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216B1 -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 Google Patents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216B1
KR101813216B1 KR1020160152321A KR20160152321A KR101813216B1 KR 101813216 B1 KR101813216 B1 KR 101813216B1 KR 1020160152321 A KR1020160152321 A KR 1020160152321A KR 20160152321 A KR20160152321 A KR 20160152321A KR 101813216 B1 KR101813216 B1 KR 10181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groove
reinforcing member
ke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국택
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부린
(주)흥국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린, (주)흥국이엔지 filed Critical (주)부린
Priority to KR102016015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1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7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corner posts to the pallet
    • B65D2519/00676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70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the lid or cover to the side walls or corner posts
    • B65D2519/00711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the lid or cover to the side walls or corner posts removable lid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상,하부팔레트와 그 사이에 단프라시트로 구성된 통상의 운반 팔레트에서, 상기 상, 하부팔레트의 외측 4개면에 각각의 모서리보강부와 측면보강부가 각각 수직,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하게 됨으로써, 조립식 운반 팔레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출성형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경제적 효율성 및 생산성이 확보되고, 각각의 구성들이 상호 조립함에 있어서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조립 시 단프라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부분과 측면들을 견고히 지지하여 흔들림으로 내부의 자동차 부품이 일측으로 쏠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단프라시트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Prefabricated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box pallets with a folding structure for easy handling and storage}
본 발명은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운반 팔레트를 제조할 시 사출 성형이 가능한 구조와 팔레트를 조립 시 상, 하 팔레트에서 단프라 시트의 4면과 모서리부분을 보강하여 팔레트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확보하고 분리 시, 사각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팔레트는 주로 자동차 부품을 수납한 상태로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보관 시나 회수 과정에서 그 부피 및 무게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PP 상, 하부팔레트, 상기 상, 하부팔레트의 사이에 4방향의 측벽들을 형성하는 단프라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단프라 시트는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하부팔레트를 지면에 배치하고, 상기 단프라시트를 사각박스형태로 형성한 후, 상기 하부팔레트의 상부에 끼우고, 상기 상부팔레트를 사익 단프라시트의 상부에 올려 하나의 운반 팔레트를 구성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압축성형방식으로 제조됨에 따라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모서리 및 측면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운반 팔레트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별도의 보강부를 모서리에 배치 또는 상기 보강부를 상, 하부팔레트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게 구성하여 단프라 시트의 모서리를 보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보강부로 인하여 상, 하부팔레트 중 어느 하나의 상, 하 높이가 커짐에 따라서 취급 및 보관이 용이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541468호(특) 바닥면에 위치되는 금속재의 베이스 파렛트와, 이 베이스 파렛트의 양측 2개소에서 각각 경첩으로 힌지 연결되고, 분할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첩들에 의해 1/2 크기로 절첩되는 절첩부재들과, 상기 절첩부재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나머지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부재들과, 상기 베이스 파렛트의 각 코너부에 일정 높이로 세워 고정되며 슬라이드홈과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지지대들과, 상기 회동부재에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이동 안내되게 하는 슬라이드핀과, 상기 지지대의 고정홈 위치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과, 상기 절첩부재들과 회동부재들이 각각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하는 잠금부재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절첩부재들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에 회동부재에 회동 자유롭게 힌지 고정된 로크바가 끼워 고정되는 것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잠금 상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상단부에는 그 위로 적층되는 베이스 파렛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서로 직각되게 위치결정편들이 고정 설치되는 회수용 박스 파렛트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회동부재를 베이스 파렛트의 모서리부분에 연결되어 사익 베이스 파렛트의 내측으로 접힘되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컨테이너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를 완전히 세운 후, 내부에 단프라 시트와 같은 측면을 막을 수 있는 별도의 시트를 구성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상의 불편한 점이 있다.
