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927B1 -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927B1
KR102078927B1 KR1020180119730A KR20180119730A KR102078927B1 KR 102078927 B1 KR102078927 B1 KR 102078927B1 KR 1020180119730 A KR1020180119730 A KR 1020180119730A KR 20180119730 A KR20180119730 A KR 20180119730A KR 102078927 B1 KR102078927 B1 KR 10207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orner
corner shelf
fix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빛나
Original Assignee
조빛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빛나 filed Critical 조빛나
Priority to KR102018011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실 부스 내부에 중공의 코너선반 및 코너선반으로부터 출몰되는 보조선반을 갖추어 보조선반의 출몰 여부에 따라 출입 여닫이 도어에 마련된 고정대에 보조선반의 절곡부가 걸리고, 절곡부는 외부표시기의 회전축상의 레버를 작동시켜 화장실 이용 여부를 외부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너선반의 확장과 잠금/해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코너선반과 보조선반에 올려진 소지품을 챙킨 후 보조선반을 이용하여 고정대로부터 잠금을 해제시켜 화장실부스 외부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소지품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Corner shelves for public restrooms}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장실 부스 내에 구비되어 각종 소지품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코너선반을 개선하여 화장실 부스 사용시 코너선반의 사용 면적을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어의 잠금 용도와 더불어 화장실 사용 표시기를 동작시켜 화장실의 사용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연관되게 하여 코너선반의 활용도를 높이고, 소지품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은 실내에 화장실 부스가 마련되고, 화장실 부스에는 여닫이 도어가 각각 구비되며, 도어측에는 내부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는 수동식의 도어록이 구비되어 화장실 이용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부스 내부에는 옷 걸이대, 두루마리 휴지 걸이대와 더불어 소지품을 안치시킬 수 있는 코너선반이 고정식으로 구비되어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코너선반은 이용자가 가지고 있던 핸드폰, 손지갑, 핸드백 등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바, 통상 코너선반은 여닫이 도어와 함께 부스를 구성하는 구획 측면패널, 혹은 벽면에 직접 횡으로 이용자가 불편을 느끼지않는 공간에 수평으로 고정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코너선반은 이용자의 편의목적 취지에서 시설투자가 이루어진 것이나, 이용자가 코너선반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고 그대로 부스 내부를 나가버리는 경우, 소지품의 분실 사례가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화장실 부스 내에 구비되어 각종 소지품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고정식 코너선반을 개선하여 화장실 부스 사용시 코너선반의 사용 면적을 늘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어의 잠금 용도와 더불어 화장실 사용 표시기를 동작시켜 화장실의 사용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연관되게 하여 코너선반의 활용도를 높이고, 소지품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화장실 부스의 출입 여닫이 도어와 마주하는 고정패널에 체결나사로 부착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직사각형체로, 일측에 고정부가 마련된 중공의 안내부를 갖는 코너선반과; 상기 코너선반의 안내부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턱을 갖는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과 직각되는 또 다른 고정패널 혹은 벽면에 고정판이 부착되어 코너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고정부재와; 양측과 저부가 개방되고, 전후에 상면으로부터 절곡부를 갖는 직사각형체로 일측에 손잡이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코너선반으로부터 출몰되게 설치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 제공 및 출입 여닫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선반과; 상기 코너선반의 안내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블럭과, 제1고정블럭의 양측에 보조선반의 내측 저면부을 안내하는 제1롤러가 구름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선반의 출몰을 안내하고, 코너선반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보조선반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과, 제2고정블럭의 양측에 코너선반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는 제2롤러가 구비되어 코너선반으로부터 구름 안내되는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보조선반의 일측이 안내되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출입 여닫이 도어를 관통하는 고정용 보스가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고정용 보스가 형성된 중간에 걸이홈과 통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보조선반을 걸어 지지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가 설치된 출입 여닫이 도어의 외부에서 체결나사로 고정 설치되고, 출입 여닫이 도어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회전축의 끝단에 레버가 결합되어 고정대의 걸이홈 내에서 보조선반의 일측 진입시 레버의 회동으로 화장실 사용 여부를 표시하는 외부표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너선반의 안내부 바닥면에는 제2슬라이딩부재의 제2롤러를 안내하는 레일홈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너선반의 상면측 길이 변에는 소지품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턱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선반의 상면측 길이 변에는 상기 가이드턱에 안내되는 보조가이드턱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판 후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화장실 부스 내부에 중공의 코너선반 및 코너선반으로부터 출몰되는 보조선반을 갖추어 보조선반의 출몰 여부에 따라 출입 여닫이 도어에 마련된 고정대에 보조선반의 절곡부가 걸리고, 절곡부는 외부표시기의 회전축상의 레버를 작동시켜 화장실 이용 여부를 외부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너선반의 확장과 잠금/해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코너선반과 보조선반에 올려진 소지품을 