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414B1 - 다방향 서랍 - Google Patents

다방향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414B1
KR102414414B1 KR1020200074337A KR20200074337A KR102414414B1 KR 102414414 B1 KR102414414 B1 KR 102414414B1 KR 1020200074337 A KR1020200074337 A KR 1020200074337A KR 20200074337 A KR20200074337 A KR 20200074337A KR 102414414 B1 KR102414414 B1 KR 102414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pace
plate
open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589A (ko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윤 filed Critical 김도윤
Priority to KR102020007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4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6Guid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awe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서랍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2개의 면이 개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에 의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열리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다방향 서랍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다방향 서랍{Multi-directional drawer}
본 발명은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여러 방향으로 열리는 서랍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은 간단한 옷이나 양말을 보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며 대체로 앞쪽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리는 다수개의 서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랍장은 서랍 안쪽을 청소하기가 어렵고, 안쪽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지 못해 있는 물건을 중복하여 구입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여러 사람이 동일한 서랍장을 쓸 때 동시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396호에서는 양방향 서랍장을 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서 제시한 양방향 서랍장은 하나의 서랍이 전후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하여 안쪽에 있는 물건도 쉽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랍장은 전후 방향이 모두 개방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다른 가구와 이어서 설치하거나 방의 모퉁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한쪽 방향을 온전히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396호 (2014.11.22)
본 발명은 하나의 서랍을 여러 방향으로 열 수 있도록 하여 구석진 곳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용이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하여 설치 장소의 선택 범위를 폭넓게 할 수 있는 다방향 서랍을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2개의 면이 개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에 의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열리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다방향 서랍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납부는 수납공간 외측에 기역자 형태의 가이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간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가이드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납부의 밑면 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블록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 또는 상기 수납부의 밑면에 장착되고 입 구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딩블록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서랍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여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석진 곳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용이하다. 또한 모퉁이나 가구의 끝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서랍을 자유롭게 여닫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치 장소의 선택 범위를 폭넓게 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가이드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100)은 하나의 서랍을 여러 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는 서랍으로서, 몸체부(1), 수납부(2) 및 가이드부(3)를 포함한다.
몸체부(1)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2개의 면이 개방된다.
수납부(2)는, 몸체부(1)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몸체부(1)의 개방된 2개의 면에 의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열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부(3)는, 수납부(2)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열리도록 수납부(2)를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납부를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중 선택하여 여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석진 곳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용이하다. 또한 서랍을 설치 장소의 모퉁이나 가구의 끝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수납부를 자유롭게 여닫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치 위치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분해사시도이다.
몸체부(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100)의 기초가 되는 구성으로서 이 몸체부(1)에 후술하는 수납부(2)가 장착되고, 상판(11), 하판(12), 격판(13) 및 측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직사각형이고 윗면을 이루는 상판(11)과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바닥을 이루는 하판(12)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11)과 하판(12)의 사이에 공간에 격판(13)이 배치되어 공간을 나누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판(13)은 하나로서 상판(11)과 하판(12) 사이의 공간을 둘로 나누게 되며 이에 따라 2개의 수납부(2)가 장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판(11)과 하판(12) 사이의 공간을 더 넓게 하고 격판(13)을 더 배치하여 더 많은 수납부(2)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격판(13)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바(31)가 통과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측판(14)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판(11), 격판(13) 및 하판(12)의 모서리와 각각 결합된다. 측판(14)은 2개로 이루어지고 상판(11), 격판(13) 및 하판(12)의 서로 이어지는 2개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어 마감하게 된다. 측판(14)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개방된 부분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면의 형태를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2개의 개방된 부분이 존재한다. 이 개방된 부분으로 2개의 수납부(2)가 각각 결합하게 된다.
수납부(2)는 서랍의 기능을 하며 몸체부(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S1)이 형성된다. 수납부(2)는 몸체부(1)의 개방된 2개의 면에 의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수납부(2)는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공간(S1)과 후술하는 가이드바(31)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공간(S2)을 구비하고 손잡이(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부(2)는 수납공간(S1) 외측에 'ㄱ'자 형태의 가이드공간(S2)이 형성되고, 가이드공간(S2)은 몸체부(1)의 개방된 부분 쪽으로 배치된다.
가이드공간(S2)은 'ㄱ'자 형태의 격벽(25)에 의해 수납공간(S1)과 분리되며 이 가이드공간(S2)에 후술하는 가이드부(3)가 결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납부(2)는 상부의 제1수납부(21)와 하부의 제2수납부(22)로 이루어지고 제1수납부(21)와 제2수납부(22)는 각각 내판(23), 외판(24), 격벽(25) 및 밑판(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판(23)은 수납부(2)가 몸체부(1)에 결합되었을 때 측판(14)과 접하는 2개의 판으로서 수납부(2)가 몸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 위치하고, 외판(24)은 수납부(2)가 몸체부(1)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부(1)의 개방된 부분으로 드러나는 2개의 판으로서 수납부(2)가 몸체부(1)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에 위치한다. 내판(23)과 외판(24)이 결합되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룬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판(23)과 측판(14)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슬라이딩블록과 슬라이드레일 등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내판(23)의 외판(24)방향의 단부에는 ㄱ자로 절곡되는 형태로 격벽(25)이 설치된다. 격벽(25)은 외판(24)과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격벽(25)은 양단은 서로 다른 내판(23)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밑판(26)은 수납부(2)의 바닥을 이루는 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25)과 내판(23)이 구획하는 공간의 바닥을 마감하도록 이루어진다.