등록번호 10-1556944호(특) 운송물품을 상단에 안착시키는 파렛트;와 상기 파렛트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면벽체, 전면벽체, 후면벽체 및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벽체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벽체 일단은 후면벽체의 일단과 개폐힌지로 결합되어 본체 상면을 개폐하고, 상기 측면벽체 내에 수직으로 절첩힌지를 형성하여 측면벽체를 절첩하고, 상기 측면벽체는 후면벽체 및 전면벽체와 맞닿는 양단에 보조힌지를 형성하여 측면벽체 절첩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면벽체는 본체의 상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벽체는 개폐힌지를 축으로 하여 270°회전하여 상기 후변벽체에 접하며, 상기 절첩힌지는 탈착가능한 힌지축을 구비하여 측면벽체를 제1 측면벽체 및 제2 측면벽체로 분리하여 절첩하고, 상기 본체는 하단에서 돌출된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파렛트는 결합돌기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하며, 상기 파렛트는 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홈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로킹장치를 구비하는 파렛트 분리 및 접이식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전면부재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컨테이너의 내부에 운반을 위해 안착되는 다양한 자동차 부품들이 자칫 운반 중 흔들림 등으로 인해 전면부재 측으로 이동 될 시 상기 전면부재가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자동차 부품들이 이탈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게 상, 하부팔레트와 단프라 시트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상, 하부팔레트의 일측에 보강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보강부를 펼침 시, 상기 단프라 시트의 4면과 모서리부분을 동시에 지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립이 완성된 운반 팔레트의 내부에 자동차 부품을 수납한 상태로 운반 시 흔들림으로부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조립 및 회수 시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제공토록 하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상측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110)이 형성되는 하부팔레트(100)와, 하측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210)이 형성되는 상부팔레트(200)와, 상기 상,하부팔레트(100, 200) 사이에 구성되되, 접힘이 가능하고 펼침 시 상측과 하측이 상기 각각의 끼움홈(110, 210)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프라 시트(300)로 구성되는 조립식 운반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모서리부분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110)의 일측과 연장되는 보강부재인입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팔레트(100) 각각의 보강부재인입홈(120)과 근접한 외측면에 구성되되, 상측 중앙부에 개방홈(411)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의 관통홈(41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413)의 일측에 키홈(415)이 형성되는 연결부(410)와, 상기 관통홈(413)에 삽입 구성되어 회동되되, 외주 일측에 상기 키홈(415)과 대응되는 키(421)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 관통되는 결합홈(423)이 형성되는 회전축(420)과, 상기 단프라 시트(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43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431)의 일측과 연장되며 연장되는 타측이 상기 결합홈(423)과 결합되는 보강부재(430)로 구성되는 모서리보강부(400)가 포함되어, 팔레트를 보관 시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를 하부팔레트 외측 수평방향으로 접어 고정시키고, 조립 시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를 접혀진 반대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세운 후, 상기 보강부재인입홈(120) 측으로 밀어 상기 단프라 시트(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420)의 키(421)는 상기 연결부(410)의 개방홈(411)의 양측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20)이 개방홈(411) 상에서 회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410)의 키홈(415)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420)이 회동 후 고정될 수 있게 스톱바(41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강부재(430)가 수평방향으로 접힘 시, 상기 지지판(431)이 처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게 지지날개(13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팔레트(200)는, 모서리부분 내측에 상기 끼움홈(210)과 연장되어 보강부재(43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시 상기 보강부재(430)의 상측이 끼워지는 보강부재고정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외측면에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유동바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바의 내측에는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바가 형성되는 측면보강부(500)가 구성되어, 상기 하부팔레트(100)와 결합 시 단프라 시트(300)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2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바(5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30)의 형상과 대응되게 고정홈(511)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바(5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고정홈(511)이 고정돌기(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에 의하면, 조립식 운반 팔레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출성형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경제적 효율성 및 생산성이 확보되고, 각각의 구성들이 상호 조립함에 있어서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조립 시 단프라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부분과 측면들을 견고히 지지하여 흔들림으로 내부의 자동차 부품이 일측으로 쏠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단프라시트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부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와 b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부 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도7의 c와 d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1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상부팔레트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6은 도15의 e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도 15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상부팔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상부팔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C-C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운반 팔레트를 제조할 시 사출 성형이 가능한 구조와 팔레트를 조립 시 상, 하 팔레트에서 단프라 시트의 4면과 모서리부분을 보강하여 팔레트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확보하고 분리 시, 사각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하부팔레트(100), 상부팔레트(200), 단프라시트(300), 모서리보강부(400), 측면보강부(500)로 대분 구성된다.
