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274B1 -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274B1
KR101732274B1 KR1020150143159A KR20150143159A KR101732274B1 KR 101732274 B1 KR101732274 B1 KR 101732274B1 KR 1020150143159 A KR1020150143159 A KR 1020150143159A KR 20150143159 A KR20150143159 A KR 20150143159A KR 101732274 B1 KR101732274 B1 KR 101732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aft portion
door
hinge shaf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072A (ko
Inventor
조광일
Original Assignee
조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일 filed Critical 조광일
Priority to KR102015014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2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3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rivacy rooms, e.g. bath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4Doors containing cup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 도어의 내측면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 및 회전축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가 형성된 회전축부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소지품을 받쳐두기 위한 선반부와, 상기 연결축부와 선반부 사이의 회전축부 양측에 내부와 통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선반부재와; 전면 횡 방향에 상기 선반부재의 회전축부를 수용하는 호형의 축수용부와, 축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안내홈부가 후면측으로 노출되고, 연결축부가 관통되는 통공부와, 통공부의 후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축부와, 제1힌지축부 일측에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이 형성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부와, 상기 축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가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부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어에 체결나사의 체결로서 고정되는 선반고정대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1힌지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측의 걸림부재에 걸려져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걸쇠부재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2힌지축부에 안내되는 장공부를 갖고, 상기 장공부 일측에는 선반부재의 연결축부에 결합되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편에 안내되어 걸쇠부재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바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스프링지지축부와 걸쇠부재에 양단이 연결되어 걸쇠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코일스프링과; 상기 선반고정대의 축수용부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90도 각도로 회동된 선반부의 저면 측을 받쳐 지지하는 선반받침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선반부의 간단한 올림과 내림 동작으로 걸쇠부재를 통한 도어를 손쉽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고, 선반부를 통해서는 소지품을 올려놓고, 용변을 마치고 도어를 열고 나올 때 잊지 않고 챙길 수 있으며, 선반의 폴딩은 도어측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반부로 하여금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도어의 경첩 및 고정패널의 위치에 따라 좌우 구분없이 걸쇠부재, 슬라이딩바, 인장코일스프링의 위치만 손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Lathe device for public toilet door}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화장실 도어에 선반을 구비하여 각종 소지품 등을 올려놓을 수 있고, 화장실 도어를 열고 나올 때에는 선반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지 않고 챙겨서 나올 수 있도록 한 선반장치에 있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의 주기능과 함께 선반의 간단한 조작으로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여닫힘 방향에 관계없이 선반을 파손을 줄여주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고속도로 휴게소, 공원, 경기장, 병원 등과 같이 다수인이 수시로 드나드는 건물 내에 시설된 화장실을 일컬으며, 각 개인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화장실 실내에는 좌변기를 기준으로 파티션으로 구획된 화장실 부스가 시설된다.
통상 공중화장실을 이용함에 있어, 손을로 들고 있는 지갑, 핸드폰, 각종 소지품의 보관을 위해 화장실 부스 내에는 선반을 마련하기도 하지만, 일부 이용자들은 용변을 마치고 소지품을 잊고 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어 소지품의 분실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도어의 잠금장치에 선반을 적용하여 도어의 잠금상태에서는 선반을 이용하고, 미사용시에는 도어 면측으로 선반이 대응되는 형태가 되게 폴딩되도록 하여 사용한 예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장실 도어와 관련한 선반장치에 대한 특허문헌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국내 등록특허 제10-1364794호(명칭: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등록일자: 2014년 02월 12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첨부된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중화장실 도어(1)에 설치되어 물건을 받쳐 보관하기 위한 선반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100)는,
