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789B1 - 절첩식 운반 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운반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789B1
KR101358789B1 KR1020120054922A KR20120054922A KR101358789B1 KR 101358789 B1 KR101358789 B1 KR 101358789B1 KR 1020120054922 A KR1020120054922 A KR 1020120054922A KR 20120054922 A KR20120054922 A KR 20120054922A KR 101358789 B1 KR101358789 B1 KR 10135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anel
pin member
standing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112A (ko
Inventor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2005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78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운반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패널의 기립시 상기 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은,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접촉부가 구비되어 있는 핀부재와, 상기 측면 패널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여 하부로 이동시 상기 접촉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누름판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누름판부재를 누르면, 상기 핀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된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절개홈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의 상면으로 노출된 누름판부재를 엄지로 눌러주기만 하면 핀부재의 돌출부가 단측면 패널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되므로, 매우 간단하게 고정해제되므로 한손으로 작업이 편리하고, 이로 인하여, 조립 및 절첩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운반 상자{Folding type carry box}
본 발명은 락킹수단이 매우 간단하게 고정해제되므로 한손으로 작업이 편리한 절첩식 운반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이나 부품 등을 각각의 상자에 담아서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며, 상자 보관시에는 상자를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식 상자가 두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절첩식 상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69031호(1999.11.16,'조립이 간편한 절첩식 상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판(10)의 단측 가장자리 상단에 측벽 두께의 낮은 돌출단(11)을 형성시키고, 장측 가장자리 상단에는 측벽 2배 두께의 높은 돌출단 (12)을 형성시키며, 각 돌출단의 상면과 그 내측면에 하향 확대된 ㄱ형 통공(11a),(12a)을 수개씩 형성시켜서, 이와 대응지게 장,단측벽(20),(30)의 하부에 돌출된 연결핀(21),(31)의 양측 돌기(21a),(31a)로서 ㄱ형 통공(12a),(11a)의 하향확대부분으로 압입하여 ㄱ형 통공 내에 양측 돌기가 걸리도록 삽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첩식 상자는 측면에 위치한 인출작동대(40)가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검지와 엄지를 사용하여 인출작동대(40)를 중앙부로 모아주면서 체결 해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손가락에 무리가 따른다.
한편, 종래의 다른 접이식 운반용 용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1295호(2003.7.18, '접이식 운반용 용기')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보에 따르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조작 리브(62)를 인가판(104)의 인가력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수직 슬라이드 부재(101)가 좌우의 수평 슬라이드 부재(102)를 끌어당기면서, 슬라이드 걸어맞춤 구멍(65)을 따라 아랫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이 때, 좌우 한 쌍의 수평 슬라이드 부재(102)는, 수직 슬라이드 부재(101)가 아래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짧은 측벽(23)의 내측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맞물림 돌기(61)의 선단부와 맞물림 오목부(54)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짧은 측벽(23)이 용기 본체(21)의 안쪽으로 접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운반용 용기 또한 측면에 위치한 조작 리브(62)가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락킹수단이 매우 간단하게 고정해제되므로 한손으로 작업이 편리하고, 조립 및 절첩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절첩식 운반 상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패널의 기립시 상기 측면 패널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은,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접촉부가 구비되어 있는 핀부재와, 상기 측면 패널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여 하부로 이동시 상기 접촉부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누름판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누름판부재를 누르면, 상기 핀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된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경사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경사부의 경사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측면 패널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부재는 상기 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누름판부재를 누르면, 양측의 상기 핀부재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단을 따라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패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며 기립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에 직각으로 이웃하며 기립되는 제2패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제1패널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패널은 상기 연장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시 상기 연장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제2패널의 양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모서리를 지나서 상기 제1패널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에는 돌출된 상기 핀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은 돌출된 상기 핀부재의 일단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며 기립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직각으로 이웃하며 기립되는 제2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패널은 가로로 길게 상면과 하면으로 나누어져, 상기 상면이 하부로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2패널은 가로로 길게 상측부와 하측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을 절첩하여 다단으로 적재할 경우 위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상기 하측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상기 상측부에 포개어질 수 있으며, 상기 락킹수단은 제1패널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패널 상측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모서리를 지나서 상기 제1패널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에는 돌출된 상기 핀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의 상면은 돌출된 상기 핀부재의 일단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운반 상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누름판부재(175)의 일부분이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누름판부재(175)는 육안으로도 바로 식별이 가능하며, 노출된 누름판부재(175)를 엄지로 용이하게 눌러줄 수 있다.
