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030B1 - 화장실용 선반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030B1
KR101348030B1 KR1020120132394A KR20120132394A KR101348030B1 KR 101348030 B1 KR101348030 B1 KR 101348030B1 KR 1020120132394 A KR1020120132394 A KR 1020120132394A KR 20120132394 A KR20120132394 A KR 20120132394A KR 101348030 B1 KR101348030 B1 KR 10134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toilet
door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준
Original Assignee
송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준 filed Critical 송원준
Priority to KR102012013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을 화장실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시건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화장실 도어을 닫은 후 시건수단을 단속하여야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을 이용하여 시건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어의 시건수단 위치에 도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고정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하여 이용자의 물건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내장되어 가동선반의 출입과 연동하여 고정선반의 측방으로 출입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암시건자와 잠금과 해제작동하는 수시건자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선반{A SHELF FOR TOILET}
본 발명은 화장실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을 사용할 때 핸드폰, 지갑, 핸드백 등의 각종 개인 소지품을 화장실 내에서 용이하게 보관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후 화장실에 두고 나오는 일이 없도록 한 잠금 기능을 겸비한 화장용 선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가정을 제외한 공공건물, 상업용 건물, 지하철의 역사, 철도역사, 지하상가, 공원, 휴게소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화장실은 판넬 타입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로 칸막이를 형성하여 여러 공간으로 구획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공중 화장실을 이용할 때에는 외출중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외출시 휴대하는 가방 등을 비롯한 개인휴대물품을 들고 화장실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용변시에는 이러한 개인휴대물품을 비치할 수 있는 마땅한 공간이 없어 화장실 내부바닥에 두고 용변을 보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화장실 바닥에 개인용 물품을 둘 경우에는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하는 공중화장실도 있으나 그렇지 못한 공중화장실의 경우에는 개인물품을 바닥에 둘 경우에는 개인물품이 오염되어 비위생적인 것은 물론, 화장실 볼일이 끝난 후에는 개인물품을 다시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공중 화장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로 구성되는 벽면 또는 도어에는 걸고리가 설치되어 외투, 상의 또는 가방과 같이 이용자들이 휴대하고 있는 물품을 걸어서 용변을 보는 동안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이 화장실을 이용하는 데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중 화장실의 내부 벽면 또는 도어에 걸고리를 설치하여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물품을 걸어서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은 있으나, 용변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벽체 또는 도어 너머에서 손이나 긴 막대와 같은 도구를 화장실 내부로 넣어 걸고리에 보관한 개인 물품을 훔쳐가는 문제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공중 화장실의 특성상 벽체와 도어의 하측과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특히 벽체와 도어의 상부는 천장과 상당한 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쉽게 화장실의 외부에서 내부로 손 등을 진입시킬 수 있고, 걸고리가 대체적으로 벽체와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걸고리에 걸려진 개인물품을 가져갈 수 있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화장실 내부의 벽체나 도어의 중간위치 또는 벽체와 도어가 만나는 코너의 중간위치에 선반을 설치하여 화장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휴대한 개인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개인이 휴대한 물품을 위생적이면서도 도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화장실을 이용하고난 후 나갈 때 선반에 안치하여 둔 물건을 그대로 두고 나가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귀중한 물품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선반에 안치한 물건을 회수하지 못하여 귀중한 개인물품을 분실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지 않고, 도어의 시건과 해제와 연동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시에는 선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나 볼일이 끝난 후에는 선반에 대한 기억을 일시적으로 잊어버리게 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회수하지 못하여 쉽게 분실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의 시건수단 위치에 도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고정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하여 이용자의 물건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내장되어 가동선반의 출입과 연동하여 고정선반의 측방으로 출입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암시건자와 잠금과 해제작동하는 수시건자로 구성하여;
선반을 화장실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시건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화장실 도어을 닫은 후 시건수단을 단속하여야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을 이용하여 시건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화장실 내부에 개인이 휴대한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선반을 도어의 시건과 해제를 담당하는 도어록과 연동하여 작동하게 함으로서 화장실 이용이 끝난 후 도어 해제를 위하여 선반을 조작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의 회수하지 않아 분실하게 되는 부려를 배제하고, 화장실 외부에서 획책하는 도난으로부터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해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시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해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시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화장실용 선반(100)은, 화장실 도어(101)를 잠그고 해제하는 시건수단(102)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화장실 도어(101)을 닫은 후 시건수단(102)을 단속하여야 선반(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100)을 이용하여 시건수단(102)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100)에 보관한 개인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하게 되는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선반(100)은 도어(101)의 시건수단(102) 위치에 도어(101)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고정되는 고정선반(105)과, 상기 고정선반(105)에 대하여 전방(도어에서 화장시 내부 방향)출입하여 이용자의 물건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선반(106)과, 상기 고정선반(105)에 내장되어 가동선반(106)에 의하여 측방으로 출입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암시건자(107)와 잠금과 해제작동하는 수시건자(108)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선반(105)은 목재, 플라스틱, 경량비철금속 또는 경량금속재질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도어(101)와는 용접고정 또는 볼트너트나 나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선반(105)의 전면부에는 가동선반(106)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홀(109)을 형성하여 가동선반(106)을 결합하고, 상기 가동선반(106)의 내측단에는 가동선반(106)이 출입홀(109)을 완전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상적인 스토퍼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가동선반(106)의 형상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물건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판(110)의 전방에 손잡이를 겸하면서 안치된 물건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림(111)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뿐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수시건자(108)는 고정선반(105)의 후미 측방에는 수시건자홈(112)에 결합시키고, 상기 수시건자(108)에도 수시건자홈(112)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가짐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출입홀(109)과 수시건자홈(112)은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게 연통부(114)를 구성하고, 상기 수시건자((108)의 후미와 가동선반(106)의 측방에는 출입자(115)를 연결하여 가동선반(106)을 인출하면 수시건자(108)가 함께 인출되고 가동선반(106)을 수납하면 수시건자(108)도 함께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출입자(115)는 얇은 두께이면서 탄성을 가지는 금속, 고강도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출입홀(109)과 수시건자홈(112)의 연통부(114)는 출입자(115)가 작동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출입홀(109)의 후단부와 수시건자홈(112)의 내측단부가 밀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수시건자(108)는 연통부(114)와 연결되는 수시건자홈(112)의 내측단부 중앙부를 제외하고 다른 부위가 수시건자(108)를 잡아주기 때문에 출입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실용 선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화장실의 도어(101)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어(101)를 열고 화장실로 들어간 후 시건수단(102)을 구성하는 수시건자(108)를 암시건자(107)와 결합시켜 도어(101)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 후 용변을 보면 된다.
즉, 시건수단(102)을 구성하는 수시건자(108)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선반(100)을 구성하는 가동선반(106)은 고정선반(105)에 대하여 인출하면 가동선반(106)과 출입자(115)로 연결된 수시건자(108)가 함께 인출되므로 암시건자(107)와 결합되어 도어(101)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01)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동선반(106)을 고정선반(105)으로부터 인출하게 되면 안치판(110)이 노출되게 되므로 안치판(110)에 휴대하고 있던 물품을 보관하여 두면 된다.
그리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도어(101)를 해제상태로 전환한 후 열고 나가면 되는 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가동선반(106)을 고정선바(105)의 출입홀(109)로 수납시키면 가동선반(106)과 출입자(115)로 연결된 수시건자(108)가 고정선반(105)의 측방에 형성된 수시건자홈(112)으로 수납되므로 암시건자(107)와 해제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101)를 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가동선반(106)의 안치판(110)에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제거하여야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일시적으로 보관한 물품을 필연적으로 회수하게 되므로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물품을 회수하지 못하여 분실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화장실용 선반
105; 고정선반
106; 가동선반
108; 수시건자
109; 출입홀
110; 안치판
111; 방지림
112; 수시건자홈
114; 연통부
115; 출입자

