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401A -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401A
KR20190058401A KR1020190055314A KR20190055314A KR20190058401A KR 20190058401 A KR20190058401 A KR 20190058401A KR 1020190055314 A KR1020190055314 A KR 1020190055314A KR 20190055314 A KR20190055314 A KR 20190055314A KR 20190058401 A KR20190058401 A KR 20190058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shelf
fixing
shelf
guid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734B1 (ko
Inventor
김쌍환
Original Assignee
김쌍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쌍환 filed Critical 김쌍환
Priority to KR102019005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부스 내부의 고정패널에 코너선반을 설치하되, 상하 유동 가능하게 고정베이스로부터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코너선반의 하강시 코너선반 측에 승강부재의 웜휠구동으로 록킹부재를 좌우방향으로 동작시켜 여닫이 도어 측의 걸림부재에 걸어 잠금 혹은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여닫이 도어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공된 선반부에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하여 용변을 마치고 나오는 과정에서 반드시 코너선반을 이용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소지품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Corner shelves for public restrooms}
본 발명은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좌변기가 마련된 공중화장실의 부스 내부측 코너에 설치되는 고정식 코너선반을 개선하여 코너선반을 이용한 여닫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변을 마치고 난뒤 부스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코너선반에 올려둔 소지품 등을 잊지 않고 챙길 수 있도록 하여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은 부스 내부에 옷 걸이대, 두루마리 휴지 걸이대 및 코너선반을 부착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고, 잠금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화장실 여닫이 도어를 이용자가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코너선반은 이용자가 가지고 있던 핸드폰, 손지갑 등을 임시로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바, 통상 코너선반은 여닫이 도어와 함께 부스를 구성하는 구획 측면패널, 혹은 벽면에 직접 횡으로 이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는 공간에 수평으로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단순 코너선반은 이용자의 편의목적취지에서 시설투자가 이루어진 것이나 이용자가 코너선반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고 그대로 부스 내부를 나가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어, 소지품의 분실사례가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소지품의 올려놓기 위한 코너선반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상면에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작동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와 일치되어 상호 조합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의 저부에 고정쇠의 부착으로 화장실 부스의 내부 측벽에 횡으로 부착되는 코너선반과;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소지품의 무게에 따라 상하 작동되는 무게감지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이 설치된 측벽과 직각되는 고정패널 측에 설치되어 무게감지부재의 하강동작에 따라 화장실 여닫이 도어측 도어 록의 잠금 상태인 잠금쇠를 걸어 언록킹 동작을 방지하고, 고정패널측으로부터 여닫이 도어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화장실 부스 내부로 들어간 이용자가 도어 록을 통해 여닫이 도어를 잠금위치로 두고, 측벽 측에 구비된 코너선반 상에 소지품을 임시로 올려놓을 경우, 소지품 무게에 따라 코너선반측의 무게감지부재, 무게감지부재의 작동과 연계되어 잠금레버를 동작시켜 도어 록의 잠금쇠를 언록킹방지되게 함으로써, 이용자는 용변을 마치고, 소지품을 반드시 챙겨야지만 잠금쇠를 해제하여 여닫이 도어를 개방하고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소지품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소지품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잠금쇠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재의 걸이부측 도어받침부는 고정패널에 대해 여닫이 도어를 안정적으로 받쳐줌과 동시에 기울어진 빗장형태로 걸어줌으로써, 외부에서 여닫이 도어를 두드리는 경우 도어의 덜컹거림을 해소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음 및 내부 이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이점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선반을 벽체에 나사못으로 고정할 수 있게 조립구멍이 형성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직각으로 받침판이 연결되고, 상기 받침판과 고정편의 양쪽 하단부에는 보강리브가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게 걸림부와 받침부가 형성된 거치대가 구성되고 받침판의 끝단에는 소지품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환봉형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봉형 보강부의 하부에는 판형 걸이구가 시작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로 절곡되어 구성되며, 받침판의 하부에 휴지걸이구와 전방 양쪽 코너에는 원기둥 형상의 걸이구가 입설되고, 원기둥 형상의 걸이구의 양단에 환봉형 보강부가 연결되고 받침판의 상부 양쪽에 형성된 보강리브가 연결되어 구성된 공중화장실 전용 선반이다.