챙킨 후 보조선반을 이용하여 고정대로부터 잠금을 해제시켜 화장실 부스 외부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소지품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너선반장치의 주요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대 및 외부표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외부표시기와 고정대를 출입 여닫이 도어에 결합되는 상태를 시한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과 보조선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과 보조선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도어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에 있어, 칸칸이 마련된 화장실 부스 내부에 구비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며, 코너선반장치는, 코너선반, 고정부재, 보조선반, 제1슬라이딩부재, 제2슬라이딩부재, 고정대, 외부표시기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선반(10)은 화장실 부스(1)의 출입 여닫이 도어(3)와 마주하는 고정패널(2)에 체결나사로 부착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직사각형체로, 그 일측에는 고정부(11)가 마련되고, 고정부의 상기 보조선반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의 안내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체결나사로서 고정패널(2)에 코너선반(10)을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선반(30)은, 양측과 저부가 개방되고, 전후에 상면으로부터 절곡부(31)를 갖는 직사각형체로, 일측에 손잡이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코너선반으로부터 출몰되게 설치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제공 및 출입 여닫이 도어(3)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절곡부(31) 중 후방에 절곡된 절곡부는 전방측 절곡부 보다 두껍게 압출성형된 것으로, 이는 상기 고정대(60)의 걸이홈(61)에 걸려 충분히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32)는 일면 양측에 체결공을 갖는 연결부(32a)를 두어 개방된 보조선반(30)의 일측에 결합되되, 일측은 보조선반의 절곡부 후방측을 제외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에 대해 보조선반의 상면에서 체결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코너선반(10)과 보조선반(30)은 알루미늄소재로 압출 제작되며, 그 표면에는 오염 및 흠집방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화피막 표면처리되어 제공되고, 상기 고정패널의 폭에 근접하는 길이로 절단되어 제작된다.
상기 코너선반(10)의 안내부(12) 바닥면에는 제2슬라이딩부재(50)의 제2롤러(52)를 안내하는 레일홈(12a)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코너선반(10)의 상면측 길이 변에는 소지품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턱(10a)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선반(30)의 상면측 길이 변에는 상기 가이드턱에 안내되는 보조가이드턱(30a)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턱 및 보조가이드턱은 소지품이 코너선반 및 보조선반의 전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코너선반으로부터 보조선반을 수평 방향으로 출몰시 안정된 슬라이딩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는, 합성수지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코너선반(10)의 안내부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턱(21a)을 갖는 고정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2)과 직각되는 또 다른 고정패널 혹은 벽면에 고정판이 부착되어 코너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도면상에서의 '분실물 주의' 문구는 스티커를 부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판(22) 후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T)가 부착되어 상기 고정패널 혹은 벽면에 별도의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20)는 별도로 체결나사를 이용한 벽면 또는 고정패널에 고정하는 타입이 아인 상기 코너선반을 부착하는 위치선정과 더불어 코너선반의 고정부측 고정을 보강하기 위한 차원에서 제공된 것이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40)는 코너선반(10)의 안내부(12)에 대해 안내부의 입구부측에 위치되어 저부에서 체결나사에 의해 제1고정블럭(41)이 고정 설치되고, 제1고정블럭의 양측에 보조선반의 내측 저면부을 안내하는 제1롤러(42)가 구름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선반(30)의 출몰을 안내하고, 코너선반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50)는 보조선반(30)의 저부에 위치되어 상부로부터 체결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블럭(51)과, 상기 제2고정블럭의 양측에 코너선반(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는 제2롤러(52)가 구비되어 코너선반으로부터 구름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고정대(60)는 출입 여닫이 도어(3)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선반(30)의 일측이 안내되는 걸이홈(61)이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출입 여닫이 도어(3)를 관통하는 고정용 보스(62)가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고정용 보스가 형성된 중간에는 걸이홈(61)과 통하는 안내홈(6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61)은 보조선반(30)의 절곡부(31)를 걸어 지지하는 구조이며, 상기 안내홈(63)의 형성은 후술하는 상기 외부표시기(70)의 레버(7-2)를 걸이홈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외부표시기(70)는, 고정대(60)가 설치된 출입 여닫이 도어(3)의 외부에서 체결나사로 고정 설치되고, 출입 여닫이 도어(3)를 관통하는 회전축(7-1) 및 회전축의 끝단에 레버(7-2)가 결합되어 고정대의 걸이홈 내에서 보조선반의 일측 진입시 레버의 회동으로 화장실 사용 여부를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외부표시기(70)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3) 및 커버와 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관통공 주변으로 체결나사(S)의 결합공이 마련된 부착패널(7-4)과,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며,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되, 회전축(7-2)상에는 부착패널(7-4)에 대해 스프링(7-5)으로 탄성이 부여되게 설치되며, 전면에 '사용중', '비었음'이란 문구가 인쇄된 회전판(7-6)이 상호 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코너선반장치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실 부스(1)의 개방된 출입 여닫이 도어(3)를 밀고 들어간 이용자는 출입 여닫이 도어(3)를 닫은 상태에서 코너선반(10)에 인입된 보조선반(30)을 도면기준으로 볼때 좌측방향으로 인출시켜 준다.