내판(23)과 격벽(25) 및 밑판(26)이 구획하는 공간에 의해 사각형의 수납공간(S1)이 형성되고 외판(24)과 내판(23) 및 격판(13)이 구획하는 공간에 의해 'ㄱ'자 형태의 가이드공간(S2)이 형성된다.
수납공간(S1)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밑판(26)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 가이드공간(S2)은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다.
외판(24)에는 손잡이(27)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어 잡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그 외에도 알려진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손잡이 없이 외판(24)을 잡고 수납부(2)를 열 수 있도록 외판(24)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3)는 수납부(2)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의 개방된 부분의 2개의 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몸체부(1)로부터 가이드공간(S2)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바(31)는 몸체부(1)의 상판(11)과 하판(12)에 양단이 결합되고 제1수납부(21)와 제2수납부(22)의 가이드공간(S2) 및 격판(13)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가이드바(31)는 분리된 형태로서 상판(11)과 격판(13)의 사이 및 격판(13)과 하판(12)의 사이에 분리된 가이드바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31)는 양 단부에 베어링이 개재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바(31) 또는 가이드공간(S2)에는 가이드롤러(32)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가이드공간(S2) 또는 가이드바(31)에는 가이드레일(3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납부(2)가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바(31)는 가이드롤러(32) 또는 가이드레일(33)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사각 기둥 형태의 가이드바가 채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부는 사각 기둥 형태의 가이드바(31), 가이드롤러(32) 및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가이드바(31)에 형성된 장착자리에는 축지지부재(323)가 결합되고 축지지부재(323)에는 장홀로 이루어진 축홀이 형성된다. 이 축홀에 탄성부재(324)를 개재하여 롤러(321)가 장착된 축(322)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축이 탄성부재를 변형시키면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롤러가 가이드레일에 밀착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구성의 간섭없이 수납부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서랍(100)은 다음과 같이 제작할 수 있으며 각 부품들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구의 형태를 가질 있다.
먼저 하판(12)에 2개의 측판(14)을 결합한다. 측판(14)은 하판(12)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판(12)과 측판(14)에는 이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를 하판(12)으로부터 나사홀에 결합시켜 하판(12)과 측판(14)을 결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판(12)에 가이드바(31)를 결합시킨다. 이때 하판(12)에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가이드바(31)의 일단에도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를 하판(12)을 통해 가이드바(31) 일단에 체결함으로써 하판(12)과 가이드바(31)를 결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수납부(22)의 가이드공간(S2)으로 가이드바(31)를 관통시키면서 제2수납부(22)를 하판(12) 위에 놓여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수납부(22)는 가이드바(31)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전면과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격판(13)에 형성된 홀에 가이드바(31)를 관통시키면서 격판(13)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격판(13)과 측판(14)에는 이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를 측판(14)으로부터 나사홀에 결합시켜 격판(13)과 측판(14)을 결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수납부(21)의 가이드공간(S2)으로 가이드바(31)를 관통시키면서 제1수납부(21)를 격판(13) 위에 놓여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수납부(21)는 제2수납부(22)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바(31)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전면과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판(11)을 측판(14) 및 가이드바(31)에 결합시킨다. 상판(11)은 측판(14)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상판(11)과 측판(14) 및 상판(11)과 가이드바(31)의 일단에는 이들이 서로 만나는 지점에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를 상판(11)으로부터 나사홀에 결합시켜 상판(11)과 측판(14) 및 상판(11)과 가이드바(31)를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위의 조립방법은 하나의 예시로서 사용자는 각자 편리한 방식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은 상술한 실시예의 다방향 서랍과 비교하였을 때 수납부(2)와 가이드부(3)의 형태에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외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배치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수납부(2)에는 가이드공간(S2)이 형성되지 않고 수납공간(S1)으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2개의 내판(23)과 2개의 외판(24)으로 이루어지고 내판(23)과 외판(24)이 사각형의 형상이 되도록 결합되며 내판(23)과 외판(24)이 형성하는 공간 전체의 바닥을 밑판(26)이 마감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가이드부(3)는, 수납부(2)의 밑면에 해당하는 밑판(26)의 밑면 또는 몸체부(1)의 내부면에 해당하는 하판(12)이나 격판(13)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34)과 이에 대응되도록 하판(12)이나 격판(13) 또는 밑판(26)의 밑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레일(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드레일(35)은 입 구(口)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슬라이드레일(35)에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 4개의 슬라이딩블록(34)이 결합되어 전면과 측면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블록(34)은 돌출물 형태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레일(35)에는 슬라이딩블록(34)이 결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슬라이드레일(35)에서 수납부(2)가 열리는 방향에는 인출홈(3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블록(34)이 슬라이드레일(35)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납부(2)가 전면과 측면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다방향 서랍도 각 부품들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구의 형태를 가질 있다.
상술한 다방향 서랍은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수납부(2)가 닫힌 초기 위치에서 수납부(2)를 도면에서의 전면 또는 측면 중 선택하여 열 수 있다. 전면으로 열 때는 가이드바(31)가 'ㄱ'자 형태의 가이드공간(S2) 중 짧은 쪽 가이드공간(S2)을 따라가면서 수납부(2)가 이동하여 전면으로 열린다. 한편 슬라이딩블록(34)과 슬라이드레일(35)을 채용한 형태에서는 짧은 쪽 슬라이드레일(35)을 따라 수납부(2)가 이동하면서 전면으로 열린다.
이 상태에서 측면으로 열 때는 수납부(2)를 초기 위치로 한 다음 수납부(2)를 측면으로 이동시킨다. 측면으로 열 때는 가이드바(31)가 긴 쪽 가이드공간(S2)을 따라가면서 수납부(2)가 이동하여 측면으로 열린다. 한편 슬라이딩블록(34)과 슬라이드레일(35)을 채용한 형태에서는 긴 쪽 슬라이드레일(35)을 따라 수납부(2)가 이동하면서 측면에서 열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서랍은 초기 위치에서는 수납부의 방향을 선택하여 열 수 있는 한편 수납부가 이동 중에는 열리는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열어 수납한 물품들을 동시에 꺼낼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다방향 서랍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몸체부 11 : 상판 12 : 하판 13 : 격판 14 : 측판
2 : 수납부 21 : 제1수납부 22 : 제2수납부
23 : 내판 24 : 외판 25 : 격벽 26 : 밑판 27 : 손잡이
3 : 가이드부 31 : 가이드바 32 : 가이드롤러
321 : 롤러 322 : 축 323 : 축지지부재 324 : 탄성부재
33 : 가이드레일 34 : 슬라이딩블록
35 : 슬라이드레일 351 : 인출홈
S1 : 수납공간 S2 : 가이드공간
100 : 다방향 서랍

