지품의 보관이 가능하고, 용변을 마친 후, 보관 중인 소지품을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의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회전선반 120: 회전수단
130: 잠금수단 210: 선반 프레임
220; 회전축 230: 작동기어
310: 회전기어 320: 구동기어
410: 잠금 작동부 420: 슬라이딩 부재
422: 락킹 샤프트 424: 스프링 부재
430:도어 고정부 520: 가이드부
530: 회전핀

Claims (8)

  1. 도어의 개폐 작동 및 소지품이 보관되는 선반 프레임과, 상기 선반 프레임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선반;
    상기 회전선반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락킹 샤프트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 샤프트가 인입 및 인출되는 도어 고정부를 포함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회전축 및 슬라이딩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력을 상기 슬라이딩 부재측으로 전달하는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선반 프레임의 수직 회전력을 전달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와 기어 결합되어 수직 회전력을 수평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을 작동시키는 랙 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 및 회전기어는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프레임에는 보관중인 소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선반에는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선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고정부는 상기 락킹 샤프트가 인입 및 인출되는 락킹홈과, 상기 락킹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선반 프레임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는 회전핀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핀의 가압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작동시키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1020150069728A 2015-05-19 2015-05-19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20150063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28A KR20150063992A (ko) 2015-05-19 2015-05-19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28A KR20150063992A (ko) 2015-05-19 2015-05-19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92A true KR20150063992A (ko) 2015-06-10

Family

ID=5350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28A KR20150063992A (ko) 2015-05-19 2015-05-19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39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87A1 (ko) * 2016-07-21 2018-01-25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885482B1 (ko) * 2017-07-20 2018-08-03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N110067446A (zh) * 2019-03-04 2019-07-30 肖逸 一种设有防遗忘置物台的门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688A (ja) * 2008-07-17 2010-02-04 Shibutani:Kk 打掛け錠
KR101273556B1 (ko) * 2011-08-12 2013-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식 이중외피시스템
KR101337669B1 (ko) * 2012-12-05 2013-12-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KR20140060992A (ko) * 2012-11-12 2014-05-21 송영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404581B1 (ko) * 2013-02-04 2014-06-27 (주)태환공조시스템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4688A (ja) * 2008-07-17 2010-02-04 Shibutani:Kk 打掛け錠
KR101273556B1 (ko) * 2011-08-12 2013-06-1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탈착식 이중외피시스템
KR20140060992A (ko) * 2012-11-12 2014-05-21 송영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337669B1 (ko) * 2012-12-05 2013-12-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KR101404581B1 (ko) * 2013-02-04 2014-06-27 (주)태환공조시스템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887A1 (ko) * 2016-07-21 2018-01-25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885482B1 (ko) * 2017-07-20 2018-08-03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N110067446A (zh) * 2019-03-04 2019-07-30 肖逸 一种设有防遗忘置物台的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150063992A (ko)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101330441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404581B1 (ko)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JP2015100494A (ja) 収容ボックス
KR20140122347A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37669B1 (ko)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KR101808949B1 (ko)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0740751B1 (ko) 건설현장의 간이 화장실용 잠금장치
KR101078791B1 (ko) 여닫이문 전후 양방향 개폐장치
KR101689788B1 (ko)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의 잠금장치
KR100947250B1 (ko) 잠금 해제용 이중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보관함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086300B1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US793098A (en) Temporary door-lock.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JP2018084055A (ja) 改良型錠装置
TWI609126B (zh) Improved door lock
KR101545180B1 (ko) 좌우 양측으로 개폐가능한 도어시스템
JP7260168B2 (ja) 戸および引き戸装置
JP2023055390A (ja) 非常開放対応ロック装置
JP3218115U (ja) 改良型錠装置
KR102078927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200287090Y1 (ko) 도어 잠금장치
JP3165040U (ja) 貴重品投入口付き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