상기 보조선반(30)은 코너선반으로부터 손잡이부재(32)를 잡고 잡아 당겨짐과 동시에, 출입 여닫이 도어(3)에 마련된 고정대(60)의 걸이홈(61)으로 출입 여닫이 도어(3)와 인접하는 보조선반(30)의 절곡부(31)가 안내되며, 이때부터는 코너선반(10)에 대한 보조선반(30)의 면적을 제공하게 되며, 또한 코너선반(10)과 함께 넓은 면적을 제공하면서 출입 여닫이 도어(10)를 잠금 상태로 만들어 준다.
상기와 같이 보조선반(30)의 절곡부(31)가 상기 걸이홈(61)에 진입함에 따라 걸이홈(61) 내부에 위치된 외부표시기(70)측 회전축(7-1)상의 레버(7-2)는 절곡부(31)에 밀려나게 되어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회전되며, 레버(7-2)의 길이 변측은 상기 절곡부(3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7-2)의 회전은 외부표시기(70)의 구성에서 회전판(7-6)을 회전시켜 회전판에 표시된 문구가 '비었음'에서 '사용중'으로 전환되어 이용자의 여부표시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코너선반(10)으로부터 인출된 보조선반(30)은 상기 출입 여닫이 도어(3)의 잠금 기능과 더불어 그 위에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을 코너선반으로부터 확장시켜주고, 상기 코너선반(10)의 상면측 길이 변의 가이드턱(10a)과 상기 보조선반(30)의 상면측 길이 변의 보조가이드턱(30a)은 선반에 올려진 소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준다.
한편, 상기 코너선반(10)으로부터 보조선반(30)의 출몰동작은 이용자가 직접 보조선반측 손잡이부재(32)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넣는 방식으로, 상기 보조선반(30)의 내측에 구비된 제2슬라이딩부재(50)의 제2롤러(52)는 코너선반(10)의 레일홈(12a)에 밀착 구름이 이루어지고, 이와 상대적으로 코너선반(10)의 안내부(12)에 마련된 제1슬라이딩부재(40)의 제1롤러(42)는 슬라이딩되는 보조선반(30)의 저부에 밀착되어 보조선반을 안정되게 출몰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선반(30)은 잠금 상태에 해제상태는 상기와 반대로 손잡이부재(32)를 쥐고 우측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코너선반(10)으로 안내되어 고정패널(2)과 출입 여닫이 도어(3)의 여닫히는 경계지점을 해제시켜 줌으로써, 출입 여닫이 도어(3)를 열고 화장실 부스(1) 외부로 나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선반(30)을 코너선반(10)의 내부로 완전히 후퇴시켜 줄 때 고정대의 걸이홈(61)에 빗장형태로 걸려진 보조선반 절곡부(31)의 후퇴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축(7-1)상의 레버(7-2)는 그 내측의 스프링(7-5)으로 인한 탄성 복귀되어 '사용중'에서 '비었음'으로 회전판(7-6)이 전환되어 이용자가 없는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부스 내부에 중공의 코너선반 및 코너선반으로부터 출몰되는 보조선반을 갖추어 보조선반의 출몰 여부에 따라 출입 여닫이 도어에 마련된 고정대에 보조선반의 절곡부가 걸리고, 절곡부는 외부표시기의 회전축상의 레버를 작동시켜 화장실 이용 여부를 외부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너선반의 확장과 잠금/해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코너선반과 보조선반에 올려진 소지품을 챙긴 후 보조선반을 이용하여 고정대로부터 잠금을 해제시켜 화장실부스 외부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소지품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화장실 부스 2: 고정패널
3: 출입여닫이 도어 10: 코너선반
10a: 가이드턱 11: 고정부
12: 안내부 12a: 레일홈
20: 고정패널 21a: 결합턱
21: 고정판 30: 보조선반
30a: 보조가이드턱 31: 절곡부
32: 손잡이부재 32a: 연결부
40: 제1슬라이딩부재 41: 제1고정블럭
42: 제1롤러 50: 제2슬라이딩부재
51: 제2고정블럭 52: 제2롤러
60: 고정대 61: 걸이홈
62: 고정용 보스 63: 안내홈
70: 외부표시기 7-1: 회전축
7-2: 레버 7-3: 커버
7-4: 부착패널 7-5: 스프링
7-6: 회전판 T: 양면접착테이프

Claims (4)

  1. 화장실 부스(1)의 출입 여닫이 도어(3)와 마주하는 고정패널(2)에 체결나사로 부착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직사각형체로, 일측에 고정부(11)가 마련된 중공의 안내부(12)를 갖는 코너선반(10)과;
    상기 코너선반(10)의 안내부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턱(21a)을 갖는 고정판(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패널(2)과 직각되는 또 다른 고정패널 혹은 벽면에 고정판이 부착되어 코너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고정부재(20)와;
    양측과 저부가 개방되고, 전후에 상면으로부터 절곡부(31)를 갖는 직사각형체로 일측에 손잡이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코너선반으로부터 출몰되게 설치되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제공 및 출입 여닫이 도어(3)를 개폐하기 위한 보조선반(30)과;
    상기 코너선반(10)의 안내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블럭(41)과, 제1고정블럭의 양측에 보조선반의 내측 저면부을 안내하는 제1롤러(42)가 구름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선반(30)의 출몰을 안내하고, 코너선반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제1슬라이딩 부재(40)와;
    상기 보조선반(30)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2고정블럭(51)과, 제2고정블럭의 양측에 코너선반(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는 제2롤러(52)가 구비되어 코너선반으로부터 구름 안내되는 제2슬라이딩부재(50)와;