①하부팔레트(100)
상기 하부팔레트(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압축 성형이 아닌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데, 그 구조를 보면 상측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간격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통상의 운반을 위한 지게차의 집게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모서리부분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110)의 일측과 연장되는 보강부재인입홈(120)이 형성되어, 하기될 모서리보강부(400)의 보강부재(430)가 단프라시트(300)의 외측과 밀착되어 지지되기 위해 밀림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보강부(400)의 보강부재(430)는 사용에 따라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펼침과 접힘을 하여 보관 및 사용하기 마련인대,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강부재(430)가 수평방향으로 접힘 시, 상기 지지판(431)이 처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게 지지날개(13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날개(130)는 상기 하부팔레트(100)가 사각형태로 형성됨에 4개의 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팔레트(100)의 측면에는 하기될 측면보강부(500)의 조절바(520)를 수직방향으로 펼침 시 상기 조절바(520)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조절바삽입홈(140)이 각각 형성된다.
②상부플레이트(200)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210)이 형성되되, 모서리부분 내측에 상기 끼움홈(210)과 연장되어 보강부재(43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시 상기 보강부재(430)의 상측이 끼워지는 보강부재고정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로 구성되되, 모서리부분에 상기 보강부재고정홈(220)이 형성된 만큼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200)의 외측 4면에는 각각의 측면보강부(500)가 힌지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측면보강부(500)와 힌지 결합을 위한 홈부(도면 부호 없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4, 9, 18,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형태의 다수의 고정돌기(230)가 형성되어, 하기될 측면고정부(500)의 유동바(51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5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유동바(510)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될 시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③단프라시트(300)
상기 단프라시트(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팔레트(100, 200) 사이에 구성되되, 접힘이 가능하고 펼침 시 상측과 하측이 상기 각각의 끼움홈(110, 210)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실질적으로 운반 팔레트를 조립한 후,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상측에 안착되는 자동차 부품들이 측면으로 자칫 운반 함에 있어서 운반 팔레트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할 시, 상기 자동차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프라시트(300)의 경우 통상의 단프라시트(300)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④모서리보강부(400)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는, 도 1 내지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10), 회전축(420), 보강부재(430)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결부(4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8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팔레트(100) 각각의 보강부재인입홈(120)과 근접한 외측면에 구성되되, 상측 중앙부에 개방된 형태로 하기될 회전축(420)의 키(421)가 걸림되지 않고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인 개방홈(41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개방홈(411)과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420)이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홈(41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20)이 삽입되는 방향의 관통홈(413)에는 상기 키(421)가 걸림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게 키홈(4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10)의 키홈(415)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420)이 회동 후 고정될 수 있게 스톱바(417)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410)는 모서리보강부(400)가 하부팔레트(100)와의 고정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회전축(420)의 회전과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420)은 도 도 6, 8,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축과 유사하게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413)에 삽입 구성되어 회동되되, 외주 일측에 상기 키홈(415)과 대응되는 키(421)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 관통되는 결합홈(4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420)이 상기 연결부(410)에 삽입될 시, 상기 키(421)를 상기 삽입홈(415)에 삽입될 수 있게 위치를 마춘 뒤, 상기 회전축(420)을 밀게 되면, 자연스레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423)은 하기될 상기 보강부재(430)의 결합부재(433)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기 위한 구성으로써, 통상의 너트와 유사한 개념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420)의 키(421)는 상기 연결부(410)의 개방홈(411)의 양측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20)이 개방홈(411) 상에서 회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43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프라 시트(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43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431)의 일측과 연장되며 연장되는 타측이 상기 결합홈(423)과 결합되는 보강부재(4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431)은 평면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프라시트(300)의 모서리부분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양측면의 일부분과 각각 동일하게 맞닿게 되어 지지하는 형상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431)의 일측에는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420)의 결합홈(42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433)가 구성되어 회전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433)의 경우 통상의 볼트 개념과 유사하다.
