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211B1 -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 Google Patents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211B1
KR102512211B1 KR1020220044476A KR20220044476A KR102512211B1 KR 102512211 B1 KR102512211 B1 KR 102512211B1 KR 1020220044476 A KR1020220044476 A KR 1020220044476A KR 20220044476 A KR20220044476 A KR 20220044476A KR 102512211 B1 KR102512211 B1 KR 10251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torage space
locker
guide hole
ver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기
Original Assignee
강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기 filed Critical 강준기
Priority to KR102022004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개인보관함이 형성된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각 개인보관함은 내부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칸막이가 링크 결합에 의해 내장되되, 상기 칸막이는 링크 결합에 의해 이탈됨이 없이 보관공간 내에서 회전 스윙에 의해 반전시켜 보관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Lockers with in height-adjustable the inner partition}
본 발명의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보관함의 보관공간에 칸막이를 일체로 링크 결합시켜 분실됨을 방지하되, 상기 칸막이를 통해 물품의 인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물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보관공간을 2개로 구획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칸막이를 90°회전 스윙시킨 상태로 직립시켜 보관공간에 보관된 물품의 가림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사물함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적절하게 분할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물함의 바닥면에서부터 사물을 적재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물을 보관하고 인출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게 되어 사물함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사물함의 내부 공간은 적절하게 분리되어 서로 다른 위치의 공간에 사물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사용자의 측면에서 사물함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물함의 내부에서 상부 공간에 수평상의 격판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것은 격판이 사물함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격판 상부의 공간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즉 사물의 높이가 격판으로 분리된 상부 공간까지 도달할 경우에는 사물을 넣을 수 없으며, 작은 크기의 사물이라도 격판 상부의 공간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일 때에 격판 아래쪽 공간에 상당한 사물이 있을 경우에 는 사물함에 직접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이미 보관하고 있던 사물을 꺼낸 다음 다시 정리하면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을 일부 해소하기 위한 사물함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3741호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사물함은 바스켓이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구획된 내부 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갖는 물품의 보관이 불편하고, 또한 바스켓의 분실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37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개인보관함의 보관공간에 칸막이를 일체로 링크 결합시켜 분실됨을 방지하되, 상기 칸막이를 통해 물품의 인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물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보관공간을 2개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한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칸막이를 90°회전 스윙시킨 상태로 직립시켜 보관공간에 보관된 물품의 가림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다수의 개인보관함이 형성된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각 개인보관함은 내부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칸막이가 링크 결합에 의해 내장되되, 상기 칸막이는 링크 결합에 의해 이탈됨이 없이 보관공간 내에서 회전 스윙에 의해 반전시켜 보관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칸막이는 보관공간의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받침판부와, 상기 수평받침판부의 양측에 절곡되어 상기 보관공간의 내부 양측벽에 근접 또는 밀착되는 수직판부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받침판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향으로 만곡된 걸림턱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각 수직판부에는 칸막이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부의 상부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수평가이드홀과, 상기 칸막이를 보관공간의 바닥면에서 이격시키면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의 타측에 상통되게 하향 형성되는 제1수직가이드홀과, 상기 칸막이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토퍼홈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각 보관공간의 양측 내벽면에는 칸막이를 이탈됨이 없이 링크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판부의 제1수평가이드홀에 링크 연결되는 링크핀과, 상기 스토퍼홈에 삽입 이탈되는 가이드핀이 고정되어 구성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각 수직판부는 일측 상단에는 반전된 칸막이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핀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각 수직판부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과 연계되게 상통되는 제2수직가이드홀과, 상기 제2수직가이드홀과 상통되고 일측 방향으로 수평형성되는 제2수평가이드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따르면, 개인보관함의 보관공간에 칸막이를 일체로 링크 결합되어 분실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를 통해 물품의 인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보관공간을 2개로 구획하여 서로 다른 물품을 분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칸막이를 90°회전 스윙시킨 상태로 직립시켜 보관공간에 보관된 물품의 가림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개인보관함 및 개인보관함에 링크 결합된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개인보관함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칸막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작동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단계별 작동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의 개인보관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도 12에서 발췌된 칸막이의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개인보관함 