이는 공중화장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휴대하고 있는 각종 소지품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또 많은 소지품을 거치해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화장실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시건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화장실 도어을 닫은 후 시건수단을 단속하여야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을 이용하여 시건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우려를 배제하도록 도어의 시건수단 위치에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하여 이용자의 물건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내장되어 가동선반의 출입과 연동하여 고정선반의 측방으로 출입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암시건자와 잠금과 해제작동하는 수시건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화장실 도어을 닫은 후 시건수단을 단속하여야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을 이용하여 시건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특허문헌 1의 코너선반 장치는 도어 록을 이용한 도어의 잠금과 별도로 코너선반에 올려놓는 소지품의 무게에 따라 도어 록을 이중으로 잠금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선반 위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지 않고 챙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그 구조 및 동작관계가 복잡하고, 가벼운 물품의 경우는 도어 록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소지품을 들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 록의 이중 잠금이 해제되지 않아 열 수 없기 때문에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인의 사용방법이 매우 취약하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은 화장실 이용 후 소지품의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은 있지만 선반이 도어에 구비되어 있어 화장실 부스 내부로 들어오거나 나가는데 있어 상기 코너선반과 달리 간섭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5482호(등록: 2018년 07월 3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81074호(등록: 2016년 08월 0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8030호(등록: 2013년 12월 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좌변기가 마련된 공중화장실의 부스 내부측 코너에 설치되는 고정식 코너선반과는 달리, 업다운 타입으로 동작되게 구성하여 코너선반을 이용한 화장실 여닫이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용변을 마치고 난 뒤 부스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는 과정에서 코너선반에 올려둔 소지품 등을 잊지 않고 챙길 수 있도록 하여 분실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화장실 부스를 구성하는 여닫이 도어와 동일선상을 이루는 고정패널에 체결나사로 고정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그 전면 양측에 가이드레일부가 각각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 일측에는 체결공을 갖는 제1설치홈 및 제2설치홈이 형성되며, 제1, 2설치홈의 일측에는 제1, 2설치홈과 각각 평행하는 제1장공 및 제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측면 상하부 측에는 가이드 고정나사가 체결 고정되기 위한 나사체결홈이 형성된 고정베이스와;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1설치홈에 후면이 안내되고, 전면에는 체결나사로 고정설치되어 고정베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고정되는 랙기어부재와;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2설치홈에 후면이 안내되고, 전면에는 체결나사로 상기 랙기어부재와 평행하게 체결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직사각형으로 전면에 선반부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손잡이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고정베이스의 가이드레일부에 안내되는 제1안내홈, 상기 랙기어부재를 안내하는 제2안내홈, 상기 가이드부재를 안내하는 제3안내홈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고정나사에 안내되는 장공부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측에 축관통공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판형의 자석이 매입되어 상기 고정베이스로부터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는 코너선반과; 상기 코너선반의 후면 내측에 회전축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1장공에 안내되고, 회전축상에는 랙기어부재에 치합되는 피니온기어가 회전되게 결합되며, 피니온기어의 일측에는 웜휠이 결합된 승강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의 후면 내측에 회전축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2장공에 안내되고, 회전축상에는 가이드부재에 밀착구름되는 가이드휠이 결합된 구름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의 후면 내측에 지지부재에 의해 좌우 유동되게 지지되는 축부 및 축부의 길이방향에 상기 웜휠과 치합되어 축부를 좌우 이송하기 위한 웜부가 일체로 마련된 록킹부재와; 상기 고정베이스의 상부측 고정패널에 부착 설치되며, 저면에 판형의 자석이 매입된 자석고정대와; 상기 고정베이스의 전면 하부 및 코너선반의 상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코너선반의 상하 이동에 따라 코너선반측 자석과 자석고정대측 자석에 근접시 금속부착음을 발생하는 음발생부재와; 상기 코너선반으로부터 인출되는 축부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자형으로 개방된 걸이부 및 여닫이 도어에 부착설치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발생부재는 속이 빈 박스형의 몸체 내에 고정되는 금속고정판과, 상기 금속고정판과 3mm 내지 5mm로 간격지게 금속유동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는, 화장실 부스 내부의 고정패널에 코너선반을 설치하되, 상하 유동 가능하게 고정베이스로부터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코너선반의 하강시 코너선반 측에 승강부재의 웜휠구동으로 록킹부재를 좌우방향으로 동작시켜 여닫이 도어 측의 걸림부재에 걸어 잠금 혹은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여닫이 도어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공된 선반부에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하여 용변을 마치고 나오는 과정에서 반드시 코너선반을 이용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소지품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너선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코너선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코너선반 내부에 적용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베이스로부터 코너선반이 상승되어 도어잠금 해제상태를 설명하는 정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베이스로부터 코너선반이 하강하여 도어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구성도,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코너선반의 상하 동작에 따른 도어의 잠금과 해제를 인지시키는 음발생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에 대한 구성를 살피면, 그 외형적인 부분은 고정패널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베이스, 고정베이스로부터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코너선반, 코너선반에 구비되어 코너선반의 상기 동작에 따라 좌우 동작하는 록킹부재 및 여닫이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부재의 일부분을 빗장형태로 걸어 여닫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베이스(10)는, 화장실 부스를 구성하는 여닫이 도어(1)와 동일선상을 이루는 고정패널(2)에 체결나사로 고정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두께를 갖는 판으이다.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전면 양측에 가이드레일부(10a)가 각각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 일측에는 체결공을 갖는 제1설치홈(10b) 및 제2설치홈(10c)이 형성되며, 제1, 2설치홈의 일측에는 제1, 2설치홈과 각각 평행하는 제1장공(10d) 및 제2장공(10e)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측면 상하부 측에는 가이드고정나사(11)가 체결 고정되기 위한 나사체결홈(10f)이 형성된다.
