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472B1 -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 Google Patents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472B1
KR101867472B1 KR1020160046938A KR20160046938A KR101867472B1 KR 101867472 B1 KR101867472 B1 KR 101867472B1 KR 1020160046938 A KR1020160046938 A KR 1020160046938A KR 20160046938 A KR20160046938 A KR 20160046938A KR 101867472 B1 KR101867472 B1 KR 101867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er
spaces
door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47A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16004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472B1/ko
Priority to PCT/KR2017/004142 priority patent/WO2017183887A1/ko
Publication of KR2017011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물함에 있어서,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으로 둘러싼 제1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 제1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커버; 제1 커버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1 잠금장치; 제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는 이동가능한 격벽;그리고, 복수의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LOCKER, METHOD USING THE SAME AND DOOR CONTAINING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관공간에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는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5795에 제시된 무인 택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형 격벽(12)을 가지는 무인 택배장치이다. 격벽(12)은 제1 및 제2 보관공간(21,22) 사이에 마련되며, 도 2처럼 가로로 배치되어 제1 및 제2 보관공간(21,22)을 구획하거나 세로로 이동되어 제1 및 제2 보관공간(21,22)이 합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734에 제시된 사물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각각의 패널(20, 30, 40)을 고정하여 구획되는 내측으로는 칸막이 패널(50)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좌·우면 패널(20)과 상·하면 패널(30)에 고정시켜 사물함(10)에 각각의 수납부(7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70)에 대응 하는 도어를 상기 칸막이 패널(50) 또는 상기 좌·우면 패널(20)에 힌지결합시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수납부의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돌출부(90)는 일회 누름조작 시 돌기가 탄성부재에 의해 돌출되어 격벽(80)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다시 일회 누름조작시 돌기가 후퇴되어 상기 격벽(80)의 받침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80)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힌지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338호에 제시된 무인 택배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품을 수용시킬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면서 부착수단에 의해 장착되는 후방케이스(11)와 중앙케이스(미도시) 및 전방케이스(13)로 분할 형성되고 이들 상호 결합된 후 중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인 택배함(100)은 집 앞의 현관문에 구비되는 무인 택배함(100)으로서, 집앞에서 바로 물품을 찾을 수 있고, 무인 택배함(100)에 물품을 사물함으로써 물품의 분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관 도어 상부에 결합되는 브라켓(7)에 연결된 와이어(42)는 미관상 보기 좋지 않다. 또한, 물품의 부피가 클 경우 전방케이스(13)로부터 중앙케이스(미도시)가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넓히게 되므로 현관문에서 돌출되어, 문을 열거나 닫을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물함에 있어서,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으로 둘러싼 제1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 제1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커버; 제1 커버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1 잠금장치; 제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는 이동가능한 격벽;그리고, 복수의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사물함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커버를 열고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 제1 방문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 제1 방문자가 복수의 공간 중 하나에 물품을 넣고 제1 커버를 닫는 단계; 제2 방문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 제2 방문자가 복수의 공간 중 하나에 물품을 넣고 제1 커버를 닫는 단계;그리고, 사용자가 물건을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사용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광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광원모듈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함; 