및 개인보관함에 링크 결합된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발췌된 개인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발췌된 칸막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개인보관함의 보관공간에 칸막이를 일체로 링크 결합시켜 분실됨을 방지하되, 상기 칸막이를 통해 물품의 인출입을 용이하게 하고, 더불어 물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보관공간을 2개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한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100)은 다수의 개인보관함(10)이 형성된 구조로, 상기 각 개인보관함(10)은 각각의 잠금도어(14)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 개인보관함(10)의 보관공간(11)에는 분실의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칸막이(20)가 링크 결합에 의해 내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20)는 링크 결합에 의해 보관공간(11)에서 이탈됨이 없이 물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보관공간(11)을 2개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20)는 도 4와 같이,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받침판부(21)와, 상기 수평받침판부(21)의 양측에 절곡되어 상기 보관공간(11)의 내부 양측벽에 근접 또는 밀착되는 수직판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수직판부(22)에는 제1수평가이드홀(221a)과, 제2수직가이드홀(222b)과, 스토퍼홈(223)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221a)은 칸막이(20)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부(22)의 상부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가이드홀(222a)은 상기 칸막이(20)를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서 이격시키면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221a)의 타측에 상통되게 하향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홈(223)은 상기 칸막이(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부(22)의 타단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각 보관공간(11)의 양측 내벽면에는 도 3과 같이, 칸막이(20)를 이탈됨이 없이 링크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판부(22)의 제1수평가이드홀(221a)에 링크 연결되는 링크핀(12)과, 상기 스토퍼홈(223)에 삽입 이탈되는 가이드핀(13)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술된 상기 칸막이(20)는 제1수평가이드홀(221a)에 링크 결합된 링크핀(12)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고, 또한 제1수직가이드홀(222a)에 위치되는 링크핀(12)에 의해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서 상승한 상태에서 스윙 선회에 의해 반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각 수직판부(22)는 일측 상단에는 반전된 칸막이(20)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핀(13)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홈(224)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각 수직판부(22)는 보관공간(11)을 2단으로 구획하기 위해 제1링크핀(12)을 지지삼아 칸막이(20)를 180°회전 스윙하여 반전시킬 경우, 걸림홈(224)이 상기 가이드핀(13)에 안착됨으로써, 이는 결국 칸막이(2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반전된 칸막이(20)에 의해 수평받침판부(21)는 보관공간(11)의 중앙영역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보관공간(11)를 2개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칸막이(20)의 수평받침판부(21) 일단 및 타단에는 안착된 물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으로 만곡된 걸림턱부(2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턱부(23)는 칸막이(20)를 보관공간(11)에서 회전시키거나 당기거나 밀어넣을 때 손잡이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수평받침판부(21)에 안착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단계별 작동도이다.
통상적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칸막이(20)의 수평받침판부(21)는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물품을 보관공간(11)에 인입시킬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칸막이(20)의 걸림턱부(23)를 손으로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칸막이(20)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221a)에 링크 연결된 링크핀(12)에 의해 보관공간(11)에서 이탈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물품을 수평받침판부(21)에 안착시킨 후,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스토퍼홈(223)에 인입되는 가이드핀(13)에 의해 삽입 깊이가 제한되어 칸막이(20)가 보관공간(11)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게 물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품을 분리 보관하기 위해 보관공간(11)을 2개로 구획할 경우에는 도 6의 (a)와 같이, 먼저 칸막이(20)의 걸림턱부(23)를 손으로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상기 링크핀(12)은 제1수평가이드홀(221a)의 타측에 위치되어 제1수직가이드홀(222a)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칸막이(20)를 들어올리면 상기 링크핀(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제1수직가이드홀(222a)에 의해 상기 칸막이(20)는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간섭이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이격된 칸막이(20)는 도 9와 같이, 다시 제1링크핀(12)을 지지삼아 180°회전 스윙하여 반전시키면 도 10과 같이, 걸림홈(224)이 가이드핀(13)의 상부에 안착되어 안정적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1과 같이, 상기 반전된 칸막이(20)는 수평받침판부(21)가 반전에 의해 보관공간(11)의 중앙영역을 구획하게 됨으로, 서로 다른 물품 예를 들어 신발(S)과 노트(N)를 분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의 개인보관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서 발췌된 칸막이의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에 내장된 칸막이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칸막이(20)를 90°회전 스윙시킨 상태로 직립시켜 보관공간(11)에 보관된 물품의 가림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수직판부(22)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221a)과 연계되게 상통되는 제2수직가이드홀(222b)과, 상기 제2수직가이드홀(222b)과 상통되고 일측 방향으로 수평형성되는 제2수평가이드홀(22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와 같이, 칸막이(20)를 전방을 당기되, 링크핀(12)이 제2수직가이드홀(222b)과 만나는 지점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당긴다.
이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칸막이(20)를 들어올리면 상기 링크핀(12)은 제2수평가이드홀(221b)과 상통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칸막이(20)는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됨으로, 회전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7과 같이, 칸막이(20)를 90°회전 스윙하여 직립시킨다.
