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865A - 이동식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이동식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865A
KR20130013865A KR1020110075754A KR20110075754A KR20130013865A KR 20130013865 A KR20130013865 A KR 20130013865A KR 1020110075754 A KR1020110075754 A KR 1020110075754A KR 20110075754 A KR20110075754 A KR 20110075754A KR 20130013865 A KR20130013865 A KR 20130013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urniture
rail
furniture
wall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556B1 (ko
Inventor
김채수
Original Assignee
김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수 filed Critical 김채수
Priority to KR102011007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12Embedde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벽체(2)와, 이 벽체(2)의 양단에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벽(3, 4)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2)와 평행하게 바닥면(1)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 19);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전면이 폐쇄되고 좌측 또는 우측에 물품수납을 위한 개구부(28d)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가구본체(21, 25); 및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보다 전방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좌측벽(3) 및 우측벽(4)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와, 이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상단을 연결하는 중간커버부(33)로 이루어진 커버판(30);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 중 일부 수납가구본체(21~25)를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수납가구본체(21~25)들 사이에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수납가구{A movable type furniture}
본 발명은 이동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이동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이나 캐비넷과 같은 수납가구는 전면에 힌지회동되는 도어가 구비되어 내부에 이불이나 옷, 사무용품 또는 귀중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수납가구의 배면이 벽면에 접하도록 하여 전면의 도어가 실내공간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수납가구의 도어가 힌지회동되므로, 도어의 회동궤적인 장롱의 전방에는 다른 가구나 물품을 배치할 수가 없어서, 수납가구의 수납공간 이외에 별도의 공간까지 요구되어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힌지개폐되도록 수납가구에 힌지결합되기 때문에, 경첩과 같은 부품이 요구되며 이러한 부품의 작동공간까지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 경첩이 수납가구의 전면 개구부 내측면에 구비되어 이불과 같은 비교적 사이즈가 큰 물품 수납시에는 경첩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가 미닫이식인 경우에는 힌지회동되는 도어와 달리 장롱의 전면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부피가 큰 물품을 수납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한편, 수납가구의 전후방향으로는 물품의 수납을 위해 사용자의 팔이 닿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까지만 허용되는 것이 현실이므로, 방과 같은 실내공간의 정해진 좌우폭에 맞게 설치된 수납가구에 수납공간을 좀 더 늘리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수납가구에 귀중품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수납가구에 록킹장치가 구비되는데, 복수개의 수납가구에 각각 록킹장치를 구비해야 하고 각각 록킹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88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가구의 사용공간대비 보다 넓은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이동식 수납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측 벽체(2)와, 이 벽체(2)의 양단에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벽(3, 4) 및 상측벽(5)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장롱, 캐비넷 등과 같은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2)와 평행하게 바닥면(1)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 19);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며, 전면이 폐쇄되고 좌측 또는 우측에 물품수납을 위한 개구부(28d)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가구본체(21~ 25); 및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보다 전방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측면이 상기 좌측벽(3)이나 우측벽(4)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면이 상측벽(5)에 고정 설치되어 수납가구본체(21~25)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가이드레일(10, 19)의 우측단부 또는 좌측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커버하는 커버판(30);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 중 일부 수납가구본체(21~25)를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수납가구본체(21~25)들 사이에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판(30)은 서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좌측벽(3) 및 우측벽(4)에 각각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상면이 상측벽(5)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와, 이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간커버부(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은 내부에 탄성돌기(11a)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덕트 형상의 레일홀더(11)와, 이 레일홀더(11)의 탄성돌기(11a)에 착탈되는 착탈홈(12a)이 형성된 레일(12)과, 이 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수납가구본체(21~25)가 결합되는 레일블록(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의 레일홀더(11)를 따라 연장 구비되며 레일홀더(11)의 측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판(14)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경사판(14)의 상단부에는 레일홀더(13)의 일측 상단이 삽입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바닥면(1)과 면접하는 면취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레일(10)과, 후방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레일(19)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제1가이드레일(10)의 레일홀더(13)의 일측상단과 제2가이드레일(19)의 레일홀더(11)의 일측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베이스판(18)이 레일홀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 중 최외측단에 구비된 수납가구본체(21~25)에는 록킹장치(40)가 구비되며, 이 록킹장치(40)는 승강바(42)와, 이 승강바(42)를 승강시키는 조작부(41)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이 가이드레일(10, 19)의 일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될 때 최외측의 수납가구본체(21~25)가 위치된 경사판(14)에는 상기 승강바(42)가 삽입되는 삽입공(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에 힌지회동되는 도어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힌지회동궤적으로 요구되는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방공간까지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수납공간을 상당히 넓힐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전후방향으로 