나아가, 절개홈(135a-1)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된 누름판부재(175)를 엄지로 눌러주기만 하면 핀부재(171)의 돌출부(171-1)가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되므로, 매우 간단하게 고정해제되므로 한손으로 작업이 편리하다. 따라서, 조립 및 절첩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운반 상자의 측면 패널이 모두 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락킹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단측면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절첩식 운반 상자의 측면 패널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측면 패널의 상면이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장측면 패널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를 적재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를 포개어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종래 절첩식 상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종래 다른 접이식 운반용 용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절첩식 운반 상자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운반 상자는 베이스 패널(110)과,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130,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패널(110)은 운반 상자(100)의 바닥을 구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 패널(110)은 정사각형 형태도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 패널(130,150)은 베이스 패널(110)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며 기립되는 제1패널과 , 제1패널에 직각으로 이웃하며 기립되는 제2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1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양변에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130)이 되고, 제2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긴 양변이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150)이 되며, 실시예에 따라 제1패널이 장측면 패널(150)이 되고, 제2패널이 단측면 패널(130)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측면 패널(130)과 장측면 패널(150)의 하단은 베이스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절첩이 가능하다.
베이스 패널(110)에는, 길이가 긴 변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 연장패널(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패널(111)에 장측면 패널(1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장측면 패널(150)의 기립시 연장패널(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장측면 패널(150)과 연장패널(111)에는 고정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수단은 종래기술에도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장측면 패널(150)은 양측면이 베이스 패널(110)의 모서리를 지나서 단측면 패널(1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51)의 측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핀부재(171)의 돌출된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측면 패널(150)에는 다수의 홀(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 세로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리브(155)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하단에 위치한 돌출리브(155a)는 기립시 연장패널(111)의 상면에 얹혀진다.
단측면 패널(13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마련된 힌지부(131)가 형성되어 있어, 힌지부(131)가 베이스 패널(110)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 패널(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단측면 패널(130)에는 다수의 홀(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 세로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리브(135)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상단에 가로로 길게 위치한 제1돌출리브(135a)와, 제1돌출리브(135a)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제2돌출리브(135b)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하기에서 설명할 락킹수단이 장착되는 락킹수단 장착부(136)가 된다.
락킹수단 장착부(136)의 하부에는 손잡이 홀(1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홀(137)의 하부에는 식별을 위한 라벨 등을 붙이기 용이하도록 돌출면(138)이 형성되어 있다.
단측면 패널(130)의 기립시 단측면 패널(13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은 락킹수단 장착부(136)에 마련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재(171)와 누름판부재(1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17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71-1)와 탄성지지부(171-2)와 작동부(171-3)와 접촉부(171-4)를 포함한다.
돌출부(171-1)의 일단은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돌출되는 일단이 외측으로 갈수록 뾰족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돌출되어 장측면 패널(150)의 연장부(151)의 측면에 형성된 락킹홈에 삽입된다.
탄성지지부(171-2)는 돌출부(171-1)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편(172)에 의해 돌출부(171-1)가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작동부(171-3)의 일단은 탄성지지부(17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부(171-3)의 타단은 하기에서 설명할 누름판부재(175)와 인접한다.
접촉부(171-4)는 작동부(171-3)의 타단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기에서 설명할 경사부(176)와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부(176)의 경사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다.