상기 제1장공(10d) 및 제2장공(10e)의 길이는 고정베이스(10)로부터 코너선반(20)의 상하동작범위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1설치홈(10b)에는 일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부재(12)의 후면이 안내되고, 전면에는 체결나사(S)로 고정설치되어 고정베이스(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고정된다.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2설치홈(10c)에는 일직선상으로 된 가이드부재(14)가 설치되며, 이 또한 상기 제2설치홈(10c)에 후면을 안내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S)로 상기 랙기어부재(12)와 평행하게 체결 고정하여 고정베이스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코너선반(20)은, 직사각형으로 그 전면에는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부(21)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선반부의 상측에 손잡이부(2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선반(2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베이스의 가이드레일부(10a)에 안내되는 제1안내홈(20a), 상기 랙기어부재(12)를 안내하는 제2안내홈(20b), 상기 가이드부재(14)를 안내하는 제3안내홈(20c)이 형성된다.
즉, 상기 코너선반(20)의 상부는 막혀있고, 저면에 상기 제1안내홈(20a), 제2안내홈(20b), 제3안내홈(20c)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베이스에 설치된 랙기어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상부가 가려지는 상태로 고정베이스와 조합되도록 한다.
상기 코너선반(2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고정나사(11)에 안내되는 장공부(23)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측에는 후술하는 록킹부재의 축부가 관통하는 축관통공(24)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판형의 자석(25)이 매입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0)로부터 상하 유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는 승강부재(30)가 설치되며, 이 승강부재(30)는, 회전축(31)의 일단이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31)의 타단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1장공(10d)에 안내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1)상에는 랙기어부재(12)의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온기어(32)가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온기어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록킹부재의 웜부와 치합되는 웜휠(33)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재(30)에 대해 상기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는 구름부재(40)가 설치되고, 이 구름부재(40)는 회전축(41)의 일단이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41)의 타단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2장공(10e)에 안내되며, 회전축(41)상에는 가이드부재(14)에 밀착 구름되는 가이드휠(42)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휠(42)은 피니온기어와 함께 코너선반(20)을 수직으로 내리는 동작 혹은 반대로 상승시키는 동작시 수직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 구비되는 록킹부재(50)는 코너선반 내측에 부착 설치되는 지지부재(51,52) 및 이 지지부재(51,52)에 좌우측이 유동되게 지지되는 축부(53)와, 축부(53)의 길이방향에 상기 웜휠(33)과 치합되어 축부(53)를 좌우 이송하기 위한 웜부(53a)가 일체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상부측 고정패널(2)에는 저면에 판형의 자석(61)이 매입된 자석고정대(60)가 부착 설치되며,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전면 하부 및 코너선반(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코너선반의 상하 이동에 따라 코너선반측 자석(25)과 자석고정대(60)측 자석(61)에 근접시 금속부착 음을 발생하는 음발생부재(70)가 부착 구비된다.
상기 음발생부재(70)는 속이 빈 박스형의 몸체(71) 내에 고정되는 금속고정판(72)과, 상기 금속고정판과 3mm 내지 5mm로 간격지게 금속유동판(73)이 구비된다.