사용자의 팔이 닿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만 수납가구를 제작함에 따라 수납공간이 부족하던 것에 비해, 수납가구본체(21~25)의 측면에 개구부(28d)를 형성하여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하더라도 물품의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므로, 수납공간을 상당히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모두 슬라이드되어 일측이 빈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방에 상기 빈공간을 은폐시키는 커버판(30)을 구비하여 수납가구본체(21~25)의 미려한 전면만 보여지므로, 보다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커버판(30)이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와 이들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간커버부(33)로 구성되어, 수납가구본체(21~25)를 좌측 및 우측 어느쪽으로 슬라이드시키더라도 상기 빈공간이 은폐되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중간커버부(33)가 수납가구본체(21~25)의 상단과 상측벽(5)간에 이격되는 틈새를 커버하여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이 더욱 돋보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에 거울(34)이나 액자와 같은 장식편(35)을 구비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가 좌우로 슬라이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0, 19)이 덕트 형상의 레일홀더(11)에 레일(12)이 탄성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레일홀더(11)와 레일(12)을 가정에서도 손쉽게 연장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수납가구본체를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레일홀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측방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경사판(14)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이드레일(10, 19)에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도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이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가이드레일(10, 19)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가이드레일(10, 19)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베이스판(18)을 레일홀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하여, 수납가구본체(21~25)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외관상으로도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 중 최외측단에 구비된 수납가구본체(21, 25)에 록킹장치(40)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수납가구본체(21~25) 중 하나만 위치 고정시키더라도 모든 수납가구본체(21~25)가 위치 고정되면서 수납가구본체(21~25)의 개구부(28d)가 은폐되어 매우 간편하게 록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납가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납가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납가구는 건물 벽체(2)와 평행하게 바닥면(1)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 19)과, 이 가이드레일(10, 19)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물품수납을 위한 개구부(28d)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가구본체(21~25)와, 가이드레일(10, 19)의 일단부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는 커버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식 수납가구는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평행한 좌우측벽(3, 4)과, 이 좌우측벽(3, 4)을 연결하는 벽체(2)를 포함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은 상기 벽체(2)와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10, 19)이 서로 이격 설치된다. 이때, 제2가이드레일(19)이 벽체(2)와 가까운 쪽인 후방에 위치되고, 제1가이드레일(10)이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은 덕트 형상인 레일홀더(11)와, 이 레일홀더(1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레일(12)과, 이 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레일블록(13)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홀더(11)의 내부 저면에는 상향 돌출된 탄성돌기(11a)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2)에는 상기 탄성돌기(11a)가 탄성결합되는 착탈홈(1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별도의 부품 없이도 레일(12)을 레일홀더(11)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이 부족하여 새로운 수납가구본체를 추가하고자 할 때, 이미 설치된 레일홀더(11)와 레일(12)의 단부에 새로운 레일홀더(11)와 레일(12)을 손쉽게 가정에서 연장 설치할 수 있어서, 수납공간을 자유자재로 증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2)과 접하는 레일블록(13)에는 베어링(13a)이 구비되어 소음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며, 레일블록(13)의 상면에는 수납가구본체(21~25)의 하면이 결합되어, 수납가구본체(21~25)가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의 레일홀더(11)가 바닥면(1)에서 돌출된 상태여서 외관을 해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걸려서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는 경사판(14)이 구비된다. 이 경사판(14)의 상단에는 레일홀더(13)의 일측 상단이 삽입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바닥면(1)과 면접하는 면취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양단부가 제1가이드레일(10)의 레일홀더(13)의 타측상단과 제2가이드레일(19)의 레일홀더(11)의 일측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베이스판(18)이 구비되며, 이 베이스판(18)은 레일홀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판(14)과 베이스판(18)이 도 4에서와 같이 레일홀더(11)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레일(10)의 전방에서 볼 때, 레일홀더(11)가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한편, 상기 경사판(14)은 제2가이드레일(19)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는 내부에 수납공간(26)이 형성된 것으로 복수개가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수납가구본체(21~25)가 5개인 것을 예시하며, 편의상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제1 내지 제5수납가구본체(21~25)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5수납가구본체(21~25)는 상기 벽체(2)와 근접된 면을 후면으로 하여 전후좌우면을 구별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은 전면판(28a)에 의해 폐쇄되며,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28d)가 형성된다. 이때, 수납가구본체(21~25)는 전면판(28a)과 후면판(28b) 및 측면판(28c)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판(28c)이 전면판(28a) 및 후면판(28b)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28a)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장식홈(29)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이 장식홈(29)을 잡고 수납가구본체(21~25)들을 좀 더 용이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내지 제5수납가구본체(21~25)의 내부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인출되는 서랍(27)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수납가구본체(21~24)의 우측에 개구부(28d)가 형성되고, 제5수납가구본체(25)의 좌측에 개구부(28d)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개구부(28d)의 위치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5수납가구본체(21~25)를 좌측벽(3)쪽으로 모두 슬라이드시키면, 제5수납가구본체(25)의 우측에는 가이드레일(10, 19)의 우측단부가 노출된다.