즉, 상기 보강부재(430)는 상기 결합부재(433)가 상기 결합홈(423)에 회전결합되며,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팔레트의 조립을 위해 상기 보강부재(430)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시, 상측 끝부분은 상부팔레트(200)의 보강부재고정홈(220)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보강부재(430)가 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들로 구성된 모서리보강부(4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팔레트를 보관 시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를 하부팔레트 외측 수평방향으로 접어 고정시키고, 조립 시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를 접혀진 반대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세운 후, 상기 보강부재인입홈(120) 측으로 밀어 상기 단프라 시트(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보강부(400)가 접혀는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재(430)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킬 시,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20)의 키(421)가 연결부(410)에 걸림되지 않고 회전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430)를 회전축(420)의 키(421) 방향으로 밀림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430)가 상기 보강부재인입홈(120)으로 인입되어 수직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⑤측면보강부(500)
상기 측면보강부(50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9,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외측면에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유동바(5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동바(510)는 일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하기될 길이조절바(5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외측과 마주하는 외측에는 상기 유동바(510)가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시,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고정돌기(230)가 삽입될 수 있게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걸림돌기(5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바(510)는 힌지구조를 통해 수직,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면서고 수평방향시 걸림돌기(521)에 의해 고정되다.
한편, 상기 유동바(510)에 삽입 구성되는 길이조절바(520)가 구성되는데, 일측이 상기 유동바(5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 상에서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유동바(510)에 삽입된 반대방향의 끝부분은, 상기 유동바(510)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될 시,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조절바삽입홈(1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바(520)의 유동바(510)에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 양측에는 돌출된 형태로 상기 유동바(510)의 공간에서 더 이상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걸림돌기(521)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바(510)의 공간부(부호없음)가 상기 걸림돌기(521)가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보강부(500)는 상기 하부팔레트(100)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끼움홈(110)에 단프라시트(300)를 끼움 구성한 후, 상기 단프라시트(300)의 상부에 상부팔레트(200)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측면보강부(500)가 단프라 시트(300)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운반 팔레트의 조립을 설명하면,
먼저, 하부팔레트(100)를 지면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단프라시트(300)를 안착시키되 완전히 펼쳐 사각형태로 만든 후, 상기 단프라시트(300)의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100)의 끼움홈(110)에 끼워질 수 있게 위치시킨다.
그 후에는,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모서리보강부(400)의 보강부재(43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팔레트(200)를 상기 단프라시트(300)의 상부에 위치켜, 상기 단프라시트(300)의 상단부가 상부팔레트(200)의 끼움홈(210)에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부재(430)가 보강부재고정홈(220)에 끼워져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각각의 측면보강부(500)의 유동바(51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길이조절바(520)를 하부로 당겨 하부팔레트(100)의 조절바삽입홈(140)에 각각 삽입하게 됨으로써, 조립된 운반팔레트의 측면과 모서리부분을 각각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팔레트(200)를 조립하기 전 운반에 필요한 자동차부품을 하부팔레트(100)의 상측에 미리 안착시킨다.
한편, 상기한 순서의 반대방향으로 한 후에, 하부팔레트(100)에 단프라시트(300) 상부팔레트(200) 순으로 적층하여 취급 및 보관을 하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에 의하면, 조립식 운반 팔레트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출성형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경제적 효율성 및 생산성이 확보되고, 각각의 구성들이 상호 조립함에 있어서 고정력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조립 시 단프라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부분과 측면들을 견고히 지지하여 흔들림으로 내부의 자동차 부품이 일측으로 쏠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단프라시트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하부팔레트
110 : 끼움홈 120 : 보강부재인입홈 130 : 지지날개
140 : 조절바삽입홈
200 : 상부팔레트
210 : 끼움홈 220 : 보강부재고정홈 230 : 고정돌기
300 : 단프라시트
400 : 모서리보강부
410 : 연결부 411 : 개방홈 413 : 관통홈 415 : 키홈
417 : 스톱바
420 : 회전축 421 : 키 423 : 결합홈
430 : 보강부재 431 : 지지판 433 : 결합부재
500 : 측면보강부
510 : 유동바 511 : 고정홈
520 : 길이조절바 521 : 걸림돌기

Claims (4)