    상기 보조선반(30)의 일측이 안내되는 걸이홈(61)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출입 여닫이 도어(3)를 관통하는 고정용 보스(62)가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고정용 보스가 형성된 중간에 걸이홈(61)과 통하는 안내홈(63)이 형성되어 보조선반(30)을 걸어 지지하는 고정대(60)와;
    상기 고정대(60)가 설치된 출입 여닫이 도어(3)의 외부에서 체결나사로 고정설치되고, 출입 여닫이 도어(3)를 관통하는 회전축(7-1) 및 회전축의 끝단에 레버(7-2)가 결합되어 고정대의 걸이홈 내에서 보조선반의 일측 진입시 레버의 회동으로 화장실 사용 여부를 표시하는 외부표시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선반(10)의 안내부(12) 바닥면에는 제2슬라이딩부재(50)의 제2롤러(52)를 안내하는 레일홈(12a)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선반(10)의 상면측 길이 변에는 소지품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턱(10a)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선반(30)의 상면측 길이 변에는 상기 가이드턱에 안내되는 보조가이드턱(30a)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판(22) 후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T)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0180119730A 2018-10-05 2018-10-05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07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30A KR102078927B1 (ko) 2018-10-05 2018-10-05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30A KR102078927B1 (ko) 2018-10-05 2018-10-05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927B1 true KR102078927B1 (ko) 2020-04-07

Family

ID=7029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730A KR102078927B1 (ko) 2018-10-05 2018-10-05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51B1 (ko) * 2007-01-19 2007-07-19 (주) 충청에스엔지 건설현장의 간이 화장실용 잠금장치
KR101364794B1 (ko) * 2012-11-12 2014-02-19 조빛나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140060992A (ko) * 2012-11-12 2014-05-21 송영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435437B1 (ko) * 2012-11-21 2014-09-01 최덕규 소지품 분실방지장치
KR101885482B1 (ko) * 2017-07-20 2018-08-03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51B1 (ko) * 2007-01-19 2007-07-19 (주) 충청에스엔지 건설현장의 간이 화장실용 잠금장치
KR101364794B1 (ko) * 2012-11-12 2014-02-19 조빛나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140060992A (ko) * 2012-11-12 2014-05-21 송영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435437B1 (ko) * 2012-11-21 2014-09-01 최덕규 소지품 분실방지장치
KR101885482B1 (ko) * 2017-07-20 2018-08-03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209B2 (en) Multiple-roll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US10316584B1 (en) Bathroom vanity with retractable step
JP2018525038A (ja)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404581B1 (ko)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US20180363331A1 (en) Dual-use receptacle door latch
US3196935A (en) Draw closure
KR102078927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1270725B1 (ko) 수납공간을 겸비한 화장실 문 잠금장치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154433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6238030B1 (en) Hollow-door closet
KR101885482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1337669B1 (ko)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KR20150063992A (ko)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16736Y1 (ko)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US20050073223A1 (en) Molti folding hanger bar
JPH0350764Y2 (ko)
KR20040055570A (ko)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KR200384308Y1 (ko) 화장대 전용거울
JPH048877Y2 (ko)
KR102197734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659785B1 (ko) 도어 닫힘유지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다이얼식 키박스가 적용된 수납가구
KR20130013865A (ko) 이동식 수납가구
KR100557298B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