상기 커버판(30)은 도 2에서와 같이'∩'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서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와, 이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간커버부(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각 측면이 상기 좌측 및 우측벽(3, 4)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상단이 상측벽(5)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상단과 중간커버부(33)의 상단이 건물의 상측벽(5)에 접하도록 하여 수납가구본체(21~25)와 상측벽(5)간의 이격된 상태가 전방에서 볼 때 은폐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판(30)은 가이드레일(10, 19)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의 전방에 배치되어 수납가구본체(21~25)가 슬라이드되는데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30) 중 우측커버부(32)가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의 노출된 우측단부를 전방에서 볼 때 외부로부터 은폐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수납가구본체(21~25)를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가이드레일(10, 19)의 좌측단부가 노출되며, 이때에는 커버판(30)의 좌측커버부(31)가 상기 노출된 좌측단부를 은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에는 거울(34)이나 액자와 같은 장식편(35)이 구비되어 좀 더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편,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 중 제1 및 제5수납가구본체(21, 25)에는 록킹장치(40)가 구비되는데, 이 록킹장치(40)는 승강바(42)와, 조작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42)는 제1 및 제5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판(28a)에 상하방향을 따라 매입설치되며, 전면판(28a)의 하단부로 돌출되도록 승강되게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41)는 회동 또는 슬라이드됨에 따라 상기 승강바(42)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열쇠나 키패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0, 19)에 구비된 경사판(14)에는 상기 승강바(42)가 삽입되는 삽입공(17)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공(17)은 수납가구본체(21~25)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모두 슬라이드될 때, 제5수납가구본체(25) 또는 제1수납가구본체(21)에 구비된 승강바(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수납가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이 수납된 제3수납가구본체(23)에서 물품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제5수납가구본체(25)의 록킹장치(40)를 해제하고 제4 및 제5수납가구본체(24, 25)를 우측벽(4)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3수납가구본체(23)의 우측에 형성된 개구부(28d)가 노출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물품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하는 물품이 수납된 곳을 모를 때에는, 제1 내지 제5수납가구본체(21~25)를 차례로 슬라이드시켜 개구부(28d)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3수납가구본체(23)에 중요물품을 수납한 후 록킹을 하고자 할 때에는, 제4 및 제5수납가구본체(24, 25)를 좌측벽(4)쪽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5수납가구본체(25)의 록킹장치(40)의 승강바(42)가 가이드레일(10, 19)의 경사판(14)에 형성된 삽입공(17)과 대응되게 위치되어 열쇠 등을 이용하여 승강바(42)를 하강시킴으로써 제5수납가구본체(25)가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수납가구본체(21~24)도 위치가 고정되며, 각 수납가구본체(21~25)의 개구부(28d)가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따라서,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에 힌지회동되는 도어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수납공간으로 활용되지 않는 힌지회동궤적으로 요구되는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방공간까지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수납공간을 상당히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다른 가구나 물품과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다른 가구 등의 설치도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도어가 전면에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사용자의 팔이 닿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만 수납가구를 제작함에 따라 수납공간이 부족하던 것에 비해, 수납가구본체(21~25)의 측면에 개구부(28d)를 형성하여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하더라도 물품의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므로, 종래 도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모두 슬라이드되어 우측 또는 좌측 가이드레일(10, 19)의 상측 빈공간을 전방에서 볼 때 은폐되도록 하는 커버판(30)을 구비하여, 전방에서 볼 때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판(22a)에 형성된 장식홈(29)에 의한 미려한 외관만이 보여지므로,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판(30)의 중간커버부(33)가 수납가구본체(21~25)의 상단부와 상측벽(5)간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좀 더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 중 최외측단에 구비된 수납가구본체(21, 25)에 록킹장치(40)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수납가구본체(21~25) 중 하나만 위치 고정시키더라도 모든 수납가구본체(21~25)가 위치 고정되면서 수납가구본체(21~25)의 개구부(28d)가 은폐되어, 종래 각 수납가구본체마다 일일이 록킹시켜야 하던 것에 비해 귀중품 등을 수납할 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수납가구본체(21~25)의 록킹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을 연장설치하고 수납가구본체(21~25)를 추가함으로써, 수납공간을 자유자재로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좌측 또는 우측커버판(31, 32)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레일(10, 19) 상측의 빈공간을 전방에서 볼 때 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일측 벽체(2)와, 이 벽체(2)의 양단에 평행하게 배치된 좌우측벽(3, 4) 및 상측벽(5)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장롱, 캐비넷 등과 같은 수납가구에 있어서,