즉, 상기 금속유동판(73)은 상기 코너선반측의 자석 또는 자석고정대측의 자석과 근접시 자력에 의해 금속고정판에 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코너선반(20)으로부터 인출되는 축부(53)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자형으로 개방된 걸이부(81) 및 고정부(82)로 이루어진 걸림부재(80)를 여닫이 도어(1)에 부착 설치됨으로써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걸림부재(80)의 고정부(82)는 체결나사로서 여닫이 도어에 고정설치되되, 그 위치는 상기 코너선반이 하강하여 록킹부재의 축부가 충분히 인출되어 걸이부(81)에 빗장형태로 걸려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0d는 코너선반의 전면에 형성되어 고정패널에 고정베이스 고정시 체결나사를 통과시키기 위한 나사통과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너선반장치의 이용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너선반장치는 화장실 부스를 이루는 여닫이 도어(1)의 잠금 기능과 더불어 코너선반(20)의 선반부(21)에 이용자가 소지한 핸드폰 혹은 손지갑 등의 소지품을 올려놓고, 용변을 마치고 여닫이 도어를 개방시켜 나감에 있어 코너선반을 동작시켜 소지품을 챙겨나가게 함으로써, 고속도로 휴게소, 경기장, 건물 등의 공중화장실 내에서 소지품을 두고나오는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코너선반(20)은 고정베이스(10)에 가 조립한 상태에서 여닫이 도어(1)와 동일 선상을 이루는 고정패널(2)상에 체결나사로서 상기 코너선반의 전면에 형성된 나사통과공(20d)를 통해 고정베이스 상에 형성된 고정공을 통해 2지점 체결고정하고, 코너선반의 하부에 드러난 고정베이스의 고정공에 체결나사를 고정패널에 체결함으로써, 여닫이 도어(1)측에 걸림부재(80)를 부착 고정함으로싸 간단한 부착설치가 가능하다.
코너선반을 이용한 여닫이 도어의 잠금 및 해제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여닫이 도어(1)를 열고 변기가 위치한 부스 내부로 진입한 다음, 여닫이 도어를 닫기 위해서는 코너선반(20)의 선반부(21) 혹은 손잡이부(22)의 상부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면, 이때의 코너선반(20)은 고정베이스(10)로부터 짧은 거리로 하강함과 동시에, 코너선반(20)의 축관통공(24)에 인출되어 있는 축부(53)가 회전하면서 점차 더 인출되어 상기 걸림부재(80)의 걸이부(81)에 안내됨으로써 여닫이 도어(1)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여닫이 도어(1)의 잠금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피면, 코너선반(20)의 내측에 마련된 승강부재(30)가 상기 고정베이스(10)측에 고정된 랙기어부재(12)에 대해 하강시, 승강부재(30)를 구성하는 회전축(31)상의 피니온기어(32)는 동력전달이 아닌 미끄럼 회전 치합으로 하강하게 되고, 피니온기어(32)와 이격된 회전축(31)상의 웜휠(33)은 록킹부재(50)의 웜부(53a)와 치합되어 축부(53)를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된다.
상기 승강부재(30)의 회전축(31)의 끝단은 고정베이스(10)의 제1장공(10d)의 하부로 이동되어 더이상 하강하지 않고 멈추어 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축부(53)는 지지부재(51,52)에서 벗어나지 않고 좌측으로 안내 되어 상기 걸림부재(80)의 걸이부(81)에 빗장형태로 걸려져 여닫이도어(1)가 잠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시 가이드부재(14)에 대해서는 구름부재(40)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축(41)상의 가이드휠(42)이 가이드부재(14)에 밀착되어 구름동작하고, 이대의 회전축은 고정베이스(10)의 제2장공(10e) 하부로 이동되는 동작으로 코너선반(20)의 수직 하강동작을 돕는다.