누름판부재(17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킹수단 장착부(136)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특히, 누름판부재(17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돌출리브(135a)에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홈(135a-1)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누름판부재(175)의 일부분이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누름판부재(175)는 육안으로도 바로 식별이 가능하며, 노출된 누름판부재(175)를 엄지로 용이하게 눌러줄 수 있다.
이러한 누름판부재(175)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176)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176)는 접촉부(171-4)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누름판부재(175)가 하부로 이동시 접촉부(171-4)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접촉부(171-4)는 경사부(176)와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부(176)의 경사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접촉부(171-4)와 경사부(176)는 경사면으로 접촉하며 서로 맞물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킹수단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측면 패널(130)이 기립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재(171)는 탄성편(172)에 의해 돌출부(171-1)가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락킹홈에 삽입되어 있고, 누름판부재(175)는 상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홈(135a-1)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된 누름판부재(175)를 엄지로 눌러주면, 핀부재(171)의 돌출부(171-1)가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부재(175)를 눌러 하부로 이동시키면, 경사부(176)를 따라 경사면으로 접촉하는 핀부재(171)의 접촉부(171-4)가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누름판부재(175)를 누르면, 핀부재(17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된 돌출부(171-1) 일단이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락킹홈으로부터 삽입해제됨으로써, 단측면 패널(130)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핀부재(171)는 단측면 패널(13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누름판부재(175)는 핀부재(171)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 중앙에 위치한 누름판부재(175)를 누르면, 양측의 핀부재(171)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개홈(135a-1)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된 누름판부재(175)를 엄지로 눌러주기만 하면 핀부재(171)의 돌출부(171-1)가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되므로, 매우 간단하게 고정해제되므로 한손으로 작업이 편리하다. 따라서, 조립 및 절첩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운반 상자(1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첩식 운반 상자(100)의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측면 패널(150)과 단측면 패널(130)이 모두 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을 담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첩식 운반 상자(100)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먼저 단측면 패널(130)을 절첩한다.
즉, 절개홈(135a-1)을 통하여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된 누름판부재(175)를 엄지로 눌러주기만 하면 핀부재(171)의 돌출부(171-1)가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락킹홈에서 삽입해제됨으로써, 기립된 상태의 단측면 패널(130)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단측면 패널(130)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패널(110) 상에 완전히 눕히도록 절첩한다.
그런 다음, 기립된 장측면 패널(150)을 절첩한다.
장측면 패널(150)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단측면 패널(130) 상에 완전히 눕히도록 절첩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측면 패널(130,150)이 모두 절첩된 상태에서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 및 회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를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였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10)과,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130,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패널(110)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제1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짧은 양변에 기립되는 단측면 패널(130)이 되고, 제2패널은 베이스 패널(110)의 길이가 긴 양변이 기립되는 장측면 패널(150)이 되며, 실시예에 따라 제1패널이 장측면 패널(150)이 되고, 제2패널이 단측면 패널(130)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측면 패널(130)은 가로로 길게 상면(130-1)과 하면(130-2)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면(130-1)의 하단이 하면(130-2)의 상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상면(130-1)은 힌지 가능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130-1)이 하면(130-2)의 내측으로 회전되어 상면(130-1)의 상단이 베이스 패널(110)에 맞닿으며 하부로 절첩된다.
이렇게 상면(130-1)이 완전히 절첩된 상태라 함은, 상면(130-1)의 상단만 베이스 패널(110)에 맞닿는 상태이며, 완전히 절첩된다 하더라도 상면(130-1)은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면(130-1)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락킹수단이 장착되는 락킹수단 장착부(136)가 마련되어 있으며, 락킹수단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핀부재(171)와 누름판부재(175)를 포함한다. 락킹수단의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장측면 패널(1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 패널(110)에 대해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측면 패널(15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10)의 모서리를 지나서 단측면 패널(1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51)의 측면에는 핀부재(171)의 돌출된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측면 패널(150)은 가로로 길게 상측부(150-1)와 하측부(150-1)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부(150-1)의 외측에는 가로, 세로로 가로지르며 다수의 지지리브(15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반 상자의 내부에 물품이나 부품 등을 수용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130-1)이 기립된 상태이다.
