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611A - 회수용 박스 파렛트 - Google Patents

회수용 박스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611A
KR20150051611A KR1020130133298A KR20130133298A KR20150051611A KR 20150051611 A KR20150051611 A KR 20150051611A KR 1020130133298 A KR1020130133298 A KR 1020130133298A KR 20130133298 A KR20130133298 A KR 20130133298A KR 20150051611 A KR20150051611 A KR 20150051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allet
fixed
pivot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468B1 (ko
Inventor
문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투산업
Priority to KR102013013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4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1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수용 박스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상태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절첩이 가능하고, 다단으로 견고하게 적층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금속재의 베이스 파렛트(10)와, 이 베이스 파렛트(10)의 양측 2개소에서 각각 경첩(23)으로 힌지 연결되고, 분할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첩(23)들에 의해 1/2 크기로 절첩되는 절첩부재(20)들과, 상기 절첩부재(20)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나머지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부재(30)들과, 상기 베이스 파렛트(10)의 각 코너부에 일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슬라이드홈(41)과 고정홈(42)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40)들과, 상기 회동부재(30)에 상기 지지대(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게 하는 슬라이드핀(50)과, 상기 지지대(40)의 고정홈(42) 위치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60)과, 상기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이 각각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하는 잠금부재(70)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수용 박스 파렛트{The returnable box Pallet}
본 발명은 회수용 박스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상태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절첩이 가능하고, 다단으로 견고하게 적층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수용 박스 파렛트는 주로 자동차 부품을 수납한 상태로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하면서 이단으로 포개어 저장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용기이다.
최근, 보관시나 회수 과정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4방향으로 세워지는 측벽들을 절첩하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08-0003752호(공개일자 2008년01월08일)
그러나, 상기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08-0003752호 구성에 의하면 바닥에 위치되는 팰릿 위에 장착한 4면 벽을 이루는 모서리부위가 모여지는 모서리마다 핀을 끼워 4개의 핀으로 벽면들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시키는 물품을 필요에 따라 반만 접어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 펠릿과 4개의 측벽들, 그리고 이 측벽들을 4개의 핀 들을 이용해 조립하게 되므로, 분해시킬 경우 모든 부품들이 각각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부품의 분실의 염려가 매우 크고 제품 관리가 어렵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견고하게 각 측벽들을 세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회수용 박스 파렛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 및 회수과정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어 제품 관리가 우수하고 편의성을 갖도록 한 회수용 박스 파렛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금속재의 베이스 파렛트(10)와,
이 베이스 파렛트(10)의 양측 2개소에서 각각 경첩(23)으로 힌지 연결되고, 분할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첩(23)들에 의해 1/2 크기로 절첩되는 절첩부재(20)들과,
상기 절첩부재(20)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나머지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부재(30)들과,
상기 베이스 파렛트(10)의 각 코너부에 일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슬라이드홈(41)과 고정홈(42)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40)들과,
상기 회동부재(30)에 상기 지지대(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게 하는 슬라이드핀(50)과,
상기 지지대(40)의 고정홈(42) 위치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60)과,
상기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이 각각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하는 잠금부재(70)들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70)는 절첩부재(20)들에 고정되는 브라켓트(71)에 회동부재(30)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 고정된 로크바(72)가 끼워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잠금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는 그 위로 적층되는 베이스 파렛트(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결정편(80)(81)들이 서로 직각되게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견고하게 각 측벽들을 세워서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 보관 및 회수과정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어 제품 관리가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잠금부재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회동부재가 절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은 측벽부재들이 절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측벽부재들이 절첩 완료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회동부재가 절첩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회동부재가 절첩 완료된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회수 파렛트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 부품들을 수납하여 공급하고 다시 회수하여 재 사용하기 위한 회수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수송수단인 지게차 등을 이용하기 위해 바닥면에는 금속재의 베이스 파렛트(1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 베이스 파렛트(10)는 통상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지게차를 이용해 이동과 탑재가 가능하도록 2단 구조로 성형되며, 마주보는 양측에는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이 각각 세워져 상부가 트여지는 박스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절첩부재(20)들 및 회동부재(30)들 모두 금속재로 성형된다.
상기 절첩부재(20)는 베이스 파렛트(10)의 양측 2개소에서 서로 마주보게 하단부가 각각 경첩(23)으로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절첩부재(20)들은 중앙부가 분할되게 성형한 후 경첩(23)들에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도 7 및 도 8과 같이 1/2 크기로 절첩된다.
그리고, 이 절첩부재(20)들이 양측에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나머지 양쪽에는 회동부재(30)들이 위치된다.
이 회동부재(30)들은 보관 및 회수 이동과정에서 그 부피를 최소로 하기 위해 절첩부재(20)들이 도 8과 같이 절첩되고, 그 상부에서 각각 덮어지게 하여 회수용 파렛트의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회동부재(30)들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파렛트(10)의 각 코너부에는 지지대(40)들이 각각 일정 높이로 세워 고정된다.
지지대(40)는 도 3 및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슬라이드홈(41)이 수직하게 파여지고, 끝단에는 고정홈(42)이 상부는 개구된 상태로 하부를 향해 오목하게 파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0)에는 상기 지지대(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게 하는 슬라이드핀(50)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대(40)의 고정홈(42) 위치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도록 하거나 이탈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핀(60)들이 각각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이 각각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박스 형태를 유지, 고정시키게 하는 잠금부재(70)들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70)의 구성은 절첩부재(20)들에 고정되는 브라켓트(71)에 회동부재(30)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 고정된 로크바(72)가 끼워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잠금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브라켓트(71)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절곡된 상태로 하부는 절첩부재(20)에 고정 부착되고, 로크바(72)가 회동부재(30)에서 힌지 설치된 상태로 개구부 위치로 끼워지면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이 서로 이탈되지 못하게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잠금부재(70)는 도 1에서와 같이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의 한 코너 위치에서 상단부와 중간부 2개소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박스형태를 유지하는데 견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는 그 위로 적층되는 베이스 파렛트(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결정편(80)(81)들이 서로 직각되게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이 위치결정편(80)(81)의 코너 위치로 그 상부에 적층 되는 또 다른 회수용 파렛트의 하단부 코너가 받쳐지게 되므로 설치상태나 이동 과정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회수용 파렛트는 부품 수납하는 과정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베이스 파렛트(10)로부터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가 각각 세워져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회수과정이나 보관 과정에서는 그 부피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우선 잠금부재(70)들을 모두 잠금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로크바(72)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우선 절첩부재(20)들을 도 7 및 도 8의 과정을 거치면서 각 경첩(23)들 위치에서 절첩되게 한다.
절첩부재(20)들이 베이스 파렛트(10)의 상부로 나란하게 중첩된 후 양측에 세워진 회동부재(30)들은 고정핀(60)의 로크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슬라이드홈(41) 위치에서 이동 안내되는 슬라이드핀(50)이 가장 상단부 위치까지 들어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홈(41)의 높이는 회동부재(30)들이 수평으로 회동시킬 때 이미 절첩되어 있는 절첩부재(20)들의 상부로 덮어질 수 있는 높이로 제작된다.
따라서, 가장 바닥에는 베이스 파렛트(10)가 위치되고 그 위로 1/2씩 접혀진 절첩부재(20)들이 중첩된 그 상부로 2개의 회동부재(30)들이 각각 덮어지면서 전체 높이가 매우 낮아지는 보관 및 이동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시 박스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이와 역으로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조작으로 견고하게 각 측벽들을 세워서 조립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보관 및 회수과정에서 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분실 염려가 없어 제품 관리가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베이스 파렛트 20 - 절첩부재
30 - 회동부재 40 - 지지대
41 - 슬라이드홈 42 - 고정홈
50 - 슬라이드핀 60 - 고정핀
70 - 잠금부재 71 - 브라켓트
72 - 로크바 80,81 - 위치결정편