    상기 벽체(2)와 평행하게 바닥면(1)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 19);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면이 폐쇄되고 좌측 또는 우측에 물품수납을 위한 개구부(28d)가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가구본체(21~ 25); 및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의 전면보다 전방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측면이 상기 좌측벽(3)이나 우측벽(4)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면이 상측벽(5)에 고정 설치되어 수납가구본체(21~25)들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가이드레일(10, 19)의 우측단부 또는 좌측단부 상측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커버하는 커버판(30);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 중 일부 수납가구본체(21~25)를 슬라이드시킴에 따라 수납가구본체(21~25)들 사이에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0)은 서로 이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좌측벽(3) 및 우측벽(4)에 각각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상면이 상측벽(5)에 고정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와, 이 좌측 및 우측커버부(31, 3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중간커버부(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은 내부에 탄성돌기(11a)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덕트 형상의 레일홀더(11)와, 이 레일홀더(11)의 탄성돌기(11a)에 착탈되는 착탈홈(12a)이 형성된 레일(12)과, 이 레일(1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수납가구본체(21~25)가 결합되는 레일블록(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의 레일홀더(11)를 따라 연장 구비되며 레일홀더(11)의 측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판(14)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경사판(14)의 상단부에는 레일홀더(13)의 일측 상단이 삽입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바닥면(1)과 면접하는 면취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 19)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레일(10)과, 후방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레일(19)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제1가이드레일(10)의 레일홀더(13)의 일측상단과 제2가이드레일(19)의 레일홀더(11)의 일측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베이스판(18)이 레일홀더(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 중 최외측단에 구비된 수납가구본체(21~25)에는 록킹장치(40)가 구비되며, 이 록킹장치(40)는 승강바(42)와, 이 승강바(42)를 승강시키는 조작부(41)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가구본체(21~25)들이 가이드레일(10, 19)의 일단부쪽으로 슬라이드될 때 최외측의 수납가구본체(21~25)가 위치된 경사판(14)에는 상기 승강바(42)가 삽입되는 삽입공(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납가구.
KR1020110075754A 2011-07-29 2011-07-29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KR10127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54A KR101279556B1 (ko) 2011-07-29 2011-07-29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54A KR101279556B1 (ko) 2011-07-29 2011-07-29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65A true KR20130013865A (ko) 2013-02-06
KR101279556B1 KR101279556B1 (ko) 2013-07-02

Family

ID=4789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754A KR101279556B1 (ko) 2011-07-29 2011-07-29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9580A (zh) * 2013-10-28 2014-01-22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多功能文件架
KR102102723B1 (ko) * 2018-11-19 2020-04-21 신우산업 주식회사 요트 살룬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50Y2 (ja) * 1987-06-15 1994-03-23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家具
JPH0428414Y2 (ko) * 1988-09-02 1992-07-09
JP2001000255A (ja) * 1999-06-18 2001-01-09 Oizumi Seisakusho:Kk 移動棚システム
KR100910397B1 (ko) * 2009-03-09 2009-08-04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모빌랙용 이동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556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412B1 (ko) 공공장소용 컴퓨터 책상
KR101279556B1 (ko)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JP2007143646A (ja) 洗面化粧台
JP2012217852A (ja) 少なくとも1つのスライドドアを有する家具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JP3873070B2 (ja) 掛止具を有するキッチン台等の収納家具
JP4476256B2 (ja) 掛止具を有するキッチン台等の収納家具
JP6166054B2 (ja) 補助扉内蔵引戸
KR200384308Y1 (ko) 화장대 전용거울
CN206777068U (zh) 办公柜体
US4657319A (en) Extruded nosing for a furniture pedestal or the like
KR200473039Y1 (ko) 주방가구
KR200444566Y1 (ko) 사무용 서랍장
KR102414414B1 (ko) 다방향 서랍
JPH059853Y2 (ko)
US11185160B2 (en) Corner-cabinet arrangement
KR100553189B1 (ko) 다용도 수납장
KR100461528B1 (ko) 수납장 문의 슬라이딩 로울러 구조
CN217013180U (zh) 一种家居收纳结构
KR200464656Y1 (ko) 액세서리 전용 수납장을 구비한 수납가구 모듈
KR200324312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0457798Y1 (ko) 다용도 수납장
JP2008264384A (ja) 収納棚付き鏡装置
KR200172007Y1 (ko) 컴퓨터 책상이 결합된 붙박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