한편, 상기 코너선반(20)의 하강동작은 고정베이스(10)에 대해 양측 상하에 마련된 장공부(23)가 고정베이스의 측면에 각각 체결고정된 가이드고정나사(11)를 기준으로 안내되며, 상기 고정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부(10a)를 따라 수직으로 코너선반을 하강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코너선반의 선반부에 소지품을 잠시 올려 놓을 수 있고, 여닫이 도어를 열고 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코너선반을 상향으로 밀어올려 주어야 하기 때문에 코너선반에 올려둔 소지품을 잊지않고 챙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너선반(20)의 손잡이부(22)를 잡고 위로 올려지면, 상술한 바의 역동작으로 승강부재(30), 구름부재(4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록킹부재(50)의 축부는 걸림부재(80)로부터 해제되어 여닫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코너선반(20)의 업/다운 동작에 따른 여닫이 도어(1)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질 때에 있어, 이용자에게 도어의 록킹 및 언록킹 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여닫이 도어(1)를 잠그기 위해 코너선반(20)을 하강시켰을 때 코너선반(20)의 저부에 마련된 자석(25)에 대해 고정베이스(10)의 전면 하부에 마련된 음발생부재(70)는 그 몸체(71) 내에 고정되는 금속고정판(72)에 금속유동판(73)이 상기 자석(25)과 근접되는 이유에서 자력으로 인한 달라붙는 상태가 되면서 금속부착 음을 발생하고, 그 반대로 상기 코너선반의 상승시에는 코너선반의 상부에 마련된 음발생부재(70)가 고정베이스의 상부측 고정패널(2)에 설치된 자석고정대(60)측 자석(61)과 근접되는 상태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고정판(72)에 금속유동판(73)이 달라붙는 금속부착 음의 발생으로 코너선반 상하동작시 모두 여닫이 도어의 록킹 해제상태임을 인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음발생부재(70)는 코너선반장치의 록킹 및 언록킹시 실질적으로 록킹부재에서는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 점을 별도의 금속부착 음으로 이용자에게 도어의 잠금 해제상태를 인지시켜 줌으로서, 도어 개폐에 따른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여닫이 도어 2: 고정패널
10: 고정베이스 10a: 가이드레일부
10b: 제1설치홈 10c: 제2설치홈
10d: 제1장공 10e: 제장공
10f: 나사체결홈 11: 가이드고정나사
12: 랙기어부재 14: 가이드부재
20: 코너선반 20a: 제1안내홈
20b: 제2안내홈 20c: 제3안내홈
20d: 나사관통공 21: 선반부
22: 손잡이부 23: 장공부
24: 축관통공 25: 자석
30: 승강부재 31: 회전축
32: 피니온기어 33: 웜휠
40: 구름부재 41: 회전축
42: 가이드휠 50: 록킹부재
51,52: 지지부재 53: 축부
53a: 웜부 60: 자석고정대
61: 자석 70: 음발생부재
71: 몸체 72: 금속고정판
73: 금속유동판 80: 걸림부재
81: 걸이부 82: 고정부

Claims (2)

  1. 화장실 부스를 구성하는 여닫이 도어(1)와 동일선상을 이루는 고정패널(2)에 체결나사로 고정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그 전면 양측에 가이드레일부(10a)가 각각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 일측에는 체결공을 갖는 제1설치홈(10b) 및 제2설치홈(10c)이 형성되며, 제1, 2설치홈의 일측에는 제1, 2설치홈과 각각 평행하는 제1장공(10d) 및 제2장공(10e)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측면 상하부 측에는 가이드고정나사(11)가 체결 고정되기 위한 나사체결홈(10f)이 형성된 고정베이스(10)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1설치홈(10b)에 후면이 안내되고, 전면에는 체결나사로 고정설치되어 고정베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고정되는 랙기어부재(12)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2설치홈(10c)에 후면이 안내되고, 전면에는 체결나사로 상기 랙기어부재(12)와 평행하게 체결 고정되는 가이드부재(14)와;
    직사각형으로 전면에 선반부(21)가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선반부(21)의 상측에 손잡이부(2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고정베이스(10)의 가이드레일부(10a)에 안내되는 제1안내홈(20a), 상기 랙기어부재(12)를 안내하는 제2안내홈(20b), 상기 가이드부재(14)를 안내하는 제3안내홈(20c)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고정나사(11)에 안내되는 장공부(23)가 형성되고, 측면 하부측에 축관통공(24)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판형의 자석(25)이 매입되어 상기 고정베이스(10)로부터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는 코너선반(20)과;
    상기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 회전축(3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31)의 타단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1장공(10d)에 안내되고, 회전축(31)상에는 랙기어부재(12)에 치합되는 피니온기어(32)가 회전되게 결합되며, 피니온기어의 일측에는 웜휠(33)이 결합된 승강부재(30)와;
    상기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 회전축(4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41)의 타단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제2장공(10e)에 안내되고, 회전축(41)상에는 가이드부재(14)에 밀착구름되는 가이드휠(42)이 결합된 구름부재(40)와;
    상기 코너선반(20)의 후면 내측에 지지부재(51,52)에 의해 좌우 유동되게 지지되는 축부(53) 및 축부(53)의 길이방향에 상기 웜휠(33)과 치합되어 축부(53)를 좌우 이송하기 위한 웜부(53a)가 일체로 마련된 록킹부재(50)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상부측 고정패널(2)에 부착 설치되며, 저면에 판형의 자석(61)이 매입된 자석고정대(60)와;