Claims (3)

  1. 바닥면에 위치되는 금속재의 베이스 파렛트(10)와,
    이 베이스 파렛트(10)의 양측 2개소에서 각각 경첩(23)으로 힌지 연결되고, 분할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첩(23)들에 의해 1/2 크기로 절첩되는 절첩부재(20)들과,
    상기 절첩부재(20)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나머지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부재(30)들과,
    상기 베이스 파렛트(10)의 각 코너부에 일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슬라이드홈(41)과 고정홈(42)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40)들과,
    상기 회동부재(30)에 상기 지지대(40)의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게 하는 슬라이드핀(50)과,
    상기 지지대(40)의 고정홈(42) 위치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60)과,
    상기 절첩부재(20)들과 회동부재(30)들이 각각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하는 잠금부재(70)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용 박스 파렛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70)는 절첩부재(20)들에 고정되는 브라켓트(71)에 회동부재(30)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 고정된 로크바(72)가 끼워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잠금 상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용 박스 파렛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30)의 상단부에는 그 위로 적층되는 베이스 파렛트(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위치결정편(80)(81)들이 서로 직각되게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용 박스 파렛트.
KR1020130133298A 2013-11-05 2013-11-05 회수용 박스 파렛트 KR10154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98A KR101541468B1 (ko) 2013-11-05 2013-11-05 회수용 박스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98A KR101541468B1 (ko) 2013-11-05 2013-11-05 회수용 박스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611A true KR20150051611A (ko) 2015-05-13
KR101541468B1 KR101541468B1 (ko) 2015-08-03

Family

ID=5338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98A KR101541468B1 (ko) 2013-11-05 2013-11-05 회수용 박스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354A (ko) * 2017-03-20 2018-10-01 권오섭 펜스를 구비한 파렛트
KR20210002787U (ko)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접이식 물류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0676B2 (ja) * 2002-05-15 2005-09-28 株式会社光明 リターナブルケース
KR101142304B1 (ko) * 2009-06-22 2012-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지틀을 갖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354A (ko) * 2017-03-20 2018-10-01 권오섭 펜스를 구비한 파렛트
KR20210002787U (ko) *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접이식 물류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468B1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2532A (en) Foldable container
US7083061B2 (en) Collapsible box with top access, side access and interconnected vertical stacking
WO2007143908A1 (fr) Caisse-palette repliable et procédé de repliage d'une caisse-palette
KR101288947B1 (ko)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
KR101541468B1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6468870B2 (ja) 容器
KR101358789B1 (ko) 절첩식 운반 상자
US8720719B2 (en) Foldable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US7347340B2 (en) Folding container
GB2450929A (en) A collapsible tray
JP2002068187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150065459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KR102156887B1 (ko) 스태킹 랙
JP6258153B2 (ja) 折畳み容器
KR102661430B1 (ko)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KR101813216B1 (ko)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JP2021066472A (ja) 折畳み型コンテナ
JP2007532430A (ja) ベース部に格納可能な壁部を備える折り畳み式枠箱並びに該枠箱を使用する方法
JP6813305B2 (ja) 搬送用パレット
JP3187245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KR102161496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KR102328833B1 (ko) 조립식 파레트
JP2005335747A (ja) ロール製品用ラック
JP2013166583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