Claims (2)

  1. 화장실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시건수단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화장실 도어을 닫은 후 시건수단을 단속하여야 선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장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선반을 이용하여 시건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므로 선반에 보관한 물품을 필수적으로 회수하여 분실우려를 배제하도록;
    도어의 시건수단 위치에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대하여 전방으로 출입하여 이용자의 물건을 안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선반과;
    상기 고정선반에 내장되어 가동선반의 출입과 연동하여 고정선반의 측방으로 출입하여 벽체에 구비되는 암시건자와 잠금과 해제작동하는 수시건자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선반은 도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선반의 전면부에 가동선반이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출입홀과;
    상기 고정선반의 후미 측방에 수시건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수시건자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선반은 물건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판의 의 전방에 손잡이를 겸하면서 안치된 물건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림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출입홀과 수시건자홈은 내부에서 연통되게 연통부로 연결하고;
    상기 수시건자의 후미와 가동선반의 측방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출입자를 연결하여 가동선반의 출입에 따라 수시건자가 함께 출입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선반.
KR1020120132394A 2012-11-21 2012-11-21 화장실용 선반 KR10134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394A KR101348030B1 (ko) 2012-11-21 2012-11-21 화장실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394A KR101348030B1 (ko) 2012-11-21 2012-11-21 화장실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030B1 true KR101348030B1 (ko) 2014-01-03

Family

ID=5014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394A KR101348030B1 (ko) 2012-11-21 2012-11-21 화장실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01A (ko) 2019-05-09 2019-05-29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570A (ko) * 2003-11-12 2004-06-2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KR101270725B1 (ko) 2011-12-15 2013-06-03 연제성 수납공간을 겸비한 화장실 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570A (ko) * 2003-11-12 2004-06-26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KR101270725B1 (ko) 2011-12-15 2013-06-03 연제성 수납공간을 겸비한 화장실 문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01A (ko) 2019-05-09 2019-05-29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952B2 (en) Secured receiving arrangement for a delivered parcel
US10301850B2 (en) Multiple lock system for a luggage case
KR20170011003A (ko) 접이식 무인 택배 물품보관함
KR101348030B1 (ko) 화장실용 선반
KR101689118B1 (ko) 양문형 물품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탈의실 분리형 샤워 공간 시스템
KR20190141541A (ko) 공중화장실용 일자 선반
US20040217157A1 (en) Secure delivery apparatus
AU2001287931A1 (en) Secure delivery apparatus
KR101337669B1 (ko) 공중화장실용 도어록
KR200316736Y1 (ko)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JP2003184325A (ja) 玄関クローゼット
KR101867472B1 (ko)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KR20040055570A (ko) 잠금 기능을 겸비한 공중 화장실 문에 부착된 선반
KR20110045116A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JP3165040U (ja) 貴重品投入口付き収納庫
JPS6236960Y2 (ko)
KR20190026287A (ko)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욕실장
KR102078927B1 (ko)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KR200168285Y1 (ko) 벽(壁)겸용 조립식 사물함구조
JP3196027U (ja) ハンガー型貴重品保管庫
TWI609126B (zh) Improved door lock
JP3106595U (ja) 公共トイレの開閉扉用施錠装置
JP2021147797A (ja) クローゼットの構造
JP2020112007A (ja) 収納構造
JPH03122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