    상기 고정베이스(10)의 전면 하부 및 코너선반(20)의 상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코너선반의 상하 이동에 따라 코너선반측 자석(25)과 자석고정대(60)측 자석(61)에 근접시 금속부착 음을 발생하는 음발생부재(70)와;
    상기 코너선반(20)으로부터 인출되는 축부(53)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자형으로 개방된 걸이부(81) 및 여닫이 도어(1)에 부착설치되는 고정부(82)로 이루어진 걸림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발생부재(70)는 속이 빈 박스형의 몸체(71) 내에 고정되는 금속고정판(72)과, 상기 금속고정판과 3mm 내지 5mm로 간격지게 금속유동판(7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0190055314A 2019-05-09 2019-05-09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219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14A KR102197734B1 (ko) 2019-05-09 2019-05-09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14A KR102197734B1 (ko) 2019-05-09 2019-05-09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401A true KR20190058401A (ko) 2019-05-29
KR102197734B1 KR102197734B1 (ko) 2021-01-04

Family

ID=6667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314A KR102197734B1 (ko) 2019-05-09 2019-05-09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73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45U (ko) * 1994-07-29 1996-02-16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화물운반용 수레
CN201563974U (zh) * 2010-01-05 2010-09-01 成都峻峰科技开发有限公司 防忘置物架
KR101348030B1 (ko) 2012-11-21 2014-01-03 송원준 화장실용 선반
KR20140060992A (ko) * 2012-11-12 2014-05-21 송영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0481074Y1 (ko) 2016-02-17 2016-08-09 이향기 받침구 겸용 걸이구가 구비된 공중화장실 전용 선반
KR101732274B1 (ko) * 2015-10-12 2017-05-02 조광일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763080B1 (ko) * 2016-10-19 2017-07-31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808949B1 (ko) * 2016-07-21 2017-12-13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885482B1 (ko) 2017-07-20 2018-08-03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45U (ko) * 1994-07-29 1996-02-16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화물운반용 수레
CN201563974U (zh) * 2010-01-05 2010-09-01 成都峻峰科技开发有限公司 防忘置物架
KR20140060992A (ko) * 2012-11-12 2014-05-21 송영미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348030B1 (ko) 2012-11-21 2014-01-03 송원준 화장실용 선반
KR101732274B1 (ko) * 2015-10-12 2017-05-02 조광일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200481074Y1 (ko) 2016-02-17 2016-08-09 이향기 받침구 겸용 걸이구가 구비된 공중화장실 전용 선반
KR101808949B1 (ko) * 2016-07-21 2017-12-13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763080B1 (ko) * 2016-10-19 2017-07-31 최용범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101885482B1 (ko) 2017-07-20 2018-08-03 조빛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734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25038A (ja)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KR101732274B1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JPH01158186A (ja) 多機能電子ロック用ロック機構
KR101404581B1 (ko) 선반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용 잠금장치
US2798445A (en) Vehicle door with built-in vault
KR101763080B1 (ko)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20190058401A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101270725B1 (ko) 수납공간을 겸비한 화장실 문 잠금장치
KR101808949B1 (ko) 도어 록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선반장치
KR200439800Y1 (ko) 창문 손잡이
KR101885482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20150063992A (ko) 회전 선반이 구비된 공중 화장실용 도어 잠금장치
JP3226019U (ja) 宅配ボックス
EP1126120A1 (en) Structure of strongbox, in particular suitable for being inserted in a piece of furniture
KR200400093Y1 (ko) 슬라이딩형 금고
JP4959369B2 (ja) 建具用ロック具
KR20190090314A (ko) 전자 도어록과 코너선반을 이용한 공중화장실용 도어 개폐장치
JP2014152555A (ja) 補助扉内蔵引戸
JP3868044B2 (ja) ロッカの施解錠装置
KR200218545Y1 (ko) 여닫이 도어가 내장된 자동차용 슬라이드 도어
KR200287090Y1 (ko) 도어 잠금장치
JPH053567U (ja) 扉の自動開扉装置
JP3233131U (ja) 施錠構造及びこの施錠構造を備えるベンチ型宅配ボックス
KR102118177B1 (ko) 해제수단의 은폐가 가능한 후면 배치형 캐비닛용 도어락 장치
CN107489342B (zh) 保险箱柜电动多功能阻挡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