  1. 상측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110)이 형성되는 하부팔레트(100)와, 하측에 둘레를 따라 끼움홈(210)이 형성되는 상부팔레트(200)와, 상기 상부팔레트(200)와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사이에 구성되되, 접힘이 가능하고 펼침 시 상측과 하측이 상기 각각의 끼움홈(110, 210)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프라 시트(300)로 구성되는 조립식 운반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모서리부분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110)의 일측과 연장되는 보강부재인입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팔레트(100) 각각의 보강부재인입홈(120)과 근접한 외측면에 구성되되, 상측 중앙부에 개방홈(411)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의 관통홈(41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413)의 일측에 키홈(415)이 형성되는 연결부(410)와, 상기 관통홈(413)에 삽입 구성되어 회동되되, 외주 일측에 상기 키홈(415)과 대응되는 키(421)가 형성되고, 외주 타측에 관통되는 결합홈(423)이 형성되는 회전축(420)과, 상기 단프라 시트(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43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431)의 일측과 연장되며 연장되는 타측이 상기 결합홈(423)과 결합되는 보강부재(430)로 구성되는 모서리보강부(400)가 포함되어,
    팔레트를 보관 시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를 하부팔레트 외측 수평방향으로 접어 고정시키고, 조립 시 상기 모서리보강부(400)를 접혀진 반대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세운 후, 상기 보강부재인입홈(120) 측으로 밀어 상기 단프라 시트(300)의 모서리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20)의 키(421)는 상기 연결부(410)의 개방홈(411)의 양측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20)이 개방홈(411) 상에서 회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410)의 키홈(415)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420)이 회동 후 고정될 수 있게 스톱바(417)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팔레트(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강부재(430)가 수평방향으로 접힘 시, 상기 지지판(431)이 처지지 않고 지지될 수 있게 지지날개(13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팔레트(200)는,
    모서리부분 내측에 상기 끼움홈(210)과 연장되어 보강부재(43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시 상기 보강부재(430)의 상측이 끼워지는 보강부재고정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외측면에는 일측이 상기 외측면과 힌지 결합되는 유동바(510)와 상기 유동바의 내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바(520)로 이루어진 측면보강부(500)가 구성되어,
    상기 하부팔레트(100)와 결합 시 단프라 시트(300)의 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팔레트(200)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23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바(5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230)의 형상과 대응되게 고정홈(511)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바(5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고정홈(511)이 고정돌기(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1020160152321A 2016-11-16 2016-11-16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10181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21A KR101813216B1 (ko) 2016-11-16 2016-11-16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21A KR101813216B1 (ko) 2016-11-16 2016-11-16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216B1 true KR101813216B1 (ko) 2018-01-30

Family

ID=6107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321A KR101813216B1 (ko) 2016-11-16 2016-11-16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11B1 (ko) 2019-02-01 2020-05-14 에스프라 주식회사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모서리 접철 유닛,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패널 접철 유닛 및 상기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모서리 접철 유닛 및 상기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패널 접철 유닛을 포함하는 팔레트의 접철 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703A (ja) * 2007-10-31 2009-05-21 Kawakami Sangyo Co Ltd 輸送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703A (ja) * 2007-10-31 2009-05-21 Kawakami Sangyo Co Ltd 輸送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011B1 (ko) 2019-02-01 2020-05-14 에스프라 주식회사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모서리 접철 유닛,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패널 접철 유닛 및 상기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모서리 접철 유닛 및 상기 팔레트의 접철 박스용 패널 접철 유닛을 포함하는 팔레트의 접철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7810C (en) Collapsible refuse bin
US8413831B2 (en) Collapsible bin
US6868979B2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with locking feature
US20080169285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7281637B2 (en) Knock-down crate with walls stored in base and method employing such a crate
US3955864A (en) Molded foldable cabinet
US4974737A (en) Extension ring
US3747794A (en) Pallet box
KR101813216B1 (ko) 취급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100793239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조립식 상자
KR200390242Y1 (ko) 접이식 수장함
KR200393366Y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US3044129A (en) Portable building
KR100627177B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KR20120006954U (ko) 컨테이너 파렛트
KR102371405B1 (ko) 접이식 박스형 카트
KR101484758B1 (ko) 어셈블리 박스용 측벽 및 어셈블리 박스
JP3053367B2 (ja) パネル式コンテナ
US3872542A (en) Pallet box
JP399319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テナ
KR20150051611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KR20150065459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JP3172930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JP6961230B2 (ja) 折畳み容器
CN215156553U (zh) 折叠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