이 후 도 18과 같이, 직립된 칸막이(20)는 제2수평가이드홀(221b)로 진입되는 링크핀(12)에 의해 보관공간(11)의 바닥면으로 하강하여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수직가이드홀(222b)은 상기 제1수직가이드홀(222a)에 비해 상태적으로 긴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직립된 칸막이(20)가 보관공간(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도어(14)를 닫을 때 칸막이(20)의 간섭됨을 피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개인보관함 11: 보관공간 12: 링크핀
13: 가이드핀 14: 잠금도어
20: 칸막이 21: 수평받침판부 22: 수직판부
221a: 제1수평가이드홀 221b: 제2수평가이드홀
222a: 제1수직가이드홀 222b: 제2수직가이드홀
223: 스토퍼홈 224: 걸림홈
23: 걸림턱부
100: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N: 노트 S: 신발

Claims (6)

  1. 다수의 개인보관함(10)이 형성된 사물함(100)에 있어서,
    상기 각 개인보관함(10)은 내부 보관공간(11)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칸막이(20)가 링크 결합에 의해 내장되되,
    상기 칸막이(20)는 링크 결합에 의해 이탈됨이 없이 보관공간(11) 내에서 회전 스윙에 의해 반전시켜 보관공간(11)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20)는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받침판부(21)와, 상기 수평받침판부(21)의 양측에 절곡되어 상기 보관공간(11)의 내부 양측벽에 근접 또는 밀착되는 수직판부(22)로 구성되되,
    상기 수평받침판부(21)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향으로 만곡된 걸림턱부(2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판부(22)에는 칸막이(20)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부(22)의 상부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수평가이드홀(221a)과, 상기 칸막이(20)를 보관공간(11)의 바닥면에서 이격시키면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221a)의 타측에 상통되게 하향 형성되는 제1수직가이드홀(222a)과, 상기 칸막이(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부(22)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토퍼홈(223)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관공간(11)의 양측 내벽면에는 칸막이(20)를 이탈됨이 없이 링크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수직판부(22)의 제1수평가이드홀(221a)에 링크 연결되는 링크핀(12)과, 상기 스토퍼홈(223)에 삽입 이탈되는 가이드핀(13)이 고정되어 구성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판부(22)는 일측 상단에는 반전된 칸막이(20)의 타측을 상기 가이드핀(13)을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홈(2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판부(22)는 상기 제1수평가이드홀(221a)과 연계되게 상통되는 제2수직가이드홀(222b)과, 상기 제2수직가이드홀(222b)과 상통되고 일측 방향으로 수평형성되는 제2수평가이드홀(221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1020220044476A 2022-04-11 2022-04-11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10251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76A KR102512211B1 (ko) 2022-04-11 2022-04-11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476A KR102512211B1 (ko) 2022-04-11 2022-04-11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11B1 true KR102512211B1 (ko) 2023-03-20

Family

ID=8579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476A KR102512211B1 (ko) 2022-04-11 2022-04-11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9214U (ko) * 1988-03-21 1989-10-05 케이엠비무역 주식회사 사진 보관함
KR200343167Y1 (ko) * 2003-11-12 2004-03-04 송철주 사물함
KR200383741Y1 (ko) 2005-02-24 2005-05-09 남건재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KR200435734Y1 (ko) * 2006-09-29 2007-02-12 정용주 사물함
KR20110097365A (ko) * 2010-02-25 2011-08-31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의 회전형 선반구조
KR20160143439A (ko) * 2015-06-05 2016-12-14 (주)제이유퍼니처 아이 성장에 맞춘 성장형 다단 거울 서랍장
KR20170119147A (ko) * 2016-04-18 2017-10-26 박기범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9214U (ko) * 1988-03-21 1989-10-05 케이엠비무역 주식회사 사진 보관함
KR200343167Y1 (ko) * 2003-11-12 2004-03-04 송철주 사물함
KR200383741Y1 (ko) 2005-02-24 2005-05-09 남건재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KR200435734Y1 (ko) * 2006-09-29 2007-02-12 정용주 사물함
KR20110097365A (ko) * 2010-02-25 2011-08-31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의 회전형 선반구조
KR20160143439A (ko) * 2015-06-05 2016-12-14 (주)제이유퍼니처 아이 성장에 맞춘 성장형 다단 거울 서랍장
KR20170119147A (ko) * 2016-04-18 2017-10-26 박기범 사물함, 이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308B2 (en) Crate with retractable wall
US20170202328A1 (en) Storage insert for travel suitcase
US5399006A (en) Multi-stage storage case for cassettes or cassettes blocks
US3542446A (en) Container for storage bins
KR102512211B1 (ko)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EP2112082A1 (en) Stackable box with magnetic coupling
KR20020062714A (ko) 접철식 운반상자
US2411620A (en) Collapsible bar or the like
US1770618A (en) Display box
US20210171272A1 (en) First Aid Cabinet with Dispenser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US8118168B2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and crafts
US5154467A (en) Portable storage rack for containers
KR102516006B1 (ko) 높이가 조절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US2855096A (en) Shoe box having shoe withdrawing means
JP4625736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TWM620851U (zh) 抽屜式容器
KR100977144B1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AU2009217386A1 (en) Container
KR101887229B1 (ko) 길이별로 연필 보관 가능한 연필꽂이
KR200417982Y1 (ko) 상품 포장 상자
CN217792441U (zh) 一种衣帽架
US20040206659A1 (en) Medicine chest
CN213975236U (zh) 仓储商品上下架专用箱
KR102605606B1 (ko) 가변식 칸막이선반을 갖는 사물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