Claims (3)

  1.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어지는 2개의 면이 개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에 의해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열리는 것이 가능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열리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수납공간 외측에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둘레가 폐쇄되는 기역자 형태의 가이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가이드공간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바의 양 단부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다방향 서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간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2개의 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가이드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다방향 서랍.
  3. 삭제
KR1020200074337A 2020-06-18 2020-06-18 다방향 서랍 KR10241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37A KR102414414B1 (ko) 2020-06-18 2020-06-18 다방향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37A KR102414414B1 (ko) 2020-06-18 2020-06-18 다방향 서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89A KR20210156589A (ko) 2021-12-27
KR102414414B1 true KR102414414B1 (ko) 2022-06-29

Family

ID=7917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37A KR102414414B1 (ko) 2020-06-18 2020-06-18 다방향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52A (ja) 2000-08-04 2002-02-19 Takero Mori チェスト用多方向引き出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616A (ja) * 1981-07-13 1983-01-24 松下電工株式会社 抽出装置
JPS5812343U (ja) * 1981-07-15 1983-01-26 中村 康雄 抽出し
JPS5966452U (ja) * 1982-10-26 1984-05-04 木村寝台工業株式会社 床頭台に於ける引出機構
JP2604912Y2 (ja) * 1993-08-25 2000-06-12 株式会社デジタル 収納ケース
KR200475396Y1 (ko) 2013-11-08 2014-11-27 서혜정 양방향 서랍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852A (ja) 2000-08-04 2002-02-19 Takero Mori チェスト用多方向引き出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89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1979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20070080614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20080315737A1 (en) In-Wall Mounted Toolbox
KR102414414B1 (ko) 다방향 서랍
US2215881A (en) Box or chest for tools or the like
US20060181183A1 (en) Utility drawer system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KR200434586Y1 (ko) 다면 방향 서랍장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KR200435735Y1 (ko) 서랍용 보조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KR101045522B1 (ko) 4방향 개폐 서랍장
EP3967182A1 (en) A furnishing element
JPH0636432U (ja) 棚付の収納ボックス
KR200472754Y1 (ko) 다용도 서랍장
KR20210157663A (ko) 서랍용 보조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KR20130013865A (ko) 이동식 수납가구
KR102582319B1 (ko) 천장 수납부를 구비한 수납장
JP3017339U (ja) 移動キャビネット
JPH059853Y2 (ko)
JPH0114189Y2 (ko)
KR200493042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침대 프레임
JP7241491B2 (ja) キャビネット
JP3232515U (ja) 整理用仕切り具
JPH0116429Y2 (ko)
JP2559188B2 (ja) 収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