이때, 락킹수단의 핀부재(171)는 탄성편(172)에 의해 단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락킹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면(130-1)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여러 개의 운반 상자를 적재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10과 같이 적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위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장측면 패널(150)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장측면 패널(150)은 서로 맞닿지 않으므로 장측면 패널(150)은 운반 상자(100)의 하중을 전혀 받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위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단측면 패널(130)의 하면(130-2)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130-1)과 맞닿으므로 단측면 패널(130)이 운반 상자의 하중을 지지한다.
다음으로, 운반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하여 이동하거나 보관할 시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130-1)을 하부로 절첩한다.
즉, 기립된 상태의 상면(130-1)을 절첩할 시에는 락킹수단을 해제하여야 하는데, 제1실시예의 설명과 같이 누름판부재(175)를 누르면, 핀부재(17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된 돌출부(171-1) 일단이 단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락킹홈으로부터 삽입해제됨으로써,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130-1)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이렇게, 락킹해제된 상면(130-1)을 내측으로 회전시켜 상면(130-1)의 상단이 베이스 패널(110)에 맞닿도록 절첩한 다음,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상자를 포갤 수 있다.
즉, 장측면 패널(150)은 포갤 수 있도록 경사지게 기립되어 있으므로 위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하측부(150-1)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상측부(150-1) 내에 포개어진다.
또한, 단측면 패널(130)의 하중을 지지하던 상면(130-1)이 내부로 절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운반 상자를 포갤 경우 위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단측면 패널(130) 하면(130-2)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단측면 패널(130) 하면(130-2)과 맞닿는다.
상기와 같이, 단측면 패널(130)은 하중을 지지하며, 서로 포개어 지지 않으므로 절첩할 수 있고, 장측면 패널(150)은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며,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측면 패널(130)은 서로 포개어지지 않으므로 리브 설치를 통한 강도 보강이 가능하다.
이렇게, 운반 상자의 사용시에는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130-1)을 기립하여 내용물을 담아 적재가 가능하고, 내용물이 비어 있는 운반 상자의 보관 및 회수시에는 단측면 패널(130)의 상면(130-1)을 절첩하여 포갤 수 있으므로 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절첩 상자의 장점인 높은 강도와, 포개짐이 가능한 상자의 장점인 사용상 용이성과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운반 상자 110 : 베이스 패널
111 : 연장패널 130 : 단측면 패널
132 : 홀 131 : 힌지부
135 : 돌출리브 136 : 락킹수단 장착부
150 : 장측면 패널 151 : 연장부
153 : 홀 155 : 돌출리브
170 : 락킹수단 171 : 핀부재
171-1 : 돌출부 171-2 : 탄성지지부
171-3 : 작동부 171-4 : 접촉부
175 : 누름판부재 176 : 경사부

Claims (5)

  1. 베이스 패널(110);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되는 측면 패널(130,150);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 패널(130,150)의 기립시 상기 측면 패널(130,15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수단(170)은,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측면 패널(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접촉부(171-4)가 구비되어 있는 핀부재(171)와,
    상기 측면 패널(130)에 형성된 절개홈(135a-1)을 통하여 상기 측면 패널(1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측면 패널(13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부(171-4)와 접촉하여 하부로 이동시 상기 접촉부(171-4)가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176)가 마련되어 있는 누름판부재(175)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171-4)는 상기 경사부(176)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경사부(176)의 경사진 부분과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어, 상기 접촉부(171-4)와 상기 경사부(176)는 경사면으로 접촉하며 서로 맞물리므로,
    상기 누름판부재(175)를 누르면, 상기 핀부재(17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된 일단이 상기 측면 패널(13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171)는 상기 측면 패널(13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부재(175)는 상기 핀부재(171)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누름판부재(175)를 누르면, 양측의 상기 핀부재(171)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110)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일단을 따라 상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패널(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패널(130,150)은,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며 기립되는 제1패널(130)과, 상기 제1패널(130)에 직각으로 이웃하며 기립되는 제2패널(15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락킹수단(170)은 