도어(1)의 좌, 우측에 연접되어 벽체 또는 도어와 동일선상을 이루거나 경첩의 설치로서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패널(2)의 안쪽 면에 체결나사(S)로서 체결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1a)이 형성된 고정부(11)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기 고정부(11)로부터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회동홈(12a)이 절개되며, 회동홈(12a)의 하측 전면에 받침턱(12b)이 돌출 형성된 축 수용부(12)와, 상기 축 수용부(12)의 내경에 배열 형성된 요철부(13)로 이루어진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의 축 수용부(12)에 결합되어 고정패널(2)측에서 도어(1)측으로 회동각도를 갖고 회전되어 도어(1)의 잠금기능과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선반(20)과; 상기 고정부(11) 내에 안내되어 선반(20)을 체결나사(S)로서 연결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에 연결되어 선반(20)의 회전에 따라 고정패널(2)의 외부에서 화장실 사용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20)은, 요철부(13)가 형성된 내경에 삽입되는 회전축부(21)와, 회전축부(21)로부터 굴곡져 연장되는 연결부(22)와, 연결부(2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평판부(2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21)에는 요철부(13)에 탄력적으로 걸려 선반(20)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스프링(24) 및 스프링의 이탈방지를 위한 무두나사(25)를 포함한 로크볼(26)이 상기 요철부(13)에 간섭되게 조립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재(40)는 고정패널(2)을 관통하여 고정부재(30)측 체결나사(S)에 고정되도록 일단에 연결고리(41)가 형성되고, 연결고리(4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직선상에는 코일스프링부(42)가 마련되고, 코일스프링부(42)로부터 고정축(4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축(43)에는 회전표시편(44)이 도어(1)의 외측에서 부착설치되어 선반(20)의 회전각도와 동일하게 회전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특허문헌의 도어용 선반장치는 사용중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통상 흔히 시용되고 있는 여닫이 도어의 경첩은 2가지가 대표적이며, 이는 도어를 밀어 도어가 화장실 부스 내부로 젖혀져 열리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을 이용한 도어의 잠금은 가능하다.
하지만, 경첩 설치방향에 따라 도어를 외측으로 당겨 개방하는 타입의 도어인 경우에는 선반장치를 반대되게 즉, 도어측에 고정대를 설치하고, 선반이 고정패널측에 걸려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시켜야만 한다.
결국, 여닫히는 방향에 따라 고정대의 위치가 달리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도어에 고정대가 설치된 경우라면, 선반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패널측으로 닫히게 되는 경우, 선반의 파손율이 잦아지는 단점이 있고, 도어를 열고 화장실 부스 내부로 드나드는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선반은 폴딩되어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즉, 선반의 위치가 도어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라면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이용자의 실수로 선반을 내려놓은 상태라면 상기와 같이 선반이 훼손될 수 있고, 통행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화장실 도어에 선반을 구비하여 각종 소지품 등을 올려놓을 수 있고, 화장실 도어를 열고 나올 때에는 선반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지 않고 챙겨서 나올 수 있도록 한 선반장치에 있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의 주기능과 함께 선반의 간단한 조작으로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여닫힘 방향에 관계없이 선반을 파손을 줄여주고,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중화장실 도어의 내측면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 및 회전축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가 형성된 회전축부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소지품을 받쳐두기 위한 선반부와, 상기 연결축부와 선반부 사이의 회전축부 양측에 내부와 통하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선반부재와; 전면 횡 방향에 상기 선반부재의 회전축부를 수용하는 호형의 축수용부와, 축수용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안내홈부가 후면측으로 노출되고, 연결축부가 관통되는 통공부와, 통공부의 후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축부와, 제1힌지축부 일측에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편과, 가이드편이 형성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부와, 상기 축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축부와, 상기 제1힌지축부가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부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어에 체결나사의 체결로서 고정되는 선반고정대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1힌지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측의 걸림부재에 걸려져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걸쇠부재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제2힌지축부에 안내되는 장공부를 갖고, 상기 장공부 일측에는 선반부재의 연결축부에 결합되는 연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편에 안내되어 걸쇠부재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바와; 상기 선반고정대의 스프링지지축부와 걸쇠부재에 양단이 연결되어 걸쇠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코일스프링과; 상기 선반고정대의 축수용부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90도 각도로 회동된 선반부의 저면 측을 받쳐 지지하는 선반받침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반고정대의 상부에는 선반부의 선단부분을 밀어내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고, 선반부재의 회전축부 양단을 커버하는 커버편이 축수용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반고정대의 전면에는 미러설치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는, 선반부의 간단한 올림과 내림 동작으로 걸쇠부재를 통한 도어를 손쉽게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고, 선반부를 통해서는 소지품을 올려놓고, 용변을 마치고 도어를 열고 나올 때 잊지 않고 챙길 수 있으며, 