그리고, 앞면과 뒷면을 포함하는 문;으로써, 앞면과 뒷면으로 돌출되어 제2 내부공간을 가지는 문; 을 포함하고, 제2 내부공간에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을 포함하는 문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338호에 제시된 무인 택배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613호에 제시된 무인 택배 사물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338호에 제시된 무인 택배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 및 이를 포함하는 문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제2 커버와 가이드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을 포함하는 문을 측면에서 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 및 이를 포함하는 문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사물함(200)을 포함하는 문(4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400)에는 몸체(201)가 구비되고, 문(400)을 잠그고, 잠금해재 할 수 있는 잠금장치(300)가 구비된다. 사물함(200)은 몸체(201)와 몸체(201)에 구비된 제1 커버(220) 그리고 제1 커버(220)에는 제1 잠금장치(230)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잠금장치(300)와 제1 잠금장치(230)는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잠금장치(300)와 제1 잠금장치(230)의 기능이 합해져 하나의 제어장치로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사물함(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몸체(201)는 측면(211), 후면(212), 상면(213) 및 하면(214)으로 둘러싸인 제1 내부공간(210)을 가진다. 제1 커버(220)는 제1 내부공간(210)을 개폐할 수 있으며, 몸체(201)에 구비된다. 제1 커버(220)는 제1 잠금장치(230)에 의해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제1 잠금장치(230)는 제1 커버(220)와 몸체(201)가 결합하여 열리지 않게 할 수 있고,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자물쇠 또는 제어장치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격벽(240)은 제1 내부공간(210)을 복수의 공간(260)으로 나누며, 이동가능하다. 격벽(240)은 제1 내부공간(210)을 둘러싸는 후면(212)에 구비된다. 격벽(240)은 후면(212)에 부착될 수 있으며, 힌지 결합을 통해 측면(211)과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다. 제2 커버(250)는 자동 잠금장치(251)가 구비되며, 몸체(201) 또는 격벽(240)과 잠기도록 결합 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커버(250)는 복수의 공간(260)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복수의 공간(260)에는 제2 커버(250)와 결합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정면도이며, 사물함(200)에는 격벽(240)이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240)에 의해 제1 내부공간(210)은 복수의 공간(260)으로 나누어진다. 공간(260)마다 물품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며, 센서는 스위치 센서, 자석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공간(260)마다 제2 커버(250)가 각각 구비된다. 제2 커버(250)는 가이드를 따라 당겨서 제2 커버(250)를 열고 닫을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250)에는 문(200)과 결합하는 자동 잠금장치(251)가 구비된다. 자동 잠금장치(251)는 제2 커버(250)가 닫힐 때, 공간(260)에 물품이 들어 있으면 자동으로 잠기는 장치이다. 자동 잠금장치(251)는 센서와 신호를 주고받아서 제1 내부공간(210)이 비어있는지, 제1 내부공간(210)이 비어있지 않은지를 감지하며, 비어있으면 자동으로 잠금해제하고, 비어있지 않으면 잠긴다. 센서는 복수의 공간(260)도 감지하며, 격벽(240)이 열리지 않은 전체의 제1 내부공간(210)도 감지한다.
또한, 센서를 이용하여 몸체 또는 제1 커버(220)에 표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복수의 공간(260)에 물품이 들어있는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LED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제1 잠금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4에서 설명된 사물함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제2 커버와 가이드를 자세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2 커버(250)와 가이드(281)의 일 예이다. 가이드(281)는 제2 커버(250)와 가이드부(280)가 결합하는 면에 형성된다. 가이드(281)와 제2 커버(250)가 결합하여 가이드(281)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2 커버(250)는 가이드(281)를 따라 밀어 넣어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81)는 제1 내부공간(210)의 측면(211), 상면(213), 하면(21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b)는 제1 내부공간(210) 옆에 수납공간(290)이 구비되고, 수납공간(290)에 제2 커버(250)가 수납되는 예이다. 제2 커버(250)는 빠지지 않고 제1 내부공간(210)을 개폐 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4에서 설명된 사물함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물품을 받는 사람이며, 제1 방문자와 제2 방문자는 물품을 배달하는 사람을 말한다.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제1 비밀번호는 열쇠, 무선카드(RF key) 및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방문자와 제2 방문자를 포함하는 방문자가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배달할 때 사용하는 제2 비밀번호가 있다. 본 사용방법의 일 예는 사용자가 2개의 물품을 받는 경우이다.
