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41Y1 -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41Y1
KR200383741Y1 KR20-2005-0005000U KR20050005000U KR200383741Y1 KR 200383741 Y1 KR200383741 Y1 KR 200383741Y1 KR 20050005000 U KR20050005000 U KR 20050005000U KR 200383741 Y1 KR200383741 Y1 KR 200383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space
basket
storage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건재
Original Assignee
남건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건재 filed Critical 남건재
Priority to KR20-2005-0005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2088/401Slides or guides for wire baske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물함(1) 내부공간(7)의 상부 양쪽 벽면(8,8a)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9,9a)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9,9a)에 바스켓(6)을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물함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학교 등의 사물함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Storage structure of private box easily for space use}
본 고안은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물함 상부 공간에 별도의 바스켓을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바스켓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물함의 상부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물함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적절하게 분할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물함의 바닥면에서부터 사물을 적재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물을 보관하고 인출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게 되어 사물함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사물함의 내부 공간은 적절하게 분리되어 서로 다른 위치의 공간에 사물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사용자의 측면에서 사물함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물함의 내부에서 상부 공간에 수평상의 격판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것은 격판이 사물함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격판 상부의 공간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즉 사물의 높이가 격판으로 분리된 상부 공간까지 도달할 경우에는 사물을 넣을 수 없으며, 작은 크기의 사물이라도 격판 상부의 공간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일 때에 격판 아래쪽 공간에 상당한 사물이 있을 경우에는 사물함에 직접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이미 보관하고 있던 사물을 꺼낸 다음 다시 정리하면서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을 일부 해소하기 위한 사물함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219407 이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수직 및 수평 격판에 의하여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다단으로 구성되는 사물함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상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격판과, 일측단이 상기 수직격판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내부 공간부의 일측벽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내부 공간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수평격판과, 상기 수직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부의 높이나 상기 수평격판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 공간부의 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격판의 상단부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동격판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납되는 물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서 회동격판을 선택적으로 회동시켜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놓여지게 하여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에서는 회동격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공간이나 수직공간은 한정된 사물함 내부서 극히 제한적인 것이며, 회동격판이 회동되어 확장된 수직공간을 형성한다고 하여도 회동격판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수평격판은 여전히 제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앞서 문제점으로 지적한 공간 활용에 제약을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사물함의 내부공간을 적절하게 분할하여 나누어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 공간 전체가 일체화된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사물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물함 내부공간의 상부 양쪽 벽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바스켓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바스켓이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사물함 내부에 설치되거나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되어서 필요에 따라 바스켓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사물함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다단 사물함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단 사물함(1)은 유치원 또는 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각각 전면 도어(2)에 키홈(3)과 통풍구(4) 및 필기구 보관함(5)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바스켓(6)다.
이와 같은 사물함(1)에서 전면 도어(2)를 열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공간(7)을 형성하는 좌우측 벽면(8,8a)의 위쪽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9,9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9,9a)은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 나사못 또는 보울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바스켓(6)은 가이드 레일(9,9a)이 형성하는 홈에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쪽 상부 측면에 플랜지(60,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전면 도어(2)를 열고 바스켓(6)의 플랜지(60,60a)를 가이드 레일(9,9a)에 삽입하여 밀어 넣으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물함(1)의 내부공간(7)에 바스켓(6)이 설치되어 내부공간(7)이 상부공간(7a)과 하부공간(7a)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스켓(6)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부공간(7a)과 그 아래쪽의 하부공간(7b)에 사물을 적절하게 분산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넓은 공간이 필요할 때에는 가이드 레일(9,9a)로부터 바스켓(6)을 인출시키면 바스켓(6)이 자연스럽게 내부공간(7)에서 이탈되어 일체화된 넓은 내부공간(7)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이 다단으로 구획되는 사물함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개별적인 사물함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캐비넷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물함의 상부 공간에 바스켓을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물의 크기 및 목적에 따라 바스켓을 설치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물함의 상부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확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물함 2 : 전면 도어
6 : 바스켓 7 : 내부공간
7a : 상부공간 7b : 하부공간
9,9a : 가이드 레일

Claims (1)

  1. 사물함 내부공간의 상부 양쪽 벽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바스켓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KR20-2005-0005000U 2005-02-24 2005-02-24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KR200383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00U KR200383741Y1 (ko) 2005-02-24 2005-02-24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000U KR200383741Y1 (ko) 2005-02-24 2005-02-24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41Y1 true KR200383741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000U KR200383741Y1 (ko) 2005-02-24 2005-02-24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11B1 (ko) 2022-04-11 2023-03-20 강준기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102516006B1 (ko) 2022-04-11 2023-03-29 강준기 높이가 조절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102605606B1 (ko) 2023-06-21 2023-11-23 (주)동연디자인 가변식 칸막이선반을 갖는 사물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211B1 (ko) 2022-04-11 2023-03-20 강준기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102516006B1 (ko) 2022-04-11 2023-03-29 강준기 높이가 조절되는 내부 칸막이를 갖는 사물함
KR102605606B1 (ko) 2023-06-21 2023-11-23 (주)동연디자인 가변식 칸막이선반을 갖는 사물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9088A (en) Cassette receptacle and storage apparatus
US4285558A (en) Cassette holder
KR20190079699A (ko) 로커의 개선
WO2008051614A3 (en) Sortables storage container
CN113325927A (zh) 固定装置与具有该固定装置的机箱
KR200383741Y1 (ko) 공간 활용을 위한 사물함의 수납 구조
CN212112327U (zh) 一种具有收纳结构的新型机箱
KR101437598B1 (ko) 다용도 수납대
KR200391677Y1 (ko) 물품보관함
KR200435734Y1 (ko) 사물함
US6945395B2 (en) CD storage case
KR101054006B1 (ko) 신발장
US20040206659A1 (en) Medicine chest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KR200322234Y1 (ko) 수납상자
CN216535046U (zh) 浴室柜
KR200361491Y1 (ko) 전시대
KR960001375Y1 (ko) 서랍이 내장된 공구상자
CN209684270U (zh) 一种电力网络信息安全防护用应急检测仪表存放箱
KR20090005620U (ko) 정보지 배부함
KR200364598Y1 (ko) 주화 크기별 분리 수납이 가능한 저금통
KR200414916Y1 (ko) 레일식 수납박스
KR200347112Y1 (ko) 셀형박스를 이용한 소물품 보관장치
CN105857829A (zh) 收纳盒
KR101825823B1 (ko) 칸막이 이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