상기 제1패널(130)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패널(150)은 상기 연장패널(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시 상기 연장패널(111)에 고정되며, 상기 제2패널(150)의 양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모서리를 지나서 상기 제1패널(1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151)에는 돌출된 상기 핀부재(171)의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130)은 돌출된 상기 핀부재(171)의 일단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130,150)은,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며 기립되는 제1패널(130)과, 상기 제1패널(130)과 직각으로 이웃하며 기립되는 제2패널(15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패널(130)은 가로로 길게 상면과 하면으로 나누어져, 상기 상면이 하부로 절첩 가능하고,
    상기 제2패널(150)은 가로로 길게 상측부(150-1)와 하측부(150-2)로 구성되며, 상기 상면을 절첩하여 다단으로 적재할 경우 위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상기 하측부(150-2)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운반 상자의 상기 상측부(150-1)에 포개어질 수 있으며,
    상기 락킹수단(170)은 제1패널(130)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패널(150) 상측부(150-1)의 양측면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모서리를 지나서 상기 제1패널(13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151)에는 돌출된 상기 핀부재(171)의 일단이 삽입되는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패널(130)의 상면은 돌출된 상기 핀부재(171)의 일단이 상기 락킹홈에 삽입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운반 상자.
KR1020120054922A 2012-05-23 2012-05-23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35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22A KR101358789B1 (ko) 2012-05-23 2012-05-23 절첩식 운반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922A KR101358789B1 (ko) 2012-05-23 2012-05-23 절첩식 운반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112A KR20130131112A (ko) 2013-12-03
KR101358789B1 true KR101358789B1 (ko) 2014-02-05

Family

ID=4998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922A KR101358789B1 (ko) 2012-05-23 2012-05-23 절첩식 운반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5B1 (ko) 2014-11-14 2016-05-27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509B1 (ko) * 2014-07-31 2015-04-28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KR102127375B1 (ko) * 2019-04-17 2020-06-26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철물 운반상자
CN110712827A (zh) * 2019-10-22 2020-01-21 上海派瑞特塑业有限公司 一种折叠式运输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635U (ko) * 1981-01-07 1982-07-15
JP2005306463A (ja) * 2004-04-26 2005-11-04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JP2009018827A (ja) * 2007-07-11 2009-01-29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9137656A (ja) * 2009-02-13 2009-06-25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635U (ko) * 1981-01-07 1982-07-15
JP2005306463A (ja) * 2004-04-26 2005-11-04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
JP2009018827A (ja) * 2007-07-11 2009-01-29 Sanko Co Ltd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09137656A (ja) * 2009-02-13 2009-06-25 Gifu Plast Ind Co Ltd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5B1 (ko) 2014-11-14 2016-05-27 엔피씨(주) 절첩식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112A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947B1 (ko)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
US7478726B2 (en) Collapsibile crate with support members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KR101996504B1 (ko) 다용도 수납박스
KR20180036719A (ko) 인터모달 장치 및 방법
KR100845324B1 (ko) 접철식 컨테이너
KR101436565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WO2016092034A1 (en) A storage and display device and system
WO2008012556A2 (en) A packaging module
KR102080325B1 (ko)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
JP6264564B2 (ja) 包装用箱
KR20150070581A (ko) 이동접이식수납부를 갖는 접이식상자
KR200452223Y1 (ko) 접이형 상자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KR102417237B1 (ko) 내측면의 자체적인 복원력을 가지는 접이식 폴딩박스
AU2015200539B1 (en) Tray
KR200491142Y1 (ko) 접이식 다용도 카트
KR101625055B1 (ko) 절첩식 상자
JP4888962B2 (ja) 折り畳み整理棚
KR101318873B1 (ko) 이동가능한 접이식 수납함
KR20150065459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JP2008239188A (ja) 折り畳み容器
KR20150051611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JP2012210981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