선반의 폴딩은 도어측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반부로 하여금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도어의 경첩 및 고정패널의 위치에 따라 좌우 구분없이 걸쇠부재, 슬라이딩바, 인장코일스프링의 위치만 손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공중화장실 도어 선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반장치가 고정패널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과 선반이 활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2의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도어 선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선반장치의 선반부의 폴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공중화장실 도어(1)의 내측면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100)는,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으면서 도어를 잠금 혹은 해제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선반부재 및 선반부재를 회동 지지하는 선반고정대 및 선반고정대에 설치되어 도어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측의 걸림부재에 걸려지는 걸쇠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부재(110)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111) 및 회전축부(111)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축부(112)와, 상기 연결축부(112)가 형성된 회전축부(111)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소지품을 받쳐두기 위한 선반부(113)와, 상기 연결축부(112)와 선반부(113) 사이의 회전축부(111) 양측에 내부와 통하는 안내홈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선반고정대(120)는 전면 횡 방향에 상기 선반부재(110)의 회전축부(111)를 수용하는 호형의 축수용부(121)와, 상기 축수용부(121) 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110)의 안내홈부(114)가 후면측으로 노출되고, 연결축부(112)가 관통되는 통공부(122)와, 통공부(122)의 후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축부(123)와, 제1힌지축부(123) 일측에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편(124)과, 가이드편(124)이 형성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부(125)와, 상기 축수용부(121)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축부(126)와, 상기 제1힌지축부(123)가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부(127)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어(1)에 체결나사의 체결로서 고정설치된다.
상기 선반고정대를 도어에 고정하거나 선반고정대에 선반받침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나사의 도시는 도면상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상부에는 선반부(113)의 선단 부분을 밀어내기 위한 요홈부(128)가 형성되고, 선반부재(110)의 회전축부(111) 양단을 커버하는 커버편(129)이 축수용부(121)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전면에는 미러설치공(120a)이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설치공(120a)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며, 미도시된 미러는 선반고정대의 후면에서 부착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쇠부재(130)는, 선반고정대(120)의 제1힌지축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1)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2)측의 걸림부재(3)에 걸려져 도어(1)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쇠부재(130)는 일측에 상기 제1힌지축부(123)에 결합되는 축공(1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후술하는 인장코일스프링(150)을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연결공(132)가 형성되며, 전반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작동홈부(127)로부터 일단부가 인출되거나 수용되는 형태로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쇠부재(130)와 관련하여 슬라이드바(140)가 설치되며, 이 슬라이드바(140)는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제2힌지축부(125)에 안내되는 장공부(141)를 갖고, 상기 장공부(141) 일측에는 선반부재(110)의 연결축부(112)에 결합되는 연결공(142)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편(124)에 안내되어 걸쇠부재(130)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스프링지지축부(126)와 걸쇠부재(130)에 양단이 연결되어 걸쇠부재(130)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코일스프링(150)과;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축수용부(121)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90도 각도로 회동된 선반부(113)의 저면 측을 받쳐 지지하는 선반받침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반고정대의 작동홈부, 스프링지지축부, 가이드편, 제1힌지축부 및 제2힌지축부의 구성은 양측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여 도어의 설치위치 즉, 도어가 설치되는 경첩, 고정패널의 위치에 따라 좌우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걸쇠부재, 인장코일스프링, 슬라이드바를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의 이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치(100)는 도어(1)측에서 선반부재(110)를 구성하는 선반부(113)를 90도 각도로 회동시키거나, 도어(1)에 고정된 선반고정대(120)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폴딩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용자는 선반장치(100)를 통해 도어(1)를 잠그는 용도와 더불어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화장실 도어(1)를 열고 들어간 이용자는 도어(1)를 고정패널(2)과 수평상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선반고정대(120)의 요홈부(128)에서 손가락을 넣으면서 선반부(113)의 선단 부분을 엄지와 검지로 잡고 아래 방향으로 내려 젖혀준다.