사용자는 제1 비밀번호를 눌러 제1 커버를 잠금해제하고, 사용자가 제1 커버를 연다.(S1) 사용자는 제1 내부공간이 비어있는지 확인하고 제1 커버를 닫는다.(S2) 이후, 제1 방문자는 제2 비밀번호를 눌러 제1 커버를 잠금해제한다.(S3) 이후, 제1 방문자는 제1 물품의 크기에 맞는 격벽을 내려, 제1 공간을 형성한다.(S4) 이후, 제1 공간을 덮는 제2 커버를 열고 제1 물품을 넣고 닫는다. 이때, 센서는 제1 물품을 감지하며, 제2 커버는 잠긴다.(S5) 이후, 제1 방문자는 제1 커버를 닫고, 제1 커버는 자동으로 잠긴다.(S6) 이후, 제2 방문자는 제2 비밀번호를 눌러 제1 커버를 잠금해제한다.(S7) 이후, 제2 방문자는 제2 물품의 크기에 맞는 격벽을 내려, 제2 공간을 형성한다.(S8) 제2 공간을 덮는 제2 커버를 열고 제2 물품을 넣고 닫는다. 이때, 센서는 제2 물품을 감지하여 제2 커버는 잠긴다.(S9) 이후, 제2 방문자는 제1 커버를 닫고, 제1 커버는 자동으로 잠긴다.(S10) 이후, 사용자는 제1 비밀번호를 눌러 제1 커버를 잠금해제한다. 동시에 복수의 제2 커버(250)는 모두 잠금해제 된다.(S11) 이후,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열고, 물품을 회수한다.(S12) 본 예는 격벽을 2개를 사용한 예이며, 격벽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사물함을 포함하는 문을 측면에서 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400)은 앞면(401)과 뒷면(402)을 포함한다. 문(400)은 앞면(401)과 뒷면(4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되고, 문(400)은 제2 내부공간(320)을 형성한다. 제2 내부공간(320)에는 몸체(201)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문(400)을 문(400)의 앞면(401)과 뒷면(402)으로 각각 15cm씩 돌출되도록 제2 내부공간(320)을 형성할 경우, 제1 내부공간(210)은 50x100x30 정도의 크기로 만들 수 있다. 제2 내부공간(320)에 몸체(201)가 구비되어 사물함(200)을 포함하는 문(400)이 된다. 또한, 제2 내부공간(320)의 크기는 문(400)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8(a)와 같이, 문(400)의 앞면(401) 및 뒷면(402)을 전체적으로 넓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문(400)을 여닫기에 불편하거나 다치지 않도록 문(400)의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도 8(b)의 문은 사물함(200)을 포함하며, 문의 앞면(401) 및 뒷면(402)의 일부만 돌출시켜 제2 내부공간(3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4에서 설명된 사물함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사물함에 있어서,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으로 둘러싼 제1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 제1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커버; 제1 커버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제1 잠금장치; 제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는 이동가능한 격벽;그리고, 복수의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2) 격벽은 제1 내부공간을 둘러싼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와 흰지(hinge)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3) 격벽은 돌출부에 의해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4) 제2 커버가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가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5) 제1 잠금장치에 표시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6) 복수의 공간에는 공간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7) 사물함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1 커버를 열고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 제1 방문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 제1 방문자가 복수의 공간 중 하나에 물품을 넣고 제1 커버를 닫는 단계; 제2 방문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 제2 방문자가 복수의 공간 중 하나에 물품을 넣고 제1 커버를 닫는 단계;그리고, 사용자가 물건을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사용방법.
(8) 사용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 및 사용자가 물건을 찾는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사용방법.
(9) 제1 방문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 및 제2 방문자가 제1 커버를 여는 단계;에서는 제2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사용방법.
(10) 사용자가 물건을 찾는 단계;에서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사용방법.
(11)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물함; 그리고, 앞면과 뒷면을 포함하는 문;으로써, 앞면과 뒷면으로 돌출되어 제2 내부공간을 가지는 문; 을 포함하며, 제2 내부공간에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을 포함하는 문.
본 개시에 의하면, 제1 내부공간에 물품이 보관될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격벽으로 복수의 공간을 만들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이 복수의 공간에 보관될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외출시에도 분실위험이 없는 물품이 보관될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가 방문자를 대면하지 않고 물품을 받을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사용자의 외출시에도 방문자가 물품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한다.

Claims (11)

  1.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으로 둘러싼 제1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
    제1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 커버;
    제1 커버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며,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제1 잠금장치;
    제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나누는 이동가능하며, 제1 내부공간을 둘러싼 측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와 힌지 결합하며, 몸체에 고정되도록 돌출부를 포함하는 격벽;
    복수의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 커버;로서,
    제2 커버가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가 몸체에 구비되는 제2 커버; 그리고,
    복수의 공간에는 복수의 공간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따른 사물함; 그리고,
    앞면과 뒷면을 포함하며, 앞면과 뒷면 사이에 제2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문;을 포함하며,
    제2 내부공간에 사물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을 포함하는 문.
KR1020160046938A 2016-04-18 2016-04-18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KR101867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38A KR101867472B1 (ko) 2016-04-18 2016-04-18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PCT/KR2017/004142 WO2017183887A1 (ko) 2016-04-18 2017-04-18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38A KR101867472B1 (ko) 2016-04-18 2016-04-18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47A KR20170119147A (ko) 2017-10-26
KR101867472B1 true KR101867472B1 (ko) 2018-06-14

Family

ID=6011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38A KR101867472B1 (ko) 2016-04-18 2016-04-18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7472B1 (ko)
WO (1) WO2017183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11B1 (ko) * 2022-04-11 2023-03-20 강준기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73U (ko) * 1989-12-25 1991-09-10
JP2000225052A (ja) * 1999-02-05 2000-08-15 Alpha Corp 宅配用ロッカー装置および宅配用ロッカーシステム
JP3088473U (ja) * 2002-03-08 2002-09-13 花岡産業株式会社 扉開閉式キャビネット
KR200357312Y1 (ko) * 2004-04-24 2004-07-23 박형기 옷 물림방지를 겸한 가구용 다목적 걸이대
JP2005225589A (ja) * 2004-02-10 2005-08-25 Toyota Industries Corp 宅配物受け取りシステム
KR200477541Y1 (ko)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스마트기기용 이중 잠금 구조의 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068A (ja) * 1994-04-27 1995-11-07 Miyagawa Densetsu:Kk 宅配用ロッカー兼用トランクボックス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00038478A (ko) * 2008-10-06 2010-04-15 이호열 1회용 비밀 번호를 사용하는 출입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73U (ko) * 1989-12-25 1991-09-10
JP2000225052A (ja) * 1999-02-05 2000-08-15 Alpha Corp 宅配用ロッカー装置および宅配用ロッカーシステム
JP3088473U (ja) * 2002-03-08 2002-09-13 花岡産業株式会社 扉開閉式キャビネット
JP2005225589A (ja) * 2004-02-10 2005-08-25 Toyota Industries Corp 宅配物受け取りシステム
KR200357312Y1 (ko) * 2004-04-24 2004-07-23 박형기 옷 물림방지를 겸한 가구용 다목적 걸이대
KR200477541Y1 (ko)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스마트기기용 이중 잠금 구조의 보관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cel_Box(2016.03.31.)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88473호(2002.09.1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47A (ko) 2017-10-26
WO2017183887A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9467B2 (en) Secure access mirror
US10525892B2 (en) In-vehicle locking safe with detachment and breach resistant security features
CN205022407U (zh) 座椅组件
US5850967A (en) Security mailbox
US8006986B1 (en) Multi-station voting booth with storage/utility cart
KR101879621B1 (ko)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US6901779B2 (en) Key storage and concealment device
US20180118122A1 (en) Seat assembly with integral security paperwork organizer
US9863167B1 (en) Locking mechanism for an individual drawer of a storage vault unit for vehicles
KR101867472B1 (ko)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US20170101807A1 (en) Hidden-lock door panel and cont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20180142497A1 (en) Door lock
US20120206026A1 (en) Concealed Security Cabinet
CN210139823U (zh) 一种带隐藏式储物盒挂钩的汽车副仪表板
US9216697B1 (en) Vehicle vault assembly
US9737139B1 (en) Rack and drawer systems
KR101169299B1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JP3077727U (ja) 玄関ユニット建具
CA3103544C (en) Multi-point locking mechanism
US20160326792A1 (en) Hidden safe system
CN217987053U (zh) 一种带隐藏空间的柜子
CN209720275U (zh) 药箱
JP2563756Y2 (ja) 貴重品収納庫
US20220167719A1 (en) Luggage system with removable clothing rack and method of use
US11512497B2 (en) Remotely controlled cabin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