상기와 같이 젖혀지는 선반부(113)의 저면 일측은 선반고정대(120)의 축수용부(121)의 전면에 걸쳐져 고정된 선반받침커버(160)의 상단에 걸쳐지는 상태로서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안정된 선반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반부(113)의 회동에 따라서 회전축부(111)에 마련된 연결축부(112)는 선반고정대(120)의 작동홈부(127)를 통해 슬라이드바(140)의 연결공(142)과 연결되고, 선반고정대(120)의 후면측에 마련된 제2힌지축부(125)에 장공부(141)가 안내된 슬라이드바(140)를 상향 동작시키게 된다.
즉, 축수용부(121)에서 회전축부(111)의 회전된 각도에 따라 상기 연결축부(112)는 슬라이드바(14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이드바를 상향 밀어올리는 동작을 취해준다.
상기 슬라이드바(140)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부재(110)의 안내홈부(114)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축부(111)와 함께 연결축부(112)의 회동된 각도에 따라 수직으로 그 위치가 변경되어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바(140)의 상단은 제1힌지축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걸쇠부재(130)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고, 그 양측 면은 슬라이드바(140)가 위치한 수직 상부에 위치된 가이드편(124) 사이에 안내되면서 걸쇠부재(130)를 밀고 있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걸쇠부재(130)의 회동은 선반고정대(120)의 측면에 형성된 작동홈부(127)로 인출되어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패널(2)측 걸림부재(3)에 안내됨으로써, 도어(1)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상기 걸쇠부재(130)의 회동에 따라 스프링연결공(132)과 선반고정대(120)의 후면측 스프링지지축부(125)에 양단이 연결된 인장코일스프링(150)은 인장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이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나가기 위해서는 선반부(113)를 상술한 반대방향, 즉 선반고정대(120)측으로 회동시켜주면, 회전축부(111)는 축수용부(121)로부터 회동되고, 이때 상기 걸쇠부재(130)는 슬라이드바(140)가 다시 하강하는 상태가 되면서 인장코일스프링(150)의 복권력에 의해 상기 걸쇠부재는 걸림부재로부터 해제되어 작동홈부(127) 내측으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어(1)를 열고 이용자가 화장실을 나설 수 있는 상태로 선반부(113)에 올려진 소지품을 잊지 않고 챙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선반장치는 간단히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도 도어와 인접한 고정패널의 잠금부재로부터 도어를 잠금상태 혹은 해제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간단한 조작은 물론, 소지품을 잠시 올려둘 수 있는 선반용도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지품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고정대에 형성된 미러설치공(120a)은 미러를 장착함으로써, 이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간단한 화장거울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선반부를 이용한 잠금상태에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2: 고정패널
3: 걸림부재 100: 선반장치
110: 선반부재 111: 회전축부
112: 연결축부 113: 선반부
114: 안내홈부 120: 선반고정대
120a: 미러설치공 121: 축수용부
122: 통공부 123: 제1힌지축부
124: 가이드편 125: 제2힌지축부
126: 스프링지지축부 127: 작동홈부
128: 요홈부 129: 커버편
130: 걸쇠부재 131: 축공
132: 스프링연결공 140: 슬라이드바
141: 장공부 142: 연결공
150: 인장코일스프링 160: 선반받침커버

Claims (3)

  1. 공중화장실 도어(1)의 내측면에 90도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장치(100)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회전축부(111) 및 회전축부(111)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연결축부(112)와, 상기 연결축부(112)가 형성된 회전축부(111)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소지품을 받쳐두기 위한 선반부(113)와, 상기 연결축부(112)와 선반부(113) 사이의 회전축부(111) 양측에 내부와 통하는 안내홈부(114)가 형성된 선반부재(110)와;
    전면 횡 방향에 상기 선반부재(110)의 회전축부(111)를 수용하는 호형의 축수용부(121)와, 상기 축수용부(121) 내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부재(110)의 안내홈부(114)가 후면측으로 노출되고, 연결축부(112)가 관통되는 통공부(122)와, 통공부(122)의 후면 상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축부(123)와, 제1힌지축부(123) 일측에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편(124)과, 가이드편(124)이 형성된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힌지축부(125)와, 상기 축수용부(121)의 후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축부(126)와, 상기 제1힌지축부(123)가 형성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부(127)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어(1)에 체결나사의 체결로서 고정되는 선반고정대(120)와;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제1힌지축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1)와 경계를 이루는 고정패널(2)측의 걸림부재(3)에 걸려져 도어(1)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해제하는 걸쇠부재(130)와;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제2힌지축부(125)에 안내되는 장공부(141)를 갖고, 상기 장공부(141) 일측에는 선반부재(110)의 연결축부(112)에 결합되는 연결공(142)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편(124)에 안내되어 걸쇠부재(130)의 일측을 밀어 회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바(140)와;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스프링지지축부(126)와 걸쇠부재(130)에 양단이 연결되어 걸쇠부재(130)에 탄성을 부여하는 인장코일스프링(150)과;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축수용부(121)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90도 각도로 회동된 선반부(113)의 저면 측을 받쳐 지지하는 선반받침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상부에는 선반부(113)의 선단 부분을 밀어내기 위한 요홈부(128)가 형성되고, 선반부재(110)의 회전축부(111) 양단을 커버하는 커버편(129)이 축수용부(121) 양측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고정대(120)의 전면에는 미러설치공(120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20150143159A 2015-10-12 2015-10-12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732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59A KR101732274B1 (ko) 2015-10-12 2015-10-12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59A KR101732274B1 (ko) 2015-10-12 2015-10-12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072A KR20170043072A (ko) 2017-04-20
KR101732274B1 true KR101732274B1 (ko) 2017-05-02

Family

ID=5870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59A KR101732274B1 (ko) 2015-10-12 2015-10-12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01A (ko) * 2019-05-09 2019-05-29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111571B1 (ko) * 2019-07-19 2020-05-15 최용범 화장실 선반장치 제어시스템
US20220010586A1 (en) * 2020-07-10 2022-01-13 Spectrum Brands, Inc. Sliding deadbol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05B1 (ko) * 2019-04-30 2021-10-14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CA3120605C (en) * 2020-07-20 2023-07-25 Buss Innovations Ltd. Locking door handle for hands-free operation of a door and latch therefor
KR102619795B1 (ko) * 2023-07-17 2024-01-03 주식회사 라이브러리엔 잡지가 진열되는 서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439A (ja) 2005-07-19 2006-10-05 Koji Kawamizu 折り畳み式棚
KR100740751B1 (ko) 2007-01-19 2007-07-19 (주) 충청에스엔지 건설현장의 간이 화장실용 잠금장치
KR101337669B1 (ko) 2012-12-05 2013-12-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439A (ja) 2005-07-19 2006-10-05 Koji Kawamizu 折り畳み式棚
KR100740751B1 (ko) 2007-01-19 2007-07-19 (주) 충청에스엔지 건설현장의 간이 화장실용 잠금장치
KR101337669B1 (ko) 2012-12-05 2013-12-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01A (ko) * 2019-05-09 2019-05-29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197734B1 (ko) 2019-05-09 2021-01-04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111571B1 (ko) * 2019-07-19 2020-05-15 최용범 화장실 선반장치 제어시스템
US20220010586A1 (en) * 2020-07-10 2022-01-13 Spectrum Brands, Inc. Sliding deadbo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072A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0626175B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US4375874A (en) Rolled tissue dispenser
US7588209B2 (en) Multiple-roll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JP2018525038A (ja)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US8573715B1 (en) Dual hinged dispenser cabinet
JP2009527317A (ja) 化粧品容器
US20180142497A1 (en) Door lock
KR101270725B1 (ko) 수납공간을 겸비한 화장실 문 잠금장치
KR101154433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808949B1 (ko)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36479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150063992A (ko)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KR20150072396A (ko) 공중화장실용 도어잠김 표시장치
KR101337669B1 (ko)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KR101885482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JP6166054B2 (ja) 補助扉内蔵引戸
KR102078927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JP4959369B2 (ja) 建具用ロック具
KR20090022867A (ko) 화장용구 및 화장품 보관 케이스
JP3226019U (ja) 宅配ボックス
GB2556912A (en) Door lock
KR200400093Y1 (ko) 슬라이딩형 금고
KR200486896Y1 (ko) 필기와 수납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